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o의 노래에 대한 내용은 踊(Ado) 문서 참고하십시오.
踊 뛸 용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足, 7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4획
|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ヨウ
|
||||||
일본어 훈독
|
おど-る, おど-り
|
||||||
-
|
|||||||
표준 중국어
|
yǒng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踊은 '뛸 용'이라는 한자로, '뛰다', '춤추다' 등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뛰다 |
음 | 용 | |
중국어 | 표준어 | yǒng |
광동어 | jung2 | |
객가어 | yúng | |
민북어 | ě̤ng | |
민동어 | ṳ̄ng | |
민남어 | ióng | |
오어 | ion (T2) | |
일본어 | 음독 | ヨウ |
훈독 | おど-る, おど-り | |
베트남어 | dũng |
뜻을 나타내는 足(발 족)과 소리를 나타내는 甬(종꼭지 용)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이체자로는 甬이 아닌 勇(날랠 용)을 성부(聲符)로 가지는 踴(U+8E0A)이 있다.
3. 용례
3.1. 단어
- 기용( 氣踊)
- 무용( 舞踊)
- 궁중무용( 宮 中 舞踊)
- 무용가( 舞踊 家)
- 무용곡( 舞踊 曲)
- 무용극( 舞踊 劇)
- 무용단( 舞踊 團)
- 무용보( 舞踊 譜)
- 무용복( 舞踊 服)
- 무용수( 舞踊 手)
- 무용실( 舞踊 室)
- 무용총( 舞踊 塚)
- 무용학과( 舞踊 學 科)
- 무용화( 舞踊 化)
- 벽용( 擗踊)
- 용약(踊 躍)
- 조용( 刁踊)
- 쿠미오도리( 組踊)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 踊(Ado)
- 演華舞踊 ~Enka Dance Music~
- 花ハ踊レヤいろはにほ
- やんややんやNight 〜踊ろよ※※〜
- 踊るフィーバーロボ
- 輝夜の城で踊りたい
- 大空と太鼓の踊り
- 君の中で踊りたい
- うちで踊ろう
- 花よ踊れ
- Pops heartで踊るんだもん!
- フェイバリットに踊らせて
- ディーナ・シーの踊り
- 月と星が踊るMidnight
- 二人ノ廃城幽踊宴
3.6. 기타
4. 유의자
- 獧(뛸 견, 급할 현)
- 迼(뛸 결)
- 㣘(뛸 구)
- 𧽸[⿺走厥](뛸 궐)
- 䟸(뛸 규)
- 跳/ 跿(뛸 도)
- 䟏(뛸 력/삭/약)
- 踛(뛸 륙)
- 𨁝[⿰𧾷孛](뛸 발)
- 𨂅[⿰𧾷㡀](뛸 별)
- 𤘝[⿱分牛](뛸 분)
- 蹦(뛸 붕)
- 赸(뛸 산)
- 𨃣[⿰𧾷蚤](뛸 소)
- 躍(뛸 약)
- 䠛(뛸 요)
- 趟(뛸 쟁)
- 趯(뛸 적/약)
- 䞴/ 趒/ 𨃜[⿰𧾷條](뛸 조)
- 䟾(뛸 철)
- 䟷(뛸 체/제)
- 㧤(뛸 충)
- 𨅞[⿰𧾷答]/ 𨃚[⿰𧾷荅](뛸 탑)
- 䞬(뛸 투)
- 䠗(뛸 흉)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𪌻[⿰麥甬](밀기울 부)
- 誦(욀 송)
- 𠳀[⿰口甬](구열질날 용)
- 埇(길돋울 용)
- 𩛤[⿰𩙿甬](먹을 용)
- 涌(물솟을 용)
- 蛹(번데기 용)
- 硧(숫돌 용)
- 鯒(양태 용, 장갱이 통)
- 㛚(여자의자 용, 가지런한모양 통)
- 悀(찰 용)
- 俑(허수아비 용)
- 銿(종 종)
- 捅(나아갈 통, 칠 송)
- 㷁(불통 통)
- 桶(통 통)
- 𢓶[⿰彳甬](통할 통)[1]
- 𰄉[⿰冲甬]
- 𪴷[⿰止甬]
- 𰛼[⿰水甬]
- 𦛸[⿰⺼甬]
- 𣗧[⿰束甬]
- 𭺢[⿰瓦甬]
- 𭾸[⿰目甬]
- 𮁾[⿰示甬]
- 𮄯[⿰立甬]
- 𧚔
- 𬗝[⿰糸甬]
- 𩊾[⿰革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