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2 10:25:21

천장(게임 용어)

1. 개요2. 어형3. 기능4. 관련 법5. 개별 게임 예6. 종류
6.1. 확정천장6.2. 유사천장6.3. 기타
7. 바닥 시스템8. 여담

1. 개요

뽑기의 상한선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대개 과금액이나 뽑기 횟수가 일정 기준치에 달하면 원하는 아이템을 하나 선택할 수 있게 해주는 확정 교환권이나 일정 이상의 레어도를 뽑을 수 있게 해주는 뽑기권을 주는 방식.

2. 어형

천장이라는 말은 물론 주택 천장에서 온 것이다. 과금의 한계이므로 이를 주택의 천장에 비유한 것이다.

천장이라는 용어는 파칭코에서 먼저 쓰이기 시작했다. 이쪽도 마찬가지로 일정량 메달 투입 시 무조건 당첨 또는 찬스 보장이란 뜻. 파칭코에서도 2021년경부터 도입되기 시작했다. 게임계에 이러한 시스템이 언제부터 생겨났는지는 정확하지 않지만, 대부분 그랑블루 판타지의 2016년 1월 안치라 사태를 기점으로 본다.

서양 게이머들 사이에서는 'Pity System'이라고 불린다. Pity가 동정하다, 불쌍히 여기다라는 뜻이 있는데, 대충 의역하면 불쌍하니 챙겨주는 구제책이라는 내용.

3. 기능

마일리지의 요소로 부분 유료화 게임, 그중에서도 랜덤박스로 대표되는 뽑기 중심의 수익구조를 가진 대다수 게임들, 특히 서브컬처 모바일 게임에 존재하는 폭사 방지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비정상적으로 많은 과금에도 불구하고 픽업가챠의 픽업캐릭터나 카드를 획득하지 못하는 사태를 막는 안전장치이다.

얼핏 보면 업체가 수익을 포기하면서 유저에게 이익을 주는 방식으로 보이지만, 천장이 없으면 업체는 단기에 폭발적인 수익을 얻는 대신 중 & 헤비 과금러들이 떨어져나가버려 업체 입장에선 제살 깎아먹기가 되고, 구글플레이/앱스토어 환불 시스템 때문에 수익 자체도 생각보다 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또 매몰비용에 현혹되는 사람의 심리를 고려하면 사실 당장의 수익은 줄어들지라도 장기적으로는 천장 도입이 업체에게 더 이득이 되는 경우가 많다. 도박장에서 개평을 주는 것과 원리가 비슷한 셈이다.

예를 들어, 평소 10만 원씩 뽑기를 하는 과금 이용자가 무언가 뽑기로 먹고 싶은 게 생겨서 큰 마음먹고 100만 원을 썼지만 못 먹고 폭사할 경우, 유저는 큰 실망감에 높은 확률로 자포자기해 게임을 접고, 접지 않아도 무과금으로 전환한다. 이용자가 Google 또는 Apple의 결제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접으면서 환불을 받는 경우도 많아 손해가 더욱 커진다. 게다가 이 유저가 해당 게임을 중점적으로 다루는 커뮤니티나 유튜브, 트위치에 "○○만 원 질렀는데 하나도 안나옴. X망겜 수준"이라며 악평을 다는 경우도 많아 게임에 유입되려는 사람들까지 그 게임은 가챠가 너무 살인적이라고 판단해 유입이 차단되기도 한다. 천장 시스템은 이런 방식으로 꼬접하려는 유저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평소라면 조금만 지르고 포기했을 유저들도 매몰비용 심리에 의해 더 지르는 경우가 종종 생기기 때문에, 역으로 수익이 늘어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천장이 100만 원인 게임에서 평소에 50만 원 정도의 과금을 하는 유저가 있다면, 천장이 없는 경우엔 여기서 50만 원을 더 지른다고 해서 나온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에 평소처럼 50만 원 지르고 안 나오면 실망하고 거기서 멈출 것이다. 하지만 100만 원에 천장을 설정해두면 일단 50만 원만 더 지르면 확정적으로 뽑을 수가 있고, 안 지르면 지금까지 뽑은 마일리지가 사라지니, 매몰비용을 아까워하는 사람의 심리로 추가로 50만 원을 더 질러서 100만 원을 채워서 뽑게 될 것이다. 즉, 천장 시스템이 평소에 50만 원 지르는 유저가 100만 원을 내게끔 하여 50만 원을 추가로 번 것이다.

업체들이 유료 재화를 공짜로 풍족하게 뿌리기 시작한 것도 천장 도입과 무관하지 않은데, 사료로 30만 원 어치 유료재화를 뿌려놨다면, 그 공짜로 얻은 재화 30만 원 어치로만 돌려서 원하는 것이 나오지 않는다면 천장에 눈이 돌아가서 70만 원을 더 질러서라도 기어이 뽑으려는 유저들이 반드시 생겨나기 마련이다. 여기서 기존에 투입했던 30만 원은 매몰비용, 심지어 자기 돈이 들어가지 않은 매몰비용임에도 가챠 기간이 지나서 마일리지가 증발하는 게 아깝다는 심리를 노린 것이다.

천장이 있기 때문에 유저는 확정적으로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으나, 아이러니하게도 천장을 치기 위해선 막대한 양의 돈을 쏟아부어야 한다. 유저의 금전 감각을 마비시키고 게임사가 돈을 버는 기묘한 구조인 셈이다.

이처럼 진짜 하드코어한 과금전사 소수에 의해 굴러가는 게임이 아닌 이상 천장 도입은 업체의 전반적인 이익을 올려준다. 보통 50위권 대 게임이면 천장을 만드는 게 이득이고 10위권 대 상위 매출 게임이면 천장이 없는 게 더 이득이라고 한다.

굳이 유료가챠가 아닌 게임 내부에서 플레이로 얻는 포인트의 개념에도 쓰인다.

4. 관련 법

대한민국은 이런 천장 개념이 법제화되지 않았기에 아직도 천장이 없는 게임은 꽤 있다. 또한, AVA처럼 제작사가 의도적으로 천장을 추가하지 않는 게임도 많다.

한편 중국에서는 2019년 4월 이후로 천장 시스템 도입이 의무다. 2019년 4월 이후로 나온 게임들이 국가신문출판광전총국의 승인을 받기 위해서는 확률형 아이템은 백분율(%)이 아닌 횟수로 명시해야 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서 2019년 4월 이후로 나온 중국게임들은 중국 내에서 플레이할 시 필수로 천장 시스템이 도입되어 있다. 원신 유저들의 지갑을 지켜주는 보호막 한편 반천장 등의 꼼수를 막는 것을 포함한 더 강력한 법안이 2024년에 시행될 예정이라고 알려졌으나 현재는 초안이 폐기된 것으로 보인다.

5. 개별 게임 예

아래는 각 게임의 천장 액수이다. 대개 30~60만 원 선으로 책정되는 듯하다.
  • 원신: 캐릭터 천장은 약 40만 원이다. 장비 천장은 별개로 계산된다.
  • 우마무스메: 약 60만 원
  • 블루 아카이브: 약 40만 원
  • 페이트 그랜드 오더: 약 52만 원
    일본 기준으로 22년 1월 1일에 도입되었고 한국에서는 23년 1월 1일에 도입됐다. 대개 일본 페그오의 시스템을 2년 뒤에 반영하는 편인데 천장은 1년 뒤에 적용하여 좀 더 일찍 적용한 셈이다.
    페그오의 천장은 330연차 중 단 1번도 픽업 캐릭터가 뜨지 않으면 다음 가챠에서 확정적으로 픽업 캐릭터가 등장하나 한번이라도 픽업 캐릭터가 나올 시 그대로 초기화 된다. 즉 329번째 가챠에서 픽업 캐릭터가 나올 시 지금까지 쌓았던 천장 스택이 완전히 사라진다. 거기에 픽업 별로 천장이 각각 있으며 이는 픽업이 종료될 시 이월 되지 않고 사라진다. 천장이 있긴 하나 굉장히 안 좋은 천장인 셈이다. 그래도 천장이 없던 몇 년간 수십수백만을 날리면서 폭사한 적도 있는 과금전사 유저들 입장에선 명함 천장이 생긴 것만으로도 감지덕지고 무소과금 유저들 사이에서도 계획적으로 존버 하면(특히 미래시가 짜여진 한그오) 무료돌과 호부만으로도 으로 대표 되는 인권캐 한둘 정도는 천장으로라도 확실히 뽑을 수 있고 인권캐를 뽑고 나면 이외의 5성 서번트는 애정의 영역을 제외하면 반드시 뽑아야 할 정도로 필수는 없으니 그나마 낫다는 분위기가 강하다. 24년 8월 4일 일본 서버에서 픽업 캐릭터를 뽑으면 330회 천장이 처음부터 다시 시작 되는 방식으로 변경 되면서 천장만 친다는 가정 하에 1650회 가챠 안에서 보구 레벨 5가 보장된다.
  • 명일방주: 한정 캐릭터는 300뽑(18만 합성옥)으로 한정 중 1장을 선택 가능하고, 통상 픽업 캐릭터는 250뽑(15만 합성옥) 시 획득하지 못한 픽업 캐릭터의 획득이 확정되는 천장이 있다. 이는 소위 '트럭'이라 불리는 오리지늄 130+55개 패키지(99,000원) 기준으로 약 55만원/45만원에 해당한다.
  • D4DJ Groovy Mix : 기본적으로는 깡돌 기준 일반 가챠는 3만엔마다 반천장&9만엔마다 천장, 생일/내비게이션/복각(일부) 등은 1만5천엔마다 반천장&4만5천엔마다 천장인데, 가챠를 많이 돌리거나 굿즈를 많이 사는 등 한 달(1일~말일) 동안 그루미쿠 인게임 다이아 소비량(무료돌도 포함, 1다이아=1엔)과 그루미쿠WebStore에서 지른 금액의 합이 10만엔 이상이 되어 마일리지 랭크 플래티넘을 달성하면 천장이 줄어든다.[1] 본격 흑우 우대, 우연이겠지만 최상위 등급이 마침 '블랙'이다

6. 종류

"픽업 가챠"란 일반적으로 신규 캐릭터를 출시했을 때 나오는 가챠 방식으로, 신규 캐릭터의 뽑기 확률을 크게 상승시켜주고, 천장 시스템을 해당 신규 캐릭터에게 적용한다. 확정이 없는 경우는 뭉뚱그려 유사천장이라 부르기도 한다.

6.1. 확정천장

  • 픽업 카운트: 다른 아무런 규정 없이 지정된 가챠 횟수만 채우면 해당 상품을 확정 지급하는 경우이다. 다만, 일반적으로 횟수를 채우기 전에 해당 캐릭터를 가챠로 뽑으면 카운터를 리셋시킨다. 아래의 픽업 마일리지가 등장한 이후로는 가챠보다는 인게임 내 콘텐츠에 적용되는 천장에 주로 사용된다.
  • 픽업 마일리지: 가챠 횟수에 따른 별도의 마일리지가 존재하고 이것을 일정량 소모하여 픽업 캐릭터를 획득 가능한 방식이다. 게임계에서 천장 용어를 유행시킨 그랑블루 판타지부터 시작해서,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스타라이트 스테이지, 프린세스 커넥트! Re:Dive, 블루 아카이브,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명일방주(한정 오퍼레이터), Limbus Company 등 천장 개념이 있는 게임 상당수가 이 방식을 사용한다. 캐릭터가 나와도 마일리지가 리셋되지는 않지만, 픽업 기간이 끝났을 경우 마일리지가 리셋되어 다른 재화로 강제 환전된다. 다만 트릭컬 리바이브처럼 픽업 기간이 끝나도 리셋되지 않고 이월되는 경우도 있다.
  • 적립형 마일리지: 마찬가지로 가챠 횟수에 따른 마일리지가 존재하지만, 픽업과는 별개로 정가 구매가 가능한 방식이다. 픽업 기간동안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에도 마일리지가 사라지지 않으므로 일반적인 마일리지에 비해 픽업 획득 난이도가 크게 낮아진다. 이 방식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게임으로는 가디언 테일즈가 있다.[2] 신규 캐릭터를 확정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데다가 리셋되지 않는 특성상 한계 돌파를 시도하기도 더 쉬워지다보니 가장 선호되는 방식이지만, 픽업 마일리지보다는 정가가 높게 책정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이하게도 트릭컬 리바이브는 픽업 마일리지와 적립형 마일리지를 동시에 지원하는데, 전자는 신앙심이라는 이름으로 다음 픽업에 이월이 가능한 사양이고, 후자는 엘시드라는 재화로 변환이 가능하며[3] 상점을 통해 정가 구매가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후자 쪽은 전자에 비해 정가가 더 높게 책정되어 있다(신앙심=200[4], 엘시드=300[5]). 승리의 여신: 니케의 경우 실버 마일리지와 골드 마일리지가 분리되어 있다. 일반 뽑기는 실버, 한정 뽑기의 경우 골드 마일리지를 지급하며 다음 픽업에서 각 잔여 마일리지를 이어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트릭컬과 동일하다.
    • 변형 마일리지 적립형
      드래곤볼 Z 폭렬격전의 경우 모든 가챠 1회당 코인이라는 마일리지를 적립해 주는데 다른 게임들과는 달리 메인 픽업이 처음 등장했을 때는 사용이 불가능하고 이후 1회 이상 복각해야 그때부터 천장이 가능하다. 사실상 유사천장이나 다름없기에 유저들의 원성이 자자하다.
  • 박스가챠: 실물 가샤폰처럼 내용물과 갯수가 고정되어 있어, 그 박스의 전체 캐릭터 갯수에 해당하는 만큼 가챠를 돌리면 원하는 대상을 확정적으로 얻을 수 있는 방식이다. 물론 그 이전에 원하는 걸 얻었다면 박스 자체를 리셋할 수 있다. 유희왕 듀얼링크스나 과거 서비스했던 SD건담 캡슐파이터 온라인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사운드 볼텍스 폴라리스 코드, beatmania IIDX(일부 제외) 등 KONAMI의 몇몇 오락실 게임의 커스터마이즈 아이템 가챠도 이런 방식을 사용한다. 내용물의 총개수가 적절하게 설정되어 있다면 확정천장과 거의 같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총개수가 터무니없이 많을 경우는 천장으로 취급하지 않는다.

6.2. 유사천장

  • 랜덤천장: 지정된 가챠 횟수를 채우면 최상위급 캐릭터를 지급하긴 하는데, 다수의 최고등급 캐릭터 중에서 랜덤으로 지급한다. 자신이 이미 보유한 캐릭터가 나올 수도 있다 보니, 결국 돈만 쓰고 신규 캐릭터를 못 뽑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업체에서 이를 천장이라고 부르면 욕먹기 딱 좋다. 또한, 신규 캐릭터가 계속 추가될 경우, 천장을 뚫고난 뒤에도 이를 획득할 확률이 1/n 의 확률밖에 안된다는 문제가 있다. 대상 캐릭터 리스트 수에 따라 반천장이거나 1/3천장, 1/4천장일 수도 있다.
  • 반천장: 반천장이라고 하니까 천장까지 가는 횟수의 절반이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그게 아니라 지정된 가챠 횟수를 채웠을 때 n성 캐릭터를 반드시 얻을 수 있고 거기에 더해 50% 확률로 픽업 캐릭터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랜덤천장보다는 낫긴 하지만, 여전히 해당 캐릭터를 얻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여기서 바리에이션으로 1/3천장, 1/4천장도 있지만 드문 편이다. 이 경우 천장을 3번 또는 4번 찍었을 경우 확정적으로 픽업이 가능하게 하기도 한다.
  • 반천장+확정보정: 주로 호요버스 게임에서 채용하는 시스템으로, 첫번째 천장은 반천장으로 작동해서 천장시에는 5성 캐릭터 확정에 해당 픽업 캐릭터는 50% 확률로 나오며, 픽업을 뽑았다면 처음부터, 픽뚫이라면 그 다음 천장 스택을 한 번 더 쌓을 경우 천장횟수에서 픽업 캐릭터의 등장을 보장해주는 시스템이다. 반천장 보다는 더블천장이 더 어울려 보이고 5성 확률이 대체로 낮은 편이며 반천장 픽뚫 스택이 다음 가챠로 이월되어 다음 가챠에서는 반천 한번으로 확정픽업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반천장 시행시 천장 이내에 픽뚫 관계 없이 5성을 뽑게되면 카운터는 리셋되고 바로 확정 천장 스택이 시작되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 룰렛천장 : D4DJ의 일부 가챠에 적용되는 방식인데, 가챠를 10번 돌릴 때마다 어시스트 티켓을 10장 준다. 어시스트 티켓을 100장 모아오거나 유상 다이아 3000개로 룰렛 포함 10연 가챠를 돌릴 수 있다. 가챠를 돌리기 전에 뜨는 룰렛에서 5등 상으로 나오는 페스티벌 가챠 교환권을 300개 모아가면 교환소에서 픽업 멤버로 교환할 수 있다. 문제는, 5등인 페스티별 가챠 교환권 50개보다 4등인 10번째 한정 4성/SP 확률 3배가 더 많이 뜬다는 점. 재수 없으면 계속 4등만 떠서 그루비 룰렛 300연(30회) 보상인 무조건 전원 픽업 확정(룰렛을 돌리긴 하는데, 1등밖에 안 나온다. 아예 룰렛에 전원 픽업 확정밖에 안 적혀있다.)이 뜰 때까지 교환권은 하나도 못 얻을 수도 있고, 그렇게 전원 픽업 확정이 떠도 원하는 캐릭터는 안 나올 수 있어서 돈은 돈대로 쓰고 원하는 캐릭터는 못 얻을 수도 있다. 어찌보면 약간 다른 형태의 반천장인 셈. 물론 운이 애매하게 좋으면 60연(6회, 일반 가챠 600회 또는 18000엔)동안 계속 5등이 떠서 60연만에 티켓 300개를 챙겨서 원하는 캐릭터로 교환할 수 있긴 하다.
  • 신규확정 가챠천장 : 특정 팩을 골라서 그 팩 안에 있는 일러스트 카드 중 랜덤한 몇 개를 뽑는 사운드 볼텍스 리얼 제네레이터에 적용된 방식인데, 신규 카드가 아닌 중복된 카드를 뽑으면 제네력이 10% 올라간다. 제네력이 100%가 되면, 다음번에 가챠를 돌릴 때 해당 팩에서 얻지 못했던 카드 중 하나를 무조건 준다. 물론 일반 카드가 뜰 수도 있고, SSR 카드가 뜰 수도 있다. 보통 제네력이 100%가 되어도 일반 카드만 뜨고 SSR 카드는 맨 마지막에 SSR을 제외한 모든 카드를 전부 먹었을 때 뜨는데, 운이 좋으면 해당 팩의 카드를 반 정도 먹었을 때 갑자기 SSR이 뜨기도 한다.

6.3. 기타

  • 확률업: 하스스톤이나 명일방주에서 채택된 방식으로, 최고등급이 안 나올 경우 다음 뽑기에서는 해당 등급이 나올 확률이 계속 올라간다. 보통 바로 확률업을 제공하진 않고 특정 시행 내 최고등급이 나오지 않을 시 그 이후부터 n%p씩 올린다.[6] 결과적으로 최후에는 100% 확률로 뽑을 수 있게 되며, 뽑기 도중에 최고등급이 나오면 즉시 확률이 초기확률로 리셋된다. 특이하게도 가챠 게임이 아닌 도타 2 등의 AOS, RTS 장르에서도 적용하고 있는 시스템인데, 확률로 발동되는 스킬이나 치명타 등이 발동되지 않을 때마다 점진적으로 발동률이 높아진다. 이런 식의 보정을 해주는 함수를 유사 무작위 분포라고 하는데, 도타의 경우 중요한 상황에서 확률적으로 터지는 스킬이 발동될 확률을 높이기 위해 제물시행을 하기도 한다. 만약 확률업으로 100%까지 도달할 수 있다면 확정천장 취급을 받는다.
  • 외부천장(?): 폴라리스 코드의 몇몇 콜라보 컨텐터 헌트 가챠는 히메히나 커스터마이즈 아이템 가챠를 10번 돌리면 타나카 히메만 나오는 SSR 확정 가챠 또는 스즈키 히나만 나오는 SSR 확정 가챠(둘 중 선택해서 돌릴 수 있음)를 1회 돌릴 수 있는 것 처럼 인게임이 아닌 e-amusement 구매부에서 별도의 커스터마이즈 아이템 가챠를 돌리면 해당 컨텐터를 주는 외부천장 체계를 사용하기도 한다.

7. 바닥 시스템

파일:뮤_아크엔젤_바닥시스템.jpg

확률형 아이템 규제 법안이 통과되면서, 각 게임들의 확률이 공개되었는데, 그중에서는 일정 횟수의 뽑기 시도까지는 등장 확률이 0%인 시스템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 게임은 뮤 아크엔젤인데, '레전드 장신구 세트석 패키지'라는 아이템은 149회 뽑기 까지는 '레전드 장신구'가 절대 등장하지 않는다는 것이 공개되었다. 인벤 이두현 기자가 이를 천장에 빗대어 '바닥'이라고 표현했다. #

8. 여담

  • 천장을 채워서 확정 획득할 경우 정가구매 또는 단챠[7]라고 불린다. "익숙한 천장이다..." 또한 자주 곁들여지는 드립.
  • 천장을 비상식적인 금액으로 설정하면 없는 거나 마찬가지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월광천장 1320만 원 사태. 이런 천장같지도 않은 천장을 신라천정을 패러디한 신라천장으로 부르기도 한다.
  • 같은 캐릭터를 여러 번 뽑아 성능을 향상시키는 한계 돌파류 컨텐츠가 존재할 경우 천장에 임박한 상태에서 뽑았거나 아예 처음부터 여러번 뽑는다는 목적으로 천장을 일부러 쳐서 한계 돌파까지 노리기도 한다.[8] 한계 돌파가 완화되어 엘레프 시스템으로 도입된 블루 아카이브가 대표적.[9]


[1] 정확히는 셀렉트 보너스 게이지의 MAX 값이 줄어든다. 또한 특정 가챠에만 적용된다고 한다. 주의할 점은, 이번달에 10만엔을 질렀다고 해서 바로 적용되는 게 아니라 다음달부터 적용된다. 이번달에 아무리 많이 질러도 지난 달에 1원도 안 질렀다면 노멀랭크 혜택밖에 못 받는다. [2] 보통은 영웅보다는 중복 획득이 가능하고 픽뚫이 심한 전용 무기를 정가 구매하는 용도로 마일리지를 사용한다. [3] 다만 엘시드를 신앙심으로 되돌리는것은 불가능하다. [4] 엘다인은 300 [5] 엘다인은 400 [6] 예시) 50회 이내 최고 등급이 나오지 않을 시 이후부터 1회 당 2%p씩 확률 상승. 이 경우 99회 이내로 최고 등급 하나를 확정 입수하게 된다. [7] 교환을 하면 1회 뽑기 연출 장면이 나오게 되는데, 한번에 획득했다는 드립으로 쓰인다. [8] 단, 이 방식은 마일리지를 채택한 가챠겜에서만 유효하며 다른 방식을 채택한 게임에서는 무의미하다. [9] 다른 가챠를 돌려서 얻은 만능 재화 엘리그마, 시설에 방문한 학생의 엘레프를 확률적으로 획득하는 스케줄, 일부 캐릭터의 하드 파밍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엘레프를 사용하면 해당 캐릭터를 더욱 강하게 키울 수 있는데, 만약 모집에서 중복으로 뽑게되면 해당 캐릭터의 엘레프 30개(3성 캐릭터 기준)를 대신 지급하기 때문에 좀 더 빠르게 키울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경우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9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97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