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8 06:25:12

서검도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colbgcolor=#e8e8e8,#2d2f34> 중구 노랑섬 · 대무의도 · 매도 · 매도랑 · 사렴도 · 소무의도 · 소운염도 · 수수떼기 · 실미도 · 영종용유도( 영종도 · 용유도) · 운염도 · 잠진도 · 장고도 · 조름섬 · 팔미도 · 해녀도
동구 물치도
남동구 저어새섬
서구 세어도 · 소다물도 · 소세어도 · 아라빛섬 · 켬섬 · 호도
강화군 강화도 · 괴리섬 · 교동도 · 기장섬 · 남황산도 · 납도 · 대송도 · 돌섬 · 동검도 · 동그랑섬 · 말도 · 미법도 · 볼음도 · 부념도 · 분지도 · 상여바위섬 · 서검도 · 석도 · 석모도 · 섬돌모루도 · 소송도 · 수섬 · 아차도 · 용란도 · 우도 · 은염도 · 응봉도 · 주문도 · 함박도[주] · 황산도
옹진군 가도 · 각흘도 · 갑죽도 · 거도 · 고석도 · 곰바위섬 · 관도 · 구지도 · 굴업도 · 금도 · 길마염 · 날가지도 · 남서도 · 납섬 · 낭각흘도 · 닭섬 · 당도 · 대가덕도 · 대갑죽도 · 대령도 · 대말도 · 대연평도 · 대이작도 · 대청도 · 대초지도 · 덕적도 · 도량도 · 동글섬 · 동만도 · 동백도 · 동초지도 · 먹염 · 멍애섬 · 모도 · 모이도 · 목덕도 · 목섬 · 문갑도 · 뭉퉁도 · 백령도 · 백아도 · 벌섬 · 벌안섬 · 복창지도 · 부도 · 사승봉도 · 사염 · 상고도 · 상공경도 · 상광대도 · 상벌섬 · 상석섬 · 서각흘도 · 서만도 · 석초섬 · 선갑도 · 선미도 · 선재도 · 소가덕도 · 소가도 · 소갑죽도 · 소낭각흘도 · 소령도 · 소야도 · 소어평도 · 소연평도 · 소이작도 · 소자암도 · 소지도 · 소청도 · 소초지도 · 소통각흘도 · 승봉도 · 시도 · 시도먹염 · 신도 · 신도 · 신도먹염 · 암서도 · 어평도 · 영흥도 · 오도 · 와염 · 외향도 · 울도 · 자암도 · 자월도 · 장구도 · 장봉도 · 주도 · 중고도 · 중광대도 · 중석섬 · 중울도 · 중통각흘도 · 지도 · 창서도 · 책도 · 측도 · 토끼섬 · 통각흘도 · 피도 · 하고도 · 하공경도 · 하광대도 · 하벌섬 · 하산도 · 하석섬 · 할미염 · 할미지 · 항도 · 황서도
[주]: 정전협정에 의해 북한의 영역으로 규정됐으나, 국토등기에는 남한 영역으로 등록되어 있다. }}}}}}}}}
<colbgcolor=#ADD8F6><colcolor=#000> 서검도
西檢島
Seogeomdo
국가 대한민국
위치 인천광역시 강화군 삼산면 서검리
면적 1.443㎢
인구 약 100명

1. 개요2. 유래3. 교통4. 기타

[clearfix]

1. 개요

인천광역시 강화군 삼산면 서검리에 딸린 섬. 면적은 1.44km2, 산높이 56m, 해안선 길이는 5.7km이다. 삼산면의 주도인 석모도에서 서쪽으로 8km 해상에 위치한다.[1] 북방한계선이 지나고 황해남도 연안군과 마주한다. 어업 전진기지로 해상교통의 중심지이다.

2. 유래

조선시대 중국에서 우리나라에 사람이 들어올 경우, 한강 하류를 따라 한양으로 입국했다. 이때 중국 출입자들을 통제하는 기관(현재의 세관)을 강화도 서쪽에 있는 이 섬에 설치하였으므로, '서검리'라고 칭했다 한다.

3. 교통

석모도의 하리선착장에서 미법도를 경유하여 서검도까지 여객선이 운항되고 있다.

4. 기타

넓은 간척평야가 있어 농업에 종사하는 주민이 많다. 주로 , 보리, 마늘, 등을 재배하며 부근 해역에서 수산업과 양식업에도 종사하고 있다.

삼산초등학교 서검분교장은 1994년에 폐교되었으며 건물은 철거되었다.
[1] 동경 126°15′, 북위 37°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