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6 22:13:08

플래닛 주/DLC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플래닛 주
Welcome to the...
파일:플래닛 코스터 로고.png 파일:planet_zoo_logo_1.png
발매 전 정보 · 주요 시설 · 고용 임원 · 시나리오 · 전시 동물 ( 서식지 · 전시장 · DLC)
주요 시설 · 고용 임원 · 시나리오 · DLC

1. 개요2. 상세3. DLC 목록
3.1. 기본 팩
3.1.1. 북극 팩3.1.2. 남아메리카 팩3.1.3. 호주 팩3.1.4. 수생 팩3.1.5. 아프리카 팩3.1.6. 유럽 팩3.1.7. 보존 팩3.1.8. 황혼 팩3.1.9. 열대 팩3.1.10. 오세아니아 팩
3.2. 동물 팩
3.2.1. 동남아시아 동물 팩3.2.2. 북아메리카 동물 팩3.2.3. 습지 동물 팩3.2.4. 초원 동물 팩

1. 개요

플래닛 주 DLC를 정리한 문서.

2. 상세

'동물'이라는 수식어가 없는 기본 팩과 동물 팩의 2종류로 나뉜다. DLC 테마는 환경 또는 특정 지역으로 편성되지만 가끔씩 보존 팩, 황혼 팩처럼 멸종 위기 등급이나 활동 시간대를 테마로 잡는 경우도 있다. 전부 한국 가격 기준 10500원이지만, 새 DLC가 출시되면 기존 DLC들에 할인 이벤트를 실시하기는 한다.[1]

3. DLC 목록

3.1. 기본 팩

최대 5마리의 동물(서식지 4마리, 전시장 1마리[2])과 해당 테마에 맞춘 풍경 아이템 및 시나리오가 추가되는 DLC. 패키지 아트 배경에서 동물원 내부를 보여 주며, 이때 관람객 구역 쪽에 신규 풍경 아이템이 도드러지게 나타난다.

3.1.1. 북극 팩

파일:PlanetZoo DLC Arctic.jpg
북극 팩
발매일 2019 / 12 / 17
등장 동물 북극곰, 북극늑대, 순록, 돌산양
건축 테마 북극

플래닛 주의 첫 DLC. 북극곰 등 타이가 및 툰드라 지대에 서식하는 동물 4종을 추가로 키울 수 있게 되고, 북유럽의 스칸디나비아 건축과 크리스마스를 모티브로 하는 건축 테마의 200종류 이상의 풍경 아이템과 본편 스토리 이후의 시점을 다루는 2개의 커리어 모드 시나리오가 추가된다.

겨울 및 크리스마스 분위기로 꾸미는 것이 가능한 DLC지만 북극곰만을 보고 산다면 비추천하는데, 플래닛 주에 등장하는 동물 중 북극곰이 가장 넓은 서식지를 요구하기[3] 때문이다. 처음 북극 팩이 출시되었을 때 북극곰의 적정 서식지 면적이 육지는 12000m², 물가는 4000m²로 모든 동물들의 끝판왕급으로 나오자 이에 관련한 유저들의 질문에 제작진은 의도했다는 식의 답변을 내기도 했다. 이후 제작진도 너무 과했다 싶었는지 너프가 이루어지긴 했지만 지금도 북극곰은 단일 동물 서식지 면적 1위를 차지하고 있다.

3.1.2. 남아메리카 팩

파일:PlanetZoo DLC South America.jpg
남아메리카 팩
발매일 2020 / 4 / 7
등장 동물 재규어, 라마, 흰머리카푸친원숭이, 큰개미핥기(서식지)
빨간눈청개구리(전시장)
건축 테마 남아메리카
재규어 등 남미에서 사는 동물 5종을 추가로 키울 수 있게 되고, 남미 원주민들의 집과 엘도라도, 잉카 제국 등이 모티브인 건축 테마의 250종류 이상의 풍경 아이템이 추가된다. 마땅히 추가되는 시나리오는 없다.

3.1.3. 호주 팩

파일:PlanetZoo DLC Australia.jpg
호주 팩
발매일 2020 / 8 / 25
등장 동물 코알라, 붉은캥거루, 딩고, 화식조(서식지)
푸른혀도마뱀(전시장)
건축 테마 호주
코알라나 붉은캥거루 등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사는 동물 5종을 추가로 키울 수 있게 되고, 호주 어보리진의 예술품과 현대 호주풍의 스크랩 아트가 합쳐진 건축 테마의 230종류 이상의 풍경 아이템이 추가된다. 해당 DLC부터 시작하여 보존 팩에 이르기까지 플래닛 주 DLC에 추가되는 시나리오로 시간제 시나리오가 하나씩 추가된다.

3.1.4. 수생 팩

파일:PlanetZoo DLC Aquatic.jpg
수생 팩
발매일 2020 / 12 / 8
등장 동물 임금펭귄, 회색물범, 큰수달, 난쟁이카이만(서식지)
다이아몬드거북(전시장)
건축 테마 수생
임금펭귄을 비롯하여 깊은 물 속에서 수영을 할 수 있는 5종의 동물을 추가로 키울 수 있게 되고, 1개의 시간제 시나리오와 미국 뉴잉글랜드 해안풍 건축 테마의 170종류 이상의 풍경 아이템이 추가된다.

해당 DLC에서 추가된 수생 바위가 동굴이나 절벽 등 바위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상황에 응용할 수 있어 건축을 즐기는 유저들에게 호평을 받고 있지만, 우리 내에 깊은 수심을 요구하는 동물들이 추가된지라 호수의 수심이나 면적 등 서식지를 만들 때 신경써야하는 일이 한두가지가 아니어서 어느 정도 서식지를 만드는 것과 지형 편집에 자신있지 않으면 DLC에서 나오는 콘텐츠를 즐기기 조금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어느 정도 게임에 적응을 한 다음에 구매하는 것을 추천.

3.1.5. 아프리카 팩

파일:PlanetZoo DLC Africa.jpg
아프리카 팩
발매일 2021 / 6 / 22
등장 동물 미어캣, 페넥여우, 남부흰코뿔소, 아프리카펭귄(서식지)
왕쇠똥구리(전시장)
건축 테마 북아프리카
미어캣, 남부흰코뿔소를 포함한 5가지의 아프리카 동물들을 키울 수 있게 되고 1개의 시간제 시나리오와 아프리카풍 건축 테마의 180종류의 풍경 아이템도 추가된다. 해당 DLC에 추가되는 테마가 '북'아프리카이거나, 추가로 나오는 동물들이 대부분 사막 지역에 서식하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듯이 해당 DLC의 테마는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아프리카의 이미지보다는 이집트 쪽에 훨씬 더 가깝다.[4]

3.1.6. 유럽 팩

파일:PlanetZoo DLC Europe.jpg
유럽 팩
발매일 2021 / 12 / 14
등장 동물 스라소니, 알파인아이벡스, 다마사슴, 유럽오소리(서식지)
불도롱뇽(전시장)
건축 테마 유럽
스라소니를 비롯해 유럽에서 서식하는 5가지의 동물들과 서유럽에서 이탈리아 베네치아까지 유럽의 여러 이미지가 담긴 250종류의 풍경 아이템, 1개의 시간제 시나리오가 추가된다. 일일이 꾸며야 했던 기존의 손님 생성기를 관광버스와 페리로 간편하게 대체할 수 있고, 새로 추가되는 유럽 테마가 기존의 클래식 테마와 호환이 되기 때문에 수생 팩과 함께 건축 매니아들 사이에서 호평을 받는 DLC이기도 하다.

3.1.7. 보존 팩

파일:PlanetZoo DLC Conservation.jpg
보존 팩
발매일 2022 / 6 / 21
등장 동물 프르제발스키말, 아무르표범, 큰긴팔원숭이, 긴칼뿔오릭스(서식지)
아홀로틀(전시장)
건축 테마 보존
플래닛 주 최초로 특정한 지역이나 환경이 아닌 멸종 위기를 테마로 한 DLC. 이 때문에 추가로 키울 수 있는 동물 5종도 모두 프르제발스키말이나 긴칼뿔오릭스 등 심각한 멸종위기에 처해 있거나 이미 야생에서 멸종한 동물들 뿐이다. 또한 대한민국에선 멸종한 아무르 표범도 이 DLC에 추가되어있다. 이외에도 자급자족을 테마로 하는 150종의 풍경 아이템과 새로운 시간제 시나리오가 추가된다.

추가되는 풍경 아이템 중 해바라기, 물뿌리개, 플라스틱 박스 등 실제 동물원을 꾸미는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아이템이 많기 때문에 수생 팩과 유럽 팩을 이어 건축 매니아들에게 큰 호평을 받았다.

3.1.8. 황혼 팩

파일:PlanetZoo DLC Twilight.jpg
황혼 팩
발매일 2022 / 10 / 18
등장 동물 아메리카너구리, 붉은여우, 애기웜뱃, 줄무늬스컹크(서식지)
이집트과일박쥐(전시장)
건축 테마 황혼
동남아시아 동물 팩의 출시로부터 시작된 동물 팩과 건축 팩이 번갈아 나온다는 법칙을 깨고 간만에 나온 건축 팩 DLC. 출시되는 날짜가 할로윈 시즌이다 보니 트레일러에 나온 풍경 아이템들도 루마니아풍의 고딕 양식을 모티브로 하여 드라큘라를 연상시키는 느낌이 강하며, 추가로 키울 수 있는 동물 5종도 모두 라쿤이나 붉은여우 등 새벽과 황혼에만 활동하는 박명박모성 동물들이다. 북극 팩 이후로 간만에 커리어 모드 시나리오가 등장한다는 것도 특징이다.[5]

이번 DLC에서 눈에 띄는 점은 바로 박쥐. 포유류나 조류는 전시장 동물로 구현되어 나오지 않는다는 제작진의 언급을 깨고, 기존의 전시장의 크기의 30배에 달하는 관람 전시장에 키울 수 있는 동물로 등장함으로서 많은 유저들의 환호를 받았다. 추가로 관람 전시장의 등장과 함께 앞으로 앵무새나 황금사자타마린 등 기존의 서식지나 전시장에서 키우기 힘들 것으로 보였던 동물들이 플래닛 주에 등장하게 될 가능성이 열렸다.

3.1.9. 열대 팩

파일:PlanetZoo DLC Tropical.jpg
열대 팩
발매일 2023 / 4 / 4
등장 동물 흰손긴팔원숭이, 포사, 덤불멧돼지, 물왕도마뱀(서식지)
갈색목세발가락나무늘보(전시장)
건축 테마 인도네시아
북극 팩 이후로 간만에 첫 타자로 출시되는 건축 팩 DLC. 흰손긴팔원숭이나 포사 등 세계 각국의 열대 지역에서 서식하는 5종류의 동물들과 약 200종류의 풍경 아이템, 1개의 커리어 시나리오가 추가된다. 전체적인 건축 테마는 동남아시아, 그 중에서도 인도네시아를 모티브로 삼았다.

인도네시아풍 건축 아이템이나 포사의 등장은 대체로 환영하는 분위기이지만 전시장 동물로 나무늘보가 선정된 것은 호불호가 갈리는 편인데, 아무리 나무늘보가 움직임이 거의 없는 동물이라고 해도 비슷한 포지션인 코알라와 달리 전시장 동물로 등장하는 것에는 불호를 표하는 의견이 많은데다가[6] 앵무새나 큰부리새 등 관람 전시장에 등장할 동물로 열대 새들을 기대하는 유저들에게 적잖은 실망감을 준 점이 그 이유로 손꼽힌다.

3.1.10. 오세아니아 팩

파일:PlanetZoo DLC Oceania.jpg
오세아니아 팩
발매일 2023 / 9 / 19
등장 동물 북섬갈색키위, 태즈메이니아데빌, 쇠푸른펭귄, 쿼카(서식지)
안경날여우박쥐(전시장)
건축 테마 폴리네시아
호주 팩과 마찬가지로 오세아니아 지역에 사는 동물들을 주제로 하는 DLC. 호주 팩이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에 서식하는 동물들을 주제로 하였다면, 이번 팩은 뉴질랜드나 태즈메이니아, 로트네스트 섬 등 호주 이외에도 다양한 지역에 서식하는 5종의 동물들이 나온다. 건축 테마도 어보리진과 고철 아트 등을 주제로 한 호주 팩과는 달리 폴리네시아풍을 띄고 있어 마치 하와이와 비슷한 느낌을 주기도 한다. 추가로 1개의 커리어 시나리오가 추가된다.[7]

3.2. 동물 팩

말 그대로 동물과 시나리오만 추가되는 팩. 기본 팩과 달리 추가 동물의 수는 때마다 다르지만 대충 8종류 내외다[8]. 패키지 아트 배경이 단색 그라데이션으로 처리된 야생동물의 서식지로 그려진다.

3.2.1. 동남아시아 동물 팩

파일:PlanetZoo DLC Southeast Asia.jpg
동남아시아 동물 팩
발매일 2021 / 3 / 30
등장 동물 말레이곰, 구름표범, 말레이맥, 코주부원숭이, 북술라웨시바비루사, 빈투롱, 승냥이(서식지)
큰나뭇잎벌레(전시장)
플래닛 주 최초의 동물 팩. 동남아시아에서 서식하는 말레이곰을 비롯해 총 8마리의 동물들을 추가로 키울 수 있게 되고 1개의 시간제 시나리오가 추가된다. 대신 서식지 아이템을 제외한 풍경 아이템은 추가되지 않기에 동물원을 꾸미는 걸 좋아하는 유저들은 아쉬워할 만 할 부분.

3.2.2. 북아메리카 동물 팩

파일:PlanetZoo DLC North America.jpg
북아메리카 동물 팩
발매일 2021 / 10 / 4
등장 동물 북아메리카비버, 말코손바닥사슴, 쿠거, 캘리포니아바다사자, 북극여우, 검은꼬리프레리도그, 아메리카앨리게이터(서식지)
황소개구리(전시장)
북아메리카비버, 말코손바닥사슴 등 북아메리카에서 서식하는 8종류의 동물이 추가로 나오며, 동남아시아 팩처럼 동물들과 서식지 아이템, 시간제 시나리오만 추가된다.

3.2.3. 습지 동물 팩

파일:PlanetZoo DLC Wetlands.jpg
습지 동물 팩
발매일 2022 / 4 / 12
등장 동물 카피바라, 오리너구리, 아시아물소, 나일리추에, 작은발톱수달, 두루미, 안경카이만(서식지)
다뉴브빗영원(전시장)
플래닛 주 유저들이 게임 내 DLC로 출시되기를 원했던 동물 순위 중 1위를 차지한 카피바라를 비롯해 습지에 서식하는 8종의 동물들과 1개의 시간제 시나리오가 추가된다. 해당 DLC에 나오는 동물들 중 일부는 기본 팩 및 타 DLC에 나오는 동물들과도 합사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단독으로 구입하기보단 남아메리카 팩, 열대 팩 및 동남아시아 동물 팩과 함께 구입하는 것을 추천한다.

3.2.4. 초원 동물 팩

파일:PlanetZoo DLC Grasslands.jpg
초원 동물 팩
발매일 2022 / 12 / 13
등장 동물 아홉띠아르마딜로, 갈기늑대, 에뮤, 검은꼬리누, 붉은목왈라비, 줄무늬하이에나, 카라칼(서식지)
구름유황나비, 공작나비, 메넬라우스모르포나비, 제왕나비, 산호랑나비(전시장)
간만에 출시되는 동물 팩. 아홉띠아르마딜로와 같이 초원에 서식하는 7종의 서식지 동물들과 5종의 나비, 1개의 커리어 시나리오가 추가된다. 지금까지의 동물 팩 중에서 총 12종의 동물이라는 가장 많은 수의 동물들을 추가하며, 5종의 나비는 하나의 관람 전시장에 서로 합사할 수 있다.


파일:PlanetZoo DLC Arid.jpg
건조 동물 팩
발매일 2023 / 6 / 20
등장 동물 단봉낙타, 아닥스, 다마가젤, 아프리카갈기호저, 검은코뿔소, 모래고양이, 소말리아야생당나귀(서식지)
사막뿔살무사(전시장)
사막같이 덥고 건조한 지역에서 서식하는 동물들을 주제로 다루는 DLC. 세계 각국의 열대우림을 주 테마로 삼은 열대 팩과는 달리 해당 동물 팩에 등장하는 8종의 동물들은 모두 단봉낙타와 같이 전원 아프리카의 건조 지대에서 서식하는 동물들 뿐이다. 보존 팩 이후 간만에 일반 전시장 동물이 등장하며 추가로 1개의 커리어 시나리오가 추가된다. 추가된 동물이 전부 아프리카에 주로 서식하는 동물들이기 때문에 불만을 제기하는 사람들도 있는 모양.[9][10]
파일:PlanetZoo DLC Eurasia.jpg
유라시아 동물 팩
발매일 2023 / 12 / 13
등장 동물 유럽들소, 멧돼지, 울버린, 혹고니, 타킨, 사이가산양, 느림보곰(서식지)
헤르만거북(전시장)
유라시아 지역의 여러 기후에서 서식하는 동물들을 주제로 다루는 DLC. 새로운 모션을 가진 조류 혹고니가 유저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트레일러 음악은 첫 부분과 마지막 부분을 빼면 동남아시아 동물 팩 트레일러 음악과 거의 비슷하다.[11]
파일:PlanetZoo DLC Barnyard.jpg
동물 농장 동물 팩
발매일 2024 / 4 / 30
등장 동물 서식스 닭, 하이랜드 소, 알파인 염소, 알파카, 아메리카 일반 당나귀, 힐 래드너 양, 탬워스 돼지
건축 테마 시골풍
플래닛 주 최초로 건축 테마를 갖춘 동물 팩. 이 때문인지 닭의 뒤편에 농장 건물이 그려져 있지만, 배경은 다른 동물 팩처럼 그라데이션으로 처리되어 있다.

서식스 닭을 비롯한 가축 7종을 추가로 키울 수 있게 되며, 60종류의 풍경 아이템, 1개의 커리어 시나리오가 추가된다. 대신 북극 팩 이후 간만에 전시장 동물이 등장하지 않는다. 농장이 중심이지만 게임의 테마가 동물 보존이라서 그런지, 등장하는 가축들 중에서는 멸종 위기에 처했거나 처한 이력이 있는 품종이 대다수이다.


[1] 최초로 출시된 DLC인 북극 팩의 경우 거의 반값 이하로 구매할 수 있다. [2] 단, 북극 팩은 서식지 동물 4마리만 출시되었다. [3] 2위인 아프리카코끼리만 해도 1마리당 요구로 하는 육지 면적이 2151m², 물가 면적은 148m²인데 반해, 북극곰은 1마리당 요구로 하는 육지 면적 3250m²에 달해 플래닛 주의 모든 동물들을 통들어 가장 넓은 범위의 육지 면적을 요구할 뿐더러 물가 면적은 720m²로 하마에 이어 2위로 많은 범위를 요구한다. 이는 예전 물가 면적인 4000m²나 되는 어마어마한 넓이이다. 물론 아프리카코끼리는 하나의 우리 당 최소 3마리는 넣어야 하기 때문에 최소 무리 규모를 기준으로 하면 실질적인 서식지 면적은 아프리카코끼리가 더 클 수도 있지만, 북극곰은 짝이 들어오거나 새끼를 낳는 등 새로운 개체가 추가로 들어올 때마다 요구 범위가 650m² 정도 더 늘어나기 때문에 북극곰 서식지를 지을 때는 계산을 잘 해야 한다. [4] 정작 미어캣과 아프리카펭귄, 남부흰코뿔소는 남아프리카에 서식하는 동물이다. [5] 다만 황혼 팩부터는 커리어 시나리오에서 등장인물들이 성우를 고용해 플레이어와 직접 대화를 나누는 대신 편지 시스템을 통해 해야 하는 일이나 근황 등을 글로 띄우는 식으로 간접적으로만 대화를 나눈다. 아무래도 본편 출시까지의 텀이 짧아 성우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었던 북극 팩과는 달리 출시 텀이 너무 길어 성우를 고용할 여유가 없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6] 특히 새끼 동물의 모델링이 따로 존재하지 않는 전시장 동물의 특성상 새끼 나무늘보의 모델링이 없다는 것에 대한 불만이 컸다. [7] 여담으로 오세아니아 팩 출시전 라이브에서 안경날여우박쥐의 힌트를 로리키트의 힌트로 아는 사람들도 있었다. [8] 초원 동물 팩에서는 전시장 동물로 나비가 5종이나 나와 총 12종이 추가되었다. 한편 농장 동물 팩에서는 풍경 아이템이 추가되는 대신 아예 추가되는 전시장 동물이 없어 7종의 서식지 동물만이 추가되었다. [9] 아프리카 대륙이 아닌 다른 대륙의 사막에서만 서식하는 동물들이 이상하게 단 한 마리도 등장하지 않았다. 심지어 전시장 동물마저도. [10] 또한 많은 유저들이 뱀잡이수리가 추가될것이라며 기대했지만 결국 뱀잡이수리는 추가되지 못했고,농장 동물 팩이 추가된 현재까지도 뱀잡이수리는 유저가 바라는 동물 1위를 차지하고있다. [11] 여담으로 유라시아 동물 팩 출시전 라이브 당시 유라시아 팩이라는 것이 공개되지 않았었기에 느림보곰의 힌트를 작은개미핥기의 힌트로 아는 사람들도 있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3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39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