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30 00:42:26

진도군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ffcd00>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자치시
파일:목포시 CI.svg
목포시
파일:여수시 CI.svg
여수시
파일:순천시 CI.svg
[[전라남도 동부지역본부|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FCD00 21%, #dc6b31 21%, #dc6b31); font-size: 1em"
]] 순천시
파일:나주시 CI.svg
나주시
파일:광양시 CI.svg
광양시
자치군
파일:담양군 CI.svg
담양군
파일:곡성군 CI.svg
곡성군
파일:구례군 CI.svg
구례군
파일:고흥군 CI.svg
고흥군
파일:보성군 CI.svg
보성군
파일:화순군 CI.svg
화순군
파일:장흥군 CI.svg
장흥군
파일:강진군 CI.svg
강진군
파일:해남군 CI.svg
해남군
파일:영암군 CI.svg
영암군
파일:무안군 CI.svg
[[전라남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FCD00 21%, #018755 21%, #018755); font-size: 1em"
]] 무안군
파일:함평군 CI.svg
함평군
파일:영광군 CI.svg
영광군
파일:장성군 CI.svg
장성군
파일:완도군 CI.svg
완도군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파일:진도군 CI.svg
진도군
파일:신안군 CI.svg
신안군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243689><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243689>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68b7>
군청
진도읍
}}}}}}}}} ||
전라남도 자치군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파일:진도군 CI.svg
진도군
珍島郡
Jindo County
}}}
<colbgcolor=#243689><colcolor=#fff> 군청 소재지 진도읍 철마길 25 (성내리)
광역자치단체 전라남도
하위 행정구역 1 6
면적 440.1㎢
인구 28,807명[1]
인구밀도 65.45명/㎢[2]
군수
김희수 (초선)
군의회
6석[3]

1석[4]
도의원
김인정[5]
국회의원
박지원
상징 <colbgcolor=#243689><colcolor=#fff> 군화 동백꽃
군목 후박나무
군조 백조
지역번호 061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지리
3.1. 인구
4. 교통5. 경제
5.1. 산업5.2. 상권5.3. 금융5.4. 특산물
6. 관광7. 생활문화
7.1. 지역 특징7.2. 교육
8. 정치9. 군사10. 하위 행정구역11. 기타12. 출신 유명인13.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진도군청.png
진도군청
전라남도 진도군 진도읍 철마길 25
파일:진도군 캐릭터.svg
마스코트
전라남도 서남부에 위치한 가장 큰 섬이자 .[6]

대표적인 특산종으로 진돗개가, 특산품으로는 홍주가 유명하다.

2.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진도군/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지리

육지인 해남군 문내면과 연륙교인 진도대교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다리는 현재 진도군의 공식로고에도 사용한다. 강화도처럼 사실상 육지에 준하는 느낌을 준다.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통일전망대에서 제주도를 제외하고 육로로 이동할 수 있는 가장 먼 곳이다. 국토의 대척점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직선거리로만 500km를 넘는다. 서울 - 부산간 직선거리가 330km에 지나지 않는다는 점을 생각해 보면 정말 끝과 끝이라 할 수 있다.

진도의 대척점 우루과이 동남부에 해당한다. 진도군 서쪽 끝[7]에 해당하는 팽목항에서 땅을 파고 들어가 중심부를 지나 올라오면 우루과이의 동남부에 위치한 로차(Rocha) 주의 소도시(사실상 해안마을) 카보 폴로니오에 도착한다.[8] 이곳 또한 해안가에 있다. 우리나라에서 육지 대 육지로 대척점이 형성되는 몇 안 되는 곳 중 하나다.

상술했듯이 조선시대에는 육지에다가 월경지로 영암군과 해남군에 둘러싸인 명산면과 삼촌면을 가지고 있었으나, 이후 월경지 정리로 인해 1906년에 인접군으로 편입되고 이후 1914년 도초면이 무안군에 편입됐다.

3.1. 인구

파일:진도군 CI.svg 전라남도 진도군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07,705명
1970년 105,161명
1975년 100,380명
1980년 83,423명
1983년 2월 15일 진도군 조도면 만재도리·고평사도리(신설) → 신안군 흑산면, 신의면(신설)에 각각 편입
1985년 72,797명
1990년 54,609명
1995년 47,256명
2000년 42,229명
2005년 36,529명
2010년 33,743명
2015년 32,476명
2020년 31,227명
2024년 4월 28,80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읍면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진도읍 10,481명
고군면 3,466명
의신면 3,353명
임회면 3,259명
지산면 2,969명
군내면 2,904명
2023년 5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 ||

4. 교통

철도 고속도로는 없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진도군/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경제

진도군의 경제산업적 특성은 2003년 말 현재, 산업구조가 1차 산업 중심의 미고도화되어 있고, 사업체의 규모가 영세하다는 점이다. 산업별 취업자수를 보면, 1차 산업인 농·임업과 어업이 70%를 상회하고 있으며, 제조업은 2.5%에 불과한 실정이다. 전국적으로 1차 산업 종사자 비중이 가장 높은 전남의 1차 산업 종사자 비중(16.0%)의 4.4배에 달할 만큼 1차 산업에 편중된 지역이다.

사업체는 총 2,606개소가 있으나, 4명 이하가 종사하는 사업체가 전체의 90%를 상회하고 있으며, 50명 미만이 종사하는 사업체가 전체의 99.9%(50명 이상 종사 사업체 수 3개소)를 차지할 만큼 영세성을 면치 못하고 있다. 또한 사업체 수는 전남 전체(128,218개소)의 2.0%를 점유한 반면, 종사자 수는 7,251명으로 전남 전체(487,402명)의 1.5%를 점유하고 있다는 사실도 진도군 사업체의 영세성을 나타내는 증거이다. 이러한 영세성의 결과 사업체 수나 종사자 수 각각의 전남 전체 비중(2.0%, 1.5%)이 진도가 전남에서 차지하는 면적 비중(3.6%)에도 크게 못 미치는 것은 당연하다 하겠다.

5.1. 산업

2013년 기준으로 임야가 253.36㎢로 전체 면적의 약 59%를, 농경지는 129.23㎢로 전체 면적의 약 29%를 구성한다. 논이 55.8㎢, 밭이 73.4㎢로 밭의 면적이 더 넓다. 오랜 기간에 걸친 간척지의 확장으로 해안 부근에 비교적 넓은 평야가 많다.

봉암저수지·용산제·둔전저수지·사천저수지 등이 있어 인근 지역의 관개에 용이하다. 주요 농산물은 쌀·보리·잎담배 등이다. 진도읍을 중심으로 한 목축업, 군내면의 과수재배, 진도읍·임회면·군내면의 약초재배 등이 활발하다.

주요 가축은 소·돼지이지만, 진돗개(천연기념물 53)는 전국적으로 유명하다. 진도읍· 지산면· 임회면을 중심으로 사육되는 진돗개는 매년 4~9월에 심사하여 우수한 것은 족보에 올리기도 한다. 진돗개는 구기자·돌미역과 함께 오래 전부터 진도군의 3대 보배로 손꼽힌다.

근해는 우리나라 유수의 어장으로 조기·갈치·민어·삼치 등이 많이 잡히며, 이들 어획물은 주로 목포항으로 입하된다. 또한, 넓은 간석지를 이용한 김·굴·미역 등의 양식업과 천일 제염업이 활발하다. 특히, 미역·김·꽃게는 특산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고, 지초뿌리로 담근 홍주도 유명하다.

광공업으로는 군내면에서 명반석, 고군면에서 석회석·납석·고령토 등이 산출된다. 진도읍을 중심으로 소규모의 도정·제분·양조공업이 발달하였다. 상업활동은 군내에서 가장 크고 중심적인 진도읍을 중심으로 발달하였다.

제조업은 도내 가장 열악하다. 고군면에 농공단지 1곳만 입지해 있지만 그마저 면적을 기준으로 전남 전체의 1.6%에 불과하다. 그러나 2천년대 초반부터 조선업 활황으로 군내면에 진도녹진일반산단과 이를 연계하는 진도군내농공단지가 들어서지만 녹진산단은 업체가 바뀌어지는 등 조성사업이 너무나도 늦어지고 있고 군내농공단지는 7개업체에 입주하는 걸로 그쳐있는 상태다.

제조업의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를 보더라도, 진도군은 39개와 335명으로 전남 전체의 각각 1.6%, 0.5%에 그치고 있다. 그 결과 진도군에서 창출되는 제조업의 부가가치는 12,628백만원으로 전남 전체의 0.1%, 유형고정자산의 연말잔액은 9,765백만원으로 전남 전체의 0.06%에 불과해 진도군의 제조업 기반은 전무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5.2. 상권

조선 말기에 진도에는 읍내장·고군장(古郡場)·임회장(臨淮場)·의신장(義新場)이 대체로 매 10일에 한 번씩 주기적으로 개장되었는데, 그것이 점차 5일 정기시장으로 발전하였다. 1920년대에는 5일장으로 진도읍 읍내장이 2·7일에, 고군면 고군장이 5·10일에 열렸고, 임회장은 매 10일에 열렸다.

현재는 1개의 상설시장과 5개의 정기시장이 있다. 진도읍에 상설시장이 있으며, 정기시장으로는 진도읍 진도장이 2·7일, 고군면 고군장이 1·5일, 의신면 의신장이 1·6일, 임회면 임회장이 4·10일, 조도면 조도장이 3·8일에 개장된다. 이들 시장은 모두 가축시장을 겸하고 있는데 특히 소보다 돼지의 매매가 활발하다.

가장 규모가 큰 장은 고군장이다. 거래 품목은 농산물과 일용 잡화가 주종을 이룬다. 군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어업 종사자들은 대부분 자본이 영세하여 이 지방의 수산물은 주로 자본주인 목포의 객주들에 의해 타지방으로 나가게 된다. 따라서 섬 지방이면서도 해산물이 귀하고 값도 비싼 편이다.

5.3. 금융

진도군에 위치한 금융기관
제1금융권 [괄호]
국가기관
진도우체국 (7)
특수은행
농협은행(중앙회) (1)
제2금융권(상호금융) [괄호]
농업협동조합
진도농협 (2) 해남진도축협 (1) 서진도농협 (5) 선진농협 (2)
수산업협동조합
진도군수협 (6)
새마을금고
진도연합새마을금고 (2)
신용협동조합
장등신용협동조합 (1)
산림조합
진도군산림조합 (1)

5.4. 특산물

이 지역의 대표적인 상징이자 특산종으로 진돗개를 꼽을 수 있다. 현재 진도군청에서는 보호종 및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진돗개의 수출입을 엄격히 통제하고 있기 때문에, 진돗개를 군외로 반출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진도군수의 승인 또는 진도군청에서 발행한 허가증을 받아야만 합법적으로 반출할 수 있다. 때문에 이 지역을 드나드는 차량들은 진도대교 입구 검문소에서 진돗개 반출 여부를 검문받게 되며 진돗개의 무단반출이 적발될 경우 진돗개를 전량 압수하여 진도 본토로 돌려보낸다. 남녀노소 가릴 것 없이 살아있는 진돗개는 모두 회수된다. 오직 진도군 관내에만 한정하고 있는데 전라남도도 예외는 없다.

진도군민 및 진도군 거주자 또는 영주자는 누구나 진돗개를 키울 수 있으며 외지인이 키울 경우에는 반드시 진도군청의 허가 및 승인절차를 거쳐야 한다.[13]

천연기념물 53호, 5월 3일진돗개의 날이다.

이 지역 특산품으로는 양파, 마늘, 대, 봄동, 구기자, 울금[14] 정도가 있다. 양파와 마늘은 진도만의 아이덴티티는 떨어지는 편이며[15], 대파 이하 품목이 진도의 특산이라 할 만 한 것들. 대파는 전국 물량의 40%를 진도에서 생산한다고 할 정도인데, 겨울에 차를 몰고 진도에 가보면 여기저기 대파밭인 것밖에 기억에 안 남는다.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는 진도 홍주, 검정쌀이 등록되어 있다.

6. 관광

파일:external/www.jindotour.or.kr/1982366806_P4gG3WNl_ECA784EB8F84EB8C80EAB590EC95BCEAB2BD-7.jpg
진도대교의 야경.

삼별초의 도읍이던 용장성, 임진왜란 당시의 명량해전 격전지와 신비의 바닷길[16] 등 괜찮은 관광사업자원을 갖고 있는 군이지만, 상술되어 있듯 차가 없으면 관광을 포기해야 할 정도로 군청이 대중교통 관리에 무심하다. 게다가 그 세월호 사고의 여파 때문에 아직 분위기가 상당히 무거운 편이고 이 때문에 진도군의 이미지가 크게 나빠져 버려서 관광 수요도 많이 줄었다. 물론 진도 지역 자체를 무슨 '위험하고 불길한 장소'로 여기는 건 아니고 ' 세월호 사고가 생각나서 차마 진도로 놀러가지 못하겠다'라는 게 주류 여론이다. 진도 주민들도 이를 잘 알고 있어서 적극적으로 관광 홍보를 하기 힘든 상황이다.

그래도 태안 기름 유출 사고 때에도 그랬지만 오히려 이런 지역에 관광을 와 주는 게 도와주는 것이기도 하고, 관광을 죄악시하는 것도 아니니 그것 때문에 위축되지는 말자. 그리고 세월호 침몰로 인해 외부에 알려진 진도항(팽목항)도 추모하는 마음으로 둘러봐도 좋다.

그러나 2019년에 트로트 가수 송가인이 유명해진 뒤로는 ' 송가인마을'이 진도의 새로운 관광 명소가 되어 관광객 수가 4배로 뛰었다고 한다. 기사

2019년 리조트인 쏠비치 진도가 영업을 시작하였다.

7. 생활문화

7.1. 지역 특징

과거에는 옥도(玉島)로 불리기도 했는데, 진도는 섬 치고는 상당히 토질이 비옥한 편이라서 예로부터 농업만으로도 자급자족이 가능한 수준이었다. 게다가 겨울에도 웬만해서는 기온이 영하권으로 떨어지지 않아 사실상 1년 내내 농사가 가능한 곳이다. 그래서 다른 섬지역과는 또 다른 진도만의 독특한 문화가 등장한 배경이 되기도 하다. 제주도를 제외하면 섬 자체의 문화가 가장 뚜렷하게 남아 있는 곳.

1년 내내 먹고 살기에 걱정이 없고, 조선시대 귀양 온 선비들이 머물다 간 곳이기 때문에 나름대로의 예향(藝鄕)이기도 하다. 진도가 섬이긴 해도 환경이 좋다 보니 귀양지로서는 그나마 편한 곳이었기 때문에 귀양오는 선비들이 대개는 정계, 학계의 거물이기가 십상이고 그들에게 중앙의 학문과 예술을 배워 꽃피운 것이 진도의 문화였다고 한다. 남도 판소리와 진도 아리랑으로도 유명하다. 국립남도국악원이 진도에 소재하고 있으며 국악고등학교(과거 석교고등학교(인문계), 현 진도국악고등학교(특목고))도 소재. 미술로는 조선말 남종화의 거두였던 소치 허련이 진도 출신이며 그가 말년에 기거한 운림산방과 소치미술관이 진도에 소재하고 있다.

어업과 농업이 발달한 곳이다보니 음식문화도 발달하였다. 전반적으로는 해산물을 풍부하게 사용하는 남도밥상이라는 것 외에는 해남 등의 인근 전라도 지역의 식문화와 크게 다른 점은 없으나 몇몇 독특한 식문화가 있는데, 선명한 붉은 색이 인상적인 진도홍주가 유명하며 해초와 쇠고기를 넣고 끓인 '뜸북국'도 독특하고 맛이 좋다. 또 꽃게라고 하면 보통 연평도를 연상하기 쉽지만 진도 꽃게도 만만치 않게 유명하고 품질이 좋다. 게철에 방문해보면 싼값에 배터지게 신선한 게를 맛볼 수 있다. 먹부림을 겸한 관광차 가도 좋을 곳이다.

진도의 토착 문화가 잘 보존된 것에는 진도 특유의 역사도 기인한다. 진도는 삼별초 항쟁 때 삼별초의 주요 거점 중 하나로 고려 정부군과 몽골군에게는 커다란 골칫거리였다. 이 때문에 몽골은 삼별초를 진압하기 위해 제주도를 제외한 서남해안 섬들의 주민들을 모두 본토로 강제 이주시키는 공도령(空島令. 섬을 비움)을 내렸다. 몽골이 물러난 뒤에도 고려 말 왜구의 침입으로 인해 서남해안이 쑥대밭이 되자 고려 정부에서는 공도령을 계속 유지시켜야 했다. 이 때문에 각 섬 주민들이 지켜오던 토착 문화는 거의 사라져 버렸다. 진도는 정작 삼별초가 진압된 뒤 공도령이 곧 해제되었고, 왜구의 침입 때도 가까운 영암 지역에 이주했다가 곧 진도로 돌아와서 그나마 섬 문화를 지켜나갈 수 있었다.

7.2. 교육

파일:진도군 CI_White.svg 전라남도 진도군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고성초등학교 군내북초등학교 금성초등학교 석교초등학교
오산초등학교 의신초등학교 의신초등학교 접도분교장 의신초등학교 모도분교장
조도초등학교 조도초등학교 거차분교장 조도초등학교 관사분교장 조도초등학교 대마분교장
지산초등학교 진도서초등학교 진도서초등학교
가사도분교장
진도초등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진도군 CI_White.svg 전라남도 진도군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고성중학교 석교중학교 의신중학교 조도중학교 진도군내중학교
진도중학교 진도지산중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진도군 CI_White.svg 전라남도 진도군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조도고등학교 진도고등학교 진도국악고등학교 진도실업고등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8.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진도군/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군사

예비군훈련장이 진도읍 남동리에 있다.

10. 하위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243689><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243689>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68b7>
군청
진도읍
}}}}}}}}}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진도군/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기타

조선시대까지 호랑이가 많이 살았던 것으로 유명하다. 현대 한국인에게 호랑이하면 깊은 에 사는 동물이라는 인식이 강하지만 사실 호랑이는 산보다는 습지나 섬 등 물이 있는 곳을 좋아했지만 조선 중기~후기 때 물가가 사라지자 남은 호랑이들이 산으로 간 것이다. 아무튼 호랑이가 많이 서식했던 적이 있어서 마을 이름이 호동리거나 호랑이를 피하기 위해 바다가 갈라진 길을 건넜다는 뽕할머니 전설도 있고 농사하러 갔다가 호랑이를 봤다는 진도에서 오래 산 어르신들의 이야기도 있다.

해남군과 전국 최대 규모의 김 양식 어장인 마로해역의 어업권을 둘러싸고 갈등이 있다. 2020년 9월 10일에는 양측 어민들이 어선을 이끌고 해상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 이후 법원의 판결에 따르기로 합의했고, # 1심에서는 진도군이 승소했다. # 그리고 2심에서도 진도군이 승소했다. # 대법원에서도 승소했다. 2021다297086_판결문_검수완료.pdf

퍼시픽 림: 업라이징에서 실제로 등장하지는 않고 카이주 트리오가 브리치로 나온 후반부에 '진도와 사할린에서 상륙한 카이주들을 막으려다 실패했다'는 식으로 아주 짧게 언급되었다. 언급된 사항으로 보건대 예거 프로그램이 재시동하고 국제적 방위 시스템으로 발전하면서 섀터돔이 없던 한국에도 섀터돔 배치의 필요성이 제기됐고, 결국 진도에 섀터돔과 예거들이 배치된 모양.

전국에서 박씨 비율이 이씨보다 높은 유일한 동네이다.

크래프톤 배틀로얄 게임 배틀그라운드에서 등장 하는 8km*8km 크기의 대형 맵 태이고는 1980년대의 진도군을 배경으로 한다.

Apple iPhone 14 Pro 시리즈에 적용된 신기능 Dynamic Island의 개발 코드네임이 여기서 유래했다.

2026년경 서남해안 영공 방어를 위하여 공군 방공관제사령부 예하 레이더 기지가 진도 지력산에 배치될 예정이다.

일본의 엔카 가수 텐도 요시미는 진도군을 배경으로 가사를 쓴 '진도 이야기' 를 노래해서 히트곡으로 유명해지기도 했다. # 그리고, 텐도 요시미는 조용필과 같이 공연을 하기도 했다. #

12. 출신 유명인

13. 둘러보기

파일:지구 아이콘_Black.svg 세계의 섬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제도나 열도, 섬의 일부만 점유하거나 통제하고 있는 경우
  
1: 범주 내에서 면적이 가장 큰 섬이나 제도
동아시아
제주도1 · 거제도 · 진도 · 강화도 · 남해도 · 영종도 · 안면도 · 완도 · 울릉도 · 돌산도 · 거금도 · 창선도 · 자은도 · 압해도 · 교동도 · 고금도 · 임자도 · 백령도 · 용호도 · 비금도 · 도초도 · 석모도 · 청산도 · 보길도 · 암태도 · 신지도 · 금호도 · 나로도 · 장산도 · 노화도 · 영흥도 · 가덕도 · 덕적도 · 하의도 · 흑산도 · 한산도 · 욕지도 · 독도 · 백마도 · 선유도 · 밤섬 · 여의도 · 노들섬 · 서래섬 · 당정섬 · 남이섬 · 뱀섬 · 영도 · 붕어섬 · 금구도 · 대부도 · 제부도 · 풍도 · 국화도 · 격렬비열도 · 저도 · 오륙도 · 조약도 · 생일도 · 여서도 · 소록도 · 사량도 · 소매물도 · 좌사리제도 · 칠천도 · 오동도 · 지심도 · 외도 · 망산도 · 을숙도 · 추자도 · 차귀도 · 비양도 · 범섬 · 우도 · 고군산군도 · 어청도 · 십이동파도 · 금란도 · 대청도 · 가의도 · 실미도 · 팔미도 · 운염도 · 안마 군도 · 굴업도 · 자월도 · 신시모도 · 관매도 · 여자도 · 해금강 · 우도(창원) · 대저도 · 눌차도 · 둔치도 · 고파도 · 외연도 · 우무도 · 원산도 · 유부도 · 녹도 · 삽시도 · 덕도 · 동백섬 · 맥도 · 명지도 · 중사도 · 진우도 · 다려도 · 가파도 · 마라도 · 사수도 · 토끼섬 · 형제섬 · 노랑섬 · 대무의도 · 매도랑 · 물치도 · 볼음도 · 증도 · 관매도 · 거문도 · 가우도 · 가거도 · 고이도 · 금오도 · 노력도 · 눌옥도 · 도초도 · 모황도 · 삼학도 · 소안도 · 영산도 · 우이도 · 지죽도 · 탄도 · 홍도 · 금란도 · 무녀도 · 위도 · 빙도 · 문갑도 · 미법도 · 신시도 · 시루섬 · 서검도 · 사렴도 · 사승봉도 · 선갑도 · 선재도 · 세어도 · 소무의도 · 소청도 · 수수떼기 · 승봉도 · 아암도 · 연평도 · 이작도 · 잠진도 · 장봉도 · 조름섬 · 주문도 · 팔미도 · 해녀도 · 하의도 · 하태도 · 우도(서해 5도) · 장고도 · 고구마섬 · 고하도 ·
비단섬1 · 초도 · 가도 · 기린도 · 반성열도 · 봉곳도 · 창린도 · 능라도 · 석도 · 소수압도 · 소초도 · 소화도 · 순위도 · 신미도 · 대계도 · 대수압도 · 대초도 · 대화도 · 두로도 · 황금평 · 황토도 · 마양도 · 마합도 · 양각도 · 양도 · 어화도 · 여도 · 용매도 · 우리도 · 운무도 · 웅도 · 월내도 · 위화도 · 검동도 · 관마도 · 구리도 · 다사도 · 벌등도 · 어적도 · 유초도 · 임도 · 막사도
혼슈1 · 홋카이도 · 규슈 · 시코쿠 · 오키나와섬 · 사도섬 · 아마미오섬 · 쓰시마섬 · 아와지섬 · 야쿠섬 · 도고섬 · 다네가섬 · 이리오모테섬 · 이시가키섬 · 리시리섬 · 나카도리섬 · 히라도섬 · 미야코섬 · 쇼도섬 · 오쿠시리섬 · 이키섬 · 야시로섬 · 나가시마섬 · 오키노에라부섬 · 에타섬 · 쿠라하시섬 · 오사키카미섬 · 하카타섬 · 이즈오섬 · 하시마섬 · 히메섬 · 요나구니섬 · 이츠쿠시마섬 · 나오시마섬 · 오시마섬 · 도시마섬 · 니지마섬 · 미야케섬 · 미쿠라섬 · 고즈섬 · 하치조섬 · 아오가섬 · 오가사와라 제도 · 토리시마섬 · 미나미토리섬 · 마게시마섬 · 우니섬 · 레분섬 · 이헤야이제나 제도 · 게라마 제도 · 아구니 제도
하이난섬1 · 홍콩섬 · 콜로안섬 · 타이파섬 · 웨량섬 · 창허섬 · 란타우섬 · 샤먼섬 · 구랑위 · 충밍섬 · 마완 · 스프래틀리 군도* · 파라셀 군도 · 완산 군도 · 저우산 군도
타이완섬1 · 진먼섬 · 란위섬 · 둥사 군도 · 타이핑다오
동남아시아
뉴기니섬*1 · 보르네오섬* · 수마트라섬 · 술라웨시섬 · 자바섬 · 티모르섬* · 할마헤라섬 · 스람섬 · 숨바와섬 · 플로레스섬 · 요스 수다르소섬 · 방카섬 · 숨바섬 · 부루섬 · 발리섬 · 니아스섬 · 롬복섬 · 벨리퉁섬 · 마두라섬 · 부톤섬 · 웨타르섬 · 와이게오섬 · 얌데나섬 · 탈리아부섬 · 무나섬 · 오비섬 · 펠렝섬 · 야펜섬 · 모로타이섬 · 바탐섬 · 부톤섬
티모르섬*1 · 아타우루섬
스프래틀리 군도* · 라부안 · 세바틱섬 · 보르네오(칼리만탄)*1 · 피낭섬
루손섬1 · 민다나오섬 · 비사야 제도 · 팔라완섬 · 보라카이섬 · 네그로스섬 · 세부섬 · 사마르섬 · 민도로섬 · 레이테섬 · 보홀섬 · 마스바테섬 · 파나이섬 · 술루 제도 · 칼라얀 군도*
깟바섬 · 꼰선섬 · 박롱비섬1 · 푸꾸옥섬 · 혼쩨섬 · 쯔엉사 군도*
싱가포르 섬(폴라우 우종)1 · 센토사섬 · 페드라 브랑카섬
푸켓1 · 사멧섬 · 따오섬 · 코 타푸 · 사무이섬 · 팡안섬
남아시아
안다만 제도1 · 니코바르 제도 · 스리하리코타 · 노스센티널섬 · 사우스센티널섬
아스톨라섬1
볼라섬1 · 모헤시칼리섬
실론(스리랑카)섬1
서아시아
바레인섬1
더 월드 · 야스 섬 · 팜 아일랜드
아르와드섬1
케슘섬1 · 호르무즈섬 · 아부무사섬
파라산 군도1
소코트라섬1 · 페림섬
서유럽
아일랜드섬* · 그레이트브리튼섬1 · 와이트섬 · 몬트세랫 · 버뮤다 · 케이맨 제도 · 포클랜드 제도 · 세인트헬레나 · 어센션섬 · 트리스탄다쿠냐 · 앵귈라 · 채널 제도 · 맨섬 · 비숍 록
아일랜드섬*1 · 스켈리그 마이클 · 토리섬
코르시카섬 · 누벨칼레도니1 · 몽생미셸 · 마요트 · 레위니옹 · 왈리스 푸투나 ·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 케르겔렌 제도 · 과들루프 · 생피에르 미클롱 · 클리퍼턴섬 · 세인트마틴섬* · 생바르텔레미 · 프랑스령 남방 및 남극 지역
아루바 · 퀴라소 · 사바 · 보네르 · 신트외스타티위스 · 세인트마틴섬* · 서프리슬란트 제도1
뤼겐섬1 · 우제돔섬* · 페마른섬 · 쥘트섬 · 푀르섬 · 펠보름섬
남유럽
괵체아다섬1 · 뷔위카다섬
키프로스섬*1
시칠리아1 · 사르데냐 · 토스카나 제도 · 판텔레리아 · 펠라지에 제도
마요르카섬1 · 메노르카섬 · 이비사섬 · 포르멘테라섬 · 테네리페섬 · 그란 카나리아섬 · 라팔마섬 · 란사로테섬 · 카브레라섬 · 푸에르테벤투라섬 · 라고메라섬 · 엘이에로섬
아조레스 제도1 · 마데이라 제도
크레타섬1 · 에비아섬 · 레스보스섬 · 로도스섬 · 케팔로니아섬 · 키오스섬 · 케르키라섬 · 렘노스섬 · 산토리니섬 · 사모스섬 · 델로스섬 · 낙소스섬 · 자킨토스섬 · 타소스섬 · 안드로스섬 · 레프카다섬 · 카르파토스섬 · 코스섬 · 키티라섬 · 코르푸섬 · 히오스섬
크르크섬1 · 코르출라섬 · 브라치섬 · 흐바르섬 · 라브섬 · 파그섬 · 로시니섬 · 우글랸섬 · 치오보섬 · 무르테르섬 · 비스섬 · 츠레스섬 · 비르섬 · 파슈만섬 · 솔타섬 · 두기오토크섬 · 믈레트섬 · 라스토보섬 · 이주섬 · 시판섬 · 프리비크섬 · 실바섬 · 즐라린섬
몰타섬1 · 고조섬 · 코미노섬 · 필플라섬 · 마노엘섬 · 세인트 폴섬
동유럽
사할린섬1 · 쿠릴 열도 · 노바야제믈랴 · 브란겔랴섬 · 유즈니섬 · 모네론섬 · 코틀린섬 · 고글란트섬 · 다이오메드 제도* · 루스키섬 · 벨콥스키섬 · 제믈랴프란차이오시파 · 코만도르스키예 제도 · 콜구예프 섬
즈미이니섬
우제돔섬* · 볼린섬1
키아울레스 누가나섬1 · 루스네섬
사레마섬1 · 무후섬 · 보름시섬 · 히우마섬 · 루흐누섬
쿤진살라섬1 · 킵살라섬
북유럽
그린란드섬1 · 셸란섬 · 벤쉬셀티섬 · 퓐섬 · 롤란섬 · 보른홀름섬 · 팔스테르섬 · 모르스섬 · 알스섬 · 랑엘란섬 · 묀섬
스발바르 제도1 · 트롬쇠위아섬 · 우튀위아섬 · 얀마옌섬
고틀란드섬1 · 오루스트섬 · 히싱엔섬 · 베름되섬 · 쇠른섬 · 욀란드섬
파스타 올란드*1
아이슬란드섬1
북아메리카
하와이 제도1 · 푸에르토 리코 · 맨해튼 · · 알류샨 열도 · 마리아나 제도 · 다이오메드 제도* · 아메리칸 사모아 · 라인 제도 ·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멜빌섬 · 빅토리아섬 · 데번섬 · 엘즈미어섬 · 배서스트섬 · 콘월리스섬 · 배핀섬1 · 뉴펀들랜드섬 · 뱅크스섬 · 밴쿠버섬 · 액슬하이버그 섬
티뷰론섬1
쿠바섬1 · 카요라르고델수르섬 · 후벤투드섬
히스파니올라섬*1
히스파니올라섬*1
남아메리카
베네수엘라 연방 속지1
마라조섬1 · 케이마다 그란지섬
로스에스타도스섬 · 티에라델푸에고*1
갈라파고스 제도1
티에라델푸에고*1 · 이스터섬 · 디에고 라미레스 제도 · 후안페르난데스 제도 · 칠로에섬
아프리카
제르바섬
로벤섬 · 프린스 에드워드 제도1
잔지바르1 · 펨바섬 · 우케레웨섬
비오코섬1 · 코리스코섬 · 엘로베이그란데섬 · 엘로베이치코섬 · 안노본섬
쿤타 킨테섬
상티아구섬
마다가스카르섬1 · 노지베섬 · 생트마리섬 · 주앙데노바섬
모리셔스섬1 · 로드리게스섬
마에섬
상투메섬 · 프린시페섬
오세아니아
캥거루섬 · 태즈메이니아섬1 · 멜빌섬 · 배서스트섬 · 코코스 제도 · 크리스마스섬 · 허드 맥도널드 제도
뉴질랜드( 남섬· 북섬)1 · 쿡 제도 · 니우에 · 토켈라우 · 채텀 제도 · 뉴질랜드 남극 연안 섬
뉴기니섬*1 · 뉴브리튼섬 · 뉴아일랜드섬 · 부건빌섬 · 비스마르크 제도 · 애드미럴티 제도 · 당트르카스토 제도
비티 레부섬1 · 바누아 레부섬 · 로투마섬
통가타푸섬1 · 에우아섬 · 하파이 제도 · 바바우 제도 · 니우아섬
푸나푸티섬 · 나누메아섬 · 누이섬 · 누쿠페타우섬 · 누쿨라엘라에섬 · 바이투푸섬1 · 나누망가섬 · 니울라키타섬 · 니우타오섬
남극
킹 조지섬 · 페테르 1세섬 · 조인빌섬 · 사우스셰틀랜드 제도1 · 부베섬
}}}}}}}}} ||


[1] 2024년 4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2] 2024년 4월 기준. [3] 진도군가선거구 이현명, 김춘화, 이문교, 장영우 의원
진도군나선거구 박금례 의원
진도군비례대표 김옥정 의원.
[4] 진도군나선거구 주만종 의원. [5] 진도군선거구. [6] 대한민국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 거제도에 이어 3번째로 큰 섬이다. 진도의 자체 면적은 367.8km². 거제도가 379.5km²니 근소한 차이다. 하지만 인구는 거제가 8배가량 많다. 게다가 본섬 면적 90.1㎢에 전체 면적 396.76㎢ 정도의 완도군보다도 인구가 한참 적다. [7] 부속도서를 제외한 본 섬 서쪽 끝을 말한다. [8] 인구가 2011년 기준 100명도 안되는 작은 해안마을이다. # [가사출장소] 252명 [거차출장소] 380명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13] 중국의 특산종인 판다 역시 이와 비슷한 이유로 외국으로의 반출이 엄격히 금지되어 있다. [14] 강황 항목으로 링크하고 있으나 항목에서 설명하듯이 똑같은 종은 아니다. 가까운 친척 정도. [15] 양파는 창녕군이나 무안군, 마늘은 의성군의 인지도가 높다. [16] 1975년 진도에 여행을 왔던 프랑스 대사 피에르 랑디가 우연히 바다가 갈라지는 모습을 보고 '한국판 모세의 기적'이라면서 크게 감격하며 프랑스 신문 등에 알려 외국에도 잘 알려져 있다. [17] 조선일보 정치부장, 사회부장, TV CHOSUN 보도본부장, TV CHOSUN 대표이사(2017년 5월~2023년 4월) 역임. 지병으로 2024년 2월 8일 타계했다. 향년 66세.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