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1-27 14:39:48

가면라이더 졸다

<colcolor=black,#ddd> 파일:Ryuki_Logo.png
가면라이더 류우키에 등장하는 가면라이더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가면라이더
파일:류우키 심볼.jpg
류우키
파일:나이트 심볼.jpg
나이트
파일:졸다 심볼.jpg
졸다
파일:오쟈 심볼.jpg
오쟈
파일:시저스 심볼.jpg
시저스
파일:라이아 심볼.jpg
라이아
파일:가이 심볼.jpg
가이
파일:타이가 심볼.jpg
타이가
파일:임페러 심볼.jpg
임페러
파일:베르데 심볼.jpg
베르데
파일:팜 심볼.jpg
파일:류우가 심볼.jpg
류우가
파일:오딘 심볼.jpg
오딘
파일:어비스 심볼.png
어비스
의사 라이더(유사 라이더)
파일:얼터너티브 심볼.jpg
얼터너티브 / 얼터너티브 제로
← 아기토 라이더 목록 555 라이더 목록 →
}}}}}}}}} ||

역대 헤이세이 가면라이더의 3호 라이더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헤이세이 1기
파일:길스 로고.png 가면라이더 길스
(아시하라 료)
파일:졸다.png 가면라이더 졸다
(키타오카 슈이치)
파일:델타 로고.png 가면라이더 델타
(미하라 슈지)
파일:로고 카리스.png 가면라이더 카리스
(아이카와 하지메)
파일:kamen_rider_hibiki_by_markolios_d9npbf5-250t.png 가면라이더 토도로키
(토도로키)
파일:drake .png 가면라이더 드레이크
(카자마 다이스케)
파일:Checkmate_four_king_by_isamu00-d5lk0hp.jpg 가면라이더 사가 (노보리 타이가)
헤이세이 2기
파일:류겐 로고.png 가면라이더 류겐
(쿠레시마 미츠자네)
파일:체이서 로고.png 가면라이더 체이서
(체이스)
파일:네크롬 로고.png 가면라이더 네크롬
(앨런)
파일:스나이프 로고.png 가면라이더 스나이프
(하나야 타이가)
파일:그리스 로고.png 가면라이더 그리스
(사와타리 카즈미)
파일:로고워즈.png 가면라이더 워즈
(백워즈 흑워즈)
← 쇼와 라이더 목록 레이와 3호 라이더 목록 → }}}}}}}}}

가면라이더 류우키의 등장 가면라이더
파일:가면라이더졸다.jpg
<colbgcolor=green><colcolor=silver> 명칭 <colbgcolor=white><colcolor=black> 가면라이더 졸다
(仮面ライダーゾルダ)
KAMEN RIDER ZOLDA
장착자 키타오카 슈이치[1]
유라 고로[2]
드루 렌싱[3]
찬스[4]
{{{#!folding 【 기본 스펙 보기/접기 】 <colbgcolor=green><colcolor=silver> 변신벨트 <colbgcolor=white><colcolor=black> V 버클
192cm
무게 110kg
펀치력 300AP = 15t
킥력 300AP = 15t
도약력 15m
질주력 100m / 7초
주요 아이템 어드벤트 카드
매그너 바이저
주무장 기가 런처
기가 캐논
기가 혼
기가 아머
기가 텍터[5]
비클 라이드 슈터
테마곡 사라지지 않는 무지개(消えない虹)
슈트 액터 오시카와 요시후미
모리 히로츠구[6]
}}}

1. 개요2. 졸다3. 바이저 & 어드벤트 카드4. 계약 몬스터 : 강철(鋼)의 거인 매그너기가5. 각 신체 부위
5.1. 두부
6. 기타

[clearfix]

1. 개요

가면라이더 류우키 3호 라이더. 가면라이더 드래곤나이트 드루 렌싱 Ver. 한정으로는 다크 라이더이다.

졸다라는 이름은 프랑스어(혹은 러시아어)로 "병사, 용병"을 뜻하는 "soldat"에서 따왔다. 투니버스 방영판에서의 명칭은 "졸더." 사실 이 이름이 더 많이 퍼졌다. 북미판 가면라이더 드래곤나이트에서의 명칭은 "토크(Torque)".[7]

2. 졸다

파일:zolda.png

키타오카 슈이치가 미러 몬스터 매그너기가와 계약해서 변신한 모습. 기본 컬러는 녹색, 모티브는 "기사+버팔로"다. 계약 몬스터인 매그너기가가 로봇처럼 생겨서 그런지 전체적인 외관은 상당히 기계적이다. 귀 부분의 체인은 실제로 회전하며, 눈 부분의 길쪽한 슬릿 안쪽에 모노아이 비슷한 카메라가 3개 달려 있어서 그것들을 통해 주변을 탐지한다. 초대 가면라이더의 더듬이를 디자인에 사용하고 있다.[8]

기본 스펙은 펀치력, 킥력은 강력하지만 기동성이 제일 떨어지며[9] 사용하는 원거리 무기들도 화력은 좋지만 무겁고 딜레이가 길어서 매그너 바이저를 제외하고는 명중률이 상당히 낮다. 류우키와 나이트는 서바이브를 얻고 얼터너티브 등 막강한 스펙의 라이더들이 등장할 때도 졸다에겐 추가 변신이 없었기 때문에 스펙 상으로 특출난 면은 없다. 그럼에도 변신자가 키타오카 슈이치였던 덕분에 작중에서는 몸 상태가 악화되는 후반까지 라이더전에서 밀리는 모습을 보여준 적이 거의 없다. 괜히 슈퍼 변호사가 아니다. 가면라이더 555에 등장하는 파이즈가 주요 장착자인 이누이 타쿠미 덕에 강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그래서 잊혀지곤 하는데, 장착자 버프를 많이 먹긴 했지만 스펙상 근접 전투력도 상당히 높다. 거의 쿠우가 라이징 타이탄 폼과 근접전에서 거의 동급인 수준.

졸다의 가장 큰 특징은 원거리 화력전 지향 라이더라는 것. 기본 소환기도 권총 형태고, 주요 무장 2개도 대포 형태고 근접 무기는 있긴 한데 본편에서 사용한 적이 없다. 여기에 장착자 키타오카의 뛰어난 상황판단이 더해져 팬들 사이의 평가는 역대 최강의 사격계 라이더. 몬스터와의 전투에서 화력의 우월함이 드러나는데, 다른 라이더들이 필살기로 몬스터를 잡을 때 졸다 혼자 기가 런처 혹은 기가 캐논으로 몬스터를 잡는 모습을 매우 많이 보인다. 배틀이란 망설이지 않고 일단 냅다 달려드는 것이라는 우주형사틱한 이론을 가진 류우키 나이트와는 달리 배틀 전에 미리 거리를 두거나 높은 곳에 위치하거나 배틀 시작 전에는 잠깐 사라져있다가 다른 라이더들이 한창 싸워서 비틀비틀할 때 등장하여 기습하는 등, 등장 라이더 중에서는 얼마 없는 전략적인 플레이로 싸우는 라이더다. 타이가의 파이널 벤트에 걸려 데스트와일더에게 질질 끌려가는 상황에서도 침착하게 바이저를 난사해 회피하는 모습도 보여줬고[10] 나이트의 트릭 벤트를 간파해 낸 유일한 라이더이기도 하다.[11]

졸다의 약점은 다름아닌 장착자인 키타오카의 몸 상태. 병이 악화되면서 뒤로 갈수록 전투가 힘에 부치는 듯한 모습을 자주 보여준다. 위에서 언급한 타이가의 파이널 벤트를 무산시킬 때도 그 후 렌이 난입해 겨우 위기를 탈출했고, 미러 월드에서 나오면서 "미... 믿겨지냐? 이 내가 저런 놈한테..."라고 분통을 터뜨렸다. 이 시점의 키타오카는 멀쩡히 있다가도 쓰러져 실려갈 정도로 상태가 악화되었는데 저 정도로 대응한 것이 대단한 수준. 결국 최종화에서는 앞조차 제대로 보지 못할 정도로 상태가 악화되어 유라 고로가 대신 졸다로 변신해 오쟈와 맞섰고, 오쟈에게 패배해 고로가 사망함과 동시에 자택의 소파에서 키타오카는 숨을 거둔다.

류우키, 나이트, 오쟈[12], 주역 라이더도 아닌 류우가[13] 라이아[14]도 강화 형태가 있는 와중에 강화 형태가 어디에도 없는 라이더인데, 강화시키기도 애매한 게 이 스펙에서 서바이브라도 했다간 서바이브의 상승치[15]를 봤을 때 오딘과 동급이 될 수 있는 얼마 되지 않은 라이더다. 결국 키타오카의 몸 상태까지 겹쳐서 후반부로 갈수록 오히려 더 약해지는 라이더.

3. 바이저 & 어드벤트 카드

어드벤트 카드는 자신의 소환기(바이저)에 삽입해서[16], 카드를 소비하는 대신 장비를 소환하거나 특수효과, 필살기 등을 발동시킬 수 있다. 단, 라이더로 1회 변신했을 때마다 기본적으로 카드 종류당 1장씩만 사용할 수 있다.

졸다의 어드벤트 카드는 특이하게 배경에 미러 몬스터의 어느 부위를 본땄는가를 표기해주는 그림이 있다.
기소총 매그너 바이저
機召銃マグナバイザー / Magnu Visor
파일:Magna_Visor.png
권총형 소환기. 평상시엔 오른쪽 허리에 장비한다. 무기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1분에 약 120발의 에너지탄을 발사할 수 있다. 윗부분을 슬라이드하면 탄창의 슬롯이 드러나며 그곳에 어드벤트 카드를 VENT IN한다.

<colcolor=black> 파일:Ryuki_Logo.png
가면라이더 류우키에 등장하는 무기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드래그 세이버
드래그 클로
류우가 버전
윙 랜서
기가 런처
기가 캐논
기가 혼
베노 사벨 시저스 핀치 에빌 휩
메탈 혼 데스트 클로 가젤 스탭 바이오 와인더
윙 슬래셔 골트 세이버 어비스 세이버
어비스 클로
슬래시 대거
← 아기토 무기 목록 555 무기 목록 → }}}


슛 벤트 - 기가 런처
Giga Launcher
파일:슛 벤트(졸다).png 파일:Giga_Launcher.png
2000AP
졸다 전용. 매그너기가의 양팔을 연결한 형태[17]를 본뜬 대전차포. 강력한 고압 에너지탄을 발사하며, 유효사정거리는 약 10km. 졸다의 주력무기로, 관통력도 뛰어난데다 다수의 적에게도 스플래시 데미지를 입히는 막강한 화력을 지녔다. 대신 반동이 상당히 크며, 다시 발사하기까지 시간도 오래 걸리는지라 작중에서는 2발 이상 사용한 적이 두 번 밖에 없다. 거기다 미러 몬스터를 상대론 강력한 살상력을 보여주지만, 다른 라이더를 상대로 사용했을 때는 누굴 맞춰서 사망시킨 적이 한 번도 없는[18] 굴욕을 보여준다.

다만 졸다가 나올때마다 꾸준히 사용했다. 삼위일체 몬스터였던 버즈스팅거 삼총사의 협력방어를 무너뜨리기 위해 나이트, 오쟈와 협력했을 때도, 둘이 파이널벤트를 쓸 때 기가 런처를 쓸 정도. 외양은 제타플러스 C1의 스마트건을 오마주했다고 한다.

사실 기가 런처의 성능은 그렇게까지 좋은 편은 아니다. 위력은 2000AP로 어드벤트 카드 장비의 평균치. 졸다의 무기 중에서도 기가 캐논과 비교해보면 그렇게까지 고성능 무기는 아니다. 하지만 일단 간지가 나는데다가 기가 캐논 같은 경우엔 슈트액터가 짐덩이를 등에 지고 있어 액션이 불가능하다는 부담에다가, 발사 장면에 비교적 돈이 더 들기도 하기 때문에 어른의 사정으로 졸다의 주무기가 기가 런처가 됐다.[19]
슛 벤트 - 기가 캐논
Giga Cannon
파일:슛 벤트(졸다2).png 파일:기가 캐논 무장.png
3000AP
졸다 전용. 매그너기가의 양 다리[20]를 본뜬 캐논. 등과 어깨에 장비하는 화기로, 2개의 캐논포에서 레이저 스파크볼을 발사한다. 한 번 쏠 때마다 2발이 동시에 나가는데, 기가 런처보다 반동도 적고 딜레이도 짧은데 어깨에 장착하는지라 양 손이 자유로워서 장착한 상태에서도 매그너 바이저나 다른 어드벤트 카드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무기. 기가 캐논을 장비한 상태에서 기가 아머를 소환해 앞을 막고 기가 캐논을 사용한 전적도 있다.

하지만 실제론 매우 까다로운 무기. 직사형태인 기가 런처와 달리 곡사형 발사라서 적을 맞춘다는 개념보다는 적 주위에서 낙하, 폭발해 타격을 주는 무기라 적과의 거리가 너무 가깝지도 멀지도 않게 맞춰야 한다. 명중률이 상당히 떨어져 적이 피하기도 쉽고[21], 직격이 아닌 폭발을 맞으면 그냥 튕겨 날아가는 정도에 그치는데다, 극중에선 기가 캐논을 장비한 상태에서 움직임이 둔해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등 막강한 위력만큼 부담도 커 기가 런처보다 등장 횟수는 적다.
스트라이크 벤트 - 기가 혼
Giga Horn
파일:스트라이크 벤트(졸다).png
2000AP
졸다 전용. 매그너기가의 머리를 본뜬 장갑. 졸다의 유일한 근접무기인데 여기도 빔탄을 발사하는 원거리 공격 기능이 들어 있다. 극중 미등장. 다만 똑같이 미등장이었던 기가 텍터와 달리 유일한 근접 무장이어서인지 PS판[22]이나 가면라이더 클라이맥스 히어로즈 등의 게임에서 기가 런처와 함께 빠지지 않고 등장하고 CSM 발매 시에도 카드가 동봉, 가면라이더 도감 사이트에도 정보가 등재되는 등 대접은 천지차이다.[23]
가드 벤트 - 기가 아머
Giga Armor
파일:가드 벤트(졸다).png 파일:Giga_Armour.png
3000GP
졸다 전용. 매그너기가의 흉부를 본뜬 거대방패. 하지만 방어구로 사용한 적은 세 번[24]밖에 없으며, 주로 기가 런처의 반동을 줄이기 위한 양각대로 사용한다.
가드 벤트 - 기가 텍터
Giga Tector
파일:가드 벤트(졸다2).jpg
1000GP
졸다 전용. 매그너기가의 무릎을 본뜬 어깨갑옷. 양어깨에 장비하는 방어구이긴 하나, 애초에 설정에도 없는 무장이다. PS용 게임에서도 나오지 않고, CSM 발매 당시에도 이 카드는 발매되지 않았고, 심지어 가면라이더 도감 사이트에서조차 똑같이 쓰지 않은 기가 혼은 있는데 이 카드는 없다. 사실상 완구 오리지널[25]이나 다름없는 장비.
어드 벤트 - 매그너기가
파일:어드벤트(졸다).png
6000AP
졸다의 계약 몬스터. 항목 참조
파이널 벤트 - 엔드 오브 월드
End Of World
파일:파이널 벤트(졸다).png
7000AP
졸다 전용. 매그너기가에 바이저를 꽂아넣어 연동시킨 상태에서 매그너기가의 모든 내장화기를 한번에 발사하는 피니시 기술. 매그너기가의 전신에서 대전차포·레이저 캐논·발칸·빔·미사일이 마구 쏟아져 나와 말 그대로 전방을 초토화시켜 쑥대밭을 만들어 버린다.

주인공인 류우키의 파이널벤트보다 훨씬 높은 초월적인 공격력과 막강한 범위를 자랑한다. 거의 서바이브의 파이널벤트와 대등할 정도의 위력인데[26] 문제는 저 위력이나 세계의 끝이라는 거창한 이름에 비해 라이더를 맞춰 죽인 적이 한 번도 없다. 몬스터를 죽인 것도 양산형 몬스터인 시아고스트와 레귤러급 몬스터중 와일드보더 뿐이다. 그나마 하이퍼 배틀 DVD에서 다섯 마리 정도의 몬스터를 쓸어내긴 했다.

가장 큰 문제점은 들키기 너무 쉽다는 것. 매그너기가가 원체 육중하고 느려서 파이널 벤트를 제외하면 부르는 경우가 방패 역할 정도인데, 그래서 매그너기가가 떴다 하면 다들 피해버린다. 포격 범위가 넓다고는 해도 근거리에서는 충분히 사각지대로 피할 수 있는 수준이라 서로 뒤엉켜 싸우는 난전 도중에는 쓰기 쉽지 않다. 저 높은 AP도 광범위를 커버하느라 분산되는지 많은 라이더가 휘말려도 이 공격만으로 사망한 라이더는 없다. 극중에서는 가이 + 류우키 + 라이아 + 나이트 + 오쟈가 다섯 명이서 다같이 얻어맞았던 적이 있었는데, 류우키 / 나이트 / 라이아는 바닥에 쓰러져서 힘겨워하긴 했으나 어떻게든 다시 일어나긴 했고, 오쟈는 가이를 방패삼아 생존했다. 그리고 그렇게 직격당한 가이도 치명상을 입긴 했으나 어쨌든 이 기술 자체로는 죽지 않았다.

실제로 이런 문제 때문에 작중에서 효과를 발휘하는 경우는 멀리 떨어져 거리를 벌린 뒤 몰래 사용했을 때 정도. 대놓고 쓸 경우 대부분 간파당했다. 일단 위력 자체는 엄청난 게 사실이라 미러 몬스터는 즉사, 라이더또한 무시할 수 없는 피해를 받았다. 집중포화의 위력을 증명하듯 SIC 히어로 사가에서는 제노서바이버를 떡실신시켰다.[27]

본편에서 졸다는 파이널벤트를 발동할 때 가끔 어드벤트 카드로 매그너기가를 소환한 다음 사용한다. 파이널 벤트만 쓰면 알아서 나오는데 굳이 어드벤트를 써서 부르는 이유는 알 수 없다.

작품 외적인 이야기로, 대전격투게임 KOF 2002UM에서 맥시마에게 새로 추가된 MAX2가 이름부터 모션까지 본 기술을 충실하게 패러디했다. 더 골때리는 건, 원본이 되는 KOF 2002의 신 시스템 MAX2가 전모가 밝혀지기 전엔 가면라이더 류우키 방영 시기랑 겹쳐서 그런지 파이널 벤트라는 가칭으로 통한 적이 있었던 것이다.

4. 계약 몬스터 : 강철(鋼)의 거인 매그너기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매그너기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각 신체 부위

  • 01. 지패트 슬랫: 계약자인 가면라이더 졸다의 의지를 전달해 매그너기가를 마음대로 조종하기 위한 원격 조작 디바이스 포인트. 흉부, 어깨, 팔꿈치, 무릎, 등, 허리에 총 11개 배치되었다.
  • 02. 졸다 너클: 초경물질 아메탈로 된 손 장갑. 가면라이더 오딘의 뒤를 잇는 3000AP의 펀치력을 자랑한다.
  • 03. 매그너 바이저: 권총형의 소환기. 어드벤트 카드를 장전하는 것으로 그 효과를 발동시키는 한편, 파이널 벤트 '엔드 오브 월드'의 기동 스위치도 된다. 또한 권총으로서 전투시에 사용된다.
  • 04. V버클: 카드 덱을 삽입하면 소유자를 가면라이더로 변신시키는 변신벨트. 카드덱에는 버팔로형의 문장이 떠올라 있다.
  • 05. 레그 블랙: 기가 런처나 기가 캐논을 사용할 때의 충격을 줄이는 역할도 맡는 다리.
  • 06. 탱크 체스트: 졸다의 보디 중에서도 가장 단단한 부분.
  • 07. 졸다 빔: 어둠 속에서도 사방 5km를 비출 수 있는 빔을 조사한다.
  • 08. 포스 본: 전신각부에 배치된 파워 제어기관.
  • 09. 그란 메일: 변신자의 몸을 감싼 특수 강화 피부. 장착자의 능력을 최대한 끌어올린다.
  • 10. 블랙 아머: 다이아몬드에 필적하는 경도를 자랑하는 초경물질 아메탈로 된 방어구.

5.1. 두부

  • 01. 솔리드 페이스 실드: 초경물질 아메탈로 생성된 마스크. 충격 흡수와 오염물질의 정화 살균 등의 기능이 있다.
  • 02. 졸다 이어: 사방 약 10km의 방해물의 움직임을 탐지할 수 있는 음파탐지기.
  • 03. Z시그널: 적의 존재를 감지하는 레이더 센서.
  • 04. 졸다 스캔: 시력을 강화하는 레이더 안테나.
  • 05. 포토 일렉트로 아이: 20km 너머의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6. 기타

  • 오쟈와는 라이벌 기믹으로, 본편의 라이더 배틀과 현실 세계에서 계속해서 대결하며, 결국 최후에 직접 서로를 죽이지는 않지만 서로 상대방 사망의 원인이 되어버린다.
  • 자신의 이익만을 위해 행동하는 이기주의자 키타오카의 캐릭터성에 힘입어 상당히 인기있는 라이더. 투니버스에서 최초 방영할 때는, 가면라이더 드래건의 소개 페이지에 메인으로 나와있어 '저 놈이 주인공이냐'는 문의도 들어왔었다고 한다.
  • 가면라이더 디케이드에서는 프롤로그에서 같은 소 형태인 제로라이너에 올라타서 파이널 벤트를 날리지만 직후 제로라이너가 피격당하면서 추락해버린다. 이후 류우키의 세계에서도 등장하는데, 원작은 변호사이지만 이쪽의 졸다는 검사로 피고는 모두 유죄라고 떠들며 기가캐논으로 주인공 측을 공격했다. 이후 등장하지 않는다.
  • 어째서인지는 모르겠지만 가면라이더X슈퍼전대 초 슈퍼 히어로 대전에서 에그제이드, 덴오(모모타로스 ver.), 비트 버스터, 아오 닌자와 같이 에그제이드의 팀으로 등장한다. 심지어 공개된 공식 포스터를 보면 밑부분의 다른 라이더들과 슈퍼전대 전사들을 제치고 가운데에 서 있다.[28] 키타오카 슈이치 역으로 배우 본인까지 등장했지만 안타깝게도 작중 활약은 딱히 뭐 한 게 없는 수준.


[1] 주 장착자 [2] 본편 최종화 및 RIDER TIME 가면라이더 류우키에서 변신한다. [3] 가면라이더 드래곤나이트 [4] 가면라이더 드래곤나이트 [5] 기가 혼과 기가 텍터는 실제로 사용되지 않았고 설정상으로만 존재한다. [6] 라이더 타임 가면라이더 류우키 한정. [7] 돌림힘을 의미하는 영단어로 퍼져 있지만, 회전력 등의 의미도 있다. [8] 주역 라이더들 중 류우키, 나이트, 졸다는 각각 초대 가면라이더의 눈, 입, 더듬이를 디자인에 사용하고 있는데, 이들의 공통점은 대부분의 라이더가 눈이 검은색 바이저로 표현된데 반해 개별의 눈이 있고(류우키는 어렵지 않게 붉은색 복안을 확인할 수 있고, 나이트는 잘 보면 헬멧 안에 파란 눈이 있으며, 졸다는 모노아이 비슷한 카메라가 있다.), 슈트 또한 검은 이너 슈트에 메인 컬러의 아머를 장착한 다른 라이더들과 다르게 각자의 메인 컬러의 이너 슈트에 은색과 검은색의 아머를 장착하고 있다. [9] 블랭크체를 제외하면 본작의 모든 라이더 중 도약력과 질주력이 가장 낮다. [10] 거기다 이때는 병이 악화되어 죽기 직전이나 다름 없는 상태였다. [11] 매그너 바이저를 환영과 실체에게 한 발씩 발사해 실체는 총알이 부딪혀 튕겨나가지만 환영은 총알이 지나쳐 뒤쪽 벽에 맞는 것을 보고는 실체에 매그너 바이저를 집중사격, 덤벼들던 나이트는 바닥을 굴렀다. [12] SIC 히어로 사가에서 서바이브 등장. 거기다 미러 몬스터 3마리를 다룬다. [13] SIC 히어로 사가에서 서바이브 등장. [14] 서바이브가 공개된 사실이 있고, 공식 디자이너가 직접 디자인하고 피규어도 발매되었다. [15] 미러 몬스터 2000AP 상승, 파이널 벤트 3000AP 상승. [16] 다른 라이더 바이저에 넣는 것도 가능하지만 당연히 장비는 카드 주인한테 된다. 신지가 이걸 모르고 셔틀해줬다 굴욕을 당했다. [17] 몸통 부분이 일부 보인다. [18] 다만 라이더 타임 류우키에선 동귀어진이긴 했지만 이걸로 가면라이더 오쟈를 쏴 죽였다. 그런데 사실 이것도 오쟈가 이미 나이트의 파이널 벤트 '비상참'에 치명상을 입은 상태였던 것을 마무리 확킬을 찍은 정도다. [19] SIC나 피그마로 나오는 졸다(피그마는 미국판 이름인 가면라이더 토크로 발매)에도 다른 무장은 없지만 이 기가 런처는 들어갔다. [20] 다리에 내장된 캐논이 무릎 뒤로 펼쳐져서 발바닥 쪽에 붙어있다. [21] TV 본편과 극장판을 합쳐서 딱 한 번 제대로 맞췄다.(26화) [22] 공격에 따라 앞부분에서 총탄을 발사하는 기믹이 실제로 드러나기도 한다. [23] 방영 당시의 잡지샷에선 기가 캐논과 연계해서 사용하는 메가 슛(6000 AP)이라는 기술도 소개된 적이 있었다. 1000배 약해졌다 [24] 13화, 26화, 45화. 그 중 26화는 기가 캐논이 딱 한 번 제대로 명중한 화임과 동시에 "내 카드니까 당연하잖아"가 나온 화다. [25] R&M 졸다 리뷰 영상. R&M 피규어로는 무릎을 분리해 졸다에게 장비시킬 수 있고, 안에 기가 텍터의 어드벤트 카드가 동봉되어 있으며 전용 음성까지 존재했다. [26] 시저스의 파이널벤트의 위력이 4000이다. 졸다의 파이널벤트는 7000이니 만약 시저스가 서바이브를 얻더라도 파이널벤트 위력은 졸다의 것과 똑같은 7000이 된다. [27] 제노서바이버는 무려 10마리(베노 바이퍼, 메탈 게라스, 에빌 다이버, 볼캔서, 데스트 와일더, 기가젤, 브란윙, 바이오 그리저, 다크윙(트릭 벤트가 만든 분신), 드래그레더)의 미러 몬스터가 합체한 몬스터인데다가 AP도 골드 피닉스를 뛰어넘으며, 합체한 몬스터끼리의 불화로 인해 날뛰었을때는 무려 미러 월드 전체가 붕괴될 뻔했다! [28] 심지어 졸다가 나온 가면라이더 류우키의 주인공 류우키는 좌측에 다른 라이더들과 서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