誦 욀 송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言, 7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4획
|
||||
고등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ジュ, ショウ
|
||||||
일본어 훈독
|
そら-んじる, とな-える, よ-む
|
||||||
诵
|
|||||||
표준 중국어
|
sòng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誦은 '욀 송'이라는 한자로, '외우다', '노래하다', '낭독하다'를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외다 |
음 | 송 | |
중국어 | 표준어 | sòng |
광동어 | zung6 | |
객가어 | siung | |
민북어 | sē̤ng | |
민동어 | sê̤ṳng | |
민남어 | siōng | |
오어 | zon (T3) | |
일본어 | 음독 | ジュ, ショウ |
훈독 | そら-んじる, とな-える, よ-む | |
베트남어 | tụng |
뜻을 나타내는 言(말씀 언)과 소리를 나타내는 甬(종꼭지 용)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유니코드에는 U+8AA6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YRNIB(卜口弓戈月)로 입력한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3.4. 지명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𪌻[⿰麥甬](밀기울 부)
- 𠳀[⿰口甬](구열질날 용)
- 埇(길돋울 용)
- 踊(뛸 용)
- 𩛤[⿰𩙿甬](먹을 용)
- 涌(물솟을 용)
- 蛹(번데기 용)
- 硧(숫돌 용, 갈 동)
- 鯒(양태 용, 장갱이 통)
- 㛚(여자의자 용, 가지런한모양 통)
- 悀(찰 용)
- 俑(허수아비 용)
- 銿(종 종)
- 捅(나아갈 통, 칠 송)
- 㷁(불통 통)
- 桶(통 통)
- 𢓶[⿰彳甬](통할 통)[1]
- 𣗧[⿰束甬]
- 𪴷[⿰止甬]
- 𦛸[⿰⺼甬]
- 𭺢[⿰瓦甬]
- 𭾸[⿰目甬]
- 𮁾[⿰示甬]
- 𮄯[⿰立甬]
- 𧚔
- 𬗝[⿰糸甬]
- 𩊾[⿰革甬]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𭋭[⿰口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