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07 11:52:26

향문천 - 글을 울리는 샘

향문천
글을 울리는 샘
파일:향문천로고23.png
<colcolor=#fff> 출생지 대구광역시
거주지 서울특별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병역 만기전역
구독자 수 17.7만명[A]
조회수 30,654,725회[A]
MBTI INTJ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부계정]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1. 개요2. 상세
2.1. 로고 변천사2.2. 영상 목록
3. 여담

[clearfix]

1. 개요

역사비교언어학을 중심으로 언어학 전반에 대해 다루는 지식정보 유튜버이다.

2. 상세

닉네임인 향문천을 한자로 표기하면 ‘[4]'으로, 풀어서 쓰면 '글을 울리는 샘'이다. 영문 채널명은 언어의 샘을 뜻하는 'Lingfount'다. 지금은 쓰이지 않는 고대 한국어 중세 한국어의 발음과 억양, 동아시아의 고대 언어 등 옛말과 방언 등 역사 언어학을 많이 다룬다. 원래는 텍스트를 직접 읽고 녹음하나 한때 녹음 장비 고장의 이유로 어원 같은 콘텐츠를 업로드했다. 다행히 2020년 7월 4일에 업로드한 영상에서 마이크를 새로 구입했다고 밝혔다.

2020년 6월 6일 전후로 한자 표기가 한글로 바뀌었다. 그전까지 '響文泉 - 글과 울림의 샘'이었다. 울릴 향() 자를 모르는 사람들이 많아 가독성을 위해 이름을 바꾼 것으로 추정.

매주 일요일 오후 1시에 동영상 업로드를 한다. 그러나 2020년 10월 8일에 올라간 한글날 기념 영상에서 영상 제작할 시간에 차질이 생겨 비정기적 영상 투고를 하겠다고 밝혔다. 영상 (12분 38초부터)

2021년 10월 24일 군입대로 2년간 활동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2023년 5월 4일 군복무를 마치고 복귀했다. # 이후 채널명을 '향문천 - 글 울림의 샘'에서 '향문천 - 글 울리는 샘'으로 변경하였다.

2024년 2월 2일, 2020년부터 3년 넘게 집필해 왔던 《향문천의 한국어 비사》라는 책을 발간한다는 소식을 알렸다. 출판사는 김영사이다. #

2.1. 로고 변천사

파일:EpNNpSXVEAAj5_j.jpg

2.2. 영상 목록

자세한 내용은 향문천 - 글을 울리는 샘/영상 목록 문서 참고.

3. 여담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반도 일본어설 관련 서술 고정 및 영상 하이퍼링크 첨부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 토론 - 반도 일본어설 관련 서술 고정 및 영상 하이퍼링크 첨부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 원래는 국가(國歌)나 작곡, 제주어 영상 등을 올리는 곳이었다. 본인의 말로는 사실 잡다하게 아무거나 올렸던 것 같다고. 현재에는 작곡된 곡 하나가 올라와 있다.
  • 향문천이 언어학에 입문한 계기는 디시인사이드 언어 갤러리였다고 한다.[5] 거기서 언어학을 공부하는 사람들에게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유튜브 이전에는 언어 갤러리에서 주로 동양 언어 관련 글을 올리며 'NUE'[6]라는 이름으로 활발하게 활동했다. 본인의 말에 따르면 입문을 언어갤에서 했는데 잘 모를 때부터 이것저것 질문이나 글을 올려서 현재 생각과 달라진 부분도 많아서 삭제했다고 한다. 디시인사이드의 제주어 갤러리와 재난경보 갤러리를 만든 장본인이다.
  • 그냥 '취미'만으로 언어학을 한다고 하지만, 정작 언어학과 학부생도 잘 모를 만한 미야코어, 협화어 등과 같은 심화적인 지식을 알고 있으며, 사어가 되어가는 방언들도 두루 알고 있다.[7] 아마 대학원생일 지도 모른다는 추측도 있었지만, 10만 Q&A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대학원생이 아니라고 한다.
  • 의외라면 의외이게도 이과이다. 현대 언어학, 특히 놈 촘스키를 비조로 하는 생성문법 계열과 기타 형식주의 학파는 논리학이나 수학과 같은 형식과학으로 분류된다. 그러나 역사비교언어학은 비교적 경험과학적 성격이 강하고, 귀납적 방법론을 사용한다. 물론, 현대에는 비교언어학에서도 각 언어들 간의 친연성 여부를 파악하기위해 컴퓨터를 이용해 대량 비교(mass comparison)를 시도하는 식으로[8], 형식과학의 요소를 도입하려는 시도가 꾸준히 이뤄지고 있다. 어느 분야의 관점으로 보든 간에, 특히 향문천이 다루고 있는 언어학은 인문계열보다 이공계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건 사실이다.
  • 3만 구독자 기념 Q&A에서 밝힌 바로는 관화를 어느정도 구사할 수 있다고 했으며 발음은 조선족은 한국어를 어떻게 말할까? - 중국 조선어 영상[9]에서도 나온다. 중국어 전공자들도 놀랄 정도로 발음이 좋다. 일본어 발음 역시 상당히 정확하며, 유독 일본어가 나오는 부분에서 목소리가 잘생겼다는 칭찬이 댓글로 많이 달리기도 한다. 다만 영어가 나오는 부분에서는 상대적으로 댓글 평가가 짠 편이다. 저모음과 후설모음의 음색이 잘 살지 않는 편이다.
  • 초기에는 여성형 기계음으로 나레이션을 하였다.
  • 이름이 워낙 생소해서 그런지 댓글을 중심으로 ' 항문천'이라는 오탈자가 나기도 한다. 공교롭게도 소오강호 상문천 역시 이름이 '향문천'으로 불리기도 한다.[11] 그 밖에도 댓글 중 신선한 드립이다 싶으면 심심찮게 하트를 주기도 한다. 항문천 사건 이후 영상 내에서도 드립이 심해졌으며, 결국 사흘은 왜 3일일까? 영상에서 '그렇게 학문[항문]은 발전해왔습니다.'라 말했다. 댓글로 '학문과 항문의 공통점: 열심히 닦아야 한다'가 달린 건 덤. 결국 애널스카이(항문→Anal, →Sky)라는 별명까지 생겼다.
  • 디즈니 사의 콘텐츠를 재업로드한 겨울왕국 「Let It Go」 25개 언어 자막 & 발음 (번역 있음) 영상과 겨울왕국 2 「Into the Unknown」 29개 언어 자막 & 발음 (번역 있음) 영상의 한국어 파트에서 한자 표기를 했다는 이유만으로 조선족일 것이라는 근거가 빈약한 추측이 생기기도 했다. 그러나, Into the Unknown 29개 언어 영상 댓글의 조선족이냐는 질문에 조선족이 아니라는 응답을 하였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성조가 있는 옛 한국어 발음을 듣고 마치 중국어처럼 들린다며, 한국어의 역사를 중국의 것으로 날조하려는 시도가 아니냐는 무리한 주장을 하기도 했다. 당장 고문헌들의 중세 한국어 표기에 방점이 사용된 까닭은 당시 국어에 성조가 있었기 때문이며, 이는 고등학교 언어와 매체 시간에도 배우는 기본 상식이다. 이들의 논리대로라면 성조가 남아있는 동남 방언도 중국어라고 얼마든지 우길 수 있다. 이에 향문천은 QnA 영상에서, 한국어의 변화가 꽤 큰 것에 충격을 받았을 테지만 언어학이라는 학문에 정치적인 접근을 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태도라고 설명하였다. 다만 이후에 올린 영상에서 변이음을 고려하지 못했다고 반성하며 변이음을 반영해 재녹음한 것을 들려주기도 했는데, 기존에 녹음한 것에 비하면 마치 어딘가에 있을 법한 사투리처럼 자연스럽게 들린다는 반응이 많았다.
  • 향문천의 발성이 좋은 편은 아니라서 가장 서투른 언어는 오히려 현대 한국어라는 농담식 댓글 반응이 간간이 보인다. 실제로도 살짝 혀 짧은 발음이긴 하며 현대 한국어 한정으로는 성우나 아나운서처럼 유려한 목소리는 아니다. 장단음과 고저 억양은 꽤 정확하지만 음색 자체가 살짝 툭툭 끊기는 느낌. 특히 음절 말 /ㄹ/이 그렇다.
  • 영상 속 목소리가 평소 목소리가 아니라고 한다. 목이 잘 쉬어서 최대한 안 쉴려다 보니 다르다고 한다.
  • 학문 분야에 한해서 제한적으로 국한문혼용체를 사용하는 방안을 지지하는 입장을 유튜브 댓글을 통해 밝힌 바 있다. 그밖에 이와 관련한 한자 폐지론 영상물을 업로드한 적이 있다.
    • 타이포그래피 덕후이다.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그의 영상물이나 작업물에서 쉽게 느낄 수 있다. 영상에서 주로 사용하는 본문 명조체 서체는 김슬기 디자이너의 초행이며, 고딕 서체로는 박진현 디자이너의 지백을 쓰고 있다. 두 서체 모두 활판인쇄 시절에 쓰던 활자를 기반으로 한 서체로, 주로 이러한 서체를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작성하거나 재게시하고 있는 트위터 게시물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 본인만의 한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을 사용한다. 철저히 표음주의에 입각하여 어두와 어중에서의 자음 표기를 구분하고[12] 모음 또한 기존의 'eo', 'eu', 'ae'와 같은 표기를 사용하는 대신 'e'[13], 'ı'[14], 'ä'와 같이 움라우트를 사용하여 표기하는 등 일반적인 표기법과 다르다. 예시 자세한 내용은 이곳을 참조.
  • 환빠와 같은 역사 왜곡과 국뽕 등에 회의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으며, 영상에도 그러한 관점이 자주 반영되기 때문에 댓글창에서는 영상 내용을 반박하는 환빠 댓글이 많이 달리는 편이다.


[A] 2024년 2월 19일 기준 [A] [부계정] [4] 채널아트에 쓰인 響은 신자체로 적혀있다. [5] 현재는 관리가 되지 않는 정전갤이고 어그로 뻘글의 비율도 높아졌지만 그가 주로 활동했을 수 년 전까지는 디시치고 나름 학술적인 논의가 오가던 갤러리였다. [6] 갤로그, 현재는 클리너를 돌리고 활동 기록을 모두 지운 상태다. [7] 다만 정보는 찾으면 나오기 때문에 단순히 취미로 아는 것은 가능하기는 하다. 취미를 즐기는 심도는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정말로 취미로 언어학을 파서 알 수도 있는 것이다. 나무위키에서도 미야코어 협화어에 대해 찾아볼 수 있으니, 마음만 먹으면 누구든지 찾을 수 있는 셈. [8] 본래는 한국어 타밀어 동계설이나 태양어론같은 유사언어학 이론에서도 알 수 있듯이, 각각의 어휘들을 그 어원이나 변천 과정을 깔끔하게 무시하고선 억지춘향으로 서로 무관한 어휘끼리 동원어라고 우길 때 대량 비교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서, 주류 언어학계에서 이런 식의 연구방식은 오랫동안 금기시되어왔다. 하지만, 컴퓨터의 연산 능력이 더욱 발달하면서,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서 동원어 여부를 정확히 가려낼 수 있으리라는 기대가 생기면서 다시 대량 비교법이 주목을받고 있다. [9] 1:08, 2:14, 3:05 등 [10] 그리고 초창기에는 애니 관련 영상을 한 두 개 정도 업로드 했으나 지금은 다 내려간 상태다. [11] 상문천의 상(向)은 성씨 상 & 향할 향자로 읽기 때문에 향으로 읽어도 완전 틀렸다고 볼 수 없다. 국내 소오강호 번역본의 판본에 따라 상문천의 상을 상or향으로 번역하다 최신 번역판은 성씨 상으로 번역해서 상문천으로 불린다. [12] 'ㄱ', 'ㄷ', 'ㅂ', 'ㅈ'을 각각 어두에서는 'k', 't', 'p', 'c'로, 어중에서는 'g', 'd', 'b', 'j'로 표기한다. [13] 'ㅓ'를 'e'로 표기하고 'ㅔ'를 'ë'로 표기한다. [14] 튀르키예어에서 사용하는 글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