ПТ-76 «Плавун» | ||||
파생형 | 실전 | 운용국 | 미디어 | 모형 |
1. 개요
소련에서 냉전기 개발한 수륙양용경전차 PT-76의 운용국 일람 문서.해당 전차는 저렴한 가격에 세계 각지로 뿌려졌기에 제2세계, 제3세계 뿐만 아니라 제1세계 일부 국가도 운용 중에 있다.
2. 유럽
2.1. 동유럽
2.1.1. 소련
|
우랄 전투 영광 박물관 소장 소련 해군 보병대 소속 PT-76B |
|
소련 해군 보병대 소속 PT-76B 운용 영상 |
2.1.2. 러시아
|
애국 공원 소장 러시아 연방 육군 소속 PT-76B |
2006년에 퇴역하였으며, 몇몇 소수의 개체가 의장용 및 훈련용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한다.
2.1.3. 우크라이나
|
키이우 대조국전쟁 박물관 소장 우크라이나 육군 소속 PT-76B |
2.1.4. 벨라루스
|
핀스크 야외 전시 벨라루스 육군 소속 PT-76B |
이 밖에도 벨라루스에서는 2015년과 2017년에 걸쳐 30mm 쉬푸노프 2A42 기관포탑과 9M113 콘쿠르스 미사일로 무장을 교체한 PT-76M이라는 명칭의 개조형을 발표하였으나, 이는 설계도면에서만 진행되고 끝난 것으로 추산된다.
여담으로, 스탈린 선 박물관에는 기동 가능한 PT-76B가 소장되어 있는데, 박물관에서 관광객을 태워주고 코스를 주행하는 일종의 관광상품 격으로도 이용 중에 있다.
2.2. 서유럽
2.2.1. 영국
|
덕스포드 제국 전쟁 박물관 소장 영국 육군 소속 PT-76B |
2.3. 중부유럽
2.3.1. 동독
|
문스터 전차 박물관 소장 국가인민군 소속 PT-76 Mod.2 |
2.3.2. 체코슬로바키아
|
체코 육군 군사 기술 박물관 소장 체코슬로바키아 육군 소속 PT-76B |
2.3.3. 폴란드
|
포츠난 기갑 박물관 소장 폴란드 인민군 소속 PT-76A "8731번차" |
2.3.4. 헝가리
|
부다페스트 군사 역사 박물관 소장 헝가리 육군 소속 PT-76B |
2.4. 북유럽
2.4.1. 핀란드
|
파롤라 전차 박물관 소장 핀란드 방위군 소속 PT-76B |
2.5. 남부유럽
2.5.1.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육군 소속 PT-76B "199번차"[1] |
2.5.1.1. 슬로베니아
|
피브카 군사 역사 박물관 소장 슬로베니아 국토방위군 소속 PT-76B |
2.5.1.2. 크로아티아
|
크로아티아 육군 소속 PT-76B |
2.5.1.3.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코자라 군사 박물관 소장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육군 소속 PT-76B |
2.5.1.4. 스릅스카 공화국
|
스릅스카 공화국 육군 소속 PT-76B |
2.5.1.5.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군 기지 소장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육군 소속 PT-76B "777번차" |
3. 아시아
3.1. 동아시아
3.1.1. 중국
|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 소속 PT-76[2] |
당시 중국에서의 PT-76은 매우 고평가 받았는데, 이는 타이완 섬을 언젠가 다시 점령하겠다는 중국 인민해방군의 포부와 더불어, 상륙 작전에서 꼭 필요한 존재인 수륙양용전차는 중국에게는 놓치지 말아야 할 최우선 목표였기 때문이었다.[4]
그러나 중소결렬이 시작되는 1958년 경, 소련 측에서 중국에게 PT-76의 공여를 거부하였으며, 중국 측에서는 자신들이 잠시간 운용해본 PT-76을 60식 경전차라는 이름으로 복제하려 했으나 이는 실패했고, 대신 운용 후 느꼈던 개선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격적으로 신형 전차 프로젝트에 착수하는데, 그것이 바로 " 211 시제전차"로, 이후 63식 전차라는 명칭으로 이어지게 된다.
3.1.2. 북한
|
남침 모의 훈련 중인 조선인민군 육군 소속 PT-76B "951번차" |
북한은 6.25 전쟁 당시, 한강 방어선 전투와, 낙동강 전선 당시 도하장비가 없어 지체를 겪었던 경험에서 수륙양용전차나 기갑장비의 도하 장비는 매우 중요하다는 교훈을 얻어 PT-76B가 개발되었다는 소식을 듣자마자 다수를 구매하여 실전 배치 하였다.
특히, 북한에서 근 40여년간 개발된 기갑장비들을 보면, T-62를 베이스로 한 천마호, 폭풍호를 제외하면 거의 다수의 차량들이 수륙양용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러한 것도 PT-76B를 운용 및 수리하며 자체적인 수륙양용전차 개발 능력을 키우게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012년 1월 경 조선중앙TV에서 방영한 선전물을 보면 김정은이 이걸 타고 달리며 기동간 사격을 하고 표적마다 백발백중하는데, 어째서인지 발사 장면과 훈련용 표적이 터지는 장면이 따로따로 나온다. 필름 내내 결코 발사와 피격 장면을 한 컷에 찍지 않는다. 솔방울로 수류탄 만들기보다는 그나마 현실적이지만.
3.2. 동남아시아
3.2.1. 인도네시아
|
기동 중인 인도네시아 해병여단 소속 PT-76(M) |
3.2.2. 베트남
|
탄약 적재 중인 베트남 인민 해군 소속 PT-76B "098번차" |
3.2.3. 라오스
|
열병식 참가 라오 인민 육군 소속 PT-76 |
3.3. 서아시아
3.3.1. 이라크
|
이라크 육군 소속 PT-76B[6] |
이라크 육군의 PT-76B는 상술하였듯이,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에 큰 활약을 하였으며, 이후 걸프 전쟁과 이라크 전쟁에서도 소량이 투입된 것으로 보이나, 활약은 알 수 없다.
3.3.2. 시리아
|
시리아 육군 소속 PT-76B |
3.3.3. 이스라엘
|
야드 라 시론 전차 박물관 소장 이스라엘 육군 소속 PT-76B |
이스라엘은 이렇게 PT-76을 운용하면서 얻은 노하우를 통해 기술력을 쌓았고, 이는 훗날 인도네시아가 자신들이 소유한 PT-76들을 "PT-76(M)"으로 개수할 때 NIMDA 社의 기술 지원을 받는 결과로 이어지게 되었다.
3.4. 남아시아
3.4.1. 인도
|
기병전차박물관 소장 인도 육군 소속 PT-76B 네임드 차량 "다르사나" |
당시 인도는 세 차례의 실전을 겪으면서 서로 전력이 비슷한 파키스탄과의 전투에서는 여러 번 승리했으나, 중국과의 전투에서는 제공권 미확보, M3A3, M5A1 및 셔먼 V와 같은 2차 대전 시기의 구형 전차들로만 이루어져 있어 큰 패배를 당했다.
따라서 인도군 내에서는 전력을 증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끊임없이 나오고 있었으며, 때마침 중소결렬이 일어나자 인도는 소련에게 접근하여 최신식 전차인 T-55와 PT-76을 구매하게 된다.
1971년, 방글라데시의 독립 선언으로 인해 이를 저지하려는 파키스탄과 이를 지지하는 인도 간의 전쟁이 또 다시 발발하자 인도군 소속의 PT-76들은 악지와 늪지에서도 무리없이 기동하며 파키스탄군의 M24 채피를 농락하였으며, 전쟁을 승리로 이끌게 되었다.
이후 2000년대까지 헌역으로 사용하다 현재는 의장용으로 사용 중인 1량을 제외하고 전량 퇴역처리를 밟았다.
3.4.2. 방글라데시
|
방글라데시 군사 박물관 소장 방글라데시 육군 소속 PT-76B |
4. 아프리카
4.1. 서아프리카
4.1.1. 말리
|
훈련 중인 말리 육군 소속 PT-76 |
보관만 되어 있고 실질적인 사용은 거의 되지 않는 T-54나, 62식 전차와 달리 말리의 실질적인 주력 기갑으로 사용되는 중으로 보인다.
4.2. 중앙아프리카
4.2.1. 앙골라
|
남아프리카 국립 군사사 박물관 소장 앙골라 인민해방육군 소속 PT-76B |
4.3. 남아프리카
4.3.1. 남아프리카 공화국
|
기갑 박물관 학교 소장 남아프리카 육군 소속 PT-76 |
4.4. 북아프리카
4.4.1. 이집트
|
국립 군사 박물관 소장 이집트 육군 소속 PT-76 |
5. 아메리카
5.1. 북아메리카
5.1.1. 미국
|
포트 후드 제1기병연대 박물관 소장 미 육군 노획 베트남 인민 육군 소속 PT-76B |
5.2. 카리브
5.2.1. 쿠바
|
아바나 야외 전시 쿠바 육군 소속 2P16 루나 "400번차" |
[1]
1991년 6월
열흘전쟁 당시 촬영된 사진이다.
[2]
1950년대 후반 경 촬영된 사진이다.
[3]
1957년 경 개선된 주포를 장착한 PT-76을 의미하며, 주포안정기는 존재하지 않는 형식이다.
[4]
당시에도
LVT(A)-4를 개조한 대전차자주포나, 경전차가 다수 포진해 있었지만 가상적국인 미제 전차인데다, 다들 노후화되어 있던 상태라 주력으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5]
참고로 상단의 훈련사진으로 매우 강렬한 인상을 대한민국 네티즌들에게 남겨 제3회 디시
기갑 갤러리배 인기 전차투표에서
경전차 사상 최초로 입상하는 위엄을 달성하였다.
[6]
1991년 1월 1일에 촬영된 사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