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8 15:30:14

조약도


파일:전라남도 휘장.svg 전라남도의 섬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고흥군 거금도 · 나로도 · 득량도 · 백일도 · 소록도 · 시산도 · 애도 · 지죽도
광양시 금호도 · 태인도
목포시 고하도 · 달리도 · 율도 · 외달도 · 장좌도
신안군 가거도 · 가란도 · 고이도 · 구리도 · 도초도 · 만재도 · 매화도 · 비금도 · 사옥도 · 상태도 · 안좌도 · 암태도 · 압해도 · 영산도 · 우이도 · 임자도 · 자은도 · 장산도 · 증도 · 팔금도 · 하의도 · 하태도 · 홍도 · 흑산도
여수시 거문도 · 금오도 · 대경도 · 돌산도 · 묘도 · 백도 · 백야도 · 소경도 · 손죽도 · 여자도 · 연도 · 오동도 · 초도
영광군 안마도 · 송이도 · 상낙월도 · 하낙월도
완도군 고금도 · 구도 · 금당도 · 노화도 · 당사도 · 보길도 · 생일도 · 소안도 · 신지도 · 약산도 · 완도 · 여서도 · 조약도 · 청산도 · 평일도
진도군 가사도 · 관매도 · 동거차도 · 맹골도 · 상조도 · 서거차도 · 진도 · 하조도 · 접도 · 금호도 · 모도
강진군 가우도
보성군 지주도 · 장도 · 해도
나주시 동섬
장흥군 노력도 · 장재도
무안군 탄도
해남군 어불도 · 상마도 · 중마도 · 하마도 }}}
조약도
助藥島
Joyakdo
파일:약산도.png
1. 개요2. 지명의 유래3. 교통4. 교육5. 흑염소6. 진달래꽃7. 가사동백숲해변8. 당목항

1. 개요

조약도()는 전라남도 완도군 약산면에 속한 섬으로 면적 23.84km2, 해안선 길이 45.0km이며 완도 동북쪽 15.2㎞에 위치해 있다. 섬의 서쪽으로는 약산대교를 통해 고금도와 연결 되어 있고, 남쪽으로는 바다를 사이에 두고 신지도가 위치해 있다. 섬 동쪽으로는 평일도, 생일도 등이 위치해 있고 북쪽으로는 바다를 사이에 두고, 장흥군과 접하고 있다.

2. 지명의 유래

삼지구엽초를 비롯한 약초가 많이 자생한다 해서 ‘조약도'(助藥島)라 불렀다고 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약산(藥山)으로 더 많이 불린다. 행정 지명도 조약면이 아닌 약산면이다. 약산(藥山)과 조약(助藥)의 뜻이 대동소이 하지만 어감이 더 좋은 약산으로 더 많이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3. 교통

1999년 서쪽에 위치한 고금도와 약산대교로 연결 되었으나 고금도 역시 육지와 연륙되어 있지 않은 섬이었기 때문에 해상 교통을 이용해야만 육지로 나갈수 있었다. 그러다 2007년 고금도가 고금대교를 통해 강진군 마량면과 연결되면서 자연스럽게 조약도 역시 섬 신세에서 벗어 날 수 있었다. 버스로는 광주에서 시외버스가 운행하는 데 거의 대부분 노선이 고금도에서 종착하지만 하루에 4편은 약산당목항까지 운행을 한다.

그리고 2017년 11월 28일에 고금도 신지도를 잇는 장보고대교가 개통되면서 강진군 뿐만 아니라 소속 지자체인 완도군 완도읍으로의 접근성이 개선되었다. 한편 완도군 동부에 속한 섬들과 연결되는 배편의 출발지로 해상교통의 요지이기도 하다. 조약도 동쪽에 위치한 약산여객선터미널(당목항) 에서 평일도 생일도를 오가는 배들이 출항한다.

4. 교육

인구는 대략 2,500명 정도지만 섬이라는 지리적 특성상 고등학교까지 설립되어 있다. 중학교와 고등학교는 교사(敎舍)가 분리되어 있지만 운동장은 함께 쓰는 형태로 위치해 있다. 취소선은 폐교된 학교다.

초등학교 : 득암초등학교, 약산초등학교, 해동초등학교, 해동초등학교어두분교
중학교 : 약산중학교
고등학교 : 약산고등학교

5. 흑염소

파일:약산도흑염소그림.jpg
예부터 약초가 유명했던 곳이라 방목한 흑염소들이 약초를 먹고 자라 특산품으로 자리매김 했다. 약산도를 들어가는 입구인 약산대교와 약사면사무소에는 흑염소 그림과 간판이 있다. 대략 2000마리 정도의 흑염소가 방목되고 있는데 조약도 인구가 2500명 정도인걸 감안하면 사람수와 맞먹는 숫자의 흑염소가 살고 있는 셈이다.

6. 진달래꽃

김소월의 '진달래꽃'에 나오는 지명인 약산과 같은 지명으로 봄이 되면 진달래꽃 자생지에서 진달래꽃이 흐드러지게 피어난다. 다만 김소월의 시에 나온 약산은 평안도 영변에 위치한 곳이다. 그래도 같은 지명에 자생지까지 위치해 있어서인지 나름 지역에서는 진달래꽃을 관광 상품화 하기 위해 노력하는 듯 하다.

7. 가사동백숲해변

파일:가사동백숲해변.jpg
규모는 작지만 섬 동남쪽에 위치한 가사동백숲해변이 유명하다. 해변 바로 뒤에 동백숲을 비롯한 난대성 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있다.

8. 당목항

자세한 정보는 약산여객선터미널 문서 참조.
파일:당목항당집.jpg

완도군 동부권역 섬들을 연결하는 해상 교통의 요충이 되는 항구다. 평일도 생일도를 연결하는 배가 취항하고 있다. 하지만 동북쪽 금당도의 경우 여객선이 취항하지 않고 있는데 당목항보다 고흥군 녹동항이 더 가깝기 때문에 녹동쪽에서 여객선이 오간다. 당목이라는 이름은 이 곳에 당집이 있어서 유래한 지명으로 항구 뒤쪽에 당할머니를 모신 당집이 위치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