引 끌 인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弓, 1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4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イン
|
||||||
일본어 훈독
|
ひ-く, ひ-ける
|
||||||
-
|
|||||||
표준 중국어
|
yǐn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引은 '끌 인'이라는 한자로, '끌다'를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끌다 |
음 | 인 | |
중국어 | 표준어 | yǐn |
광동어 | jan5 | |
객가어 | yîn, yín | |
민동어 | īng | |
민남어 | ín[文] / íⁿ[白] | |
오어 | hhin (T3) | |
일본어 | 음독 | イン |
훈독 | ひ-く, ひ-ける | |
베트남어 | dẫn |
유니코드에는 U+5F15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NL(弓中)로 입력한다.
활을 나타내는 弓(활 궁), 그리고 丨(뚫을 곤, 세로선)이 합쳐졌다. 세로선이 무엇을 본뜬 것인지는 알기 어렵기 때문에 회의자로 보기도 하고 지사자로도 본다. 금문 상에는 弓 자의 꽁무늬에 꼬리처럼 생긴 지사부호가 달려 있는 것으로 표현되었으나, 전서에 와서는 弓+丨의 형태로 고정되어 지금에 이르게 되었다.
3. 용례
3.1. 단어
- 인계(引 繼)
- 인도(引 導/引 渡/引 刀)
- 인력(引 力)
- 인상(引 上)
- 인솔(引 率)
- 인수(引 受)
- 인용(引 用)
- 인장(引 張)
- 견인( 牽引)
- 색인( 索引)
- 아전인수격( 我 田引 水 格)
- 유인( 誘引)
- 할인( 割引)
3.2. 고사성어/ 숙어
- 구보인령( 矩 步引 領)
- 면인정쟁( 面引 廷 爭)
- 박인방증( 博引 旁 證)
- 방조인용( 傍 照引 用)
- 아전인수( 我 田引 水)
- 인과자책(引 過 自 責)
- 인류호붕(引 類 呼 朋)
- 인수인계(引 受引 繼)
- 인승비근(引 繩 批 根)
- 인이불발(引 而 不 發)
- 인이신지(引 而 伸 之)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일본어
3.6.1. 훈독
- 引(ひ)く: 끌다
- 引きこもり: 히키코모리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吲(비웃을 신)
- 矧/ 訠(하물며 신)
- 靷(가슴걸이 인)
- 𢪉(끌 인)[3]
- 䇙(대나무이름 인)
- 𦙢(등살 인)
- 䏖(등살 인, 흠집 진)
- 鈏(주석 인)
- 蚓(지렁이 인)
- 䒡(풀이름 인)
- 粌(헥토미터 인)
- 䀕(눈동자 진)
- 紖(쇠고삐 진)
- 𧿯(무릎꿇을 호)
- 𢏄(강)
- 𡗵(고)
- 𠀓(사)
- 㽼(인)
- 𨈧(인)
- 𠇁
- 𠒒
- 𡛅
- 𪵰
- 𣏖
- 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