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8 20:54:53

함평군/교통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함평군
1. 개요2. 철도
2.1. KTX 유치?2.2. 도시철도
3. 도로
3.1. 고속도로3.2. 국도3.3. 지방도
4. 버스
4.1. 시외버스4.2. 농어촌버스
5. 공항6. 어항

[clearfix]

1. 개요

고속도로는 서해안고속도로 무안광주고속도로가 지나가기는 하나, 교통은 그닥 좋다고 할 수는 없다.

2. 철도

호남선 함평역에서 내려서 함평읍내까지 걸어갈 수도 있으나 서울대입구역에서 내려서 서울대학교로 가는 것과 비슷한 수준의 발상이니 장시간 도보에 자신이 있는 사람이라면 해 볼 가치가 있다. 물론 역 앞에는 택시가 많이 있고, 농어촌버스도 비교적 자주 다니니 이용하면 된다. 함평읍내로 들어가다 보면 눈에 띄는 것은 선박무선기지국. 논이 많지만 그래도 역시 바닷가임을 알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지금은 없어진 함평궤도가 있었다. 기억하는 사람도 많지 않지만 대한민국 최초의 궤도노선[1]이었으며 알려진 바에 의하면 특이하게도 국내 유일의 1,067㎜의 협궤 노선이었다고 전한다. 그러나 노선에 운용하던 차량 및 시설 등이 너무 노후화된데다 수요 문제도 겹쳐 이 이상의 운용은 이미 불가능해서 1960년대에 폐선되어 사라졌다고 한다.

호남선 철도노선의 불편한 현실 때문인지 2000년대부터 지역정치권 차원에서 목포 - 군산간 서해안철도를 건설하자는 목소리가 지금까지도 있지만 광주.전남동부권 연계차원에서 영광군 백수읍 - 영광읍 - 광주역간 서해지선철도 건설까지 동원해야 할정도로 인구가 부족하여 경제적 타당성에 발목 잡혀 진행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참고자료 하지만 인구소멸위험지역으로 포함되어 있어 지역의 존망에 달려 있는 상황이라 지속적으로 계속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상태다.

더구나 전남도에서는 목포군산간 서해안철도를 관철시키기위해 달빛철도를 월야면 경유를 통해 광주에서 영광으로 연장시키려는 움직임도 일고 있다.

2.1. KTX 유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광주공항/공항 이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광주공항/공항 이전/후보지/함평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함평군의 광주광역시 편입 논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김광진 광주광역시 문화경제부시장은 함평군이 군공항 이전 대가로 KTX 노선이나 몇 가지 다른 것들을 요구하고 계시기 때문에 그런 여러 가지 것들에 인센티브를 광주광역시가 고민하고 있다고 2023년 3월 16일 무등의 아침에서 밝혔다.

함평군수, 광주 군공항 이전 첫 공식 찬성 입장 표명…'새 국면'(종합)
함평군수 "광주군공항 이전, 함평 발전 대전환 전기"
이상익 함평군수, 군 공항 이전 찬성 표명

5월 8일 오전 11시 이상익 함평군수가 담화문을 발표하면서 KTX 함평역 유치 등이 다시 언급되었다. #

2023년 7월 11일, 함평군유치위원회가 광주시에 군공항 유치 대가로 요구한 사업 중 KTX함평역 건설(1500억원)이 포함되었다. # 광주공항/공항 이전/후보지/함평 참고.

2.2. 도시철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광주공항/공항 이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광주공항/공항 이전/후보지/함평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함평군의 광주광역시 편입 논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제1전투비행단 이전이 완료되고, 광주로의 편입이 이루어진다면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의 연장 가능성이 있다. 군공항을 받는 대가로 요구할 수 있는 인센티브의 하나로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의 연장을 요구할 수 있기 때문. 아니면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의 사례처럼 광주 도시철도 3호선으로 연결될 가능성도 생긴다. 군 공항 이전과 함께 신 군 공항을 연계하는 교통망 확충 및 인근 배후도시와 첨단산업단지를 개발ㆍ조성하는 한편 종전부지의 신성장 거점도시 조성을 기본방향으로 하는 광주 군 공항 이전을 위한 특별법안이 통과된다면 배후도시와 첨단산업단지가 생기는 곳 등등을 연결할 가능성이 생기기 때문.

실제로 2023년 3월 29일, 함평군에서 5번째 광주군공항 이전 주민설명회가 개최된 자리에서 함평군사회단체 군공항유치위원회는 이날 함평군과 광주시의 통합을 전제로 군공항이 이전돼야 하며 광주공항을 기점으로 빛그린산업단지, 배후도시를 거쳐 함평읍으로 이어지는 경전철 건설을 주장했다. #

2023년 7월 11일, 언론보도를 통해 최근 함평군유치위원회가 광주시에 군공항 유치 대가로 요구한 사업 중 경전철(광주~이전지역~함평읍~돌머리해수욕장) 건설(3조1700억원)이 포함되었다는 사실이 보도되었다. # 광주공항/공항 이전/후보지/함평 참고.

3. 도로

3.1. 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함평 나들목, 무안광주고속도로 동함평 나들목을 이용해서 고속도로 접근이 가능한데, 두 나들목 모두 함평읍내와 다소 거리가 있어 목적지에 따라 이용하는 나들목이 다르다.

3.2. 국도

1번 국도, 22번 국도, 23번 국도, 24번 국도가 지난다. 세부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 1번 국도: 함평군이 1번 국도 연선에 있지만 함평읍내를 지나지 않고, 무안군 무안읍에서 넘어와 엄다면, 학교면을 지나 나주시 다시면으로 넘어간다. 무안광주고속도로가 개통되어 통행량이 예전보다 줄었지만 나주시와도 왕래를 하기 때문에 통행량도 많은 편이다.
  • 22번 국도: 영광군 묘량면에서 넘어와 해보면, 월야면을 지나 광주광역시로 넘어간다. 도로 상태가 좋아 고속도로와 다를 바 없을 정도이며, 광주에서 영광으로 가는 유일한 도로다 보니 함평군에서 통행량이 가장 많다. 또한 북부지역에서 서해안고속도로 불갑산IC로 진입이 가능해진다.
  • 23번 국도: 나주시 동강면에서 넘어와 학교면, 함평읍, 신광면을 거쳐 영광군 불갑면으로 넘어간다. 함평군을 남북으로 관통하며 주요 읍면을 지나는 국도이며, 학교 - 신광 구간은 왕복 4차로로 확장되어 있다.
  • 24번 국도: 무안군 무안읍에서 넘어와 함평읍, 대동면, 나산면, 해보면, 월야면을 거쳐 장성군 삼서면으로 넘어간다. 함평군을 동서로 관통하는 국도이지만 주간선 축이 아니다 보니 교통량은 적다. 왕복 4차로인 구간도 함평읍내 우회구간과 해보(문장) - 장성군 구간 뿐이다.

3.3. 지방도

4. 버스

4.1. 시외버스

함평군 교통망은 3축으로 분산되어 있다. 1번 국도 호남선 연선, 함평공영터미널을 중심으로 한 권역이 있고, 해보, 월야 등 동부 3개 면은 또 달라서 광주 - 영광을 잇는 계통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다보니 함평으로 접근하는 부족한 교통인프라마저도 함평읍( 함평공영터미널)과 구 학교역 인근( 함평역, 학교 임시승강장), 월야면( 문장공영터미널)의 3계통으로 나뉘어져 있다. 그래서 광주에서 함평으로의 버스교통은 통칭 나비버스인 500번 버스[2] 광주 - 목포 금호고속 시외버스의 2계통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금호고속 쪽이 확실히 빠르다. 하루 3회 있는 서울 - 함평 시외버스도 바로 가는게 아니라 문장, 장성 경유이니 함평에서 서울로 가려면 직행버스 영광이나 광주로 가서 서울 고속버스를 타거나 함평역으로 가서 기차를 타는게 더 편하며, KTX/ SRT를 타려면 광주송정역으로 가야한다.

4.2. 농어촌버스

농어촌버스 회사는 함평교통 함평군민교통이 있다. 그런데 이들은 교통카드가 서로 달랐다. 함평교통은 캐시비가 메인 교통카드이고, 함평군민교통은 티머니가 메인 교통카드였다. 그리고 둘 다 한페이가 메인이 아니다. 그래도 셋 다 호환된다. 그러나 함평군민교통은 2023년 단말기 회사가 계약을 해지하는 바람에 한동안 영양군, 진도군처럼 교통카드 사용이 불가능해졌다가 함평교통과 같은 삼원FA 단말기를 설치해 캐시비 메인으로 교통카드 사용이 재개됐다.

5. 공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광주공항/공항 이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제1전투비행단의 이전지로 떠오르기 시작했다.

이는 함평이 한빛 원자력 본부이 위치한 영광군 지역과도 가까워 바닷물 온도가 올라가는 피해를 입고 있지만 보상은 받지 못하고 있어 무안으로 군 공항이 이전하게 되면 소음 피해는 피해대로 받으면서 보상은 받지 못하는 똑같은 일이 반복되는 거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기 때문이다. 또한 인구소멸지역으로 계속해서 인구가 줄어들어 지원 또한 줄어드는 것 또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기 때문이다.

6. 어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ECF2FA,#2D2F34><colcolor=#000,#FFF> 무역항
동해안 속초항 · 옥계항 · 묵호항 · 동해항 · 삼척항 · 호산항 · 포항항 · 울산항 · 울산신항 · 장생포항
서해안 인천항 · 인천신항 · 경인항 · 서울항 · 평택·당진항 · 대산항 · 태안항 · 보령항 · 장항항 · 군산항 · 목포항
남해안 부산항 · 부산신항 · 진해항 · 마산항 · 고현항 · 옥포항 · 장승포항 · 통영항 · 삼천포항 · 하동항 · 여수항 · 광양항 · 완도항
제주도 제주항 · 서귀포항
연안항
동해안 주문진항 · 울릉항 · 후포항 · 강구항 · 구룡포항
서해안 격렬비열도항 · 용기포항 · 연평도항 · 대천항 · 마량진항 · 상왕등도항 · 송공항 · 대흑산도항 · 홍도항 · 가거향리항
남해안 부산남항 · 중화항 · 국도항 · 거문도항 · 나로도항 · 녹동항 · 강진항 · 화흥포항 · 땅끝항 · 진도항
제주도 추자항 · 애월항 · 한림항 · 화순항 · 성산포항
항만법 제3조(항만의 구분 및 지정)와 동법 시행령 제2조(항만의 명칭 등)에 따른 구분 }}}}}}}}}


무역항과 연안항에 국가어항, 지방어항조차도 없다.

어촌정주어항 : 함평항(舊해은항)
소규모어항 : 주포항, 월천항, 석창항, 석두항
나루터[영산강변에만] : 사포나루터, 중천포나루터
총: 7개소( 영암군을 빼고 전남도내에서 가장 적게 어항을 가지고 있는 지자체다.)


[1] 노면전차는 아니고 디젤(혹은 가솔린)동차였다. [2] 크게 문장으로 돌아가는 노선과, 그런 거 없이 대포리를 경유하는 최단코스로 나눠 운행된다. 이외에도 월야에서 바로 나산으로 빠지는 노선도 있다. [영산강변에만]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2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26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