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4 17:03:49

한화시스템

한화시스템/ICT에서 넘어옴
파일:한화 로고.svg 파일:한화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f37321> 계열사
지주회사 ㈜한화 ( 글로벌 · 건설)
우주항공·오션·방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한화비전 · 한화정밀기계) | 한화시스템 | 한화오션
에너지·소재 한화솔루션 ( 한화임팩트 ( 한화토탈에너지스 · 한화엔진) | 여천NCC) | 한화에너지 | 한화모멘텀
금융 한화생명 ( 한화손해보험 ( 캐롯손해보험· 히어로손해사정) · 한화투자증권 · 한화자산운용 · 한화63시티) | 한화저축은행
서비스·레저 한화호텔앤드리조트 ( 한화푸드테크) | 한화커넥트 | 한화갤러리아 ( 타임월드 · 에프지코리아) · 한화로보틱스
북일학원 북일고등학교 | 북일여자고등학교
스포츠단 한화 이글스 | 한화생명e스포츠 ( 리그 오브 레전드) | 한화큐셀 골프단 | 한화갤러리아 승마단
행사 서울세계불꽃축제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방위산업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한화에어로스페이스 로고.svg 파일:한화에어로스페이스 로고 화이트.svg
파일:한화시스템 로고.svg 파일:한화시스템 로고 화이트.svg
파일:한화오션 CI.svg 파일:한화오션 CI_다크모드.svg
파일:한국항공우주산업 CI_세로.svg 파일:현대로템 CI.svg 파일:현대로템 CI 화이트.svg
파일:현대위아 로고.svg
파일:기아 로고.svg 파일:기아 로고 화이트.svg
파일:LIG넥스원 CI.svg 파일:LIG넥스원 로고 화이트.svg
파일:HD현대중공업 로고.svg 파일:HD현대중공업 로고 화이트.svg 파일:대한항공 항공우주사업본부 로고.svg 파일:대한항공 항공우주사업본부 로고 화이트.svg 파일:SNT모티브 CI.svg
파일:SNT다이내믹스 CI.png
파일:풍산그룹 CI.svg
※ 그룹 내 방산 계열사 시가총액 총합이 1조원 미만인 방위산업체는 문서 참고 }}}}}}}}}

한화시스템
Hanwha Systems
파일:한화시스템 로고.svg 파일:한화시스템 로고 화이트.svg
<colbgcolor=#f37321><colcolor=#fff> 정식 명칭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영문 명칭 Hanwha Systems Co., ltd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업종명 기타 전자부품 제조업
설립일 2000년 1월 11일
주소[1] 서울특별시 중구 청계천로 86, 14층 (장교동, 한화빌딩)
대표이사 어성철
기업 규모 대기업 ( 한화그룹)
직원 수 4,545명 (2023년 6월 기준)
상장 여부 상장기업[2]
시가총액 3조 3,892억원 (2024년 3월 8일)[3]
매출액 2조 1,880억 (2022년 기준)
링크 파일:한화시스템 로고.svg 파일:한화시스템 로고 화이트.svg 공식 홈페이지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페이스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유튜브

1. 개요2. 사업 내용
2.1. 방산 부문
2.1.1. 우주·항공2.1.2. 감시·정찰2.1.3. 지휘통제·통신·사이버2.1.4. 해양시스템2.1.5. 지상2.1.6. 통합체계지원
2.2. ICT 부문
2.2.1. 시스템 통합(SI)2.2.2. 운영서비스(ITO)2.2.3. Solution2.2.4. Digital Transformation
3. 상장4. 연혁
4.1. 1977~19894.2. 1990~19994.3. 2000~20104.4. 2011~현재
5. 지배구조6. 사업장7. 둘러보기8. 관련 링크
파일:hanwhasystems_hq.jpg 파일:hanwhasystems_pangyo.png 파일:hanwha_data_center.png
상법상 본점 건물( 경상북도 구미시) 판교테크노밸리에 있는 한화시스템 판교연구소 수지구 죽전동 디지털벨리로101에 있는 한화 IDC 데이터센터


1. 개요

한화시스템(Hanwha Systems)은 2000년 1월 11일 삼성톰슨CSF 주식회사로 설립된 한화그룹 방산업체 ICT 기업이다.

1977년 8월 1일 삼성정밀공업으로 설립, 1978년 1급 방산업체로 지정되며 방위산업을 시작하였고 1987년 2월 5일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로 사명이 변경되었다. 1991년 삼성전자로 사업이 이관되고, 1999년 프랑스 톰슨 CSF와 삼성전자간 JV 계약 체결로 삼성톰슨CSF 주식회사로 출범하였으며, 2001년 삼성탈레스로 사명이 변경되었다.

2015년 계열 변경되어 한화탈레스로 사명을 변경하였고, 2016년 10월 한화시스템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2018년 한화시스템과 한화S&C가 합병되어 2018년 통합법인 한화시스템으로 출범하였다.

한화시스템은 크게 방산 부문과 ICT 부문으로 나뉘어 있다. 방산 부문은 삼성 프랑스의 탈레스 그룹이[4] 합작하여 설립한 삼성탈레스가 전신이며, ICT 부문은 ㈜한화의 정보통신 부문에서 시작한 한화S&C가[5] 전신이다. 방산업체와 SW사가 한솥밥을 먹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며, 한화그룹 중에서는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기업문화를 가지고 있다고 평가받는다.

2019년 11월 13일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었다.

2. 사업 내용

방산업체와 IT업체가 통합되면서, 사업영역이 매우 넓어졌다. 방산 부문에서는 C4I, 방공, 합동전술을 담당하는 지휘통제체계부터 종합군수지원인 IPS에서 사용되고 있는 상당수의 시스템을 개발 및 납품하고 있다. ICT 부문에서는 한화그룹 IT사업을 전담하고 있으며, 금융, 제조, 건설, 서비스 등 다양한 영역에서 IT 서비스를 제공하며, 빅데이터, AI, 챗봇, 블록체인 등의 미래사업에도 투자하고 있다.

2018년 12월 군사정보통합처리체계(MIMS) 성능개량 사업을 수주 #했다.

2.1. 방산 부문

2.1.1. 우주·항공

2016년부터 국방과학연구소가 주관하는 한국형 전투기 AESA 레이다 개발에 참여했으며, 국내외에서 약 200소티 이상 시험 항공기(FTB, Flying Test Bed) 비행시험을 통해 항공기용 AESA 레이다 성능을 입증 받은 국내 유일한 기업이다. KF-21 AESA 레이다는 2023년 ‘잠정 전투용 적합’ 판정을 받아 2024년 최초 양산을 앞두고 있다.

최근에는 우주사업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키우기 위해 적극적인 투자에 나서고 있다. 한화그룹의 우주사업 전략 협의체인 스페이스허브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계열사.

2023년 12월 4일 14시, 국내 최초 '순수 우리 기술'로 개발한 민간주도의 상용 지구관측 위성 '소형 SAR 위성' 자체 발사에 성공했다. 소형 SAR 위성은 발사 후 4개월간 하루에 지구를 15바퀴씩 돌며 6회 가량 지상 기지국과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며, 지상 지형 정보 수집을 위한 시험운용을 진행 중이다.

2024년 4월 18일, ‘소형 SAR 위성’이 지구를 촬영한 사진을 공개했다.

2.1.2. 감시·정찰

해안 및 지상 감시용 감시장비인 TAS-815K TOD 3형을 개발하였다.

2019년 11월 4일 방위사업청 천마 PBL[6] 2차사업 계약을 맺었다. 사업 기간은 2019년 11월 1일부터 2024년 9월 30일로, 1258억원 규모이다. 천마 1차 사업에서 고장 복구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고 가동률을 대폭 상승한 성과를 거두어 5년간 사업을 성공적으로 완료한 전적이 있다.

2.1.3. 지휘통제·통신·사이버

2.1.4. 해양시스템

함정전투체계 개발능력과 성능개량 및 후속 군수지원 인프라까지 보유하고 있는 국내 유일한 기업이다.

2.1.5. 지상

2.1.6. 통합체계지원

방산업계 최초로 운영 유지 전담부서(MRO[7])부서를 신설, 운영하고 있다. 해군 함정 전투체계에 대한 수명주기 군수지원(LTS) 2차사업, K계열 전차용 사격통제장비 PBL 사업 등 3000억원 규모의 MRO 사업을 수행중이다.

2.2. ICT 부문

2.2.1. 시스템 통합(SI)

제조&건설
금융
서비스&레저

2.2.2. 운영서비스(ITO)

어플리케이션 운영 서비스
인프라 운영 서비스
클라우드 운영 서비스
시스템 운영 서비스

2.2.3. Solution

스마트빌딩 솔루션
보험코어 솔루션
MES 솔루션
차세대 ERP

2.2.4. Digital Transformation

블록체인
인공지능
클라우드
스마트 팩토리

3. 상장

2019년 11월 13일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었다.

4. 연혁

4.1. 1977~1989

1977 삼성정밀주식회사 설립
1978 1급 방산업체 지정(야간투시경 라이선스 생산)
1984 레이저 거리측정기 개발 및 양산
1986 한국형 전차 및 함정용 사격통제장비 양산
1987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로 사명 변경
1989 단거리 지대공 유도무기(천마)용 레이다 시제개발권 획득

4.2. 1990~1999

1990 차기 전술통신체계(MSC-500K) 선행시제 계약 체결
1991 삼성항공 특수사업부문 삼성전자로 사업 이관
1992 전술용 전자식 교환기 생산 / ㈜한화 정보팀 발족
1997 IFF Mode-4 성능개량 착수 / ㈜한화/정보 부문으로 독립
1998 방산업계 최초 ISO-9001 인증 획득 / 한화정보기술연구소 설립
1999 프랑스 톰슨CSF社와 삼성전자간 방위산업부문 JV계약 체결, 국방품질 경영시스템 인증 획득

4.3. 2000~2010

2000 IFF Mode 4 성능개량 사업 완료
2001 삼성탈레스 주식회사로 사명 변경 / ㈜한화/정보부문에서 한화S&C㈜로 분사
2003 대형상륙함 전투체계 개발 착수
2006 차기 호위함(FFX-I) 전투체계 개발 착수, 함정용 단거리 추적레이다 시험 개발 착수
2009 국내 최초 CMMI Level5(v1.2) 획득
2010 비호복합(사통장치) 개발 착수, 군 전술정보통신체계(TICN) 개발 착수

4.4. 2011~현재

2011 단거리 지대공 유도무기(천마)용 레이다 전력화 완료 / 한화그룹 통합데이터센터 개소
2015 한화탈레스로 사명 변경
2016 한화시스템으로 사명 변경, 한국형 전투기(KF-21) AESA레이다 시제 개발 착수
2017 국내 최초 국산 전투체계 해외 수주(필리핀 호위함 전투체계)
2018 통합법인 한화시스템 출범 (한화시스템과 한화S&C㈜ 합병)
2020 한국형 차기구축함(KDDX) 전투체계 및 다기능 레이다 사업 수주
2021 3600억원 규모 ‘군위성통신체계-II’ 망제어시스템 양산 계약 체결

5. 지배구조

2023년 4월 기준.
주주명 지분율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46.73%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한화에너지
12.80%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국민연금공단
5.99%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자사주
1.02%

6. 사업장

한화시스템에서 운영하고 있는 대한민국 내 사업장 위치는 다음과 같다.
  • 서울사업장: 서울특별시 중구 청계천로 86, 14층 (장교동, 한화빌딩)
  • 서울사업장(ICT 부문): 서울특별시 중구(서울) 을지로 100, 5층, 12~13층 (파인에비뉴A동)
  • IDC 데이터센터: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디지털벨리로 101 (죽전동)
  • 용인종합연구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읍 경기동로 491-23
  • 판교연구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 188, 2~13층 (삼평동)
  • 서현사업장: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황새울로 360번길 27, 3~5층
  • 대전사무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반석로 7, 6층 (반석동)
  • 구미사업장: 경상북도 구미시 1공단로 244 (공단동)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47a0><tablebgcolor=#0047a0> 파일:다누리 미션 패치.png 다누리
개발 참여 산업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본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본체
한화 추진시스템 제작
큐니온 통신분배장치 제작
아이원스 궤도선 상태정보 인터페이스 장치 제작 등
링스컴퓨터 시스템즈 시험용 장비(전기시험용 자세제어 시뮬레이터) 개발
KAI 구조체 시제작, 조립시험 지원 등
에이엠시스템 설계지원(도면제작) 등
티오엠에스 설계지원(설계모델 분석) 등
캠틱종합기술원 기계조립/검사용 장비 제작 등
AP위성 전장품(탑재컴퓨터 등) 개발, 시험장비 제작 등
JIT 전기시험 지원
솔탑 전기시험장비 제작 등
MTG 전기지상지원 장비 설계 및 제작
이이엠티 지상전기시험장비 제작
웨이브온 주파수 국제등록 기술지원
비엔씨텍 배터리 유지보수 장치 제작
모루기술 열 제어부 온도센서 제작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탑재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본체/탑재체
이엘엠 고해상도카메라 열 제어부, 정전기방지 스크린 제작 등
탑재체
i3Systems 고해상도카메라 전자모듈 개발
한화시스템 고해상도카메라 전원공급유닛 개발
데크항공 고해상도카메라 고안정구조체 개발
그린광학 고해상도카메라 렌즈모듈 개발
루미르 우주인터넷 탑재체 전자부 제작
(주)샛별 광시야월면편광카메라 광학계 제작
미래기술 광시야월면편광카메라 열해석
인공위성연구소 광시야월면편광카메라 전자부 제작
센서피아 자기장측정기 센서 제작
라컴텍 자기장측정기 CFRP 붐 제작
뉴케어 감마선분광기 전자부 제작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심우주지상시스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심우주지상시스템
SK브로드밴드 심우주지상안테나 제작
케이씨이아이 비행항법시스템 HW 개발
쎄트렉아이 비행항법시스템 SW 개발
한컴인스페이스 지상국운영 통합 소프트웨어 개발
비온디솔루션 해외와 연동가능한 통신지연 극복 장비 개발
제이아이티솔루션 달 궤도선 탑재 모듈 모사 SW 개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2단계 선행연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2단계 선행(로버/원자력전지)
스페이스솔루션 고성능 티타늄 연소관 개발을 위한 성형 및 용접공정 개발
현대로템 로버 구조 구동부 설계/제작
나노퓨어웍스 방사성동위원소 열원원료합성 공정설계
SE&T 저궤도시험용 원자력전지 시제품 제작 등
씨에스엔지니어링 ETG 구조체 및 복사열 차폐제 제작
에이스시스템즈 원자력전지 성능평가용 진공챔버 제작
}}}}}}}}} ||

8. 관련 링크

공식 웹사이트
한화시스템 유튜브
한화시스템 페이스북

[1] 상법 상 본점 주소는 경상북도 구미시 1공단로 244 (공단동)이다. [2] 2019년 11월 13일 상장, 관련기사 [3] 2024년 3월 8일 기준 상장주식수 188,919,389주, 종가 17,940원, 시가총액 코스피 102위 [4] 그리스의 철학자 겸 천문학자 탈레스에서 따온 이름이다. [5] S&C의 S는 Solution, C는 Consulting의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6] 무기체계 개발 단계에서 사업에 적합한 생산업체 선정, 개발, 배치, 운영, 유지 등 전 분야 혹은 일부분을 업체에 전담시키는 제도 [7] Maintenence, Repair, Overha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