種 씨 종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禾, 9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4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シュ
|
||||||
일본어 훈독
|
たね, くさ
|
||||||
种
|
|||||||
표준 중국어
|
zhǒng, zhòng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種은 '씨 종'이라는 한자로, '씨', '종류', '심다', '기르다'를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씨 | |
음 | 종 | ||
중국어 | 표준어 | zhǒng | <colbgcolor=#fff,#1f2023>zhòng |
광동어 | zung2 | zung3 | |
객가어 | chúng | chung | |
민동어 | cṳ̄ng | cé̤ṳng | |
민남어 | chéng[白] / chióng[文] | chèng[白] / chiòng[文] | |
오어 | tson (T2) | tson (T2) | |
일본어 | 음독 | シュ | |
훈독 | たね, くさ | - | |
베트남어 | chủng | chúng |
유니코드에는 U+7A2E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竹木竹十土(HDHJG)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禾(벼 화)와 소리를 나타내는 重(무거울 중)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이 글자는 중국에서 다음자(多音字)로, '씨앗'이나 '종류'라는 뜻의 명사로 쓰일 때는 상성으로, '(씨앗을) 뿌리다', '심다', '기르다'라는 뜻의 동사로 쓰일 때는 거성으로 읽는다.
중국에서는 간체자로 种(어릴 충)이라는 별개의 한자를 빌려 와 쓴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 나메리보네 타네미( 滑 骨 種 美)
- 민종묵( 閔種 默)
- 사에구사 이바라( 七種 茨)
- 소에지마 다네오미( 副 島 種 臣)
- 양현종( 梁 玹種)
- 타네다 리사(種 田 梨 沙)
- 타네자키 아츠미(種 﨑 敦 美)
- 타카치호 시구사( 高 千 穂 仕種)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 관종( 關種)
- 종특(種 特)
- 打开INTO1的N种方式: 중국의 예능
4. 유의자
- 核(씨 핵): 이쪽은 seed를 뜻한다. 다만 種은 새로운 생명을 태어나게 한다는 관점의 '씨'로 주로 쓰인다면, 核은 과일, 채소 등의 중앙에 박혀있는 '씨'라는 뉘앙스로 쓰인다.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䱰(가물치 동/종)
- 偅(동경할/어리석을 동, 불우한모양 종)
- 𪐈(오르지못할 동)
- 湩(젖/수레휘장/흐릴 동)
- 褈(거듭 종, 짧은홑옷 층)
- 𢝆(늦을 종)
- 𩩳(다리부을 종)
- 緟(더할 종/중)
- 喠(말못할 종)
- 諥(말서로다그칠 종)
- 踵/ 歱(발꿈치 종)
- 㡖(보자기 종, 기 당)
- 𤚏(새끼밴소 종/중)
- 鍾/ 𦉂(쇠북 종)
- 𦔉(씨 종)
- 堹(연못둑 종)
- 㣫(이을 종, 움직일 동)
- 𨉢(임신할 종)
- 𡦢/ 𧳮(젖 종)
- 腫(종기 종)
- 煄(탈 종)
- 𪏘(누른빛 주)
- 𩅞(기혈움직일 중)
- 隀(땅이름 중)
- 蝩(여름누에 중, 메뚜기 종)
- 媑(여자의자 중)
- 㮔(연목 충/층)
- 揰(찌를 충)
- 䵯(염우없을 톤, 마당 탄)
- 畽(염우없을 톤, 빈터 탄)
- 𡥿(중)
- 𥻝(중)
- 𡺍
- 𡮵
- 𪧃
- 𥔧
- 𥍽
- 𥏱
- 𦩰
- 𨤶
- 𧰜
- 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