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17 21:15:41

1907년 은행 패닉



국내외 주요 경제 · 금융 위기
{{{#!wiki style="color:#FFF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대공황|1929 ~ 1940년대
대공황
{{{#!wiki style="margin: 0 -10px; font-size: .9em"
]]
[[대침체|2008 ~ 2010년대
대침체
{{{#!wiki style="margin: 0 -10px; font-size: .9em"
]]
[[대봉쇄|2020 ~ 2023
대봉쇄
{{{#!wiki style="margin: 0 -10px; font-size: .9em"
]]
<colcolor=#000,#ddd> 금융 | 경제 | 제2차 세계 대전
대침체가 정확히 언제 끝났는지는 경제학자나 역사학자들마다 의견이 다르다.
}}}[ 시대별 금융 위기 ]
||<tablewidth=100%><width=13%><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404040><colcolor=#ffffff> 20세기 이전
( 연준 이전) ||<tablecolor=#000000,#dddddd> 네덜란드 튤립 투기 파동(1636) · 미시시피회사 거품 사태(1718) · 남해회사 거품 사태(1720) · 1792년 공황(1792)· 1819년 공황(1819) · 1837년 공황(1837) · 1857년 공황(1857) · 검은 금요일(1869) · 당백전(1866) · 장기불황(1873-1896) · 1907년 은행 패닉(1907) ||
20세기
( 연준 이후)
바이마르 공화국 초인플레이션(1919) · 쇼와 금융 공황(1927) · 1929년 월가 대폭락(1929) · 대공황(1929-1939) · 금 해금·쇼와 대공황(1930) · 닉슨 쇼크(금본위제 폐지)(1971) · 석유 파동(1973-1979) · 검은 월요일(1987) · 일본 거품경제 붕괴(1991) · 닷컴 버블(1995-2000) ·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1997-2001) · 1997년 외환 위기(1997-2001) · 1998년 러시아 금융위기(1998)
2000년대 2002년 가계 신용카드 대출 부실 사태(2002) ·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2008) · 대침체(2008) · 짐바브웨 초인플레이션(2008) · 그리스 경제위기(2008)
2010년대 베네수엘라 초인플레이션과 경제위기(2014) · 2014 브라질 경제위기(2014-2017) · 2015-2016년 중국 증시 폭락(2015-) · 브렉시트 증시 폭락(2016) · 튀르키예 리라화 폭락(2018-) · 아르헨티나 통화 위기(2018-) · 레바논 경제 위기(2019-)
2020년대 대봉쇄(2020) · 2020년 주가 대폭락(2020) · 2021년 헝다그룹 파산 위기(2021) · 2022년 러시아 경제위기(2022) · 2022년 스리랑카 경제위기(2022) · 코로나 버블(2022) · 2022년 전 세계 물가 폭등(2022-2023) · 레고랜드 사태(2022) · 흥국생명 채권사태(2022) · 실리콘밸리 은행 파산(2023) · 2023년 은행 위기(2023) · 2023년 태영건설 부도 위기(2023) · 홍콩 ELS 사태(2024)
}}}
}}} ||


파일:1907-nyse_panic.jpg

Panic of 1907

1. 개요2. 상세

1. 개요

1907년에 미국에서 일어난 세계적인 금융 위기이며 1929년 월가 대폭락 이전까지만 해도 대공황으로 불린 사건이다.

2. 상세

파일:DowJones1904to1909.png

1900년대의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 절반 수준으로 급감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는 50% 가까이 폭락하였으며 이로 인해서 대량의 뱅크런이 발생하였고 수많은 은행과 증권사, 그리고 기업이 파산했다.

뱅크런이 발생한 주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지난 10~20년간 경제가 성장하고 금융 기업들의 규모나 자산이 증가하였지만 관리가 부실하고 당시에는 중앙은행과 같은 시설이 없었으며 시스템의 부재, 신흥 시장에 대한 규제가 없어서 신탁회사에서는 최소준비금이 매우 낮은 상태에서 금융 자산의 대부분을 주식에 배분해도 문제가 없는 수준이었기 때문에 뉴욕 금융 기업에서의 낙후된 리스크 관리로 인해 뱅크런의 영향이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그것이 극단적으로 폭발한 계기는 1906년 샌프란시스코 지진이었다. 사망자만 3천명, 재산피해만 당시 기준으로 4억 달러라는 천문학적인 피해가 발생했는데 이때 미국인들이 들어 놓은 영국의 화재보험 보험금만 7천만 달러였고 이걸 막으려고 영란은행이 기준금리를 7%로 올렸다. 그로 인해 미국 내의 금까지 영란은행으로 다시 빨려들어가는 사태가 발생했고 이 리스크에 아무런 대비가 되지 않았던 월스트리트의 은행들은 줄줄이 뱅크런이 터지면서 나가떨어지는 사태가 발생해 금융 시스템 위기까지 초래한 심대한 경제위기였다.

대표적으로 니커보커 신탁회사에서 뱅크런이 발생해 니커보커 위기라고도 불린다.

이 위기를 해결한 사람은 존 피어폰트 모건이다.

연방준비제도 시스템이 만들어지게 된 계기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