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학교병원 관련 틀 | ||||||||||||||||||||||||||||||||||||||||||||||||||||||||||||||||||||||||
|
<colbgcolor=#004c97><colcolor=#ffffff> 중앙대학교병원 中央大學校病院 Chung-Ang University Hospital |
|
국가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개원 | 1968년 6월 10일 (한국의과학연구소 부속 성심병원)[1] |
분류 | 상급종합병원 ( 대학병원) |
재단 | 학교법인 중앙대학교 |
병상 | 804병상[2] |
병원장 | 권정택 |
위치 |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로 102 ( 흑석동) |
전화번호 | 1800-1114 |
웹사이트 | 중앙대학교병원 공식 홈페이지 |
소셜 미디어 | | | | |
[clearfix]
1. 개요
|
중앙대학교병원 전경 |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로 102 ( 흑석동) 에 위치한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대학병원.
1968년 중구 필동에 개원했던 한국의과학연구소 부속 성심병원을 모태로 하며, 2004년에 현 흑석동 병원으로 본원을 이전하였다.
1.1. 홍보 영상
|
중앙대학교병원 홍보 영상 |
2. 역사
1968년 6월 10일, 서울특별시 중구 필동 2가 82-1번지에 한국의과학연구소 부속 성심병원이 개원하였다. 전례 없는 의과대학 교수들의 집단 개업이라는 점에서 언론과 의료계의 높은 관심과 주시 속에 병원이 문을 열었다.1970년 봄 중앙대학교 측으로부터 의과대학을 만드는데 성심병원 스태프들을 교수로, 성심병원을 의과대학 부속병원으로 개편해주면 그에 대한 보상을 하겠다는 제안이 들어왔고, 1970년 9월 25일 전체 이사회는 성심병원을 중앙의대 부속병원으로 개편하는 안에 대해 정식 가결하였다.
1971년 11월 1일 중앙대학교에 의무원이 생기고 편의상 성심병원은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제1병원으로, 한강성심병원은 부속 제2병원으로 불리게 되었고 윤덕선[3] 원장이 초대 의무원장에 취임했다.
1984년 용산구 한강로3가 65-207번지에 있던 대한민국 철도청 소유의 서울철도병원[4]의 운영을 위탁받아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용산병원'으로 운영했다.
1997년, 중앙대학교 흑석동 교정에 이웃해 있던 중앙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가 메디컬센터 건립을 위해 강남구 도곡동으로 이전하였고, 해당 부지에 새 병원 건물을 건설하여 2004년 중구 필동에서 본원을 이전하였다.
이때 용산병원도 함께 없애려고 했으나, 용산구의 반대로 계속 유지하기로 했었다. 그러나 한국철도공사와 임대차 계약이 2009년에 만료되었고, 관련 소송[5]에서도 중앙대학교병원이 패소하여 결국 2011년 2월 28일까지만 운영되었다. 이렇게 용산병원까지 통합하기로 결정되면서 이를 수용하기 위해 후문 쪽에 별관(다정관)이 2011년 1월 완공되었고, 용산병원 건물은 한동안 방치되다가 2021년 철거되었다.[6]
3. 의료원
자세한 내용은 중앙대학교의료원 문서 참고하십시오.본원과 분원의 행정을 통괄하기 위한 의료원이 존재한다.
3.1. 광명병원
자세한 내용은 중앙대학교광명병원 문서 참고하십시오.경기도 광명시 일직동 광명역 인근에 분원이 2022년 3월 21일 개원하였다. 700병상 규모의 종합병원과 임상연구센터[7]가 위치하며, 2026년 상급종합병원 지정을 신청할 예정이다.
4. 층별 안내
중앙관(본관)은 지하 3층, 지상 15층 규모이고, 다정관(별관)은 지하 3층, 지상 10층 규모이다.병원 정문 좌측에는 선큰 가든, 우측에는 주차 타워가 있다.
2층~4층에 두 건물의 연결 통로가 존재한다.
4.1. 중앙관
15F | |
15병동 (1501호~1519호) | |
14F | |
14병동 (1401호~1412호) | |
13F | |
13병동 (1301호~1312호) | |
12F | |
12병동 (1201호~1211호) | |
11F | |
11병동 (1101호~1112호) | |
10F | |
10병동 (1001호~1012호) | |
9F | |
9병동 (901호~912호) | |
8F | |
8병동 (801호~812호) | |
7F | |
7병동 (701호~712호) | |
6F | |
교수연구실 | |
5F | |
의료원, 인턴실, 임시대피장소, 전공의실, 전산정보팀, 통신운영실, 하늘정원, 회의실, 안전보건팀 | |
4F | |
내과계중환자실, 외과계중환자실, 대강의실, 세미나실, 송봉홀, 수술실, 준비실, 회의실, 공조실, 노동조합 | |
3F | |
IRB사무실, 가정간호센터, 간호본부, 간호부탈의실, 무균실, 분만실, 수술부부속실, 신생아중환자실, 심장센터, 인공신장센터, 인터벤션센터, 일반검진사무, 일반검진센터, 재활의학과, 조직보관실, 진단검사의학과, 차폐병실 | |
2F | |
국제진료센터, 놀이방, 산부인과, 성형외과, 소아외과, 소아청소년과, 신경과, 신경외과, 심장혈관검사실, 안과, 안과검사실, 외과, 외래수납, 이비인후과, 정신건강의학과, 척추센터, 치과, 피부과, 검사실 | |
1F | |
CT실1, CT실2, MRI, 가정의학과, 정형외과, 흉부외과, 감염내과, 류마티스내과, 순환기내과, 신장내과, 내분비내과, 소화기내과, 소화기센터, 응급CT, 응급의료센터, 응급촬영, 일반촬영2, 일반촬영3, 일반촬영4, 일반촬영5, 내시경실, 보호자대기실, 고객지원센터, 심장부정맥검사실, 영상의학과, 외래약국, 원무팀, 음압격리실, 접수수납, 골밀도, 주사실, 채혈 · 채뇨, 초음파실, 통합창구, 투시조영 | |
B1F | |
감염관리팀, 교수연구실, 교육행정팀, 구름산추어탕, 나라비우동, 던킨도너츠, 델리앤젤라또, 물류관리팀, 방재센터, 병동약국, 보험심사팀, 부대사업팀, 비뇨의학과, 사회사업팀, 세탁물보관실, 소담한식당, 시설팀, 쇄석기치료실, 야간약국, 영스낵, 우리은행, 의료기상사, 의용공학실, 인사팀, 임상시험센터, 장례식장, 재무팀, 고객혁신팀, 주차장, 죽이야기, 중앙공급부, 중앙창고, 직원식당, 총무팀, 카페인, 콜센터, 큰솥설렁탕, 편의점(세븐일레븐), 학생실습실, 한쿡, 핵의학과 | |
B2F | |
간호사탈의실, 간호학생실, 경비반, 미화탈의실, 방사선종양학과, 병리과, 의료가스펌프실, 의무기록팀, 의무산학임상연구, 의학정보실, 종교실, 주차관리실, 주차장, 차트실, 학생관련실, 환경관리실, 환경실 | |
B3F | |
기관실, 목공실, 미화반, 발전기실, 전기사무실, 전기실, 주차장 |
4.2. 다정관
10F | |
다정공원 | |
9F | |
39병동(3900호~3920호) | |
8F | |
38병동(3801호~3814호), 국제병동 | |
7F | |
37병동(3701호~3714호), 소아병동 | |
6F | |
36병동(3601호~3611호) | |
5F | |
35병동(3501호~3512호) | |
4F | |
34병동(3401호~3413호) | |
3F | |
건강증진센터 | |
2F | |
CT실, MRI실, 간호사실, 게임과몰입센터, 교육실, 교육정보, 다학제통합진료실, 대기실, 대기실1, 대기실2, 대기실3, 상담실, 영양교육실, 유방촬영실, 일반촬영실, 접수, 접수수납, 조정실, 주사실, 준비실, 진료실7, 진료실5~6, 진료실8~9, 진료실1~4, 채혈채뇨, 초음파실, 코디네이터, 탈의실, 탈의휴게실, 투시촬영실, 판독실, 회의실 | |
1F | |
결핵상담실, 물품탈의실, 안내, 알레르기검사실, 진료실1, 진료실2, 진료실3, 폐기능검사실, 폐기능알레르기검사실, 호흡기알레르기내과, 호흡기알레르기센터 | |
B1F | |
주차장 | |
B2F | |
주차장 | |
B3F | |
주차장 |
5. 교통
5.1. 지하철
- 9호선 흑석(중앙대입구)역 도보 5분 거리
- 2호선, 4호선 사당역
- 5524번 (사당역 승차 -> 중앙대입구 종점 하차)
5.2. 버스
- 시내버스
- 마을버스: 동작01, 동작10, 동작21
- 지선버스: 5511, 5517, 5524, 5536, 6411
- 간선버스: 151, 350, 360, 361, 452, 640, 752
- 공항버스: 6000, 6016
- 직행좌석: 6427
- 광역급행: M6427[8]
- 셔틀버스
6. 여담
- 미국의 시사주간지 뉴스위크에서 2022년에 발표한 세계 병원 순위(World's Best Hospitals 2022)에서 국내 병원 중 10위를 차지하며 Top 10에 안착하였다. # 2021년 순위에서는 신경과(Neurology) 분야에서 세계 28위를 차지하며 국내 병원 중 4위를 기록하였다.
- 국내 대학병원 중에서는 유일하게 자체 헌혈센터를 운영했으나, 2020년에 헌혈센터를 폐쇄했다.[10] 다만 병원 내에 위치해있지는 않고 병원 인근의 한 건물[11]에 위치해 있었다.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실시한 1회 환자경험평가에서 다른 대형병원을 제치고 압도적인 1등을 거머쥐었다. 특히 간호사 서비스와 의사서비스 및 환자 권리보장에서 1등을 기록하여 병원에게는 큰 기쁨이 되었다. 그러나 2회 환자경험평가에서는, 충분히 높은 순위이기는 하나 소폭 하락하여 종합병원 이상급에서 8위를 기록하였다.
- 국제공인예방접종지정의료기관으로 황열, 콜레라를 접종할 수 있다.
- 영화 1987에서는 병원이 직접적으로는 나오지는 않지만 남영동 대공분실 씬에서 구급차 측면을 보면 ‘중앙대학교 용산병원’이라고 적혀 있다. 이 영화는 실화를 모티브로 했기에 오연상(당시 중대병원 교수) 의사[12] 도 나온다.
- 중앙대병원 산부인과에서 엉뚱한 정자로 시술한 후 시술한 부부를 20년 넘게 속인 사실이 드러났다. 20년 속인 산부인과 의사 ‘잠적’
[1]
2004년 12월 18일에 현위치인 흑석동으로 이전 개원.
[2]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21.6. 입원병실 기준
[3]
한림대학교의 설립자.
[4]
현재 병원 부지는
한국철도공사 소유이다.
[5]
1907년 당시 철도국 전용 용산동인병원으로 개원해 철도병원으로 운영되다가 1984년부터 중앙대학교 법인이 시설을 임대해 종합병원으로 운영해 왔다. 그러나 코레일은 인근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에 의료종합시설 계획이 포함돼 있다는 등의 이유로 2007년 임대차 계약 해지를 통지했지만 중앙대학교가 "일방적으로 계약 해지를 통보하는 것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맞서자 같은해 12월 소송을 냈다.
[6]
등록문화재 제428호로 지정된
용산철도병원 본관은 보존되었다. 2022년 해당 건물을 리모델링한 용산역사박물관이 개관하였다
[7]
임상 1상~3상 연구가 한번에 가능한 시설을 갖추었다.
[8]
김포 방향만 경유
[9]
양악수술이나 임플란트도 20% 할인 가능
[10]
지형적으로 다소 고립되어 있던 영향을 받은 듯.
[11]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로 112 중앙타워빌
[12]
지금은 퇴직해서 중앙대병원 부근에서 개인병원을 운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