최근 수정 시각 : 2023-01-16 10:02:39

가면라이더 나이트

<colcolor=black,#ddd> 파일:Ryuki_Logo.png
가면라이더 류우키에 등장하는 가면라이더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가면라이더
파일:류우키 심볼.jpg
류우키
파일:나이트 심볼.jpg
나이트
파일:졸다 심볼.jpg
졸다
파일:오쟈 심볼.jpg
오쟈
파일:시저스 심볼.jpg
시저스
파일:라이아 심볼.jpg
라이아
파일:가이 심볼.jpg
가이
파일:타이가 심볼.jpg
타이가
파일:임페러 심볼.jpg
임페러
파일:베르데 심볼.jpg
베르데
파일:팜 심볼.jpg
파일:류우가 심볼.jpg
류우가
파일:오딘 심볼.jpg
오딘
파일:어비스 심볼.png
어비스
의사 라이더(유사 라이더)
파일:얼터너티브 심볼.jpg
얼터너티브 / 얼터너티브 제로
← 아기토 라이더 목록 555 라이더 목록 →
}}}}}}}}} ||

역대 헤이세이 가면라이더의 2호 라이더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헤이세이 1기
파일:지스리 로고.png 가면라이더 G3 (히카와 마코토)
파일:나이트 로고.png 가면라이더 나이트
(아키야마 렌)
파일:UXMghhA.png 가면라이더 카이자
(쿠사카 마사토)
파일:로고 갸렌.png 가면라이더 갸렌
(타치바나 사쿠야)
파일:kamen_rider_hibiki_by_markolios_d9npbf5-250t.png 가면라이더 이부키
(이부키)
파일:가탁크 로고.png 가면라이더 가탁크
(카가미 아라타)
파일:로고 제로노스.png 가면라이더 제로노스
(사쿠라이 유토)
파일:로고 이크사.png 가면라이더 이크사
(나고 케이스케)
파일:디엔드 로고.png 가면라이더 디엔드
(카이토 다이키)
헤이세이 2기
파일:d9zq5ug-fe42f0a5-cb72-4987-8a54-1f0e8becb342.png 가면라이더 액셀
(테루이 류)
파일:버스 로고.png 가면라이더 버스
(다테 아키라)
(고토 신타로)
파일:d9ql5w8-835955cd-738f-4129-b079-110f55c38f2d.png 가면라이더 메테오
(사쿠타 류세이)
파일:로고 비스트.png 가면라이더 비스트
(니토 코우스케)
파일:바론 로고.png 가면라이더 바론
(쿠몬 카이토)
파일:마하 로고.png 가면라이더 마하
(시지마 고우)
파일:스펙터 로고.png 가면라이더 스펙터
(후카미 마코토)
파일:브레이브 로고.png 가면라이더 브레이브
(카가미 히이로)
파일:크로즈 로고.png 가면라이더 크로즈
(반죠 류우가)
파일:로고게이츠.png 가면라이더 게이츠
(묘코인 게이츠)
← 쇼와 라이더 목록 레이와 2호 라이더 목록 → }}}}}}}}}

<colbgcolor=#002255><colcolor=silver> 가면라이더 류우키의 등장 가면라이더
파일:list_image (15).png
명칭 <colcolor=black,white><colbgcolor=white,#191919> 가면라이더 나이트
(仮面ライダーナイト)
KAMEN RIDER KNIGHT
장착자 아키야마 렌[1]
키도 신지[2]
하구로 렌[3]
[4]
브라이언 메이스[5]
이가라시 다이지[6]
{{{#!folding 【 기본 스펙(통상 형태 기준) 보기/접기 】 <colbgcolor=#002255><colcolor=silver> 변신벨트 <colcolor=black,white><colbgcolor=white,#191919> V 버클
195cm
무게 95kg
펀치력 200AP = 10t
킥력 300AP = 15t
도약력 40m
질주력 100m / 4.5초
주요 아이템 어드벤트 카드
다크 바이저
주무장 윙 랜서
윙 월
전용 비클 라이드 슈터
다크 레이더[7]
테마곡 Lonely Soldier[8]
슈트 액터 이토 마코토
타카이와 세이지[9]
후지타 사토시[10]
}}} ||

1. 개요2. 폼
2.1. 블랭크체2.2. 나이트
2.2.1. 바이저 & 어드벤트 카드
2.3. 나이트 서바이브
2.3.1. 바이저 & 어드벤트 카드
3. 각 신체 부위
3.1. 나이트
3.1.1. 두부
3.2. 나이트 서바이브
3.2.1. 두부
4. 계약 몬스터
4.1. 어둠의 날개 - 다크 윙4.2. 질풍의 날개 - 다크 레이더
5. 기타

[clearfix]

1. 개요

가면라이더 류우키 2호 라이더. 렌의 변신 시 포즈는 가면라이더 2호의 변신 포즈를 오마주한 것이다. 나이트란 이름은 'Knight (기사)'를 뜻하지만 'Night (밤)'이란 의미도 포함하고 있다.[11] 북미판 가면라이더 드래곤나이트에서의 명칭은 '윙 나이트 (Wing Knight)'.

모티브는 기사+ 박쥐[12]

'SURVIVE 질풍' 카드를 사용해 강화 형태 '나이트 서바이브'로 변신한다.

극중에선 등장하지 않지만, 방영 종료 후에 나이트의 '블랭크체 (Blank体)' 형태가 디자인되어, 한정 상품으로 판매된 적이 있다.

초대 가면라이더의 입을 디자인으로 사용하고 있다.

2.

2.1. 블랭크체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KnightBlankForm.jpg
나이트의 이전 모습으로 미러 몬스터와 계약하지 않았을 때의 모습이다.

2.2. 나이트

파일:knight.png
신장: 195cm
체중: 95kg
최고 시력: 약 10km
최고 청력: 약 25km
최대 속력: 4.5초에 100m 주파
점프력: 수직 40m
공격력 - 펀치력 : 200AP(10t), 킥력 300AP(15t)
미러 몬스터 다크 윙과 계약한 나이트의 기본 형태이다. 기본 컬러는 남색. 기사와 박쥐를 모티브로 따왔다.

자세히 보면 헬멧 안쪽에 2개의 푸른 눈이 존재한다.[13]

파일:Wing Cycle.jpg

가면라이더 드래곤나이트에서는 나이트 전용 바이크가 따로 존재한다.

2.2.1. 바이저 & 어드벤트 카드

어드벤트 카드는 자신의 소환기(바이저)에 삽입해서 카드를 소비하는 대신, 장비를 소환하거나 특수 효과, 필살기 등을 발동시킬 수 있다. 단, 라이더로 1회 변신했을 때마다 기본적으로 카드 종류당 1장씩만 사용할 수 있다.
익소검 다크 바이저
翼召剣ダークバイザー / Dark Visor
파일:Dark_Visor.png
레이피어 형태의 소환기. 무기로도 사용할 수 있다. 어드벤트 카드를 VENT IN할 때는 끝부분을 잡아당겨 바이저의 날개를 전개, 그 안에 카드를 장전한다. 평상시엔 왼쪽 허리에 장비해 둔다.

<colcolor=black> 파일:Ryuki_Logo.png
가면라이더 류우키에 등장하는 무기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드래그 세이버
드래그 클로
류우가 버전
윙 랜서
기가 런처
기가 캐논
기가 혼
베노 사벨 시저스 핀치 에빌 휩
메탈 혼 데스트 클로 가젤 스탭 바이오 와인더
윙 슬래셔 골트 세이버 어비스 세이버
어비스 클로
슬래시 대거
← 아기토 무기 목록 555 무기 목록 → }}}


소드 벤트 - 윙 랜서
ウイングランサー / Wing Lancer
파일:소드 벤트(나이트).jpg 파일:Wing_Lancer.png
2000AP
나이트 전용. 다크 윙의 꼬리 부분을 본뜬 랜스처럼 생긴 대검. 파이널 벤트 발동시 자동으로 소환되어 나이트에게 장비된다.
가드 벤트 - 윙 월
ウイングウォール / Wing Wall
파일:가드 벤트(나이트).png
3000GP
나이트 전용. 다크 윙의 날개를 본뜬 망토. 온몸을 휘감아 적의 공격을 방어할 수 있으며, 공중에서 비행할 수도 있다. 극 중에서는 방어용으로 가끔 쓰이고 비행용으로는 1번 정도 썼다. 대부분은 파이널 벤트 발동시 자동으로 소환되어 나이트에게 장비되는 형태로 등장한다.
트릭 벤트 - 섀도우 일루전
シャードイリュージョン / Shadow illusion
파일:트릭 벤트(나이트).png
1000AP
나이트 전용. 다수의 분신을 생성한다.
너스티 벤트 - 소닉 브레이커
ソニックブレイカー / Sonic Breaker
파일:너스티 벤트.png
1000AP
나이트 전용. 다크 윙을 소환해 적에게 초음파를 발사한다.
어드벤트 - 다크 윙
ダークウイング / Dark Wing
파일:어드벤트(나이트).png
나이트의 계약 몬스터. 항목 참조.
파이널 벤트 - 비상참
飛翔斬
파일:파이널 벤트(나이트).png
5000AP
윙 랜서를 중심으로, 다크 윙이 윙 월이 되어 나이트에게 장비되고, 그 후 높이 뛰어올라 윙 월로 몸 전체를 휘감아 드릴 형태가 되어 적을 꿰뚫어버리는 피니시 기술. 가면라이더 류우키의 모든 라이더들 중 유일하게 두 개 이상의 장비를 사용한다.
서바이브 -질풍-
サバイブ -疾風-
파일:질풍의 서바이브.jpg
원래 테즈카가 칸자키와 만나 라이더 배틀을 강요당하면서 받은 카드. 하지만 여전히 라이더의 싸움을 거부했던 테즈카는 그 카드를 렌에게 맡긴다.

2.3. 나이트 서바이브

헤이세이 가면라이더의 2호 라이더 강화 폼
<colbgcolor=white><colcolor=black>{{{#!folding [ 펼치기 · 접기 ] 헤이세이 1기
<colbgcolor=white> 파일:지스리 로고.png 가면라이더 G3
G3-X
<colbgcolor=white> 파일:나이트 로고.png 가면라이더 나이트
나이트 서바이브
파일:로고 갸렌.png 가면라이더 갸렌
잭 폼 / 킹 폼
파일:가탁크 로고.png 가면라이더 가탁크
하이퍼 폼
파일:로고 제로노스.png 가면라이더 제로노스
제로 폼
파일:로고 이크사.png 가면라이더 이크사
라이징 이크사
파일:디엔드 컴플리트 로고.png 가면라이더 디엔드
컴플리트 폼
헤이세이 2기
파일:d9zq5ug-fe42f0a5-cb72-4987-8a54-1f0e8becb342.png 가면라이더 액셀
액셀 트라이얼 / 액셀 부스터
파일:버스 로고.png 가면라이더 버스
버스 데이 / 리버스 / 버스 X
파일:가면라이더 메테오 스톰 로고.png 가면라이더 메테오
메테오 스톰
파일:로고 비스트.png 가면라이더 비스트
비스트 하이퍼
파일:바론 레몬 로고.png 가면라이더 바론
레몬 에너지 암즈 / 사과 암즈
파일:체이서 로고.png 가면라이더 마하
데드히트 마하 / 체이서 마하 / 초 데드히트 마하 / 마하 체이서
파일:딥스펙터 로고.png 가면라이더 스펙터
딥 스펙터 / 신 스펙터
파일:브레이브 레거시 로고.png 가면라이더 브레이브
판타지 게이머 레벨 50 / 레거시 게이머 레벨 100
파일:크로즈마그마 로고.png 가면라이더 크로즈
크로즈 차지 / 크로즈 마그마 / 그레이트 크로즈 / 크로즈 에볼
파일:게이츠 마제스티 로고.png 가면라이더 게이츠
게이츠 리바이브 / 게이츠 마제스티
레이와 2호 라이더 강화 폼 →
}}}||

파일:knightsurvive.png
신장: 198cm
체중: 97kg
최고 시력: 약 15km
최고 청력: 약 30km
최대 속력: 4.2초에 100m 주파
점프력: 수직 50m
공격력 - 펀치력 : 300AP(15톤), 킥력 : 450AP(22.5톤)

나이트 서바이브는 나이트가 'SURVIVE 질풍' 카드를 사용해 변신한 강화 형태이다. 슈트의 색이 전체적으로 검은색이 됐으며 갑옷 부분만 파란색을 띠고 있다.

나이트가 카드 덱에서 'SURVIVE 질풍' 카드를 꺼내면, 주위에서 바람이 휘몰아치며 바이저가 츠바이 형태로 변한다. 츠바이 형태가 된 바이저에 서바이브 카드를 VENT IN하면 'SURVIVE'란 음성과 함께 나이트 서바이브로 변신할 수 있다.

섀도우 일루전과 소닉 브레이커의 위력이 더 향상되었으며, 다크 토네이도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2.3.1. 바이저 & 어드벤트 카드

다크 바이저 츠바이
ダークバイザーツバイ / Dark Visor-Zwei
파일:Dark_Visor_Zwei.png
다크 바이저가 변형된 방패형 소환기. 왼팔에 장착된다. 나이트의 문장이 그려진 상부 장전구에 서바이브 카드, 다크 블레이드의 손잡이가 되는 하부 장전구에 어드벤트 카드를 VENT IN한다. 소드벤트 및 가드벤트 형태로 분리할 수 있으며, 슛벤트 사용시 석궁으로 변형된다.
소드 벤트 - 다크 블레이드
ダークブレード / Dark Blade
파일:소드 벤트(나이트 서바이브).jpg 파일:Dark_Blade.png
4000 AP
다크바이저 츠바이에서 손잡이를 잡고 뽑으면 나타나는 장검. 어드벤트 카드를 사용하지 않아도 그냥 분리할 수 있다. 자루에 어드벤트 카드 삽입구가 달려 있기 때문에 소환기로 쓸 수 있다. 소드벤트 소환시 팔에 부착된 바이저는 자동으로 가드 벤트가 된다.
가드 벤트 - 다크 실드
ダークシールド / Dark Shield
파일:Dark_Shield.png
3000 GP
다크 바이저 츠바이가 변형된 방패형의 방어구. 원래의 다크 바이저 츠바이에서 소드 벤트를 분리하고 남은 부분이므로, 어드벤트 카드를 따로 사용할 필요는 없다.
슛 벤트 - 다크 애로우
ダークアロー / Dark Arrow
파일:슛 벤트(나이트 서바이브).jpg 파일:Dark_Arrow.png
3000 AP
다크바이저 츠바이가 변형된 석궁형의 무기. 적에게 조준해 레이저 화살을 쏠 수 있다.
트릭 벤트 - 섀도우 일루전
シャードイリュージョン / Shadow illusion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Trick_Vent_%28Knight-Wing_Knight_Survive%29.jpg
2000 AP
다수의 분신을 생성한다. 기존의 트릭 벤트보다 더욱 강화되었다.
너스티 벤트 - 소닉 브레이커
다크 윙을 소환해 적에게 초음파를 발산한다. 기존의 너스티벤트보다 더욱 강화되었다. 그러나 작중에서는 서바이브 상태에선 너스티 벤트를 쓴 적은 없고, 대신 블래스트 벤트를 사용했다.
블러스트 벤트 - 다크 토네이도
ダークトルネード / Dark Tornado
파일:블래스트 벤트.jpg
2000 AP
다크 레이더를 소환해 강력한 회오리 바람을 발생시킨다.
어드벤트 - 다크 레이더
ダークレイダー / Dark Rader
파일:어드벤트(나이트 서바이브).jpg
나이트 서바이브의 계약 몬스터. 항목 참조.
파이널 벤트 - 질풍단
疾風断
파일:파이널 벤트(나이트 서바이브).jpg
8000AP
다크 레이더 머신 모드를 타고 푸른 레이저를 발사해 적을 포박한 후, 망토를 휘감아 로켓 형태가 되어 초고속 돌진해 적을 꿰뚫는 피니시 기술.

3. 각 신체 부위

3.1. 나이트

파일:가면라이더 나이트 구조 01.png
  • 01. 지패트 슬랫: 가면라이더 나이트의 의지를 계약 몬스터인 다크 윙에게 전달해 마음대로 조종하기 위한 기관. 이곳을 통해 계약 몬스터에게 의지를 전할 수 있다. 팔, 어깨, 등, 허리, 무릎에 총 10개가 배치돼 있다.
  • 02. 다크 너클: 초경물질 아메탈로 된 패널. 일격에 철판을 꿰뚫는 강력한 펀치를 날릴 수 있다.
  • 03. 포스 본: 몸 중앙, 양 팔다리, 등에 배치된, 류우키의 파워를 전신에 보내는 제어기관. 나이트의 파워를 밸런스 좋게 전신에 보낸다.
  • 04. V버클: 카드덱이 장전되어 있으며, 덱에 떠오른 문장은 다크 윙과 계약한 증표이다. 전투시 이곳에서 어드벤트 카드를 뽑는다.
  • 05. 레그 블랙: 전투에 의한 킥이나 점프 등 강력한 충격을 버티는 다리.
  • 06. 다크 체스트: 나이트의 몸 중 가장 강고한 부위. 초고도에서의 낙하나 심해 1만m의 수압도 버틸 수 있다.
  • 07. 다크 바이저: 다크 윙의 특수 능력을 불러내기 위한 레이피어형 소환기.
  • 08. 그란 메일: 변신자의 몸을 감싼 특수강화피부. 수많은 미러 몬스터의 공격을 견디며 인간의 능력을 최대한 증폭시킬 수 있다.
  • 09. 블랙 아머: 초경물질 아메탈로 된 다리를 보호하는 아머. 강도는 다이아몬드에 필적함에도 극도로 가벼워 나이트의 주력을 지탱한다.

3.1.1. 두부

파일:가면라이더 나이트 구조 02.png
  • 01. 솔리드 페이스 실드 : 초경물질 아메탈로 된 얼굴. 어떤 충격이든 흡수하는 한편, 독가스나 오염된 공기 등도, 내장된 퓨리피케이션 필터를 통해 빨아들인 공기를 정화, 살균한다.
  • 02. N 시그널: 미러 몬스터의 위치나 존재를 한순간에 파악하는 레이더 센서.

3.2. 나이트 서바이브

파일:가면라이더 나이트 서바이브 구조 01.png
  • 01. 지패트 슬랫: 계약 몬스터를 마음대로 조종하기 위한 원격 조작 디바이스 포인트. 이곳을 통해 가면라이더 나이트 서바이브의 의지를 다크 레이더에게 직접 전달할 수 있다. 팔, 어깨, 등, 허리, 무릎에 총 9개가 배치돼 있다.
  • 02. 다크 너클: 초경물질 아메탈로 된 손 장갑.
  • 03. 포스 본: 몸 중앙, 양 팔다리, 옆구리에 배치된 제어기관. 나이트 서바이브의 파워를 밸런스 좋게 전신에 보내고, 잉여 에너지는 외부로 해방시켜 적당량만을 보존한다.
  • 04. V버클: 가면라이더 나이트가 서바이브로 폼 체인지한 것에 의해 덱이 검은색에서 푸른색으로 변화했다.
  • 05. 레그 블랙: 킥에 의한 순간적인 파괴력과, 그것에 따르는 충격을 버티는 능력 모두 뛰어난 다리.
  • 06. 블루 디펜스: 질풍의 서바이브 어드벤트 카드의 영향으로 통상의 다크 체스트보다 강해진 갑옷.
  • 07. 그란 메일: 전신을 감싼 특수강화피부. 미러 몬스터의 어떤 공격에도 버틴다. 미러 월드에서의 인간의 능력을 최대한 증폭시켜 가면라이더로서 싸울 수 있게 하지만, 9분 55초의 제한시간이 있으며 시간이 다 되면 변신이 강제로 해제돼버린다.
  • 08. 나이트 윙: 질풍의 서바이브 어드벤트 카드의 힘으로 스스로 비행 능력을 획득했다. 이것은 「윙 월」로도 사용 가능한 변환자재의 날개다.
  • 09. 골드 아머: 질풍의 서바이브 어드벤트 카드의 영향을 가장 강하게 받은 부위로, 그란 메일 표면에 갖춘 아머. 가벼우면서도 다이아몬드에 필적하는 강도를 자랑한다.

3.2.1. 두부

파일:가면라이더 나이트 서바이브 구조 02.png
  • 01. 솔리드 페이스 실드: 초경물질 아메탈로 된 얼굴. 퓨리피케이션 필터가 내장돼 있으며, 정화와 살균 작용을 항상 하고 있기 때문에 독가스나 오염 지역 등에서도 활동할 수 있다.
  • 02. N 시그널: 레이더 센서 역할을 맡고 있어 미러 몬스터의 위치나 존재를 감지한다.
  • 03. 블루 아이: 멀리 떨어진 목표물을 시인할 수 있는 눈. 그 유효 거리는 15km에 이른다. 적외선 시력도 보유하고 있다.

4. 계약 몬스터

4.1. 어둠의 날개 - 다크 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다크 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 질풍의 날개 - 다크 레이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다크 레이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기타

  • 가면라이더 류우키에서 키도 신지를 제외하고 자신이 원해서 가면라이더로 활동하는 인물이 아니다. 애초에 파트너인 다크 윙도 자기가 고른게 아니라 에리를 구하기 위해 구속하려고 계약을 맺은건데, 하필이면 다크 윙의 능력에서 비롯된 어드벤트 카드가 하나같이 렌의 전투 스타일과 정반대라 많이 당하는 편이다.
    나이트가 사용하는 카드를 보면 트리키한 전술을 구사하여 상대를 혼란스럽게 만든 후에 기습하여 끝내는 것을 상정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아키야마 렌은 미러월드에 들어오면 제일 먼저 윙 랜스부터 꺼낸 후에 달려들고, 상대 앞에서 버젓이 트릭 벤트를 써서 전략노출을 한다.[15] 너스티 벤트라는 상당히 범용성이 좋은 봉쇄 카드가 있음에도 라이더 배틀보다 몬스터와 싸울 적에 긴급회피용으로만 사용할 정도로 다른 라이더에 비해 제대로 활용을 못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가드 벤트도 방어용도 말고도 비행용으로 사용이 가능하지만 이 역시 본편에서 1번 정도 사용하는거 빼면 거의 치장용이나 다름 없을 정도로 제대로 기능한 적이 없다. 그래도 라이더 타임 류우키에서는 류우가의 드래그 클로 파이어를 가드 벤트로 막아냈고 트릭 벤트로 교란시킨 뒤 재빨리 도주하는 등 본편보다는 잘 싸웠다.


[1] 주 장착자 [2] TV스페셜판에서 마지막에 변신했다. [3] 가면라이더 디케이드 류우키의 세계 [4] 가면라이더 드래곤나이트 [5] 소설 가면라이더 드래곤나이트 2WORLD 1HEARTS [6] 비욘제네에서 클론 라이더로 변신 [7] 서바이브 한정. [8] 38화 때만 브금으로 사용됨. [9] TV스페셜판의 키도 신지 변신버전. [10] RIDER TIME 가면라이더 류우키 한정. [11] 그래서 밤을 상징하는 동물인 박쥐가 파트너로 있다. [12] 그래서인지 가면라이더 드래곤나이트에서 아직 제대로 정체가 드러나지 않았을때는 기자가 배트맨이라고 불렀다. 참고로 드래곤나이트는 로빈, 미러 몬스터인 디스파이더는 스파이더맨으로 가칭이 붙었다. [13] 다만 이는 연출을 위한 것으로 가면라이더 류우가처럼 가면 안의 눈이 보이는 버전과 눈이 없는 버전의 2가지 헬멧이 존재한다. [14] 가면라이더 쿠우가에서 첫번째는 즈 그문 바(거미), 두번째는 즈 고오마 구(박쥐)와 싸운 사례가 그 예. [15] 키타오카 상대로 트릭벤트 쓰다가 순식간에 분신이 쓸려나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