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26 09:33:35

키브롱 만 해전


7년 전쟁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ABCDED,#0E0F37>전쟁 교전세력
교전세력
네세시티 요새 전투
,1754년 7월 4일,
프랑스 식민지 군 영국 민병대
머농거힐라 전투
,1755년 7월 9일,
프랑스 영국
조지 호수 전투
,1755년 9월 8일,
영국 프랑스
메노르카 해전
,1756년 5월 20일,
프랑스 영국
로보지츠 전투
,1756년 10월 1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캘커타 전투
,1757년 2월 4일,
영국 벵골
라이헨베르크 전투
,1757년 4월 21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프라하 전투
,1757년 5월 6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콜린 전투
,1757년 6월 18일,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플라시 전투
,1757년 6월 23일,
영국-벵골국 프랑스
하스텐베크 전투
,1757년 7월 26일,
프랑스 영국- 프로이센
그로스예거스도르프 전투
,1757년 8월 30일,
러시아 프로이센
모이 전투
,1757년 9월 30일,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카프-프랑수아 해전
,1757년 10월 21일,
프랑스 (무승부) 영국 (무승부)
로스바흐 전투
,1757년 11월 5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브레슬라우 전투
,1757년 11월 22일,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로이텐 전투
,1757년 12월 5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쿠달로르 해전
,1758년 4월 29일,
프랑스 영국
루이스버그 전투
,1758년 6월 8일,
영국 프랑스
크레펠트 전투
,1758년 6월 23일,
영국-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프랑스
돔슈테트 공습
,1758년 6월 30일,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카리용 요새 전투
,1758년 7월 8일,
프랑스 영국
잔더스하우젠 전투
,1758년 7월 23일,
프랑스 헤센
네가파탐 해전
,1758년 8월 3일,
영국 프랑스
미어 전투
,1758년 8월 5일,
프랑스 영국-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조른도르프 전투
,1758년 8월 25일,
프로이센 (무승부) 러시아 (무승부)
생 카스 전투
,1758년 9월 11일,
프랑스 영국
토르노프 전투
,1758년 9월 26일,
프로이센 스웨덴
페흐벨린 전투
,1758년 9월 28일,
스웨덴 프로이센
1차 루텐베르크 전투
,1758년 10월 10일,
프랑스 영국-하노버
호크키르히 전투
,1758년 10월 14일,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구스토우 전투
,1758년 11월 18일,
프로이센 스웨덴
베르겐 전투
,1759년 4월 13일,
프랑스 영국-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카이 전투
,1759년 7월 23일,
러시아 프로이센
보포르 전투
,1759년 7월 31일,
프랑스 영국
민덴 전투
,1759년 8월 1일,
프로이센-하노버 프랑스-작센
쿠너스도르프 전투
,1759년 8월 12일,
오스트리아- 러시아 프로이센
라구스 해전
,1759년 8월 18일,
영국 프랑스
조라우 전투
,1759년 9월 2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지나 전투
,1759년 9월 8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프리셰스 하프 해전
,1759년 9월 10일,
스웨덴 프로이센
퐁디셰리 해전
,1759년 9월 10일,
영국 프랑스
아브라함 평원 전투
,1759년 9월 13일,
영국 프랑스
코르비츠 전투
,1759년 9월 21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호이어스베르다 전투
,1759년 9월 25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막센 전투
,1759년 11월 20일,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키브롱 만 해전
,1759년 11월 20일,
프로이센 스웨덴
풀다 전투
,1759년 11월 30일,
영국-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뷔르템베르크
마이센 전투
,1759년 12월 3일,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완디와슈 전투
,1760년 1월 22일,
영국 프랑스
생트푸아 전투
,1760년 4월 28일,
영국 프랑스
란트슈트 전투
,1760년 6월 23일,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코르바흐 전투
,1760년 7월 10일,
프랑스 영국-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엠스도르프 전투
,1760년 7월 16일,
영국-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프랑스
바르부르크 전투
,1760년 7월 31일,
영국-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프랑스
리그니츠 전투
,1760년 8월 15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스트레일라 전투
,1760년 8월 20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클로스터 캄펜 전투
,1760년 10월 16일,
프랑스 영국- 프로이센-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토르가우 전투
,1760년 11월 3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랑엔잘차 전투
,1761년 2월 15일,
프로이센-하노버 프랑스-작센
그륀베르크 전투
,1761년 3월 21일,
프랑스 프로이센-하노버
빌링하우젠 전투
,1761년 7월 16일,
영국- 프로이센-하노버 프랑스
되벨른 전투
,1762년 5월 12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빌헴스타흘 전투
,1762년 6월 24일,
영국- 프로이센-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프랑스
부르케르스도르프 전투
,1762년 7월 21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2차 루텐베르크 전투
,1762년 7월 23일,
영국-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프랑스-작센
라이헨바흐 전투
,1762년 8월 16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프라이베르크 전투
,1762년 10월 29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 ||

파일:Quibcardinaux2.jpg

1. 개요2. 배경3. 양측의 전력
3.1. 영국 해군3.2. 프랑스 해군
4. 전투 경과5. 결과

1. 개요

7년 전쟁 시기인 1759년 11월 20일 프랑스 키브롱 만 앞바다에서 영국 해군과 프랑스 해군이 맞붙은 전투. 통합 40여 척이 맞붙은 대규모 해전이었으며, 프랑스는 이 해전에서 참패한 후 영국 침공 계획을 포기한다.

2. 배경

1759년, 프랑스는 영국 침략 작전을 계획했다. 이 계획에 동원된 함대 중 주력은 브리타뉴에 집결한 콩테 드 콩플랑 후작의 함대와 툴롱에 집결한 장 프랑수아 드 라 크루 제독의 함대였다. 두 함대는 브리타뉴에서 합류해 아일랜드 침공 작전을 감행할 예정이었으나 8월 18일 라구스 해전에서 영국군에게 습격받은 크루 제독의 함대는 궤멸했다. 이로 인해 아일랜드 침공 작전은 지연되었으나, 프랑스는 여전히 이 작전을 포기하지 않고 브레스트 항구에 콩플랑 후작의 함대를 주둔시키고 때를 기다렸다. 에드워드 호크 제독이 이끄는 영국 함대는 이들을 막기 위해 브레스트 항구를 봉쇄했으나 11월 9일 격렬한 강풍이 일자 어쩔 수 없이 더프 장군의 소규모 함대를 제외한 나머지 함대를 토베이로 피신했다.

11월 14일 오전 11시, 기회를 포착한 콩플랑 후작은 브레스트에서 바다로 나와 각각 7척의 배로 편성된 3개의 전대를 반느로 이동시켰다. 쉬발리에 드 보프르몽 제독이 선봉을 지휘했고 콩클랑은 본 함대를 이끌었으며 후위대는 드 생 앙드레 뒤 베르제 제독의 지휘를 받았다. 그들은 자신들을 가로막는 더프의 소규모 영국 함대를 격파한 후 프랑스군 약 17,000명을 아일랜드로 호송하고자 했다. 같은날 호크 제독은 토베이에서 출격했다가 프랑스의 대규모 함대가 브레스트에서 출항했다는 소식을 접했다. 이에 그는 급히 그들을 추격했고 11월 20일 마침내 키브롱 만에서 콩클랑의 프랑스 함대를 따라잡았다. 이리하여 양측 도합 40여 척에 달하는 7년 전쟁 사상 최대의 해전의 막이 올랐다.

3. 양측의 전력

3.1. 영국 해군

3.2. 프랑스 해군

  • 사령관: 콩테 드 콩플랑 후작
  • 병력: 전열함 21척, 프리깃함 4척

4. 전투 경과

11월 20일 이른 아침, 더프 장군은 선두의 나이팅게일 호로부터 브레스트의 프랑스 대규모 함대가 해역에 투입되었다는 신호가 담긴 예포가 쏘아올려지는 걸 확인했다. 그는 자신에게 닥친 위험을 즉시 깨닫고 휘하 함선들에게 철수 신호를 보냈다. 몇분 후, 그들은 즉시 밧줄을 절단하고 벨레 섬의 북쪽 끝을 따라 바다로 퇴각하려 했지만 풍향이 바뀌면서 벨리쿠스 호[1]를 제외한 나머지 함선들은 그 쪽으로 탈출할 수 없었다. 이에 더프 장군은 섬의 남쪽 끝으로 도망치려 했다. 프랑스 함대는 그들을 목격해 곧바로 추격에 나섰다. 그때 채텀 호의 주탑 야드에서 한 선원이 돛대 행렬을 발견하고 아군 함대를 발견했다고 외쳤다. 이에 더프 장군은 즉시 방향을 돌려 적을 공격하라고 명령했다. 프랑스 해병들은 적이 갑자기 방향을 전환해 자신들을 향해 접근해오자 어리둥절해 했다. 그러다가 콩클랑 후작은 그 의미를 깨닫고 전 함대에 적의 본 함대가 도착했음을 알렸다.

오전 8시 30분, 호크 제독 휘하 함대의 선두에서 전방을 살펴보고 있던 마이드스톤 호는 벨레 섬과 프랑스 본토 사이에서 북쪽으로 향하는 함대를 목격했다고 신호했다. 그리고 오전 9시 45분, 마그나님 호는 이 목격된 함대가 바로 프랑스 함대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호크 제독은 즉시 휘하 함대에서 전투 대형을 형성하라는 신호를 보낸 후 적과 가장 가까운 7척의 함대에게 적을 향해 항해하라는 지시를 내린 뒤 그 뒤를 따랐다. 한편 프랑스 해군은 대규모 영국 함대의 갑작스런 출현에 당황해 급히 전투 대형을 형성하려 노력했다. 영국 함대는 그 사이 서풍을 따라 매우 빠르게 접근했다. 이때 콩클랑 후작은 갑자기 전투를 포기하고 전 함대에게 퇴각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그는 프랑스 해안과 가까운 곳에서 전투를 벌였다간 암초에 걸릴 확률이 매우 높으니 차라리 안전한 항구로 피신하는 게 낫다고 판단했다. 또한 그는 폭풍우가 몰아치는 날씨에서 해전을 벌이는 건 부적절한 만큼 영국 함대도 굳이 위험을 감수해가며 프랑스 해군을 추격하진 않을 거라고 여겼다.

이에 따라 프랑스 해군은 콩클랑 후작의 지휘하에 19km 거리에 있는 육지를 향해 후퇴했다. 그러나 영국 함대는 예상과는 달리 그들을 맹렬하게 추격했다. 이에 오후 2시 프랑스 후위 함대가 영국 선두 함대를 향해 발포하기 시작했지만 워스프리트 호와 도르세샤이어 호는 아랑곳하지 않고 적의 배후에 근접했다. 이후 오후 2시 30분, 호크 제독은 전군에 전군 신호를 보냈다. 이에 리벤지, 마그나님, 토베이, 몬터규, 레졸루션, 스위프트슈어, 그리고 디펜스 호가 프랑스 후방 함대를 습격했다. 프랑스 해군 후방 함대 소속의 마니피크 호는 1시간 동안 이들과 교전했다가 막대한 손실을 입고 패주했다. 뒤이어 베르제 제독의 기함 포미더블 호는 레졸루션 호의 공격을 받았고, 뒤이어 자신을 지나는 모든 영국 선박으로부터 포격 한 두 차례를 받았다.

오후 3시 30분경, 콩클랑 후작은 후방 함대가 궤멸 직전 상태까지 몰리자 마침내 방향을 돌려 적과 임전할 태세를 갖췄다. 그러나 오후 4시경, 포미더블 호는 무력화되었고 베르제 제독을 비롯한 200명 이상의 병사들이 전사한 뒤 레졸루션 호에게 포획되었다. 그 사이 영국 후방 함대가 전장에 뛰어들었다. 테제 호는 마그나님 호와 치열한 포격전을 벌이다가 토베이 호에게 급습당한 직후 하층 포문이 침수되는 바람에 가라앉았다. 테제 호에 탑승했다가 물에 빠진 인원 중 20명은 구제되었으나 나머지 800명은 실종되었다. 한편 토베이 호 역시 침수되어 테제 호와 비슷한 운명에 처하는 듯 했지만 케펠 대위가 제때 포문을 봉쇄한 덕분에 위기에서 벗어났다.

당시 폭풍우가 몰아치고 어둠이 깔린 상황이었기 때문에 전장은 혼란 그 자체였다. 그 와중에 마그나님 호는 프랑스 함선 에로 호가 워스플리트 호와 몬타규 호에게 공격당한 후 전투불능 상태에 빠진 걸 발견한 후 에로 호에게 접근했다. 에로 호는 적이 다가오자 전의를 상실하고 항복했다. 이후 날씨가 더욱 악화되자 오후 5시 15분에 전투가 중단되었고 프랑스 함대는 분열되어 일부 함대는 남쪽으로 도주했고 일부는 북쪽으로 도주했다. 호크 제독은 날씨가 나쁘니 도망치는 적을 추격하는 건 무익하다고 판단하고 전 함대에 철수 신호를 보냈다. 그러나 호크 제독의 신호는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고 영국 함대의 많은 배들은 그의 명령을 전달받지 못한 채 적을 추격했다. 그러다가 비로소 명령을 전달받은 그들은 철수했지만, 그 와중에 레졸루션 호는 폭풍우에 휩쓸려 난파되었고 레졸루션 호에게 포획된 에로 호 역시 뒤따라 난파했다.

한편 프랑스 함대는 로슈보르와 빌렌으로 탈출했지만 콩플랑 후작이 타고 있는 솔레이유 로얄은 하필이면 영국 함대의 바로 한 가운데 지점에 정박했다. 그러다가 11월 21일 아침 자신의 처지를 알게 된 솔레이유 로얄은 슬그머니 빠져나오려다 영국 함대에게 적발되었다. 호크 제독은 즉시 에섹스 호에게 이를 추격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그러나 에섹스 호는 도중에 암초에 걸려 난파되었고 솔레이유 로얄은 육지에 좌초된 후 프랑스 병사들에 의해 불태워졌다. 이렇게 해서 키브롱 만 해전은 막을 내렸다.

5. 결과

프랑스 해군은 키브롱 만 해전에서 참혹한 피해를 입었다. 6척의 전열함이 난파 또는 파괴되었고 1척이 나포되었으며 2,500명이 전사하거나 익사했다. 그리고 빠져나온 함선들 중 쥐스트 호는 난파되었고 앙블렉시블 호는 항해 불가 판정을 받고 해체되었다. 반면 영국 함대는 전열함 2척이 난파되는 정도에 그쳤고 전사자는 50명, 부상자는 250명이었다. 이렇게 해서 프랑스 함대는 괴멸되었고 전쟁이 끝날 때까지 재건되지 못했다. 프랑스는 이제 영국 침공 작전을 완전히 취소해야 했으며 북미 신대륙과 인도 식민지에 대한 물자, 병력 지원을 제대로 할 수 없어서 두 대륙에서의 영향력이 영국에게 일소되는 걸 지켜봐야 했다. 게다가 영국 해군이 프랑스의 해양 무역을 완전히 차단하는 걸 막을수 없었고, 이로 인해 국내 경제는 매우 피폐해졌으며 정부는 막대한 빚을 갚을 여력을 상실했다.
[1] 이 배는 키브롱 만 전투 후 사흘 만에야 다시 합류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