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0 23:38:32

2024년 부안 지진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지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지진학
규모 · 진도 · 지진대 · 조산운동 · 습곡산맥( 신기 습곡산맥) · 단층( 단층산맥 · 대한민국의 단층)
슬로우 슬립 · 쓰나미 · 지진파 · 판 구조론 · 내진설계 · 이상진역 · 지반 액상화
발생 양상과 분류
단층지진 · 수도직하지진 · 고유지진 · 군발지진 · 발생 깊이에 따른 분류( 천발지진 · 중발지진 · 심발지진)
지진경보
지진속보 및 지진조기경보( 재난문자 기준 · 재난방송 · 사용자 맞춤형 지진정보서비스)
긴급지진속보(일본) · 쓰나미 경보 · 국가지진열도속보 및 예경공정(중국)
국가별 주요 지진 목록
틀:대한민국 주요 지진 · 틀:일본 주요 지진
전체 지진목록
대한민국 · 해외( 일본)
국가별 지진 문서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튀르키예 · 칠레 · 대만
대한민국 관련 사이트
기상청(최근지진) · 기상청(지진목록) · 사용자 맞춤형 지진정보서비스
해외 관련 사이트
일본 기상청 · 중국 지진국 · USGS(지진 목록) · EMSC(지진 목록)
관련 프로젝트
나무위키:프로젝트/지진
}}}}}}}}} ||
최근 발생한 주요 지진
발생 국가: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발생 시각 ( UTC-5) 규모 진원 최대 진도
2024년 6월 16일
09시 47분 31초
Mw 6.0 페루 아티키파 남서쪽 23km 해역
쓰나미 여부
미발령
예상 최고높이: - m
실측 최고높이: - cm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2%; min-height:2em"
{{{#!folding [ 국외지진 ]
{{{#!wiki style="margin:-5px 0 -5px"
<rowcolor=#fff> 대한민국에 영향을 준 주요 국외지진
<rowcolor=#000> 명칭 규모 국내
최대진도
국내
쓰나미
1548년 산둥반도 해역 지진 M 7.0 ? -
1668년 탄청 대지진 M 8.5 ? -
1700년 대마도 지진 M 7.0 ? -
1707년 호에이 대지진 M 8.9 - 관측
1741년 간포 쓰나미 - - 4m 추정
1940년 홋카이도 샤코탄반도 해역 지진 M 7.7 - 1.2m
1940년 일본 시마네현 오키섬 해역 지진 M 6.6
1964년 일본 니가타 해역 지진 M 7.5 - 39cm
1975년 중국 하이청 지진 M 7.0
1983년 일본 아키타 해역 지진 M 7.7 - 4.2m
1983년 일본 오이타 지진 M 6.6
1993년 일본 홋카이도 해역 지진 M 7.8 - 2.76m
1996년 중국 상하이 해역 지진 M 5.6
1999년 중국 지린성 왕칭현 지진
(심발지진)
M 7.1
1999년 중국 랴오닝성 선양 지진 M 5.0
2000년 일본 돗토리 지진 M 7.3
2001년 일본 히로시마 게이요 지진 M 6.7
2005년 일본 후쿠오카현 서부 해역 지진 M 7.0
2014년 일본 이요나다 지진 M 6.2
2015년 일본 가고시마 해역 지진 M 7.1
2016년 일본 구마모토 지진 M 7.3
2022년 일본 휴가나다 지진 M 6.7
2024년 일본 노토반도 지진 M 7.6 - 85cm
2024년 일본 분고수도 지진 M 6.6
2024년 일본 쓰시마 지진 M 4.1
2024년 산둥반도 해역 지진 M 4.5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2%; min-height:2em"
{{{#!folding [ 역사지진 ]
{{{#!wiki style="margin:-5px 0 -5px"
<rowcolor=#fff> 역사지진 (1904년 이전, 규모와 최대진도는 추정값)
<rowcolor=#000> 명칭 규모(추정) 최대 진도
27년 서울 지진 M 6.3
89년 서울 지진 M 6.8
100년 경주 지진 M 6.7
304년 경주 지진 M 6.3
M 6.8
458년 경주 지진 M 6.3
502년 평양 지진 M 6.8
510년 경주 지진 M 6.8
664년 경주 지진 M 6.3
768년 경주 지진 M 6.3
779년 경주 지진 M 6.3~7.0
1036년 경주 지진 M 6.3
1260년 개성 지진 M 6.3
1385년 개성 지진 M 6.3
1455년 순천 지진 M 6.8
1518년 서울 지진 M 6.8
1546년 평산 지진 M 6.2
1594년 홍성 지진 M 6.3
1597년 백두산 지진 M 7.7~8.0
1613년 서울 지진 M 5.7
1632년 개성 지진 M 6.3
1643년 부산 지진 M 6.3
1643년 합천 지진 M 6.8
1643년 울산 대지진 M 6.5~7.4
1670년 순창 지진 M 6.3
1681년 양양 대지진 M 6.1~6.7
M 7.5
1700년 사천 지진 M 6.3
1702년 전주 지진 M 6.3
1714년 개성 지진 M 6.8
1727년 함흥 지진 M 6.8
1810년 부령 지진 M 6.8
1899년 대한제국 지진 M 6.3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2%; min-height:2em"
{{{#!folding [ 초기 계기지진 ]
{{{#!wiki style="margin:-5px 0 -5px"
<rowcolor=#fff> 초기 계기지진 (1905년 ~ 1977년)
<rowcolor=#000> 명칭 규모 최대 진도
1906년 인천 해역 지진 M 6.1
1921년 경주 지진 M 4.2
1925년 홍성 지진 M 4.4
1926년 경상북도 서부 지진 M 5.0
1928년 지리산 지진 M 4.3
1935년 의성 지진 M 5.0
1936년 삼척 해역 지진 M 5.4 -
1936년 지리산 쌍계사 지진 M 6.0
1938년 지리산 지진 M 4.8
1939년 대전 지진 M 5.0
1939년 청주 지진 M 5.3
1944년 조선-중국 국경 지진 M 6.6
1947년 인천 해역 지진 -
1952년 평양 지진 M 6.4
1952년 은천 지진 M 5.6
1956년 대한민국 지진 -
1960년 길주 해역 지진 M 6.8
1963년 영덕-포항 해역 지진 M 5.8~6.3
M 5.8~6.3
1969년 남해 지진 M 5.0
1970년 대한민국 남부 지진 M 4.9
1973년 나진 해역 지진 M 7.7
1975년 속초 해역 지진 M 7.1
1976년 홍도 해역 지진 M 5.4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2%; min-height:2em"
{{{#!folding [ 기상청 계기지진 ]
{{{#!wiki style="margin:-5px 0 -10px"
<rowcolor=#fff> 기상청 계기지진 (1978년 이후)
<rowcolor=#000> 명칭 규모 최대 진도
1978년 속리산 지진 ML5.2
Mw4.6
1978년 홍성 지진 ML5.0
1980년 의주 지진 ML5.3
Mw5.1
1981년 포항 해역 지진 ML4.8
Mw5.2
1982년 사리원 지진 ML4.5
Mw5.3
1982년 울진 해역 지진 ML4.7
1994년 울산 해역 지진 ML4.6
ML4.5
1994년 홍도 해역 지진 ML4.9
Mw5.6
1995년 백령도 해역 지진 ML4.2
1996년 동해 해역 지진 ML4.2
1996년 영월 지진 ML4.5
Mw5.2
1997년 경주 지진 ML4.2
Mw4.8
2003년 홍도 해역 지진 ML4.9
Mw4.8
2003년 백령도 해역 지진 ML5.0
Mw4.6
2004년 울진 해역 지진 ML5.2
Mw5.3
2007년 평창 지진 ML4.8
Mw4.7
2013년 흑산도 해역 지진 ML4.9
Mw4.7
2013년 백령도 해역 지진 ML4.9
Mw4.8
2014년 서격렬비도 해역 지진 ML5.1
Mw4.8
2016년 울산 해역 지진 ML5.0
Mw4.7
2016년 경주 지진 (9.12 지진) ML5.1
Mw5.1
ML5.8
Mw5.5
2017년 포항 지진 ML5.4
Mw5.5
2018년 포항 지진 ML4.6
Mw4.7
2019년 동해 해역 지진 ML4.3
Mw4.0
2021년 서귀포 해역 지진 ML4.9
Mw4.8
2022년 괴산 지진 ML4.1
Mw4.0
2023년 강화 지진 ML3.7
Mw3.5
2023년 동해 해역 지진 ML4.5
Mw3.8
2023년 장수 지진 ML3.5
Mw3.5
2023년 어랑 해역 지진 ( 심발지진)
국내지진 영역 내부에서 발생했으나, 기상청에서 공식 발표하지 않음
Mw 4.7
2023년 경주 지진 ML4.0
Mw3.6
2024년 부안 지진 ML4.8
Mw4.2
ML은 기상청 발표에서 공식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리히터 규모이며, Mw는 단층의 크기와 변위를 분석하여 실제 지진이 방출한 에너지와 연관성이 높으며 기상청에서 상세분석 결과를 통해 추가 발표하고 있는 모멘트 규모이다. }}}}}}}}}}}}

<colbgcolor=#3d5f7e><colcolor=#fff> 2024년 부안 지진
<nopad> 파일:부안지진.png
발생
(UTC+9)
2024년 06월 12일 8시 26분 49초
진앙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남남서쪽 4km
KMA: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행안면 진동리 1155 (부안스포츠파크 축구장)
USGS: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계화면 창북리 4230-8
KMA: 35.701°N 126.719°E (± 1.0 km)
USGS: 35.790°N 126.688°E
진원 깊이 8km[KMA] / 10km[USGS]
단층 운동 북북서-남동향 또는 북북동-남서향 주향이동단층
최대 지반가속도 부안(PUAA) PGA: 12.99%g[3]
규모 ML 4.8 (± 0.1) / Mw 4.2[4]
진도 전북 서부[5][유의]
전북 서부[7], 전남 북부[8]
전북[9], 전남[10], 경남[11], 경북[12], 광주, 대전, 세종, 인천, 충남[13], 충북[14]
강원[15], 경기[16], 대구[17], 부산[18], 서울[19], 울산[20]
기상청
상세정보
지진 상세정보
지진분석서
지진
신속정보
발령시간: 2024년 06월 12일 08시 27분 5초
추정규모: 4.7
최대예상진도 :
여진 21회 (2024. 06. 18 14:52 기준)
최대 여진: 규모 3.1[21], 진도 Ⅳ
지진 발생 직후 방송된 KBS 뉴스특보
부안 지진의 지진속보를 실시간으로 관측한 영상

1. 개요2. 재난문자3. 단층운동 정보4. 규모 상세정보5. 진도 상세정보6. 지진 활동7. 피해8. 대응9. 기타10. 관련 보도11.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2024년 6월 12일 오전 8시 26분경에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남남서쪽 4km 지역에서 발생한 M4.8 규모의 지진이다.

기상청에서는 최초 긴급재난문자를 통해 규모를 M4.7이라고 밝혔으나, 상세 분석 이후 안전안내문자를 통해 M4.8로 상향으로 조정되었음을 밝혔다.

2. 재난문자

⚠️ 긴급재난문자
파일:기상청_국_좌우.svg
2024-06-12 08:26 전북 부안군 남남서쪽 4km 지역 M4.7 지진/낙하물, 여진주의 국민재난안전포털 참고대응 Earthquake[기상청]
⚠️ 안전안내문자
파일:기상청_국_좌우.svg
2024-06-12 08:26 부안군 지역에서 발생한 M4.7 지진은 상세분석을 통해 M4.8로 조정됨 Earthquake[기상청]
⚠️ 안전안내문자[22]
파일:기상청_국_좌우.svg
2024-06-12 13:55 전북 부안군 남쪽 4km 지역 M3.1 지진발생/추가 지진 발생상황에 유의 바람 Earthquake[기상청]

3. 단층운동 정보

<colbgcolor=#000><colcolor=#fff> 단층운동 정보
파일:2024003566_FM_v1.png
▲ 단층면해(Focal mechanism)
단층 종류 주향이동단층
주향 북서-남동 또는 북동-남서 방향
모멘트 2.6E+22 dyne-cm[23]
모멘트 규모 MW 4.22[24]
원인 단층 함열단층의 연장 또는 미상의 단층

4. 규모 상세정보

규모 상세정보
파일:정부상징.svg 기상청 분석 결과
리히터 규모
(P파, S파 기반 기상청 공식 규모)
모멘트 규모
(단층운동 기반 상세분석 규모)
ML 4.8 (± 0.1) MW 4.2
국외기관 분석 결과
USGS
(미국 지질조사국)
JMA
(일본 기상청)
mb 4.3(± 0.1) Mj 5.0
# #
EMSC
(유럽-지중해 지진학 센터)
GFZ
(독일 지질 연구소)
mb 4.3 Mw 4.3
# #
GSRAS
(러시아과학원 지질조사국)
mb 4.6
#
규모 설명자료
ML: 리히터 규모 - P파와 S파를 사용해 계산한 규모
MW: 모멘트 규모 - 단층운동에 의해 방출된 에너지를 기반으로 계산한 규모
mb: 실체파 규모 - 수 초 동안 계측한 단주기 P파만을 사용해 계산한 규모
Mj: 일본 기상청 규모 - 단주기 지진계 또는 가속도형 지진계의 최대 진폭을 기반으로 계산한 규모

5. 진도 상세정보

진도 상세정보
최대진도
기상청 발표[25] USGS ShakeMap[26] USGS DYFI[27]
[유의] -
기상청 계기진도 분석 결과
파일:부안 지진 계기진도 정보.png
전북(김제, 부안, 정읍)[유의]
전북(고창, 군산, 순창, 익산, 장수) · 전남(담양, 장성)
전북 · 전남(강진, 곡성, 광양, 구례, 나주, 보성, 순천, 신안, 여수, 영광, 영암, 장흥, 진도, 함평, 화순), 경남(거창, 산청, 통영, 하동, 함안, 함양, 합천) · 경북(김천) · 광주 · 대전 · 세종 · 인천 · 충남(태안, 계룡, 공주, 금산, 논산, 홍성, 보령, 부여, 서천, 청양) · 충북(괴산, 영동, 옥천, 청주 상당, 청주 서원)
강원(양구, 영월, 원주, 인제, 정선, 춘천, 태백, 홍천) · 경기(군포, 김포, 수원 권선, 수원 영통, 수원 장안, 수원 팔달, 군포, 안산 단원, 안산 상록, 안성, 여주, 오산, 용인 기흥, 용인 처인, 의왕, 이천, 파주, 평택, 화성) · 대구(군위, 달서, 달성, 서) · 부산(강서, 동, 부산진, 북, 사상, 사하, 서, 영도, 중) · 서울(성동) · 울산(울주)

6. 지진 활동

이번 지진은 지진이 잦지 않은 곳에서 발생한 이례적 강진이며, 기상청에서는 진원지 인근에는 아직 파악된 단층이 없다고 밝혔다. # [30]

다만 현재로서는 부여 분지의 남동쪽 경계를 이루는 주향이동단층인 '함열 단층'의 활동으로 발생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함열 단층은 2015년 12월 발생한 규모 3.9의 익산 지진의 원인으로 지목되기도 했었다. #
<rowcolor=#fff> 발생일시
(UTC+9)
진앙 깊이 규모 최대
진도
비고
2024년 6월 12일 07:58:32 전북 부안군 남남서쪽 4km 지역 7km 0.5 전진
08:26:49 전북 부안군 남남서쪽 4km 지역 8km 4.8 본진 #
08:32:16 전북 부안군 남쪽 4km 지역 8km 1.3
08:34:23 전북 부안군 남남서쪽 4km 지역 6km 0.8
08:39:49 전북 부안군 남남서쪽 4km 지역 7km 0.9
08:40:36 전북 부안군 남남서쪽 4km 지역 8km 0.6
08:42:10 전북 부안군 남남서쪽 4km 지역 9km 1.5
08:50:16 전북 부안군 남남서쪽 4km 지역 7km 0.9
08:53:12 전북 부안군 남남서쪽 4km 지역 7km 1.0
08:54:30 전북 부안군 남남서쪽 5km 지역 6km 0.7
08:56:12 전북 부안군 남남서쪽 4km 지역 7km 1.3
09:12:18 전북 부안군 남남서쪽 4km 지역 7km 1.5
09:23:50 전북 부안군 남남서쪽 4km 지역 7km 0.9
10:00:34 전북 부안군 남쪽 4km 지역 6km 0.7
13:14:21 전북 부안군 남쪽 4km 지역 9km 0.8
13:20:41 전북 부안군 남쪽 4km 지역 7km 0.7
13:55:42 전북 부안군 남쪽 4km 지역 8km 3.1 최대 여진 #
14:59:34 전북 부안군 남쪽 4km 지역 9km 1.6
17:52:33 전북 부안군 남남서쪽 4km 지역 8km 1.2
2024년 6월 14일 22:27:58 전북 부안군 남남서쪽 4km 지역 6km 0.6
2024년 6월 15일 05:35:11 전북 부안군 남남서쪽 4km 지역 6km 0.4
13:29:51 전북 부안군 남쪽 4km 지역 10km 1.0
2024년 6월 18일 14:52:02 전북 부안군 남쪽 4km 지역 8km 1.3

2024/06/12 09:11:47에 전남 장성군 북쪽 14km 지역에서 규모 0.9의 미소지진이 발생했으나 본 지진과의 관련성은 아직 알 수 없다.

7. 피해

소방청에 따르면 전북 137건, 경기 47건, 충남 36건, 충북 42건, 광주·전남 각 23건, 대전 21건, 서울 13건, 세종 9건, 경남 5건, 부산·경북 각 2건을 포함해 총 315건의 유감신고가 접수되었다. 200㎞ 넘게 떨어진 강원 원주에도 2건의 신고가 접수됐다. 신고는 없으나 인천에서도 진동을 느낀 사람들이 있었다.
파일:부안지진 인근지역 CCTV.gif
진원지 인근( 국도 29호선 평교교차로)[31] CCTV 영상
  • 대전은 안내 문자가 온 뒤 잠시 뒤에 진도 3 정도의 흔들림을 느꼈다. 흔들림은 3초동안 지속되었고, 피해는 없었다.
  • 진앙지인 부안군 보안면에서 창고 벽이 갈라졌다는 피해 신고가 접수되었다. 하서면에서는 주택 창문이 깨졌으며 백산면에서는 주택 화장실 타일 파손 피해가 발생했다.
  • 전북 지역에 오후 9시 기준 158건의 피해 신고가 접수됐다. 전북 부안에서만 피해가 90건 가까이 접수됐다. 주로 화장실 타일이나 유리창이 깨졌다, 벽에 금이 갔다, 담장 등이 무너졌다는 내용이다. 게스트하우스의 지하주차장 바닥이 파손됐다는 신고도 있었다. 부안과 가까운 익산시에서는 담이 기울어졌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 전남 기초자치단체 중 진앙지와 가장 가까운 영광군 장성군 등지에서도 상당한 수준의 흔들림이 관측되었으며, 학교에서는 수업 등이 잠시 중단되기도 했다.
  • 해당 지진의 여파로 호남선 호남고속선, 전라선, 장항선 계통의 상당수의 열차가 비상정지 후 일반선 30km/h, 고속선 90km/h 가량의 저속으로 서행하면서 평균 30분 가량 지연되어 전북을 벗어났다.
  • 전북의 교육시설 11곳을 포함해 전국 18곳 학교가 피해를 본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유치원 1곳, 초등학교 5곳, 중학교 4곳, 고등학교 1곳 등에서 시설 피해가 접수됐으며 피해는 화장실 타일 갈라짐, 천장 떨어짐, 벽 일부 균열, 담장 파손 등 대부분 경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교육부는 오전 9시 30분 기준 지진 발생 관련 피해 현황과 학사 조정 현황을 파악한 결과 전북 부안 지역 1개교를 비롯해 충북·충남·전남 각 1개교 등 총 4개교가 휴교했다고 밝혔다. 등·하교 시간을 조정한 학교는 충남에서 1곳 있었다. 단축수업은 충북과 전북(고창)에서 각 1개교, 원격수업 전환은 전북(전주)에서 1개교로 집계됐다.
  • 국가유산청에 따르면, 부안 개암사 석가여래삼존불좌상(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부안 내소사 대웅보전(보물), 부안 구암리 지석묘군(사적), 부안 내소사 일원(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 부안 개암사 대웅전(보물) 등 총 6건의 피해가 발생했다.
  • 6월 13일 오후 5시 30분 기준 피해 신고건수는 287건 접수됐다. 밤새 전날보다 129건 늘었다. 부안 245건, 전북 정읍 19건, 고창 8건, 군산 4건, 익산·순창 각 3건, 김제·전주 각 2건, 광주 1건으로 집계됐다. 대부분 벽 균열이나 유리창·타일 깨짐, 담장 기울어짐, 문 개방 안됨 등이다. #1 #2 #3
    지진으로 인한 피해가 주거지에 집중되면서 가스 누출과 전기 안전 등에 대한 긴급 점검도 이루어졌다. 시설 피해 규모 조사는 위험도 평가가 끝난 후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6월 13일 기준 행정안전부와 전북도는 지진 위험도 평가단을 파견해 지진 피해를 본 건물이 무너질 가능성이 있는지 판단해 이주 여부를 안내하고 있다.
  • 피해 주민들은 진앙지 부근을 찾아온 행정안전부 장관에게 당시 상황을 설명하고 피해에 대한 대책을 주문하기도 했다. 전북자치도는 주택과 시설이 낡은 농촌지역에 피해가 대거 발생했다며 긴급복구를 위한 50억 원의 특별교부세 지원도 정부에 요구했다. 또한 주요 시설에 대한 안전 점검을 실시하기로 했다.
  • 6월 16일 오전 5시 기준 피해 신고건수는 총 591건 접수됐다. 부안 455건, 김제 48건, 정읍 34건, 군산 16건, 고창 15건, 전주 9건, 익산 6건, 완주 5건, 순창 3건으로 주택 408건, 공동주택 17건, 창고 41건, 공공시설 21건, 학교 20건, 상가 및 기타 43건이다. #
  • 6월 20일 오후 10시 기준 피해 신고건수는 총 1196건 접수됐다. 오후 5시 집계 당시 1101건에서 95건 늘었다. 부안 1014건, 김제 72건, 군산 38건, 정읍 27건 등으로 주택 소파 971건, 주택 반파 1건, 중소기업·소상공인 23건, 농축어업 16건, 기타 185건 등이다. #

8. 대응

  • 8시 35분경 위기경보 '경계'를 발령하고 중대본 1단계가 가동되었다. 재난방송 주관방송사인 KBS는 지진속보 발령 및 자막 송출 이후 10여분이 지난 뒤에 아침마당 방송을 중단하고 9시 5분까지 뉴스특보를 내보냈다.[32]
    • MBC와 SBS도 오전 9시경에 각 1차례 뉴스특보를 편성했고, KBS는 이후 9시 30분 뉴스 대체 목적으로 한 차례, 규모 3.1 지진이 발생한 이후 한 차례 더 뉴스특보를 추가로 편성했었다. MBC 특보, SBS 특보(일부), KBS 1차(08:40) 특보, KBS 2차(09:50) 특보, KBS 3차(15:10) 특보 종편과 보도채널도 이른 저녁시간까지 정규 편성된 종합뉴스 또는 뉴스쇼를 통해 부안 지진 상황을 정리해 보도했다. KBS, MBC, SBS, JTBC, TV조선, YTN, 연합뉴스TV는 지진보도를 메인뉴스 톱기사로 배치했다.
  • 한국수력원자력은 인근 영광군 소재 한빛 원전을 포함한 전국 원전에 이상이 없다고 밝혔다. #
  • 중앙아시아 3개국을 순방 중인 윤석열 대통령은 지진과 관련된 보고를 받고 "국가기반시설 등에 대해 피해 상황을 신속히 파악하고 안전점검을 실시하는 등 제반조치를 취하라"고 관계 부처에 지시했다. #
  • 산림청은 이 지진으로 12일 오전 9시를 기해 전북 지역 산사태 위기경보 수준을 '경계' 단계로 상향 발령했다. #
  • 전북특별자치도청이 재해 대책 본부를 가동했다. #
  • 6월 13일 연구팀이 급파됐다. 현장에 도착한 연구팀은 '이동식 지진계' 30여 개를 설치하는 등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했다. 기존 알려진 함열단층 말고 이 지역에는 아직 존재가 파악된 단층이 없는데 이제야 처음으로 기초적인 단층 조사를 시작한 것.[33]
  • 지진 피해 주민의 심리지원 활동이 진행 중이다. 당일부터 전북도재난심리회복지원센터와 부안군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부안군청 앞에 심리부스를 설치해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전북도정신건강복지센터는 마음안심버스를 운영하고 있다. 행안부는 전북도, 대한적십자사 재난심리회복지원센터와 협업해 재난심리 활동가들이 각 마을 단위로 방문해 상담 지원을 한다고 밝혔다.
  • 6월 20일 중대본은 주민 심리 회복 지원을 위해 심리활동가를 종전보다 9명 늘린 132명, 전담 공무원을 종전보다 4명 늘린 64명 파견했다. 심리 상담은 종전 819건에서 42건 늘어 861건으로 나타났다.
  • 정부·지자체는 시설물 3780곳에 대한 안전 점검을 마쳤다. 정부는 피해 상황을 계속 모니터링하고 주요 지역의 안전관리를 철저하게 독려할 예정이다.

9. 기타

  • 이번 지진은 기상청이 지진 계기 관측을 시작한 1978년 이후 16번째, 디지털 관측을 시작한 1999년 이후 12번째로 강한 지진이며, 진앙지를 한반도 내륙으로 한정할 경우에는 6번째로 강하고, 규모 5.4의 2017년 포항 지진 이후 내륙에서 발생한 가장 규모가 큰 지진이다.
  • 이번 지진이 발생한 부안군은 서쪽의 변산을 제외하면 대부분이 구릉지나 평야[34]인데, 특히 동진강 유역 및 하구(계화도)와 곰소만 일대는 일제강점기부터 소규모 간척 사업이 벌어졌으며, 1960년대 조성된 계화도 간척지와 현재 조성 중인 새만금 간척을 벌이고 있기 때문에 연약지반인 곳이 상당히 많다.[35] 멀리 갈 필요도 없이 2017년 포항 지진 역시 흥해읍에서 지반이 약한 곳에서 얕은 깊이로 발생[36] 토양 액상화 현상을 불러왔던 만큼, 예의 주시 및 관련 대비가 필요한 상황이다.
  • 지진속보 발표 당시 최대진도가 Ⅶ로 추정되었다. 최대진도 Ⅶ로 속보가 발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하지만 연약지반에 천발지진이 발생한데다 지반가속도 결과를 보면, 진앙지 주변에서는 예상진도를 상회하는 진동이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 긴급재난문자 경고음이 울렸을 때 전라도가 아닌 곳에서 이 문자를 받은 몇몇 사람들은 긴급재난문자 내용을 보기 전 경보음만 듣고 또 오물 풍선이 날아온 줄 알았다고 한다. 오물 풍선 위급 재난문자는 경기 일부 지역에만 발송되었다. 그것과는 별개로 큰 진동이 울릴 때 전쟁이 난 줄 알았다는 증언도 많다.
  • 일본 기상청에서는 서천 먼바다 해상에서 지진이 발생했으며 규모는 5.0, 깊이는 68km로 분석했다. # 당연하겠지만 한반도 단층에서는 이 정도로 매우 깊은 곳에서 지진이 발생할 수 없다. 실제로 지진이 발생한 위치와 일본 기상청의 분석 값이 이렇게 큰 차이를 보인 이유는 일본 기상청은 먼 지역인 일본의 지진계와 한일간의 정보교류로 제공되고 있는 인천 1개소, 서울 1개소, 대전 1개소, 부산 1개소의 지진계로만 분석할 수 있기에 정확도가 떨어진 것이다. 비슷하게 우리나라에서도 2022년 휴가나다 지진 당시 일본 기상청의 분석과는 진원 깊이와 규모 값이 다른 내용을 제공하기도 하였다. 이 역시 우리나라는 우리나라 지진계와 일본의 일부 지진계만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한 것이다.
  •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으로 전북도 측에서 쓰는 대외적 공식 영어명칭이 "Jeonbuk State(전북도)"로 바뀌었지만, 이와 관계없이 기상청 사이트 및 TV 지진속보 등에선 "Jeollabuk-Do(전라북도)"라는 구 명칭을 계속 사용한다.

10. 관련 보도

11. 둘러보기

별도의 문서가 존재하는 한반도 및 인근 공해상 지진
2024년 대한해협 지진 2024년 부안 지진 -

문서가 존재하는 2024년 지진
[[틀:지진/2023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currentcolor"
]]
2024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color=#fff><rowcolor=#fff> 발생일 규모 지진명 최대진도
<colbgcolor=#868e96> 01. 01.~ ~M 7.6 이시카와현 노토 지방 군발지진[1] / (2024년 1월)
7
01. 19. M 5.6 콜롬비아 지진
01. 23. M 7.1 중국 신장 지진
01. 26. M 6.1 과테말라 지진
03. 22. M 6.0 인도네시아 자바 지진(3월)
M 6.5
03. 24. M 6.9 파푸아뉴기니 지진
04. 02. M 6.0 이와테 지진
5-
04. 03. M 7.2 대만 화롄 지진
6+
M 6.5
5+
04. 17. M 6.6 분고수도 지진
6-
04. 19. M 4.1 대한해협 지진
2
04. 27. M 6.6 인도네시아 자바 지진(4월)
06. 03. M 6.0 이시카와현 노토 지방 군발지진(2024년 6월)
5+
06. 12 M 4.8 부안 지진

}}}}}}}}}
[ 각주 펼치기 ㆍ 접기 ]

[1] 해당 군발지진은 해당 군발지진 중 가장 큰 지진인 규모 7.6의 지진이 발생한 1월 1일을 기준으로 분류하였음.
||



[KMA] [USGS] # [3] MMI 계측진도 6.3 [4] 정확도 91.7% [5] 김제시·부안군·정읍시 [유의] 전북 부안군의 부안관측소에서 최초 12.99%g의 최대지반가속도가 관측되었다. 사후 보정 결과 8.04%g의 최대지반가속도로 조정하여 상세정보를 발표하였다. 이 값은 진도 Ⅵ 기준인 PGA 6.86%g~14.73%g 범위를 충족하나, 측정불확도를 고려하여 진도 Ⅴ로 발표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지역에 따라 진원지 인근에서는 Ⅵ에 해당하는 흔들림이 감지되었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7] 고창군·군산시·순창군·익산시 [8] 담양군·장성군 [9] 남원, 무주, 완주, 임실, 장수, 전주, 진안 [10] 강진, 곡성, 광양, 구례, 나주, 보성, 순천, 신안, 여수, 영광, 영암, 장흥, 진도, 함평, 화순 [11] 거창, 산청, 통영, 하동, 함안, 함양, 합천 [12] 김천 [13] 태안, 계룡, 공주, 금산, 논산, 홍성, 보령, 부여, 서천, 청양 [14] 괴산, 영동, 옥천, 청주 상당, 청주 서원 [15] 양구, 영월, 원주, 인제, 정선, 춘천, 태백, 홍천 [16] 군포, 김포, 수원 권선, 수원 영통, 수원 장안, 수원 팔달, 군포, 안산 단원, 안산 상록, 안성, 여주, 오산, 용인 기흥, 용인 처인, 의왕, 이천, 파주, 평택, 화성 [17] 군위, 달서, 달성, 서 [18] 강서, 동, 부산진, 북, 사상, 사하, 서, 영도, 중 [19] 성동 [20] 울주 [21] # [22]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전라남도에만 발송되었다. 다만, 충청북도 등 일부 지자체는 따로 자체적으로 규모 3.1 지진의 안전안내문자를 시/도청 명의로 발송했다. [23] 2.6 × 10²² dyne-cm. 2.6 × 10¹⁵ Nm (J)이다. [24] 모멘트 규모 계산공식으로 계산시 4.213 ••이다. [25] 부지 정보와 관측소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기상청 ShakeMap 산출 최대진도 [26] 지진의 규모, 부지 정보와 관측소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USGS ShakeMap 산출 최대진도 [27] USGS 체감진도 조사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한 최대진도 [유의] [유의] [30] 진원지에서 조금 떨어진 황해 해저에는 아무르 판 유라시아 판의 단층이 있지만 진원지 자체에서는 파악된 단층이 없는 것으로 발표되었다. [31] 진원지로부터 약 7km 떨어진 지점이다. [32] 2023년 경주 지진, 2023년 장수 지진 등 다른 지진과 비교할 경우 속보 전환이 심하게 늦은 편은 아니나, 연합뉴스TV, YTN은 경보를 확인하고 속보체제로 바로 전환하여서 당시 유튜브 스트리밍으로 KBS NEWS D를 시청하던 네티즌들이 채팅으로 KBS에 항의하는 헤프닝이 있었다. [33] 2016년 경주 지진 2017년 포항 지진 뒤에야 활성단층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1단계로 영남권 조사가 시행됐고, 현재 2단계인 수도권 충청권 조사가 2026년 종료를 목표로 진행 중이다. 호남은 3년 뒤인 2027년, 강원은 2032년에야 첫 조사가 예정되어 있다. 호남권 강원권을 거쳐 전역의 조사 완료 시점은 2036년이다. 이번 지진으로 호남권 조사를 더욱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34] 과거에는 부안읍내는 물론 지금의 전주시 앞까지 바닷물이 들어오기도 했었다. [35] 서해안고속도로에서 전북 고창군부터 경기도 화성시까지의 구간에 보이는 표지판 중 절반 이상이 '연약지반 주의'라는 문구가 써져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36] 포항 지진 당시에는 지하 7km 지점에서 시작했다면, 이번 부안 지진은 지하 8km 지점에서 시작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