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7 23:08:42

지구방위군 6/레인저 무장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지구방위군 6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353535><rowcolor=#42C2C2> 지구방위군 6
병과별 무장 리스트
}}}
<rowcolor=#42C2C2> 레인저 윙 다이버 에어 레이더 펜서
무장 무장 무장 무장
백팩 / 특수 장비 독립 작동 장비 /
플라스마 코어
백팩 / 탑승 유닛 강화 파츠

1. 개요2. 어설트 라이플
2.1. PA-112.2. 스토크2.3. 슬레이드2.4. 레이븐2.5. 슬러거2.6. 오키드2.7. 미니언 버스터2.8. G&M2.9. 블레이저
3. 샷건
3.1. 슬로터3.2. SGN3.3. 몬순3.4. 브리처3.5. 슬러그 샷3.6. 디스트럭션 블레이저3.7. 기타
4. 스나이퍼 라이플
4.1. KFF4.2. NP4.3. 라이샌더4.4. 팽4.5. 둥켈4.6. 타미건4.7. 이글4.8. 플라운더4.9. 파일론4.10. 페너트레이터4.11. 플래닛 스나이퍼 캐논
5. 로켓 런처
5.1. 그런트5.2. 레퍼드 유도 로켓5.3. 골리앗5.4. 캐스케이드5.5. 호닛5.6. 볼케이노
6. 미사일 런처
6.1. 에메로드6.2. MS 팔콘6.3. 에어 토터스6.4. MLRA6.5. FORK6.6. 프로미넌스
7. 그레네이드
7.1. 그레네이드 런처 UM (접촉식)7.2. 그레네이드 런처 UM (시한식)7.3. 다연 G 런처7.4. 스탬피드7.5. 스플래시 그레네이드7.6. 스티키 그레네이드7.7. 네이팜7.8. 플레임 카이저
8. 특수
8.1. 애시드 건8.2. 화염 방사기8.3. 바운드 건8.4. 리버서8.5. 리버스 슈터8.6. 하이 사이클 리버서
9. 관련 문서

1. 개요

지구방위군 6에 등장하는 병과인 레인저 전용의 무장.

2. 어설트 라이플

연사력과 재장전 시간이 우수해 사용하기 쉬운 무기군, 높은 DPS와 제압력을 지닌 명실공히 EDF의 제식 소총이다. 중거리전에 요구하는 모든 스펙이 평균적이라 단순히 회전율을 높히기 위한 목적이라면 탑클래스, DLC 무장 중에서 편향된 면이 존재하는 무장이 있는데 재장전 속도가 빠른 슬레이드, 근접전에 우위를 두는 레이븐, 근접전에서 관통으로 물량을 없앨 수 있는 슬러거, 중장거리전에 특화된 블레이저가 그 예다. 각각의 무장에 장단점이 뚜렷하게 보이기 때문에 스테이지에 따른 적합성을 따져봐야 한다.

장탄수, 사거리, 재장전 속도가 삼박자를 이뤄 쓰기 쉽고 화력도 좋아서 어떠한 상황에서도 대응할 수 있는 범용성이 장점이다. 주력부대 순삭이나 집중사격을 통해 발을 묶는것이 가능하며 대형 적도 사거리에 들어오면 그에 걸맞는 DPS를 보여준다. 이번작에서는 관통 성능을 지닌 무장이 많아졌기에 상황에 따라선 높은 제압력을 가질 수 있다. 무엇보다 팀킬 피해가 가장 적어서 NPC와의 협공이 아주 쉽다.

그러나 장기전에 맞춰진 성능 탓에 순간화력이 낮아 화력투사를 하려고 해도 회피 한번만 해도 공격이 끊겨진다. 이런 단점은 고난도로 갈수록 더 두드러져 이동속도가 늘어나는 장비를 필수적으로 장착해야만 하며 단단하고 빠르고 넉백도 잘되는 레드 컬러 드론같은 적은 한발만 맞아도 뒤로 빠르게 물러가기에 명중탄보다 빗나가는 탄이 더 많아진다. 무엇보다 5부터 이어진 사거리 감쇄가 본작에서도 적용되기 때문에 최대 사거리에 다다를수록 화력이 감소한다. 그나마 사거리 길고 감쇄 정도가 기본치인 1에다 최소화력도 높아 기본적으로 감쇄를 무시 가능한 수준으로 치부할 수 있어 너무 파고들면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

온라인에서도 만능 무장인건 건재하다. 스토크, 오키드, 블레이드, 슬라이드 계열을 주력으로 사용할 수 있어 상황에 따라서 무장을 변경해 대응할 수 있다. 높은 DPS와 충반한 사거리에 적의 발을 묶는 능력을 기대할 수 있지만 안드로이드같이 단단한 적에게는 쥐약이라 거리를 벌려야 생존율이 높아지는 것을 명심해야한다.

2.1. PA-11

스토크의 이전 모델, 251번 기지에 있는 'Cartridge for PA-11'라고 적혀져 있는 탄약 상자가 한가득 쌓여져 있으며 해당 무기군의 외형은 현실의 M16과 똑같은 외형이기에 사용탄약도 5.56×45mm NATO이다.

기본 무기로 지급되는 PA-11 Broken은 5의 PA-11보다 대폭 약화되었다는 설정으로 화력 17~8.5, 명중률 A-였던 전작과 비교해보면 확실히 화력 저하와 명중률 감소가 눈에 보일정도이며 외형도 군데군데 녹이 슨 정비받지 못한채 낡아빠져가고 있는 소총을 어떻게든 써야 하는 5 엔딩 이후의 열악한 EDF의 실정을 보여준다.

||<-11><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발/초) 대미지 재장전 시간(초) 유효 사거리(m) 탄속(m/sec) 정확도 확대 배율(배) 표적 지시기
0 PA-11 Broken 131(★7) 12.0(★5) 12.5~6.2(★8) 1.1(★8) 235.6(★8) 271.8(★8) B(★6) - -
1 PA-11LS 131(★7) 12.0(★5) 17.0~8.5(★8) 1.1(★8) 240.1(★8) 271.8(★8) B+(★6) - 장비
5 PA-11SLS 131(★7) 12.0(★5) 28.3~17.0(★8) 1.1(★8) 235.6(★8) 271.8(★8) A-(★6) 2.0 장비

2.2. 스토크

Stork
EDF의 제식소총, 밸런스가 고루 갖춰져 있고 사거리 감쇄도 낮아 최대 사거리까지 있는 적에게도 준수한 화력을 자랑한다. 절반은 저격총처럼 운용할 수 있어 거점 파괴나 외계인 부위 파괴도 어느 정도 가능하다.

전반적인 사거리가 짧아졌어도 T2 KF까지의 화력이 증가했다. T3는 전작보다 화력이 10% 감소하긴 했지만 상위 모델에 관통성능을 지닌 무장이 있기에 극복할 수 있다.

||<-11><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
(발/초)
대미지 재장전 시간
(초)
유효 사거리
(m)
탄속
(m/sec)
정확도 확대 배율
(배)
표적 지시기
6 T1 스토크 142(★7) 12.0(★5) 34.0~17.0(★8) 1.6(★8) 265.0(★8) 305.8(★8) B(★6) - -
14 T1 스토크 S 142(★7) 12.0(★5) 46.4~27.9(★8) 1.6(★8) 265.0(★8) 305.8(★8) B(★6) 2.0 -
19 T1 스토크 LS 142(★7) 12.0(★5) 56.6~34.0(★8) 1.3(★8) 265.0(★8) 305.8(★8) A+(★6) - 장비
23 T2 스토크 126(★7) 12.0(★5) 65.7~32.8(★8) 1.1(★8) 247.3(★8) 285.4(★8) A-(★6) 2.0 장비
26 T2 스토크 KF 131(★7) 12.0(★5) 84.9~51.0(★8) 1.1(★8) 294.4(★8) 339.7(★8) A-(★6) 2.0 장비
31 T3 스토크 120(★7) 12.0(★5) 124.6~12.5(★8) 2.1(★8) 294.4(★8) 339.7(★8) B-(★6) - -
36 T3 스토크 버스트 120(★7) 4.0(★5) 294.4~147.2(★8) (3버스트) 2.1(★8) 339.7(★8) 1019.2(★8) B+(★6) - 장비
51 T4 스토크 142(★7) 12.0(★5) 164.2~82.1(★8) 1.1(★8) 353.3(★8) 407.7(★8) B+(★6) - 장비
58 T4 스토크 AE 142(★7) 12.0(★5) [관통]167.6~67.0(★8) 1.2(★8) 441.7(★8) 679.5(★8) B+(★6) - 장비
69 T4 스토크 MK2 153(★7) 12.0(★5) 280.8~140.4(★8) 0.86(★8) 353.3(★8) 407.7(★8) B+(★6) - 장비
75 T5 스토크 175(★7) 15.0(★5) [관통]271.8~135.9(★8) 1.5(★8) 362.4(★8) 543.6(★8) A(★6) 2.0 -
84 TZ 스토크 175(★7) 15.0(★5) [관통]366.9~183.5(★8) 1.5(★8) 453.0(★8) 679.5(★8) S(★6) 2.0 장비

  • T3 스토크 버스트는 입수 레벨에서는 긴 사거리와 적은 감쇄치, 발당 화력도 G&M과 동일해 중거리까지는 문제없이 처치할 수 있다. 다만, 관통력이 없어 일점사해도 무섭게 다가오는 녹색 개미에게는 쥐약이다. 미니언 버스터도 똑같은 단점을 가졌어도 문어와 오징어의 실드를 관통할 수 있다는 것도 해당 무기의 한계를 보여준다.
  • T4 스토크 AE는 전작에선 유일하게 사거리 관계없이 무조건 관통하는 무기로 이름을 날렸으나 T5 이후에 나오는 슬러거 계열 무기도 근거리에서 관통할 수 있기에 고난도에서의 입장이 약해졌다. 화력이 낮지 않고 사거리도 길고 단순하게 관통력만 놓고 보면 적정 난이도에선 맹활약을 펼칠 수 있고 비교적 낮은 레벨대에서 중거리까지의 제압력이 높다는 점이 위안점.
  • TZ 스토크는 최종티어 무기로 사거리, 화력, 재장전 등에서 평균적이면서도 고성능인지라 구멍이 전혀 없다. 전작과 비교해서 위력이 20% 이상 향상되어 일정거리까지는 관통이 보장되며 관통거리가 80m인게 부족한 면을 보이나 물량전에서 그 진가를 보이기에 전작보다 성능이 향상되어 레인저 철판까지 장비하면 무적이 될 뻔했으나...X900 오키드라는 강력한 라이벌이 등장한다.

    무지막지한 단발 화력을 기초로 근중거리에서의 DPS와 장기전으로 돌격소총 무기군에서 근중거리에서 맹활약을 펼칠 수 있고 명중률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어떻게보면 X900으로 갈아타야 될 것같은 생각이 들겠지만 TZ쪽은 최소 화력이 높고 감쇄도 낮은 것이 최대 이점이라 사거리면에서 불리해보여도 원거리전에서는 200m 이상도 거뜬히 상대할 수 있다.[1] 즉, 200m 이내에서는 X900이 좋지만 200m를 넘으면 TZ가 유리하다. 그럼에도 탄속 차이가 너무 커서 TTK는 X900쪽이 훨씬 좋다.

    재장전 시간도 짧은 것도 명확한 차이점으로 서로 다른 종류의 여러 적을 상대할 때 재장전 시간이 1초만 길어져도 불리해진다는 것을 감안하면 근접전과 중장거리전을 문제없이 수행할 수 있는 TZ쪽이 유리하다. 거기다 체력 많은 안드로이드 물량을 상대할 때 같은 조건하에서 사용하면 X900과의 화력 차이가 극명하게 나뉘게 되는데 탄속이 대폭 강화된 미니언 버스터 MKX가 안드로이드 물량을 더욱 수월하게 상대하기에 TZ가 필요없다고 생각할텐데 미니언 버스터 특유의 느린 폭발시간을 감안하면 어찌됐든 물량을 하나라도 줄이기 위해선 관통력이 절실하기에 TZ는 필요하다. 그럼에도 DPS 문제가 대두되는 미니언 버스터쪽이 상대하기 더 유리한 건 변함이 없다.

2.3. 슬레이드

Slade
DLC에서 추가된 전작의 MA계열과 같은 무기군, TZ 스토크의 밸런스를 진화시켜 사거리와 탄속을 높은 블레이저 계통과 맞먹을 정도로 성능이 좋다. 이번작에서는 사거리가 늘어났기에 괜히 E가 추가로 붙은게 아니다. 운용법은 TZ와 다를바 없지만 슬러거 NN5이 강력한 라이벌로 부상해버렸다.

MA10E는 명실상부 최종티어 무기라는 것을 여과없이 보여주는 MA9E의 후속 모델로 전작보다 성능이 와빵하게 좋아져 최대 10성 기준 재장전 속도 0.88초라는 경이로운 손놀림과 낮은 감쇄치에 정조준까지 지원해줘서 화력이 동일한 최종티어 무기와 비교하면 오키드는 명함도 못내미는 관통력을 보여주는 대기만성형 무장이다.

||<-11><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
(발/초)
대미지 재장전 시간
(초)
유효 사거리
(m)
탄속
(m/sec)
정확도 확대 배율
(배)
표적 지시기
101 MA9E 슬레이드[DLC1] 175(★7) 15.0(★5) [관통]430.3~215.2(★8) 1.5(★8) 543.6(★8) 1358.9(★8) S(★6) 2.0 장비
107 MA10E 슬레이드[DLC2] 205(★10) 15.0(★5) [관통]507.0~253.5(★10) 0.88(★10) 579.4(★10) 1448.5(★10) S(★6) 2.0 장비

2.4. 레이븐

Raven
전작과 비교해서 화력이 대략 1.5~1.6배 늘어난 대신 명중률이 감소했고 DLC를 통해 새로운 모델이 등장한다. 세부 모델로 가면 M5 레이븐의 장탄수가 증가하고 일부 모델의 사거리나 장탄수가 증가하는 버프를 받았다.

연사력을 중시한 돌격소총으로 M1 레이븐은 스토크 계열과 큰 차이가 없지만 상위 모델로 갈수록 연사력이 2~4배 차이나게 된다. 연사력이 빠르니 당연히 근접전에서 최고의 효율을 자랑하며 사거리 이내에는 일점사만 해도 큰 피해를 입힐 수 있고 흩뿌려서 적의 발목을 붙잡을 수 있다. M5 레이븐을 기준으로 100m까지는 컷, 150m부터는 TZ 스토크에 밀리고 X900 오키드에게 따라잡힌다.

상위 모델로 갈수록 기관총이라 불러야 할 정도의 장탄수를 지니게 되어 DPS는 물론 한 탄창당 화력도 수준급이라 고정되어 있는 단단한 적을 박살내는데 적합하다. 근거리 특화라는 것이 걸리지만 사거리와 사거리 감쇄를 무시할 초연사를 보여줘 중거리까지는 대응할 수 있다. 장거리전에서는 블레이저에게 밀리고 근거리에는 관통이 있는 마그마포와 같은 돌격소총에서 슬러거 계열과 경합을 벌여야한다는 점이 문제.

최소 10%까지 떨어지는 사거리 감쇄에다 감쇄 수치도 2라 중거리전까지의 실질적인 피해량은 스펙의 ⅔밖에 안된다. 이러니 동굴이나 폭발물을 쓰지 않는 시가전에서 빛나며 지속적으로 적이 몰려드는 스테이지에서는 장탄수로 찍어눌러 버릴 수 있다. 특히 M9 레이븐은 고난도 공략에서 근거리 관통에다 화력의 대표 주자 슬러거를 넘는 화력을 보유해서 고난도를 헤쳐나갈 무기로 각광받는다.

여담으로 초기 모델은 PA-11을 카빈화시킨 외형이라 모티브는 M4A1인데 M3 이후부터는 마이크로건의 총열이 돌격소총에 붙은 모습으로 변한다.

||<-11><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
(발/초)
대미지 재장전 시간
(초)
유효 사거리
(m)
탄속
(m/sec)
정확도 확대 배율
(배)
표적 지시기
3 M1 레이븐 229(★7) 20.0(★5) 26.0~2.6(★8) 1.7(★8) 226.5(★8) 271.8(★8) B(★6) - -
12 M1 레이븐 LS 229(★7) 20.0(★5) 49.8~5.0(★8) 1.7(★8) 226.5(★8) 271.8(★8) A+(★6) - 장비
22 M2 레이븐 273(★7) 30.0(★5) 52.1~5.2(★8) 1.5(★8) 232.2(★8) 278.6(★8) B-(★6) - -
26 M2R 레이븐 273(★7) 30.0(★5) 56.6~5.7(★8) 1.5(★8) 271.8(★8) 326.1(★8) B(★6) - -
31 M2RER 레이븐 349(★7) 30.0(★5) 67.9~6.8(★8) 1.5(★8) 271.8(★8) 326.1(★8) B+(★6) 2.0 -
42 MXR 시리우스 1092(★7) 30.0(★5) [관통]79.3~7.9(★8) 1.5(★8) 232.2(★8) 278.6(★8) B(★6) - -
55 M3 레이븐 382(★7) 30.0(★5) 130.2~26.0(★8) 1.8(★8) 305.8(★8) 366.9(★8) B(★6) - -
64 M4 레이븐 764(★7) 60.0(★5) 113.2~22.6(★8) 2.9(★8) 305.8(★8) 366.9(★8) B(★10) 3.0 장비
73 M3 레이븐 SLS 382(★7) 30.0(★5) 237.8~47.6(★8) 1.2(★8) 339.7(★8) 407.7(★8) B(★6) 2.0 장비
82 M5 레이븐 1092(★7) 60.0(★5) 169.9~34.0(★8) 2.9(★8) 339.7(★8) 407.7(★8) A+(★6) 3.0 장비
109 M9 레이븐[DLC2] 1092(★7) 60.0(★5) [관통]283.1~56.6(★8) 2.9(★8) 396.4(★8) 475.6(★8) A+(★6) 3.0 장비

  • MXR 시리우스는 풍부한 장탄수, 높은 연사력, 사거리 관계없이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무조건 관통이란 특징을 갖고 있다. 전작에선 관통으로도 그리 큰 피해를 입히지 못했다는 것을 감안해 이번작에서 대폭 버프를 먹여 동급 레이븐 모델과 겨뤄도 매우 강력한 물건이다. 하드 중반부부터 종반부까지 강력한 모습을 보여주며 전작과는 다르게 단단한 적도 어느 정도 없앨 수 있게 되었다. 이번작에서는 근거리 관통력을 지닌 슬러거와 장탄수, 적정 거리와 관통성능으로 어깨를 나란히 서있으나 모든 사거리 관통이란 특징이 유리하게 작용한다.
  • M9 레이븐은 두번째 DLC에서 추가된 최종티어 모델이자 완성형 레이븐으로 상술한 MXR 시리우스와는 다르게 모든 사거리가 관통이 아니지만 레이븐 정규 모델 중에서는 유일한 관통 사양이다. 초당 60발이고 발당 화력이 283.1이라 플래닛 블레이저와 같은 초화력을 보여줄 수 있다. 물론 플래닛 블레이저가 근중거리에서 쓸어버린다해도 이쪽은 재장전 시간도 짧고 관통이 있어 대응속도에 차이가 난다. 같은 DLC 무기인 슬러거 NN5와 비교하면 화력이 강해도 관통력과 재장전 속도에서 차이가 난다. MA10E 슬레이드와 비교하면 222m 이내는 슬레이드가 우세하나 장거리전이나 관통 거리, 재장전 속도에서 차이가 난다.

2.5. 슬러거

Slugger
근접전과 장기전에 특화된 무기군, 연사력이 낮지만 발당 위력이 높고 장탄수도 많아 다른 무기가 시간 걸려 클리어할걸 그 절반의 시간으로 클리어시킬 수 있다.

이번작부터 NN2 이후 모델은 일정거리까지 관통 보장이 추가되어 상위 모델로 가면 사거리가 반토막나도 관통력을 이용해 근접전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여줄 수 있다. DPS와 관통력을 댓가로 명중률을 낮췄기에 총알이 빗나갈 수 있지만(상위 모델에선 해당 부분이 개선된다.) 근거리에서는 주력부대가 떼로 몰려올 때 그리고 작은 안드로이드의 늘어나는 팔 공격을 막을 수 있다.

전작과는 달리 초기 모델인 NN1에는 관통 성능이 부여되지 않았는데 이는 인게임 설명을 반영한 것이다. 개발 목적이 PA-11을 상회하는 무기를 목표로 만들었으나 그걸 이루지 못한 실패작이라서 PA-11에 가까운 연사력을 가졌고 NN2부터 슬러거 계열 무기군으로 인정된다.

외형은 AK-12 내지 AK-15이다.

||<-11><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
(발/초)
대미지 재장전 시간
(초)
유효 사거리
(m)
탄속
(m/sec)
정확도 확대 배율
(배)
표적 지시기
1 슬러거 NN1 142(★7) 15.0(★5) 23.8~2.4(★8) 1.3(★8) 217.4(★8) 271.8(★8) C+(★6) - -
24 슬러거 NN2 164(★7) 8.6(★5) [관통]181.2~18.1(★8) 2.2(★8) 176.7(★8) 407.7(★8) B(★6) - -
34 슬러거 NN3 164(★7) 8.6(★5) [관통]254.8~25.5(★8) 2.2(★8) 190.3(★8) 407.7(★8) B+(★6) - 장비
47 슬러거 NN3SLS 164(★7) 8.6(★5) [관통]328.4~32.8(★8) 2.2(★8) 203.8(★8) 407.7(★8) B+(★6) 2.0 장비
62 슬러거 NN4 164(★7) 8.6(★5) [관통]543.6~54.4(★8) 2.2(★8) 176.7(★8) 407.7(★8) B(★6) - -
104 슬러거 NN5[DLC1] 164(★7) 8.6(★5) [관통]1019.2~101.9(★8) 1.1(★8) 265.0(★8) 611.5(★8) B(★6) - -

  • 슬러거 NN4는 DLC를 구매하지 않았을 때의 최종티어 모델로 사거리는 NN3보다 짧지만 낮은 화력을 보완해 최대 사거리의 70%까지 관통이 적용된다. 같은 레벨대의 무기와 비교하면 물량전을 없애는데는 이보다 와따인게 없다. T4 스토크 AE가 비빌 수 있는데 스토크는 화력이 높고 사용하기 쉽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 슬러거 NN5는 DLC에서 추가된 최종티어 모델로 재장전 시간이 대폭 단축되어 근접전 성능이 한층 더 늘어났지만 재장전 시간과 명중률이란 약점을 극복하지 못해 장거리전에서는 젬병이다. 특히, 첫번째 DLC에서 긴 사거리를 지닌 적들이 한가득이기에 역풍에 제대로 맞는다. X900 오키드보다는 떨어지는 성능을 지녔어도 높은 화력+관통에다 빠른 재장전이 명확한 장점이라 상황에 따라서 무사히 넘길 수 있다. 사거리가 늘어났다는 것은 곧 관통거리도 늘어나는 거이에 최대 183m까지 경이로운 관통력을 자랑한다. 두번째 DLC에서 추가되는 M9 레이븐과 비교하면 NN5보다 높은 화력을 보여줘도 관통력과 재장전 시간에 이점을 둬 차별화시킬 수 있다.

2.6. 오키드

Orchid
중반부부터 등장하는 슬러거에서 위력을 살짝 조정하고 명중률과 사거리를 높힌 범용성을 지향하는 개량형 슬러거다.

TZ 스토크와 비교해보면 DPS와 관통력 면에서 승리. 연사력도 TZ가 11초 동안 총알을 내뱉는다면 이쪽은 19초 동안 총알을 내뱉는다. 떼로 몰려오는 강적 한 무리를 없앤다면 화력 중시인 이쪽이 유리하며 지속적으로 적을 대응하기 위한다면 재장전과 명중률이 유리한 스토크쪽이 유리하다.

||<-11><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
(발/초)
대미지 재장전 시간
(초)
유효 사거리
(m)
탄속
(m/sec)
정확도 확대 배율
(배)
표적 지시기
57 X400-오키드 164(★7) 8.6(★5) [관통]283.1~28.3(★8) 2.2(★8) 453.0(★8) 543.6(★8) A-(★6) - -
71 X500-오키드 164(★7) 8.6(★5) [관통]396.4~39.6(★8) 2.2(★8) 453.0(★8) 543.6(★8) A+(★6) 4.0 -
80 X900-오키드 164(★7) 8.6(★5) [관통]792.7~79.3(★8) 2.1(★8) 498.3(★8) 747.4(★8) A+(★6) 4.0 -

2.7. 미니언 버스터

Minion buster
철갑유탄을 사용하는 돌격소총으로 거리 감쇄에 영향받지 않는다. 39레벨 이후의 모델의 화력이 증가하고 이지/노말 대의 모델의 사거리가 증가하는 버프를 받았다.(Mk3와 MKX는 오히려 사거리가 감소됐다.)

물체와 접촉하면 시한식 유탄이 작동되어 맞췄을 때 한번, 터질 때 한번 총 2번의 피해를 입힌다. 이런 특징으로 맞췄을 때 스턴, 터질 때 스턴에 걸려서 발목 잡는게 효과적이다. 일정시간이 흘러야 폭발하기에 시간 차 공격을 할 수 있으며 적 앞에서 공격하면 적이 스턴에 걸렸을때 터질 때까지의 시간을 이용해 거리를 벌리거나 무기를 바꿔서 저멀리 날려버리는 등의 응용이 가능하다. 다만, 무작정 쏘는건 애꿎은 탄약만 낭비하는 꼴이 되어 적을 쓰러트릴때 필요한만큼만 쏘고 처치되었다면 다른 적을 향해 쏘는 것을 기본골자로 삼아야 한다.

거리 감쇄가 없는만큼 다른 돌격소총의 영거리 사격이 무색할 정도의 화력을 자랑하며 킹같은 적도 멀리서 안전하게 처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에일리언도 몸 전체에 공격해 녹아내리게 만들어 뼈와 살을 분리시킬 수 있다.

전작보다 명중률이 감소한 대신 탄속이 3~4배 이상 빨라진 덕분에 인게임 설명과 앞뒤가 맞지 않게 되었지만 이 덕분에 공중에 있는 적도 안정적으로 명중시킬 수 있고 거리감쇄도 없겠다 대공포로 이용할 수도 있다. 거기다 철갑유탄이 가진 특징이 본작에서 구현되어서 장갑을 두른 코스모너츠도 수월하게 처치할 수 있다.

참고로 아래에 명시된 화력은 일반 피해와 폭발 피해를 합친 것이다. 일반 피해 2, 폭발 피해 8의 비율로 산정되어 각각의 화력은 플레이어가 알아서 계산해야 한다.

||<-11><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
(발/초)
대미지 재장전 시간
(초)
유효 사거리
(m)
탄속
(m/sec)
정확도 확대 배율
(배)
표적 지시기
0 미니언 버스터 120(★7) 12.0(★5) 29.4(★8) 1.5(★8) 163.1(★8) 543.6(★8) B(★6) - -
10 미니언 버스터 버스트 120(★7) 4.0(★5) 96.3(★8) (3버스트) 1.5(★8) 190.3(★8) 815.4(★8) B+(★6) - -
21 미니언 버스터 MK2 120(★7) 12.0(★5) 113.2(★8) 1.5(★8) 203.8(★8) 611.5(★8) B(★6) - -
39 미니언 버스터 MK3 120(★7) 12.0(★5) 203.8(★8) 1.5(★8) 244.6(★8) 815.4(★8) B(★6) - -
49 미니언 블래스터 33(★7) 12.0(★5) 489.2(★8) (반자동) 1.8(★8) 339.7(★8) 2038.4(★8) A-(★6) - -
76 미니언 버스터 MKX 120(★7) 12.0(★5) 509.6(★8) 1.5(★8) 326.1(★8) 1087.2(★8) B+(★6) - 장비

  • 미니언 블래스터는 반자동 사격으로 쏘는 모델이며 장탄수가 낮은 대신 높은 단발화력과 저격총을 뛰어넘는 탄속에다 감쇄 없음이 삼박자를 이뤘다. 높은 탄속(과 그에 준하는 사거리)으로 낙하하고 있는 테일 앵커를 격추시킬 수 있고 고난도에서도 낙하하기 시작해서 지면에 박힐 때까지 한 탄창을 소비하면 적을 전송하기 전에 파괴시킬 수 있다.[6]
  • 미니언 버스터 MKX는 최종티어 모델로 화력은 최대 강화시 509.6으로 TZ 스토크의 화력보다 1.39배 더 높고 거리 감쇄도 없고 빗나가는 탄이 없으면서도 빗나가는 탄환도 없어 이걸 주력으로 쓰면 스테이지 깰 때까지 NPC를 살릴 수 있다. 그러나 관통 불가, 정조준 불가같은 단점이 있어 상황에 따라서 다른 무기군을 써야 한다. 그리고 아무리 성능이 좋다해도 76레벨 이상의 무기를 손에 얻는다면 2선급 무기로 강등될 수 있다.

2.8. G&M

클릭 한번에 한발만 나가는 반자동 소총, 전작에서 나온 상위 모델의 사거리와 탄속이 증가한 대신 명중률이 낮아졌다.

다른 돌격소총보다 사거리가 길고 거리 감쇄도 엄청 적고 절반 이상이 관통을 보장하기에 최대 사거리까지 관통시킬 수 있다. 관통과 화력이 양립되어 다양한 상황에서 그 화력을 발휘할 수 있는 만능무기인 대신 마우스 기준으로 매크로를 쓰지 않는 이상 손가락이 아파온다. 특히, 패드 사용자라면 R2 버튼이 망가져버릴 수 있다.

장탄수가 적어서 100m 이내에서는 다른 돌격소총보다 DPS면에서 열세를 보인다. 크루루나 실드를 상대할 때 실드가 오버히트될 때 재장전 타이밍에 걸려서 화력 손실이 일어나 상성 자체가 나쁘다. 전작보다 여러 모델이 강화되어 다른 모델이 G&M보다 열세라는 말은 옛날이되었지만 그 단순한 DPS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상황이 있어 관통이나 사거리를 활용해야 한다.

||<-11><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
(발/초)
대미지 재장전 시간
(초)
유효 사거리
(m)
탄속
(m/sec)
정확도 확대 배율
(배)
표적 지시기
2 G&M-21S 33(★7) 12.0(★5) 56.6~45.3(★8) 1.6(★8) 258.2(★8) 407.7(★8) A-(★6) - -
7 G&M-22S 33(★7) 12.0(★5) 79.3~63.4(★8) 1.1(★8) 258.2(★8) 407.7(★8) A-(★6) 3.0 -
16 G&M-A23 38(★7) 12.0(★5) [관통]103.1~82.4(★8) 1.2(★8) 258.2(★8) 407.7(★8) B+(★6) - -
29 G&M-A23LS 38(★7) 12.0(★5) [관통]163.1~130.5(★8) 1.2(★8) 258.2(★8) 407.7(★8) A+(★6) - 장비
44 G&M-24S 33(★7) 12.0(★5) 326.1~260.9(★8) 1.1(★8) 339.7(★8) 679.5(★8) A-(★6) - -
67 G&M-A25 33(★7) 12.0(★5) [관통]415.6~332.5(★8) 2.2(★8) 390.7(★8) 1019.2(★8) A-(★6) - -
79 G&M-A29 33(★7) 12.0(★5) [관통]586.6~469.3(★8) 1.5(★8) 611.5(★8) 1223.1(★8) A-(★6) 2.0 -

2.9. 블레이저

Blazer
높은 사거리와 높은 화력을 가진 레이저를 빠르게 연사하는 원자광선총.

전작에서는 중사 전용 무기에다 스토리 진행 중에는 지구방위군 5의 두번째 DLC를 구매해야 쓸 수 있었던 대기만성형 초병기. 본작에서는 기어이 양산되어 난이도별 적정 모델의 갯수도 늘어났다. 화력은 레벨에 상응하는대로 장탄수 999발에 달하는 높은 DPS에다 거리 감쇄조차 없어 돌격소총 내에서 탑에 드는 긴 사거리와 탄속은 우수하다 볼 수 있다.

반대로 말하면 긴 재장전 시간과 시체 밀어내는 힘이 약해 물량전에서 높은 화력을 발휘할 수 없으며 긴 사거리를 지녔어도 조준경이 지원되지 않아 본작부터 플레이하는 신규 플레이어는 중장거리전에서의 정확한 조준이 어려워 전작 지구방위군 5를 플레이해야 사용 노하우가 생긴다. 마우스로 조준하면 문제가 없긴 하지만 패드 사용자는 한손으로 조준과 사격을 동시에 하는게 어렵기 때문.

캐릭터 모델의 움직임에 따라 레이저가 사격하는 방식이라 상황에 따라서 꽤 귀찮은 특징이 된다. 빨간 개미에게 잡힐 경우 제대로 조준할 수 없으며 자력탈출이 불가능해진다. 아라네아의 거미줄에 걸리면 각도에 따라 자력으로 거미줄을 끊어내기 어려운 상황에 도달할 수 있다. 거미줄에 맞기 전에 점프하면 조준점이 틀어지는 단점이 있었지만...패치로 해결되어 이제 점프해도 조준한 곳에 제대로 맞게 된다.

긴 재장전 시간을 상쇄하기 위해 백팩 툴을 활용하거나 탑승물에 탑승하거나 대시 속도를 강화시키는 보조 장비를 장착해서 재장전 완료될때까지 튀는게 좋다. 크라켄이나 크루루에게도 유효해서 고난도 크라켄과의 싸움에서는 필수, 인페르노 끝까지 생사를 함께해준다. 저격총으로 상대하기엔 반사 데미지가 공포스럽지만 블레이저에게는 그런거 없이 상대를 불태워버린다. 다른 돌격소총으로도 될까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블레이저는 반사된 레이저의 속도가 느리기에 여유롭게 피할 수 있다. 탄속도 순식간이라 해도 실드에 막히기에 이 적이 나온다면 쓰지 않아야 할지도 신경써야 한다.

||<-11><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
(발/초)
대미지 재장전 시간
(초)
유효 사거리
(m)
탄속
(m/sec)
정확도 확대 배율
(배)
표적 지시기
20 블레이저 999 60.0 12.5(★8) (실드×1.25) 7.4(★8) 339.7(★8) 2038.4(★8) S++ - -
68 오메가 블레이저 999 60.0 72.5(★8) (실드×1.3) 7.4(★8) 530.0(★8) 2446.1(★8) S++ - -
95 EXA 블레이저 999 60.0 117.8(★8) (실드×1.5) 7.4(★8) 679.5(★8) 2717.9(★8) S++ - -
112 플래닛 블레이저 999 60.0 283.1(★8) (실드×1.5) 7.4(★8) 679.5(★8) 2038.4(★8) S++ - -

  • 오메가 블레이저는 하데스트 난이도에서 쓰이는 모델로 순정품이 화력을 제외하면 사거리와 탄속이 대폭 강화되었다. 최대 장점은 공격력에 비해 낮은 레벨에 입수되어 인페르노 중반부터 드랍되기 시작해 착착 업글하면서 활약할 수 있다. 물론 하데스트 엔딩 직전까지도 유용하게 쓸 수 있다. 저격이 불리한 동레벨대 무기여도 DPS가 초월적이라 처음부터 인페르노 난이도로 시작하면 이 무기가 구세주요, 메시아다. EXA 블레이저가 등장해서 인벤토리에 들어와도 처음 얻으면 성능이 낮은 상태에서 시작하기 때문에 양자택일할 수 있다. 200m 내외의 적은 TZ 스토크나 X900 오키드를 넘는 DPS를 보여준다. 온라인 하데스트 DLC1의 미션은 원거리전이 주된 전장이라 X900보다는 이쪽이 더 나을 수 있다.
  • 플래닛 블레이저는 두번째 DLC에서 추가된 최종티어 무기로 이펙트를 제외하면[7] 전작과 동일한 사양인 최고 성능의 블레이저가 돌아왔다. 탄속이 초창기보다 똑같지 않아도 EXA 블레이저보다 배 이상의 압도적인 화력으로 프라이머를 격멸시킨다. 전작과 동일한 성능을 지녔어도 DLC에서 다른 돌격소총이 강화되었기에 상대적으로 박살내는 정도가 덜해보인다. 원래부터 가진 단점 이외에는 최고 성능을 자랑하기에 에임이 받혀준다면 그 어떤 적이라도 박살내버릴 수 있다.

3. 샷건

여러 발의 탄환을 한번에 쏘는 순간화력에 극대화시킨 근접전의 왕자. 일부 산탄총에 전술 재장전 개념이 적용되어 장탄수가 적다 싶으면 재장전시 한발씩 넣는다.[8] 슬러그샷을 제외하면 모든 산탄총의 탄속이 전작보다 1.5배 더 빨라 동일한 거리에서 쏘면 전작 사양보다 화력이 높아졌다.

지근거리에서 관통 성능을 부여되어서 물량에다 한발 쏘면 뒤에 있는 적들도 우수수 나가 떨어진다. 자동 산탄총도 존재하지만 연사 텀이 길어서 적을 노려서 쐈는데 딜레이때문에 적이 에임에서 벗어난 후에야 총알이 나간다는 단점이 있다. 마우스를 이용한다면 그나마 낫지만 콘솔판은 기본적으로 패드로 플레이하기 때문에 자동 사격이 된다해도 한발씩 끊어쏴야 한다.

대다수의 적들은 한방에 나가떨어져서 근접전에서 당해낼 수 없다. 적에게 포위당하기 쉬운 지구방위군 특성상 물량을 조금씩 갈아마실 수 있다. 감쇄되기까지는 엄청난 화력을 보여주기 때문에 '근접하면 마구 쏜다'는 법칙이 어느 정도 작용한다.

물론 적이 플레이어에게 다가오는 것을 전제로 삼기에 다른 무기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장탄수로 인해 탄수 세어가면서 싸우자니 재장전 시간이 길어서 그동안 무방비로 당해야 한다. 또한, 산탄인 이상 적과 조금만 거리가 멀어져도 화력이 급감한다는 치명적인 약점이 있어 거리에 따라 명중하는 적의 마릿수도 적어지며 감쇄 수치가 기본 2.5에 달하고 최소 피해량도 매우 작아서 아래 명시된 스펙과는 다른 면모를 보여준다. 명기된 사거리의 절반 이하에만 유효한 화력을 보여준다.

온라인에서도 주력으로 쓸 수 있어 전술 재장전을 자주 써도 파티원이 커버해주니 슬로터 계열 무장은 확실한 개인방어무기로 활약할 수 있다. 그러나 중거리 이상으로 가면 화력은 급감해서 기동력이 열세인 레인저 입장에서는 고통을 더 많이 받아야 할 수 있다. 무론 브루트나 C계열 폭탄, 저격총을 보조해줄 보조무기로 쓸 수 있다.

3.1. 슬로터

Slaughter
전작과는 달리 모든 모델이 관형탄창이 된 펌프액션 산탄총으로 재장전 시간은 중간정도지만 연사 텀과 장탄수, 화력이 삼박자를 이룬 밸런스형이다. 특히, 사거리가 길어 후방 지원이 쉬우며 산탄의 집탄율이 높아 다른 산탄총보다 정확한 조준을 요구하나 소형 적을 명중시키면 오버킬급 화력을 선사할 수 있다.

본작의 산탄총은 본목적대로 근접전용인지라 대담하게 적 앞으로 돌격해야만 그 화력을 발휘하지만 이쪽은 그럴 필요가 없고(물론 일부 모델은 전작보다 사거리가 감소한 것이 있다.) 전술 재장전 개념이 생겼기에 장탄수가 높을수록 재장전 시간도 그에 맞춰 길어진다. 다만, 갑자기 적이 나타나면 클릭 한번에 재장전을 취소하기에 캐관광당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해줄 수 있어 개인방어화기로의 신뢰성을 더해가고 있다. 주력부대 물량과의 싸움에서 한두방이면 고깃덩이로 만들 수 있기에 적이 공격한다싶으면 바로 재장전 취소로 대응할 수 있다는 것도 포함해준다.

||<-10><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
(발/초)
대미지 재장전 시간
(초)
유효 사거리
(m)
탄속
(m/sec)
정확도 표적 지시기
0 슬로터 E20 8 1.2(★8) [관통](45.3~4.5)×11(★7+) 삽탄식 2.6(★8) 193.5(★5) 270.0(★5) B-(★5) -
4 슬로터 E20LS 8 1.2(★8) [관통](65.7~6.6)×11(★7+) 삽탄식 2.6(★8) 193.5(★5) 270.0(★5) B-(★5) 장비
9 슬로터 E21LS 8 1.2(★8) [관통](82.7~8.3)×14(★8) 삽탄식 2.9(★8) 202.5(★5) 405.0(★5) B-(★5) 장비
14 슬로터 E22 10 1.2(★8) [관통](77.0~7.7)×17(★8) 삽탄식 2.9(★8) 225.0(★5) 675.0(★5) B-(★5) -
21 슬로터 E22GA 10 1.2(★8) [관통](99.7~10.0)×17(★8) 삽탄식 2.2(★8) 225.0(★5) 675.0(★5) B-(★5) -
31 슬로터 E22TS 10 1.2(★8) [관통](140.4~14.0)×17(★8) 삽탄식 2.2(★8) 225.0(★5) 675.0(★5) B(★5) 장비
40 슬로터 E23 11 1.4(★8) [관통](159.7~16.0)×17(★8) 삽탄식 2.9(★8) 288.0(★5) 1080.0(★5) B-(★5) -
50 슬로터 E23DA 12 1.4(★8) [관통](190.3~19.0)×17(★8) 삽탄식 2.9(★8) 288.0(★5) 1080.0(★5) B-(★5) -
68 슬로터 E23SAS 12 1.4(★8) [관통](332.9~33.3)×17(★8) 삽탄식 2.9(★8) 288.0(★5) 1080.0(★5) B-(★5) 장비
85 슬로터 EZ 15 1.2(★8) [관통](634.2~63.4)×17(★8) 삽탄식 2.6(★8) 330.0(★5) 1800.0(★5) B-(★5) 장비

3.2. SGN

빠른 연사력을 근접한 적을 순삭시키는 무기군, 전작과는 달리 K12 이외의 모델은 사거리가 살짝 짧아지고 DLC 설치시 무기가 추가된다.

순간 화력이 높다는 같은 특징을 지닌 브리쳐와 비교하면 산탄도와 사거리면에서 이긴다. 지근거리의 주력부대를 1발에 대거 삭제시켜주는 사거리가 있고 영거리 사격으로 연사하면 준주력부대도 초고속즉시삭제가 가능하다. 사거리가 짧아도 거리 감쇄는 적용되지만 중거리까지는 감쇄가 적용되지 않아 주력 공중적에게 화력을 투사하기 쉽다.

이 장점은 재장전 시간이 길다는 단점으로 묻혀버린다. 1탄창 쏟아부으면 그 후에 몰려오는 적들에게 고전을 면치 못한다. 특히, 인해전술을 펼치거나 단단한 적이 주류인 스테이지에서 이 단점이 명확하게 보여지며 대기해야 하는 것이 대부분을 차지하거나 비교적 소수의 적이 지속적으로 몰려오는 것도 이 단점이 부각된다. 이런 상황에서는 다른 무기나 백팩을 병용해야 커버할 수 있게되어 대공대지, 주력부대, 준주력부대에 대응할 수 있는 범용성을 발휘한다.

||<-11><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
(발/초)
대미지 재장전 시간
(초)
유효 사거리
(m)
탄속
(m/sec)
정확도 표적 지시기 비고
1 SGN-7 7 6.7(★7) [관통](34.0~3.4)×11(★7+) 3.7(★8) 258.0(★5) 360.0(★5) C+(★5) - 반자동
17 SGN-8 15 6.7(★7) [관통](75.9~7.6)×11(★7+) 4.4(★8) 258.0(★5) 360.0(★5) C+(★5) - 반자동
43 SGN-K9 25 6.7(★7) [관통](158.5~15.9)×11(★7+) 6.1(★8) 248.0(★5) 480.0(★5) B-(★5) - 반자동
82 SGN-K12 35 6.7(★7) [관통](377.1~37.7)×11(★7+) 6.1(★8) 260.0(★5) 600.0(★5) B-(★5) 장비 반자동
6 G1 헤링 7 3.5(★8) [관통](49.8~5.0)×11(★7+) 2.9(★8) 258.0(★5) 360.0(★5) B-(★5) - 전자동
52 SGN-10A 25 3.5(★8) [관통](190.3~19.0)×11(★7+) 6.1(★8) 250.0(★5) 600.0(★5) B-(★5) 장비 전자동
65 SGN-11A 35 3.5(★8) [관통](224.2~22.4)×11(★7+) 6.1(★8) 250.0(★5) 600.0(★5) B-(★5) 장비 전자동
100 SGN-DAT[DLC1] 40 4.6(★8) [관통](396.4~39.6)×11(★7+) 3.7(★8) 308.0(★5) 1320.0(★5) B-(★5) 장비 전자동

3.3. 몬순

||<-10><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
(발/초)
대미지 재장전 시간
(초)
유효 사거리
(m)
탄속
(m/sec)
정확도 표적 지시기
24 몬순 7 1.2(★8) [관통](99.7~10.0)×17(★8) 1.3(★8) 180.0(★5) 540.0(★5) B-(★5) -
46 몬순 M2 7 1.2(★8) [관통](209.5~21.0)×17(★8) 1.1(★8) 180.0(★5) 540.0(★5) B-(★5) -
60 몬순 M3 11 1.7(★8) [관통](203.8~20.4)×17(★8) 0.98(★8) 210.0(★5) 630.0(★5) B-(★5) -
77 몬순 MZ 11 1.7(★8) [관통](299.0~29.9)×17(★8) 0.98(★8) 240.0(★5) 720.0(★5) B-(★5) -

3.4. 브리처

||<-10><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
(발/초)
대미지 재장전 시간
(초)
유효 사거리
(m)
탄속
(m/sec)
정확도 표적 지시기
11 D35 브리처 8 1.0(★10) [관통](108.7~10.9)×40(★8) 삽탄식 3.7(★8) 72.0(★5) 270.0(★5) D(★5) -
29 D55 브리처 8 1.0(★10) [관통](108.7~10.9)×62(★8) 삽탄식 3.7(★8) 148.5(★5) 270.0(★5) D(★5) -
72 D79 브리처 8 1.0(★10) [관통](305.8~30.6)×89(★8) 삽탄식 3.7(★8) 153.0(★5) 270.0(★5) D(★5) -
80 D110 브리처 8 1.0(★10) [관통](339.7~34.0)×125(★8) 3.7(★8) 198.0(★5) 360.0(★5) D(★5) -

3.5. 슬러그 샷

||<-10><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
(발/초)
대미지 재장전 시간
(초)
유효 사거리
(m)
탄속
(m/sec)
정확도 표적 지시기
2 슬러그 샷 7 1.2(★8) [관통]679.5~67.9(★8) 삽탄식 2.9(★8) 252.0(★5) 180.0(★5) A(★5) -
12 슬러그 샷 2 7 1.2(★8) [관통]1245.7~124.6(★8) 삽탄식 2.9(★8) 285.6(★5) 204.0(★5) A(★5) -
36 슬러그 샷 3 7 1.2(★8) [관통]2463.1~246.3(★8) 삽탄식 2.9(★8) 315.0(★5) 225.0(★5) A(★5) -
55 슬러그 샷 4 7 1.2(★8) [관통]4076.8~407.7(★8) 삽탄식 2.9(★8) 470.4(★5) 336.0(★5) A(★5) -
74 슬러그 샷 5 7 1.2(★8) [관통]6794.7~679.5(★8) 삽탄식 2.9(★8) 470.4(★5) 336.0(★5) A(★5) -
83 슬러그 샷 Z6 7 1.2(★8) [관통]10192.1~1019.2(★8) 삽탄식 2.9(★8) 504.0(★5) 360.0(★5) A(★5) -
104 슬러그 샷 Z7 10 1.2(★8) [관통]12457.0~1245.7(★8) 삽탄식 2.6(★8) 537.6(★5) 384.0(★5) A(★5) -

3.6. 디스트럭션 블레이저

||<-11><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
(발/초)
대미지 재장전 시간
(초)
유효 사거리
(m)
탄속
(m/sec)
정확도 확대 배율
(배)
표적 지시기
45 디스트럭션 블레이저 20 1.3(★10) (249.1~124.6)×11(★7+)
(실드×1.25)
8.8(★8) 300.0(★5) 1800.0(★5) S++ 2 -
90 디스트럭션 블레이저 G 20 1.3(★10) (498.3~249.1)×23(★8)
(실드×1.5)
8.8(★8) 420.0(★5) 1800.0(★5) S++ 2 -
112 버스트 블레이저[DLC2] 21 1.3(★10) (747.4~373.7)×23(★8)
(3버스트) (실드×1.5)
8.8(★8) 420.0(★5) 1800.0(★5) B 2 -

3.7. 기타

||<-11><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
(발/초)
대미지 재장전 시간
(초)
유효 사거리
(m)
탄속
(m/sec)
정확도 확대 배율
(배)
표적 지시기
103 버스트 샷[DLC1] 8 1.3(★10) 339.7×102(★8) 삽탄식 3.7(★8) 180.0(★5) 240.0(★5) C+(★5) 4.0 -
106 프랙처[DLC2] 15 1.4(★8) [관통](792.7~79.3)×18(★8) 삽탄식 3.3(★8) 500.0(★5) 1500.0(★5) B-(★5) - 장비

4. 스나이퍼 라이플

4.1. KFF

||<-11><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
(발/초)
대미지 재장전 시간
(초)
유효 사거리
(m)
탄속
(m/sec)
정확도 확대 배율
(배)
표적 지시기
0 KFF50 5(★5) 0.73(★7) 124.6(★8) (실드×1.5)) 2.0(★5) 1350.0(★10) 1080.0(★10) S++(★8) 4.0 -
6 KFF50LS 5(★5) 0.73(★7) 274.1(★8) (실드×1.5)) 2.0(★5) 1406.3(★10) 1125.0(★10) S++(★8) 5.5 장비
23 KFF51LS 5(★5) 0.73(★7) 509.6(★8) (실드×1.5)) 2.0(★5) 1800.0(★10) 1800.0(★10) S++(★8) 4.0 장비
32 KFF60LS 9(★7) 0.73(★7) 736.1(★8) (실드×1.5) 3.0(★5) 1350.0(★10) 1800.0(★10) S+(★8) 4.0 장비
41 KFF60RE 9(★7) 0.73(★7) 934.3(★8) (실드×1.5) 2.0(★5) 1800.0(★10) 1800.0(★10) S++(★8) 4.0 장비
80 KFF70 9(★7) 0.82(★7) 3261.5(★8) (실드×1.5) 2.0(★5) 2700.0(★10) 3600.0(★10) S++(★8) 4.0 장비
106 KFF71S 9(★7) 0.82(★7) [관통]3963.6(★8) (실드×1.5) 2.0(★5) 1800.0(★10) 5400.0(★10) S++(★8) 4.0 장비

4.2. NP

||<-11><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
(발/초)
대미지 재장전 시간
(초)
유효 사거리
(m)
탄속
(m/sec)
정확도 확대 배율
(배)
표적 지시기
1 NP3-A 10(★7) 0.55(★7) 111.0(★8) (3버스트) (실드×1.5) 3.0(★5) 900.0(★10) 1800.0(★10) S+(★8) 4.0 -
17 NP3-B 13(★6) 0.55(★7) 226.5(★8) (3버스트) (실드×1.25) 2.0(★5) 1012.5(★10) 2025.0(★10) S+(★8) 4.0 -
49 NP3-C 13(★6) 0.73(★7) 764.4(★8) (3버스트) (실드×1.5) 3.0(★5) 1350.0(★10) 2700.0(★10) S+(★8) 4.0 -
75 NP4-SA 17(★6) 0.73(★7) 1585.4(★8) (4버스트) (실드×1.5) 7.5(★5) 1575.0(★10) 4725.0(★10) S++(★8) 4.0 -

4.3. 라이샌더

||<-11><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
(발/초)
대미지 재장전 시간
(초)
유효 사거리
(m)
탄속
(m/sec)
정확도 확대 배율
(배)
표적 지시기
4 프로토타입 라이샌더 4(★5) 0.28(★7) 509.6(★8) (실드×1.3) 4.0(★5) 3240.0(★10) 2700.0(★10) S++(★8) 6.0 장비
19 라이샌더 8(★7) 0.28(★7) 962.6(★8) (실드×1.25) 4.0(★5) 2640.0(★10) 3600.0(★10) S++(★8) 6.0 장비
56 라이샌더F 8(★7) 0.28(★7) 5096.0(★8) (실드×1.5) 4.0(★5) 2925.0(★10) 6750.0(★10) S++(★8) 6.0 장비
82 라이샌더Z 11(★7) 0.28(★7) 11324.6(★8) (실드×1.5) 3.5(★5) 2925.0(★10) 6750.0(★10) S++(★8) 6.0 장비
108 라이샌더ZF[DLC2] 11(★7) 0.37(★7) [관통]11324.6(★8) (실드×1.5) 3.5(★5) 2925.0(★10) 6750.0(★10) S++(★8) 6.0 장비

4.4.

||<-11><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
(발/초)
대미지 재장전 시간
(초)
유효 사거리
(m)
탄속
(m/sec)
정확도 확대 배율
(배)
표적 지시기
3 MR98 팽 Broken[DLC] 1 - [관통]300 5.0 600 1200 S++ - -
10 MR98 팽 1 - [관통]1358.9(★8) (실드×1.5) 5.0(★5) 1800.0(★10) 3600.0(★10) S++ 6.5 -
34 MR99 팽 1 - [관통]3963.6(★8) (실드×1.5) 5.0(★5) 2700.0(★10) 3600.0(★10) S++ 6.5 -
69 MR100 팽 1 - [관통]7927.2(★8) (실드×1.5) 6.0(★5) 2700.0(★10) 3600.0(★10) S++ 6.5 -
90 MR111 팽 1 - [관통]16986.8(★8) (실드×1.5) 4.3(★5) 3600.0(★10) 3600.0(★10) S++ 6.5 -

4.5. 둥켈

||<-11><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
(발/초)
대미지 재장전 시간
(초)
유효 사거리
(m)
탄속
(m/sec)
정확도 확대 배율
(배)
표적 지시기
12 둥켈 N202 16(★6) 2.2(★7) 169.9(★8) (실드×1.5) 4.0(★5) 750.0(★10) 1800.0(★10) S++(★8) 4.0 장비
27 둥켈 N213 21(★7) 3.3(★7) 226.5(★8) (실드×1.5) 3.2(★5) 750.0(★10) 1800.0(★10) S++(★8) 4.0 장비
47 둥켈 N224 21(★7) 3.3(★7) 453.0(★8) (실드×1.5) 4.0(★5) 990.0(★10) 2700.0(★10) S++(★8) 4.0 장비
62 둥켈 N236 21(★7) 3.3(★7) 792.7(★8) (실드×1.5) 5.0(★5) 1440.0(★10) 2700.0(★10) S++(★8) 4.0 장비
101 둥켈 N236R[DLC1] 82(★7) 8.6(★7) 792.7(★8) (실드×1.5) 5.0(★5) 1920.0(★10) 3600.0(★10) S++(★8) 3.0 장비

4.6. 타미건

||<-11><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
(발/초)
대미지 재장전 시간
(초)
유효 사거리
(m)
탄속
(m/sec)
정확도 확대 배율
(배)
표적 지시기
37 타미건 HA1 11(★7) 2.2(★7) 475.6(★8) (실드×1.5) 2.5(★5) 1800.0(★10) 1800.0(★10) S++(★8) 4.0 장비
66 타미건 HA2 12(★6) 2.2(★7) 1019.2(★8) (실드×1.5) 2.2(★5) 2100.0(★10) 3150.0(★10) S++(★8) 4.0 장비
84 타미건 HAZ 12(★6) 2.2(★7) 2038.4(★8) (실드×1.5) 2.0(★5) 3600.0(★10) 3600.0(★10) S++(★8) 4.0 장비

4.7. 이글

||<-11><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
(발/초)
대미지 재장전 시간
(초)
유효 사거리
(m)
탄속
(m/sec)
정확도 확대 배율
(배)
표적 지시기
14 이글 G1 5(★5) 0.73(★7) 423.5(★8) (실드×1.5) 2.0(★5) 1800.0(★10) 3600.0(★10) S++(★8) 12.0 장비
30 이글 G2 8(★7) 0.88(★7) 611.5(★8) (실드×1.5) 2.3(★5) 1800.0(★10) 3600.0(★10) S++(★8) 12.0 장비

4.8. 플라운더

||<-11><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
(발/초)
대미지 재장전 시간
(초)
유효 사거리
(m)
탄속
(m/sec)
정확도 확대 배율
(배)
표적 지시기
2 플라운더 4 5(★5) 0.73(★7) 56.6×4(★8) (실드×1.5) 2.0(★5) 960.0(★10) 900.0(★10) B+(★5) 4.0 장비
25 플라운더 8 5(★5) 0.73(★7) 79.3×8(★8) (실드×1.5) 2.0(★5) 960.0(★10) 1800.0(★10) B+(★5) 4.0 장비
72 플라운더 12 8(★7) 0.73(★7) 249.1×12(★8) (실드×1.5) 1.8(★5) 1218.0(★10) 2520.0(★10) B+(★5) 4.0 장비

4.9. 파일론

||<-11><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
(발/초)
대미지 재장전 시간
(초)
유효 사거리
(m)
탄속
(m/sec)
정확도 확대 배율
(배)
표적 지시기
45 파일론 A1 10(★7) 1.1(★7) [관통]815.4(★8) (실드×1.5) 2.0(★5) 900.0(★10) 1800.0(★10) S++(★8) 4.0 장비

4.10. 페너트레이터

||<-11><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
(발/초)
대미지 재장전 시간
(초)
유효 사거리
(m)
탄속
(m/sec)
정확도 확대 배율
(배)
표적 지시기
52 페너트레이터 10(★7) 1.7(★7) [관통]101.9×8(★8) (실드×1.5) 3.0(★5) 1110.0(★10) 1800.0(★10) A(★5) 4.0 장비
77 페너트레이터 F 10(★7) 1.7(★7) [관통]152.9×12(★8) (실드×1.5) 3.0(★5) 1350.0(★10) 2250.0(★10) S+(★5) 4.0 장비

4.11. 플래닛 스나이퍼 캐논

||<-11><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
(발/초)
대미지 재장전 시간
(초)
유효 사거리
(m)
탄속
(m/sec)
정확도 확대 배율
(배)
표적 지시기
104 플래닛 스나이퍼 캐논 4(★9) 0.3 [관통]45870.1(★10) (실드×0.1) 2.9(★10) 3000.0(★10) 450.0(★10) S++(★8) - -
112 플래닛 슈퍼 캐논 4(★9) 0.3 [관통]60355.3(★10) 2.9(★10) 3000.0(★10) 450.0(★10) S++(★8) - -

5. 로켓 런처

5.1. 그런트

||<-10><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
(발/초)
대미지 재장전 시간
(초)
폭파 범위
(반경 m)
정확도 확대 배율
(배)
표적 지시기
0 그런트 M31 3(★7) 1.0(★5) 241.4(★10) 3.7(★5) 12.7(★10) A(★5) - -
8 그런트 M32 3(★7) 1.0(★5) 531.1(★10) 4.0(★5) 16.4(★10) A(★5) - -
11 그런트 M33 3(★7) 1.0(★5) 676.0(★10) 3.0(★5) 19.9(★10) A(★5) - -
20 그런트 M40 5(★8) 1.0(★5) 1013.7(★10) 3.0(★5) 19.9(★10) A(★5) 2.0 -
32 그런트 M41 5(★8) 1.3(★5) 1001.9(★10) 3.0(★5) 19.9(★10) A(★5) 2.0 -
41 그런트 MA50 5(★8) 1.3(★5) 1569.2(★10) 3.0(★5) 21.7(★10) A(★5) 2.0 -
55 그런트 M42S 5(★8) 1.3(★5) 2027.9(★10) 3.0(★5) 27.2(★10) B+(★5) 2.0 -
73 그런트 MT51 6(★8) 1.3(★5) 2752.2(★10) 3.0(★5) 30.8(★10) A(★5) 2.0 -
81 그런트 MTX 8(★8) 1.3(★5) 3621.3(★10) 2.3(★5) 36.2(★10) S+(★5) 2.0 -
112 그런트 MTZ[DLC2] 8(★8) 1.2(★5) 4466.3(★10) 2.3(★5) 38.6(★10) S+(★5) 2.0 -

5.2. 레퍼드 유도 로켓

||<-10><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
(발/초)
대미지 재장전 시간
(초)
폭파 범위
(반경 m)
정확도 확대 배율
(배)
표적 지시기
2 레퍼드 유도 로켓 3(★7) 1.0(★5) 338.0(★10) 1.8(★5) 9.1(★10) A(★5) 2.0 장비
18 레퍼드 유도 로켓 M2 3(★7) 1.0(★5) 917.4(★10) 1.8(★5) 12.7(★10) A(★5) 2.0 장비
28 레퍼드 유도 로켓 M3 6(★8) 1.0(★5) 929.5(★10) 1.8(★5) 14.5(★10) A(★5) 3.0 장비
37 아이비스 유도 로켓 30(★8) 6.0(★5) 470.8(★10) 10.0(★5) 9.1(★10) A(★5) 3.0 장비
45 레퍼드 유도 로켓 M4 8(★8) 1.0(★5) 1448.5(★10) 1.8(★5) 14.5(★10) A(★5) 3.0 장비
65 레퍼드 유도 로켓 M9 8(★8) 1.0(★5) 2703.9(★10) 1.8(★5) 18.1(★10) A(★5) 3.0 장비
76 레퍼드 유도 로켓 0식 8(★8) 1.2(★5) 3138.5(★10) 2.0(★5) 18.1(★10) A(★5) 4.0 장비
  • 아이비스 유도 로켓: 연사형.

5.3. 골리앗

||<-10><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
(발/초)
대미지 재장전 시간
(초)
폭파 범위
(반경 m)
정확도 확대 배율
(배)
표적 지시기
5 골리앗 D1 1 - 700.1(★10) 6.0(★5) 25.3(★10) A(★5) 3.0 -
23 골리앗 D2 1 - 1810.7(★10) 6.0(★5) 27.8(★10) A(★5) 3.0 -
35 골리앗 D3 1 - 2716.0(★10) 6.0(★5) 32.6(★10) A(★5) 4.0 -
70 골리앗 DMX 1 - 6952.9(★10) 6.0(★5) 39.8(★10) A(★5) 4.0 -
80 골리앗 ZD 1 - 14485.3(★10) 4.0(★5) 45.3(★10) A(★5) 5.0 장비
102 골리앗 ZDMY[DLC1] 1 - 15854.4(★8) 5.0(★5) 41.9(★8) A(★5) 4.0 -
  • 골리앗 ZD: 세미 액티브 레이저 유도 방식.

5.4. 캐스케이드

||<-10><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
(발/초)
대미지 재장전 시간
(초)
폭파 범위
(반경 m)
정확도 확대 배율
(배)
표적 지시기
1 캐스케이드 0 30(★8) 6.0(★5) 48.3(★10) 3.3(★5) 4.8(★10) B(★7) - -
10 캐스케이드 1 45(★8) 6.0(★5) 78.5(★10) 5.0(★5) 7.2(★10) A-(★7) - -
30 캐스케이드 2 45(★8) 6.0(★5) 162.8(★10) 4.0(★5) 7.2(★10) A(★5) - -
50 캐스케이드 3 56(★8) 7.5(★5) 229.4(★10) 6.0(★5) 8.4(★10) A(★5) - -
74 캐스케이드 FA 68(★8) 7.5(★5) 482.8(★10) 5.3(★5) 10.9(★10) A(★5) - -

5.5. 호닛

||<-10><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
(발/초)
대미지 재장전 시간
(초)
폭파 범위
(반경 m)
정확도 확대 배율
(배)
표적 지시기
13 E9 호닛 6(★8) 1.5(★5) 344.0(★10) 3.0(★5) 14.5(★10) A(★5) - -
24 E10 호닛 6(★8) 1.5(★5) 543.2(★10) 3.0(★5) 18.7(★10) A(★5) - -
40 E11 호닛 9(★8) 1.5(★5) 627.7(★10) 3.0(★5) 19.9(★10) A(★5) - -
63 E12 호닛 9(★8) 1.5(★5) 1158.8(★10) 3.8(★5) 21.7(★10) A(★5) - -
78 E20 호닛 12(★8) 1.5(★5) 1508.9(★10) 3.0(★5) 27.2(★10) A(★5) 4.0 -
107 E21 호닛[DLC2] 15(★8) 2.0(★5) 2717.9(★8) 2.0(★5) 22.6(★8) S(★5) 4.0 -

5.6. 볼케이노

||<-10><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
(발/초)
대미지 재장전 시간
(초)
폭파 범위
(반경 m)
정확도 확대 배율
(배)
표적 지시기
15 볼케이노 6 9(★8) 1.0(★5) 603.6(★10) (6버스트) 4.0(★5) 14.5(★10) B-(★5) - -
25 볼케이노 V12 18(★8) 1.0(★5) 405.6(★10) (12버스트) 4.0(★5) 14.5(★10) C+(★5) - -
58 볼케이노 W20 30(★8) 1.0(★5) 712.2(★10) (20버스트) 6.0(★5) 14.5(★10) C+(★5) - -
79 볼케이노 W30 45(★8) 1.0(★5) 1158.8(★10) (30버스트) 8.0(★5) 19.3(★10) B-(★5) - -
105 데드 볼케이노[DLC1] 20 1.0(★5) 2414.2(★10) (20버스트) 8.0(★5) 19.3(★10) A(★5) - -

6. 미사일 런처

6.1. 에메로드

||<-11><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
(발/초)
대미지 재장전 시간
(초)
폭파 범위
(반경 m)
조준 거리
(m)
대상 수
(체)
조준 시간
(초)
유도 성능
0 ME1 에메로드 3(★7) 3.8(★8) 101.9(★8) 1.5(★5) 5.0(★5) 394.8(★7+) 3(★7+) 0.20(★7) C
3 ME2 에메로드 3(★7) 6.0(★8) 158.5(★8) 1.5(★5) 5.0(★5) 394.8(★7+) 3(★7+) 0.20(★7) B-
17 ME3 에메로드 5(★8) 6.0(★8) 294.4(★8) 1.5(★5) 7.5(★5) 460.6(★8) 5(★8) 0.24(★7) B
35 ME4 에메로드 6(★8) 6.0(★8) 339.7(★8) 0.75(★5) 8.0(★5) 526.4(★8) 6(★8) 0.14(★7) A+
52 ME4R 에메로드S 6(★8) 6.0(★8) 566.2(★8) 0.75(★5) 8.0(★5) 592.2(★8) 6(★8) 0.10(★7) A++
77 MEX5 에메로드 8(★8) 10.0(★8) 1358.9(★8) 0.75(★5) 10.0(★5) 658.0(★8) 8(★8) 0.10(★7) A+

6.2. MS 팔콘

||<-11><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
(발/초)
대미지 재장전 시간
(초)
폭파 범위
(반경 m)
조준 거리
(m)
대상 수
(체)
조준 시간
(초)
유도 성능
107 MS 팔콘[DLC2] 9(★8) 30.0(★8) 1132.5(★8) 0.83(★5) 7.0(★5) 658.0(★8) 9(★8) 0.10(★7) A+

6.3. 에어 토터스

||<-11><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
(발/초)
대미지 재장전 시간
(초)
폭파 범위
(반경 m)
조준 거리
(m)
대상 수
(체)
조준 시간
(초)
유도 성능
0 에어 토터스 01 1 - 1531.4(★10) (실드×0.2) 2.0(★5) 12.1(★10) 658.0(★8) 1 2.9(★7) S
7 에어 토터스 02 1 - 3062.7(★10) (실드×0.2) 1.0(★5) 24.1(★10) 789.6(★8) 1 1.2(★7) S
43 에어 토터스 ME 1 - 15313.7(★10) (실드×0.2) 10.0(★5) 36.2(★10) 789.6(★8) 1 2.0(★7) S

6.4. MLRA

||<-11><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
(발/초)
대미지 재장전 시간
(초)
폭파 범위
(반경 m)
조준 거리
(m)
대상 수
(체)
조준 시간
(초)
유도 성능
1 MLRA 16(★10) 12.0(★8) 34.0(★8) 1.0(★5) 2.0(★5) 329.0(★9) 16 0.068(★7) B
9 MLRA-2 19(★10) 30.0(★8) 70.2(★8) 1.0(★5) 2.0(★5) 329.0(★9) 19 0.055(★7) B+
21 MLRA-30 49(★10) 30.0(★7) 73.6(★8) 0.83(★5) 2.0(★5) 296.1(★9) 49 0.034(★7) A-
47 MLRA-TW 30(★10) 20.0(★8) 203.8×2(★6+) 1.7(★5) 2.0(★5) 329.0(★9) 30 0.034(★7) B-
75 MLRA-TF 45(★10) 20.0(★7) 339.7×2(★6+) 1.7(★5) 2.0(★5) 361.9(★9) 45 0.034(★7) A-

6.5. FORK

||<-11><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
(발/초)
대미지 재장전 시간
(초)
폭파 범위
(반경 m)
조준 거리
(m)
대상 수
(체)
조준 시간
(초)
유도 성능
4 FORK-A15 1 - 17.0×23(★8) 3.0(★5) 2.0(★5) 789.6(★8) 1 0.10(★7) A+
29 FORK-A20 1 - 56.6×30(★8) 2.5(★5) 2.0(★5) 789.6(★8) 1 0.10(★7) A+
68 FORK-X20 1 - 158.5×30(★8) 2.0(★5) 3.0(★5) 921.1(★8) 1 0.068(★7) A+
112 FORK-Z20[DLC2] 1 - 339.7×20(★8) 2.0(★5) 5.0(★5) 1315.9(★8) 1 0.017 A+

6.6. 프로미넌스

||<-1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
(발/초)
대미지 재장전 시간
(초)
폭파 범위
(반경 m)
조준 거리
(m)
대상 수
(체)
조준 시간
(초)
유도 성능 확대 배율
(배)
13 프로미넌스 M1 1 - 1511.9(★8) 1.5(★5) 15.9(★8) 1052.7(★8) 1 2.0(★7) C+ 6.0
23 프로미넌스 M2 1 - 2267.9(★8) 1.5(★5) 17.0(★8) 1052.7(★8) 1 2.0(★7) C+ 6.0
61 프로미넌스 M3 1 - 6047.7(★8) 1.0(★5) 22.6(★8) 1315.9(★8) 1 2.9(★7) C+ 6.0
82 프로미넌스 MA 1 - 22678.9(★8) 3.0(★5) 34.0(★8) 1315.9(★8) 1 3.3(★7) C 6.0

7. 그레네이드

7.1. 그레네이드 런처 UM (접촉식)

||<-1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
(발/초)
대미지 폭파 범위
(반경 m)
기폭 방식 기폭 시간 탄속
(m/sec)
정확도 재장전 시간
(초)
확대 배율
(배)
0 그레네이드 런처 UM1 7(★7) 2.5(★10) 124.6(★8) 7.0(★5) 접촉식 - 247.5(★10) B(★8) 삽탄식 3.3(★5) -
3 그레네이드 런처 UM2 7(★7) 2.5(★10) 192.5(★8) 7.5(★5) 접촉식 - 264.0(★10) B(★8) 삽탄식 3.3(★5) -
7 그레네이드 런처 UM3 7(★7) 2.5(★10) 249.1(★8) 8.0(★5) 접촉식 - 247.5(★10) A+(★8) 삽탄식 3.3(★5) -
15 그레네이드 런처 UMRA 22(★10) 10.0(★10) 124.6(★8) 5.0(★5) 접촉식 - 330.0(★10) S(★8) 삽탄식 3.3(★5) -
21 그레네이드 런처 UM4 7(★7) 2.5(★10) 520.9(★8) 8.5(★5) 접촉식 - 297.0(★10) B(★8) 삽탄식 3.3(★5) -
28 그레네이드 런처 UM5 8(★7) 2.5(★10) 611.5(★8) 9.0(★5) 접촉식 - 247.5(★10) B+(★8) 삽탄식 3.0(★5) -
46 그레네이드 런처 UMAX 7(★7) 1.5(★10) 1698.7(★8) 12.0(★5) 접촉식 - 412.5(★10) A-(★8) 삽탄식 4.3(★5) -
67 그레네이드 런처 UMAZ 7(★7) 1.3(★10) 2264.9(★8) 20.0(★5) 접촉식 - 495.0(★10) S(★8) 삽탄식 3.3(★5) -
91 그레네이드 런처 UMFF 7(★5) 1.5(★5) 2831.1(★8) 25.0(★5) 접촉식 - 660.0(★10) S(★8) 삽탄식 2.7(★5) 2.0

7.2. 그레네이드 런처 UM (시한식)

||<-1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
(발/초)
대미지 폭파 범위
(반경 m)
기폭 방식 기폭 시간 탄속
(m/sec)
정확도 재장전 시간
(초)
확대 배율
(배)
2 그레네이드 런처 UM1-J 7(★7) 2.5(★10) 203.8(★8) 11.0(★5) 시한식 3.0 247.5(★10) B(★8) 삽탄식 3.3(★5) -
11 그레네이드 런처 UM3-J 7(★7) 2.5(★10) 509.6(★8) 12.0(★5) 시한식 3.0 247.5(★10) A(★8) 삽탄식 3.3(★5) -
19 그레네이드 런처 UM4-J 7(★7) 2.5(★10) 724.8(★8) 13.0(★5) 시한식 3.0 247.5(★10) B(★8) 삽탄식 3.3(★5) -
107 그레네이드 런처 UMFF-J 7(★5) 1.5(★5) 4529.8(★8) 30.0(★5) 시한식 3.0 990.0(★10) S(★8) 삽탄식 3.3(★5) 2.0

7.3. 다연 G 런처

||<-11><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
(발/초)
대미지 폭파 범위
(반경 m)
기폭 방식 기폭 시간 탄속
(m/sec)
정확도 재장전 시간
(초)
31 3연발 G 런처 BRUTEJ 2(★5) 1.3(★10) 849.3×3(★8) 15.0(★5) 시한식 3.0 247.5(★10) S++ 삽탄식 2.7(★5)
41 3연발 G 런처 BRUTE 2(★5) 1.5(★10) 883.3×3(★8) 9.0(★5) 접촉식 - 247.5(★10) S++ 삽탄식 4.0(★5)
52 2연발 G 런처 CRUMBLE 4(★9) 1.3(★10) 1415.6×2(★8) 16.0(★5) 접촉식 - 495.0(★10) S++ 삽탄식 4.5(★5)

7.4. 스탬피드

||<-11><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
(발/초)
대미지 폭파 범위
(반경 m)
기폭 방식 기폭 시간 탄속
(m/sec)
정확도 재장전 시간
(초)
5 스탬피드 M1 1 - 113.2×10(★8) 5.0(★5) 접촉식 - 51.8(★6) C- 삽탄식 4.0(★5)
48 스탬피드 M2 1 - 453.0×25(★8) 7.0(★5) 접촉식 - 64.7(★6) C- 삽탄식 5.0(★5)
71 스탬피드 XM 1 - 1132.5×30(★8) 12.0(★5) 접촉식 - 64.7(★6) D 삽탄식 6.0(★5)
110 스탬피드 XAM 1 - 1811.9×30(★8) 13.6(★8) 접촉식 - 64.7(★6) D 삽탄식 6.0(★5)

7.5. 스플래시 그레네이드

||<-11><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
(발/초)
대미지 폭파 범위
(반경 m)
기폭 방식 기폭 시간 탄속
(m/sec)
정확도 재장전 시간
(초)
22 스플래시 그레네이드 1 - 241.4×20(★10) 8.0(★5) 시한식 10.0 82.5(★10) F 삽탄식 4.0(★5)
38 스플래시 그레네이드 α 1 - 1207.1×20(★10) 10.0(★5) 시한식 5.0 82.5(★10) F 삽탄식 6.0(★5)

7.6. 스티키 그레네이드

||<-1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
(발/초)
대미지 폭파 범위
(반경 m)
기폭 방식 기폭 시간 탄속
(m/sec)
정확도 재장전 시간
(초)
확대 배율
(배)
25 스티키 그레네이드 프로토타입 1 - 181.1×20(★10) 8.0(★5) 시한식 4.0 165.0(★10) E 삽탄식 4.0(★5)
43 스티키 그레네이드 1 - 482.8×20(★10) 10.0(★5) 시한식 4.0 165.0(★10) E 삽탄식 6.0(★5)
61 스티키 그레네이드 α 1 - 6035.5(★10) 20.0(★5) 시한식 4.0 990.0(★10) S++ 삽탄식 3.0(★5) 4.0

7.7. 네이팜

||<-1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
(발/초)
대미지 연소 시간
(초)
폭파 범위 기폭 방식 기폭 시간 탄속
(m/sec)
정확도 재장전 시간
(초)
1 불러타일 네이팜 6(★5) 1.2(★5) 434.6(★10) 6.0 - 접촉식 - 495.0(★10) B+(★8) 삽탄식 4.0(★5)
13 불러타일 네이팜 B 7(★7) 1.5(★10) 815.4(★10) 6.0 - 접촉식 - 495.0(★10) B+(★8) 삽탄식 4.0(★5)
39 불러타일 네이팜 D 6(★5) 1.2(★5) 2052.1(★10) 6.0 - 접촉식 - 495.0(★10) A(★8) 삽탄식 3.5(★5)
54 볼캐닉 네이팜 1 - 24142.1(★10) 30.0 - 접촉식 - 495.0(★10) B+(★8) 삽탄식 15.8(★5)
79 불러타일 네이팜 ZD 7(★7) 1.5(★10) 5096.0(★8) 6.0 - 접촉식 - 495.0(★10) B+(★8) 삽탄식 4.0(★5)

7.8. 플레임 카이저

||<-1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
(발/초)
대미지 연소 시간
(초)
폭파 범위 기폭 방식 기폭 시간 탄속
(m/sec)
정확도 재장전 시간
(초)
27 플레임 카이저 2(★5) 1.2(★5) 2414.2(★10) 15.0 - 접촉식 - 495.0(★10) S(★8) 삽탄식 4.0(★5)
69 플레임 카이저 DA 2(★5) 1.2(★5) 6035.5(★10) 15.0 - 접촉식 - 495.0(★10) S(★8) 삽탄식 2.7(★5)
106 플레임 카이저 F[DLC1] 3(★5) 1.2(★5) 6568.2(★8) 15.0 - 접촉식 - 825.0(★10) B+(★8) 삽탄식 6.0(★5)

8. 특수

8.1. 애시드 건

||<-9><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
(발/초)
대미지 재장전 시간
(초)
유효 사거리
(m)
탄속
(m/sec)
정확도
8 애시드 샤워 프로토타입 20(★5) 2.0(★5) 11.3×6(★6+) 3.0(★5) 148.5(★10) 49.5(★10) C+(★5)
20 애시드 건 600(★5) 60.0(★5) 17.0(★8) 3.0(★5) 297.0(★10) 99.0(★10) B+(★5)
38 애시드 샤워 20(★5) 1.0(★5) 79.3×20(★6+) 5.0(★5) 445.5(★10) 148.5(★10) C+(★5)
53 와이드 애시드 건 20(★5) 2.0(★5) 53.2×20(★6+) 3.0(★5) 297.0(★10) 99.0(★10) B+(★5)
58 슈퍼 애시드 건 800(★5) 60.0(★5) 84.9(★8) 3.0(★5) 891.0(★10) 148.5(★10) B+(★5)
117 익스트림 애시드 건[DLC2] 1000(★5) 60.0(★5) 226.5(★8) 3.0(★5) 1188.0(★10) 198.0(★10) B+(★5)

8.2. 화염 방사기

||<-8><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
(발/초)
대미지 판정 발생
(회/발)
재장전 시간
(초)
유효 사거리
(m)
0 버너 900(★5) 60.0 0.11~0.034(★8) 60 3.0(★5) 18.0
1 화염 방사기 900(★5) 60.0 0.34~0.10(★8) 60 3.0(★5) 48.0
5 화염 방사기 2식 900(★5) 60.0 0.34~0.10(★8) 60 3.0(★5) 54.0
15 화염 방사기 3식 900(★5) 60.0 0.68~0.20(★8) 60 3.0(★5) 72.0
29 화염 방사기 α 1800(★5) 60.0 1.4~0.41(★8) 60 5.0(★5) 108.0
56 화염포 900(★5) 60.0 7.2(★8) 60 6.0(★5) 63.0
83 마그마 포 900(★5) 60.0 10.2(★8) 60 6.0(★5) 84.0
107 화염 방사기 오메가[DLC2] 1200(★5) 60.0 11.3~3.4(★8) 60 5.0(★5) 216.0

8.3. 바운드 건

||<-8><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장탄 수 연사 속도
(발/초)
대미지 재장전 시간
(초)
유효 사거리
(m)
정확도
3 H88 바운드 건 120(★5) 12.0(★5) 13.6(★8) 1.5(★5) 220.0(★5) B-(★5)
10 H89 바운드 건 200(★5) 30.0(★5) 9.1(★8) 2.5(★5) 240.0(★5) C-(★5)
33 HL90 바운드 건 120(★5) 15.0(★5) 31.7(★8) 1.5(★5) 325.0(★5) B+(★5)
59 HS99 바운드 건 30(★5) 12.0(★5) 226.5(★8) 3.0(★5) 90.0(★5) B-(★5)
73 HX50 바운드 샷 8(★5) 1.0(★5) 45.3×50(★6+) 6.0(★5) 540.0(★5) D(★5)

8.4. 리버서

||<-5><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회복량 분무 수 총 회복량
0 프로토 리버서 0.60(★10) 241(★10) 144.6
1 리버서 1.9(★10) 2173(★10) 4128.7
28 리버서M2 3.9(★10) 4828(★10) 18829.2
42 리버서M3 10.6(★10) 3138(★10) 33262.8
70 리버서X 19.3(★10) 2897(★10) 55912.1

8.5. 리버스 슈터

||<-7><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회복량 효과 범위
(반경 m)
분무 수 확대 배율
(배)
표적 지시기
13 리버스 건 48.3(★10) 48(★10) 1.2(★10) 8.0 장비
36 리버스 슈터 T1 1207.1(★10) 6(★8) 18.1(★10) 8.0 장비
48 리버스 봄버 362.1×10(★10) 6(★8) 12.1(★10) 8.0 장비
63 리버스 슈터 T2 1931.4(★10) 10(★10) 24.1(★10) 6.0 장비
78 리버스 슈터 X 3621.3(★10) 12(★9) 54.3(★10) 6.0 장비

8.6. 하이 사이클 리버서

||<-7><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53535><table bgcolor=white,#191919><bgcolor=#353535><color=#42C2C2><nopad>파일:edf6_레인저무기.png ||
<rowcolor=#42C2C2> Lv 명칭 발사 수 연사 속도
(발/초)
회복량 확대 배율
(배)
표적 지시기
21 하이 사이클 리버서 4346(★10) 60.0 3.6(★10) - -
51 하이 사이클 리버서 D 5311(★10) 60.0 18.1(★10) 4.0 -
81 하이 사이클 리버서 ZD 6760(★10) 60.0 29.0(★10) 7.0 -

9. 관련 문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지구방위군 6/레인저 장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미니맵의 범위가 약 200m이다. [DLC1] DLC1에서 획득 [DLC2] DLC2에서 획득 [DLC2] [DLC1] [6] 이 경우 낙하하기 시작해서 지면에 박힐 때까지 지속적으로 피해를 입힐 수 있는 자리에 있어야 한다는 조건이 붙는다. [7] 이 이펙트가 멋지긴해도 시야를 가려버린다는 단점이 있다. [8] 이 시스템이 적용된 무기는 재장전 시간에 '삽탄식'이란 수식어가 붙는다. [DLC1] [DLC2] [DLC1] [DLC2] [DLC2] [DLC] DLC 구입으로 획득 [DLC1] [DLC2] [DLC1] [DLC2] [DLC1] [DLC2] [DLC2] [DLC1] [DLC2] [DLC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