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16 22:32:28

되벨른 전투


7년 전쟁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ABCDED,#0E0F37>전쟁 교전세력
교전세력
네세시티 요새 전투
,1754년 7월 4일,
프랑스 식민지 군 영국 민병대
머농거힐라 전투
,1755년 7월 9일,
프랑스 영국
조지 호수 전투
,1755년 9월 8일,
영국 프랑스
메노르카 해전
,1756년 5월 20일,
프랑스 영국
로보지츠 전투
,1756년 10월 1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캘커타 전투
,1757년 2월 4일,
영국 벵골
라이헨베르크 전투
,1757년 4월 21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프라하 전투
,1757년 5월 6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콜린 전투
,1757년 6월 18일,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플라시 전투
,1757년 6월 23일,
영국-벵골국 프랑스
하스텐베크 전투
,1757년 7월 26일,
프랑스 영국- 프로이센
그로스예거스도르프 전투
,1757년 8월 30일,
러시아 프로이센
모이 전투
,1757년 9월 30일,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카프-프랑수아 해전
,1757년 10월 21일,
프랑스 (무승부) 영국 (무승부)
로스바흐 전투
,1757년 11월 5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브레슬라우 전투
,1757년 11월 22일,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로이텐 전투
,1757년 12월 5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쿠달로르 해전
,1758년 4월 29일,
프랑스 영국
루이스버그 전투
,1758년 6월 8일,
영국 프랑스
크레펠트 전투
,1758년 6월 23일,
영국-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프랑스
돔슈테트 공습
,1758년 6월 30일,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카리용 요새 전투
,1758년 7월 8일,
프랑스 영국
잔더스하우젠 전투
,1758년 7월 23일,
프랑스 헤센
네가파탐 해전
,1758년 8월 3일,
영국 프랑스
미어 전투
,1758년 8월 5일,
프랑스 영국-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조른도르프 전투
,1758년 8월 25일,
프로이센 (무승부) 러시아 (무승부)
생 카스 전투
,1758년 9월 11일,
프랑스 영국
토르노프 전투
,1758년 9월 26일,
프로이센 스웨덴
페흐벨린 전투
,1758년 9월 28일,
스웨덴 프로이센
1차 루텐베르크 전투
,1758년 10월 10일,
프랑스 영국-하노버
호크키르히 전투
,1758년 10월 14일,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구스토우 전투
,1758년 11월 18일,
프로이센 스웨덴
베르겐 전투
,1759년 4월 13일,
프랑스 영국-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카이 전투
,1759년 7월 23일,
러시아 프로이센
보포르 전투
,1759년 7월 31일,
프랑스 영국
민덴 전투
,1759년 8월 1일,
프로이센-하노버 프랑스-작센
쿠너스도르프 전투
,1759년 8월 12일,
오스트리아- 러시아 프로이센
라구스 해전
,1759년 8월 18일,
영국 프랑스
조라우 전투
,1759년 9월 2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지나 전투
,1759년 9월 8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프리셰스 하프 해전
,1759년 9월 10일,
스웨덴 프로이센
퐁디셰리 해전
,1759년 9월 10일,
영국 프랑스
아브라함 평원 전투
,1759년 9월 13일,
영국 프랑스
코르비츠 전투
,1759년 9월 21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호이어스베르다 전투
,1759년 9월 25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막센 전투
,1759년 11월 20일,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키브롱 만 해전
,1759년 11월 20일,
프로이센 스웨덴
풀다 전투
,1759년 11월 30일,
영국-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뷔르템베르크
마이센 전투
,1759년 12월 3일,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완디와슈 전투
,1760년 1월 22일,
영국 프랑스
생트푸아 전투
,1760년 4월 28일,
영국 프랑스
란트슈트 전투
,1760년 6월 23일,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코르바흐 전투
,1760년 7월 10일,
프랑스 영국-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엠스도르프 전투
,1760년 7월 16일,
영국-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프랑스
바르부르크 전투
,1760년 7월 31일,
영국-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프랑스
리그니츠 전투
,1760년 8월 15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스트레일라 전투
,1760년 8월 20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클로스터 캄펜 전투
,1760년 10월 16일,
프랑스 영국- 프로이센-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토르가우 전투
,1760년 11월 3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랑엔잘차 전투
,1761년 2월 15일,
프로이센-하노버 프랑스-작센
그륀베르크 전투
,1761년 3월 21일,
프랑스 프로이센-하노버
빌링하우젠 전투
,1761년 7월 16일,
영국- 프로이센-하노버 프랑스
되벨른 전투
,1762년 5월 12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빌헴스타흘 전투
,1762년 6월 24일,
영국- 프로이센-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프랑스
부르케르스도르프 전투
,1762년 7월 21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2차 루텐베르크 전투
,1762년 7월 23일,
영국-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프랑스-작센
라이헨바흐 전투
,1762년 8월 16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프라이베르크 전투
,1762년 10월 29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 ||

파일:Combat_of_Doebeln_illustration.jpg

1. 개요2. 배경3. 양측의 전력
3.1. 프로이센군3.2. 오스트리아군
4. 전투 경과5. 결과

1. 개요

7년 전쟁 시기인 1762년 5월 12일 작센의 되벨른에서 프로이센군과 오스트리아군이 격돌한 전투. 프로이센군이 대승을 거두었다.

2. 배경

1761~62년 겨울, 작센에서 오스트리아군과 대치하고 있던 프로이센 공 프리드리히 하인리히는 국왕이자 자신의 친형인 프리드리히 대왕에게 적에 비해 병력이 매우 부족하니 증원군을 보내달라고 호소했다. 그러나 당시 프리드리히 대왕은 장기화된 전쟁으로 국내 사정이 피폐해질 대로 피폐해진 데다 러시아군이 포메른 지역으로 쳐들어오는 걸 저지해야 했기 때문에 동생에게 병력을 보내줄 여력이 없었다. 거듭된 요청이 모조리 묵살당하자, 하인리히는 지휘권을 프리드리히 빌헬름 폰 자이틀리츠 장군에게 넘기게 해달라고 요청했지만 프리드리히 대왕은 이마저도 거절했다. 이제 1762년 봄에 오스트리아군이 공세를 개시한다면, 그는 속절없이 무너질 게 자명했다.

그런데 이 상황에서 기적이 일어난다. 1762년 1월 5일에 즉위한 표트르 3세가 프로이센에게 아무 조건도 달지 않고 그동안 빼앗은 영역을 돌려주고 군대를 철수시키는 내용의 종전협정을 제의한 것이다. 프리드리히 대왕은 당연히 이를 수락했고 러시아군은 황제의 명령에 따라 본국으로의 귀환길에 올랐다. 게다가 표트르 3세는 그동안 포메른 지방을 놓고 프로이센과 전쟁을 벌이고 있던 스웨덴을 설득해 그들까지 종전 협정을 맺게 했다. 이리하여 러시아와 스웨덴 모두 프로이센과의 전쟁에서 이탈하자, 포메른 지방에 주둔하고 있떤 병력이 작센으로 내려와 하인리히의 군대와 합세했다.

그러나 상황이 금방 호전된 것은 아니었다. 그를 상대하는 오스트리아군은 6만 4천명에 달한 반면 자신의 군대는 3만 명에 불과했다. 게다가 이 3만 명은 전투 경험이 없는 작센 신병들과 신뢰할 수없는 의용대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던 1762년 5월 초, 제트비츠 남작 요한 프란츠가 이끄는 오스트리아군이 되벨른으로 이동했다. 이 소식을 접한 하인리히는 이 신뢰할 수 없는 군대를 이끌고 5월 5일까지 되벨른에서 북쪽으로 23km 떨어진 오츠하츠에 도착했다. 이후 그는 오스트리아군의 동향을 조사한 끝에 적이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는 사실을 파악했다. 당시 오스트리아군 지휘관 제트비츠 남작은 적과 야전을 벌이기 보다는 유리한 지형에 주둔해 적의 공격을 회피하는 걸 최우선 목표로 삼았다. 그는 낮에는 요새에 자리잡았고 밤에는 경호원들을 대동한 채 보루를 순찰했다. 그는 자신이 요새에 박혀 있는 한 열세한 전력인 프로이센군이 공격할 리 없다고 여겼다.

이에 하인리히 왕자는 적이 방심한 틈을 타 좌익을 공격하기로 결정했다. 5월 11일 오후, 프로이센군은 계획된 공격을 위해 할당된 위치에 자리를 잡았다. 그리고 5월 11~12일 밤, 프로이센 예거 부대는 되벨른에서 남쪽으로 6km 떨어진 니더스트리예기스에서 50명의 그렌저 용병대가 지키는 전초기지를 제압했다. 이후 하인리히 왕자는 5월 12일 오전에 공격 명령을 내린다.

3. 양측의 전력

3.1. 프로이센군

  • 사령관: 프로이센 공 프리드리히 하인리히
  • 병력: 보병 18개 대대, 기병 52개 대대, 자원병 600명, 예거 200명, 대포 29문, 곡사포 8문

3.2. 오스트리아군

  • 사령관: 제트비츠 남작 요한 프란츠
  • 휘하 부대

    • 1) 경무장 부대

        - 국경 보병 연대
        - 국경 후사르 연대

      2) 보병대

        - 마인츠-람베르크 보병 연대
        - 클레리치 보병 연대
        - 니콜라스 에스테르하지 보병 연대
        - 피콜로미니 보병 연대
        - 루짜라 보병 연대

      3) 기병대

        - 드 빌 흉갑기병 연대
        - 프리츠 알브레히트 경기병 연대
        - 츠바이브뤼켄-비르켄펠트 드래곤 연대
        - 야지기에-쿠마니에 후사르 연대

4. 전투 경과

5월 12일 오전 7시, 하인리히 왕자는 전군에 공격 명령을 내렸다. 그의 군단은 4개 대열로 편성되었다. 자이틀리츠 장군의 지휘를 받은 최우측 군단은 모크리츠와 즈쉐르니츠 사이의 위치에서 출발하였고, 카니츠 장군의 군단은 가데비츠에서, 알트 슈터하임의 군단은 소르미츠에서 출발했다. 이 3개 군단이 되벨른의 오스트리아 진지를 정면 공격하는 동안, 클라이스트 휘하의 최좌측 군단은 코벨스도르프와 나우슬리츠에서 출발하여 오스트리아군의 우측면을 향해 진군하기로 했다. 오스트리아군은 이 프로이센군이 자신들 좌익의 전초기지를 공격할 때까지 이를 감지하지 못했다. 뒤늦게 적이 습격해왔다는 걸 알게 된 제트비츠 남작은 황급히 병사들을 집결시키려 했지만, 그 사이에 프로이센 4개 대열은 정해진 위치에 진격하여 되벨른에 주둔한 적에게 공격을 퍼부었다. 오스트리아군은 이 공격에 버티지 못하고 패주했고, 하인리히는 불과 2시간만인 오전 9시에 전투를 마무리하고 전군을 크노베스도르프에 집결시켰다.

5. 결과

오스트리아군은 이 전투에서 약 1,500명의 포로를 포함해 절반 이상의 병력을 상실했다. 프로이센군의 손실은 사상자 63명에 불과했다. 제트비츠 백작은 잔여 병력을 수습한 뒤 프라이베르크를 향해 남쪽으로 도주했다. 이 전투의 승리로 사기가 크게 오른 프로이센군은 오스트리아를 향한 마지막 공세를 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