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기본 자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45%;" {{{#!folding [ 현대 한글 ] {{{#!wiki style="margin:-6px -1px -10px" |
<colbgcolor=#eee,#000> 기본 자모 | ||||||||
자음(14개) | ㄱ · ㄴ · ㄷ · ㄹ · ㅁ · ㅂ · ㅅ · ㅇ · ㅈ · ㅊ · ㅋ · ㅌ · ㅍ · ㅎ | ||||||||
모음(10개) | ㅏ · ㅑ · ㅓ · ㅕ · ㅗ · ㅛ · ㅜ · ㅠ · ㅡ · ㅣ | ||||||||
기타 자모 | |||||||||
자음 | 겹자음(5개) | ㄲ · ㄸ · ㅃ · ㅆ · ㅉ | |||||||
겹받침(11개) | ㄳ · ㄵ · ㄶ · ㄺ · ㄻ · ㄼ · ㄽ · ㄾ · ㄿ · ㅀ · ㅄ | ||||||||
겹모음(11개) | ㅐ · ㅒ · ㅔ · ㅖ · ㅘ · ㅙ · ㅚ · ㅝ · ㅞ · ㅟ · ㅢ |
- [ 옛한글 ]
- ||<tablewidth=100%><-3><width=1000> · 개별 문서가 없는 옛한글은 옛한글/자모 문서 참고
· 일부 자모는 옛한글 글꼴이 필요함 ||기본 자모 ㅿ · ㆁ · ㆆ · ㆍ 중국어 표기용 훈민정음의 치두음과 정치음(ᄼ · ᄾ · ᅎ · ᅐ · ᅔ · ᅕ) 기타 한글 초성 채움 문자 겹자모 초
성각자
병서ㅥ · ᄴ · 훈민정음의 치두음과 정치음(ᄽ · ᄿ · ᅏ · ᅑ) · ㆀ · ㆅ · ꥼ 합용
병서ㅂ계 합용병서(ㅲ · ㅳ · ㅄ · ㅶ · ㅷ)
ㅅ계 합용병서(ㅺ · ㅼ · ㅽ · ㅾ)
ㅄ계 합용병서(ㅴ · ㅵ · ᄤ · ᄥ · ᄦ · ꥲ)연서 ᄛ · 훈민정음의 순경음(ㆄ · ㅸ · ㅹ · ㅱ) 중성 ힱ · ᆃ · ㆉ · ᆍ · ㆌ · ᆜ(ᆖ) · ᆝ(ᆢ) · ㆎ 종성 ᇑ · ㅭ · ᇚ
ㄺ | ||
<colbgcolor=#ddd,#222> 이름 | 리을기역 | |
분류 | 겹받침 | |
음성 | <colbgcolor=#e7e7e7,#181818> 종성 | k̚[1] |
종성+형식 형태소의 첫 모음 앞 | ɭ.ɡ[2] | |
거센소리되기 | ɭ.kʰ[3] | |
자음동화 | ŋ[4] |
[clearfix]
1. 개요
현대 한글의 겹받침 중 하나.쓰이는 용언으로는 갉다, 굵다, 긁다, 얽다, 맑다, 밝다, 낡다, 늙다, 묽다, 붉다, 읽다. 체언으로는 까닭, 닭, 삵, 칡, 흙 등이 있다. 겹받침 중에서는 쓰이는 일이 상당히 많다.
2. 발음
발음은 어말과 자음 앞에서 /ㄱ/으로 발음된다.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 어미, 접미사가 결합되면 /-ㄹㄱ-/가 된다. 예를 들어 '닭'은 /닥/, '닭을'은 /달글/이 된다. 앞서 말했듯이 꽤 자주 쓰이는 겹받침이라서 어렸을 때 제일 처음으로 겪게 되는 겹받침 발음이 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나 '흙' 같은 건 한글 배우면서 거의 바로 배우는 단어니까.용언의 어간 받침 'ㄺ'뒤에 ㄱ이 따라붙으면 ㄹ 받침으로 발음한 후 ㄲ 소리로 잇는다. 그래서 용언인 '맑다'를 보면 '맑게'는 /막께/가 아니라 /말께/가 되고, 용언이 아닌 '닭'에 조사를 붙인 '닭과'는 /닥꽈/로 여전히 /ㄱ/발음을 유지한다.
위의 경우가 아님에도 용언의 어간 받침 'ㄺ'을 ㄹ 받침으로 잘못 발음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읽자, 맑다, 밝다를 /일짜/, /말따/, /발따/라고 하는 식이다.
반대로 ㄱ만 발음을 하는 것도 자주 발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닭을 먹자'를 /달글 먹짜/가 아니라 /다글 먹짜/라고 발음하는 경우도 상당히 많다. 주로 '흙'이나 '닭' 같은 체언에서 이런 일이 자주 벌어지고, '읽은' 등과 같은 용언을 /이근/이라고 발음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아무래도 체언은 단독으로 활용할 때가 많아 ㄱ 받침으로만 발음할 때가 많지만, 용언은 주로 모음과 붙어서 ㄹ+ㄱ으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보인다. 물론 상술했듯 표준 발음은 /달글 먹짜/다. 오랜 세월이 흘러 그 누구도 체언 받침 ㄺ 발음을 표준 발음대로 읽지 않게 된다면 표기 자체가 '닥', '흑', '삭', '칙'과 같이 바뀔 수도 있을 것이다.
간혹 가다가 모음이 따라붙지 않더라도 /ㄹㄱ/ 발음을 합쳐서 rk와 같이 하는 사람들이 있다.[5] 그래서 닭갈비를 라틴 문자로 쓸 때 dark라고 쓰는 일도. '맑다'의 표준 발음은 /막따/이지만, 간혹 /마rk따/와 같이 발음하는 걸 들을 수 있다. 마르크스를 간혹 '맑스'라고 적는 것도 이런 발음을 반영한 것이다.[6] 만약 ㄺ가 어느 자리에서나 rk로 발음이 된다면 '맑스'라고 적는 것이 합당하겠지만 표준 발음이 아니므로 '마르크스'가 옳다. break을 ' 뷁'이라고 적는 게 유행했던 것도 ㄺ을 rk로 발음한 것에서 착안한 것. 이 역시 표준 발음은 /붹/이라서 이런 발음이면 break과 별로 발음이 비슷하지 않다. 해당 서술은 뷁 문서에도 쓰여 있으니 참고.
3. 역사
현재 ㄺ 받침이 쓰이는 단어들의 옛 형태는 다음과 같다. (출처: 표준국어대사전)옛 형태 | 문헌 | 용례 | ||
갉다 | ᄀᆞᆯㄱ | 구급방언해(1466) | ᄯᅩ 니예 피 나 긋디 아니커든 ᄂᆞᆯ 댓거츨 ᄀᆞᆯ가 두 兩ᄋᆞᆯ 醋에 ᄃᆞᆷ고 | |
굵다 | 굴ㄱ | 석보상절(1446) | 杵는 ᄇ\ᅡᇰ핫괴니 굴근 막다히 ᄀᆞᄐᆞᆫ 거시라 | |
긁다 | 글ㄱ | 월인석보(1459) | 뒷가ᄂᆡ 난 곳 ᄀᆞᆮᄒᆞ야 고ᄫᅵ 너기면 다ᇰ다ᅌᅵ 제 모미 더러ᄫᅳ며 브레 옴ᄋᆞᆯ 글그며 渴ᄒᆞᆫ 제 ᄧᆞᆫ 믈 먹덧 ᄒᆞ야 슬믤 ᄊᆞᆯ 모ᄅᆞ며 | |
얽다 | 얼ㄱ | 석보상절 | 叢林ᄋᆞᆫ 얼근 수프리라 | |
맑다 | ᄆᆞᆯㄱ | 석보상절 | 明珠는 ᄆᆞᆯᄀᆞᆫ 구스리니 明珠 書案ᄋᆞᆫ 明珠로 ᄭᅮ뮨 書案이라 | |
밝다 | ᄇᆞᆯㄱ | 용비어천가(1447) |
업던 번게를 하ᄂᆞᆯ히 ᄇᆞᆯ기시니 누니 도로 ᄇᆞᆰ거늘 길흘 ᄎᆞ자(석보상절, 겹받침 사례) |
[박따] |
낡다 | ᄂᆞᆯㄱ | 월인천강지곡 | ᄂᆞᆯᄀᆞᆫ 옷 니버 시름 ᄀᆞᄌ\ᅡᇰ ᄒᆞ니 | |
늙다 | 늘ㄱ | 석보상절 | 늘그니 病ᄒᆞ니 주근 사ᄅᆞᆷ 보시고 | |
묽다 | 믈ㄱ | 구급방언해 | 믉게 ᄒᆞ야 ᄃᆞᄉᆞᆫ 수레 프러 머그라 | |
붉다 | 블ㄱ | 용비어천가 | 블근〮 새〯 그〮를〮 므러〮 | |
읽다 | 닐ㄱ | 석보상절 | 一心ᄋᆞ로 드러 닐그며 외와 | |
닭 | ᄃᆞᆯㄱ | 월인석보 | 거유 올히며 ᄃᆞᆰ 가히ᄅᆞᆯ 만히 사 오라 ᄒᆞ야 | |
啄/達 | 계림유사 | |||
삵 | ᄉᆞᆯㄱ | 구급방언해 | ᄯᅩ 버믜 ᄲᅧ나 시혹 ᄉᆞᆯ긔 ᄲᅧ나 디허 ᄀᆞᄂᆞ리 처 ᄒᆞᆫ 돈ᄋᆞᆯ 므레 프러 머그라 | |
칡 | 츩 | 두시- 초(1481) |
(~18세기에도 '츩'으로 쓰임) 萬壽山드렁츩이얼거진들긔엇더ᄒᆞ료( 하여가) |
|
흙 | ᄒᆞᆯㄱ | 훈민정음 해례본(1446) | ᄒᆞᆰ 爲土 | |
轄希[흘기] | 계림유사(1103) | 土曰轄希 |
덤으로 하멜 표류기에 기록된 발음에 의하면 당시에는 'ᄃᆞᆯㄱ(닭)'을 'tiarck'라고 표기했다. # 이는 ㄹ을 묵음처리하는 오늘날과는 달리 ㄹ발음을 그대로 발음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1]
흙
[2]
긁었다.
[3]
밝히다.
[4]
긁는 시늉.
[5]
이때 ㄺ의 ㄹ 발음은
권설 접근음[ɻ]인지
설측 연구개 접근음[ʟ]인지 의견이 분분한데, 일단 평범한 종성 ㄹ(
ɭ)은 아니다.
[6]
북한에서는 '맑스'라고 적는 것이 표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