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2 21:31:09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이반코비치 차이나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브란코 이반코비치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1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00 10%, #D00000 20%, #D00000 80%, #FFFF00 90%)"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d00000><tablebgcolor=#d00000>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555555,#aaaaaa
1951년 ~ 현재
초대
리펑러우
파일:중국 국기.svg
2대
엠베르
파일:헝가리 국기.svg
3대
엠베르 / 다이린징
파일:헝가리 국기.svg / 파일:중국 국기.svg
4대
천청다
파일:중국 국기.svg
5대
니엔웨이스
파일:중국 국기.svg
6대
팡런취우
파일:중국 국기.svg
7대
니엔웨이스
파일:중국 국기.svg
임시
니엔웨이스 / 런빈
파일:중국 국기.svg
8대
장홍근
파일:중국 국기.svg
9대
니엔웨이스
파일:중국 국기.svg
10대
장홍건
파일:중국 국기.svg
11대
니엔웨이스
파일:중국 국기.svg
12대
쑤용쉰
파일:중국 국기.svg
13대
장홍건
파일:중국 국기.svg
14대
쩡쉐린
파일:중국 국기.svg
15대
니엔웨이스
파일:중국 국기.svg
16대
가오펑원
파일:중국 국기.svg
17대
쉬건바오
파일:중국 국기.svg
대행
천시롱
파일:중국 국기.svg
18대
슐라프너
파일:독일 국기.svg
19대
취우셩
파일:중국 국기.svg
20대
호턴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대행
진쯔양
파일:중국 국기.svg
21대
밀루티노비치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대행
선샹푸
파일:중국 국기.svg
22대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23대
주광후
파일:중국 국기.svg
24대
페트로비치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대행
인톄셩
파일:중국 국기.svg
25대
가오훙보
파일:중국 국기.svg
26대
카마초
파일:스페인 국기.svg
대행
푸보
파일:중국 국기.svg
27대
페랭
파일:프랑스 국기.svg
28대
가오훙보
파일:중국 국기.svg
29대
리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대행
칸나바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30대
리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31대
리톄
파일:중국 국기.svg
32대
리샤오펑
파일:중국 국기.svg
33대
얀코비치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34대
이반코비치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 이반코비치 차이나)
}}}}}}}}}}}}}}} ||

파일:나이키 로고 화이트.svg 파일:중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
이반코비치 차이나
[[브란코 이반코비치|
파일:Branko_Ivanković_in_friendly_against_Paykan.jpg
]]
제34대 감독
브란코 이반코비치
<colbgcolor=#D00000><colcolor=#ffff00> 감독
[[크로아티아|]][[틀:국기|]][[틀:국기|]] 브란코 이반코비치 / 제34대 감독
코치
[[크로아티아|]][[틀:국기|]][[틀:국기|]] 마리오 토키치 / 수석코치

[[중국|]][[틀:국기|]][[틀:국기|]] 샤오자이 / 코치

[[중국|]][[틀:국기|]][[틀:국기|]] 천타오 / 코치

[[중국|]][[틀:국기|]][[틀:국기|]] 정즈 / 코치

[[중국|]][[틀:국기|]][[틀:국기|]] 어우추량 / 골키퍼 코치

[[중국|]][[틀:국기|]][[틀:국기|]] 리레이레이 / 골키퍼 코치

[[크로아티아|]][[틀:국기|]][[틀:국기|]] 마르코 스틸리노비치 / 피지컬 코치
주장
[[중국|]][[틀:국기|]][[틀:국기|]] 왕다레이 / 2024~
계약 기간 2024년 2월 24일 ~ 현재
([dday(2024-02-24)]일)
계약 중 ( 기준)
성적 A매치 0경기 0승 0무 0패 (승률 00.0%)
2026 FIFA 월드컵 (3차 예선)

1. 개요2. 선임 과정3. 활동
3.1. 2024년3.2. 2025년

[clearfix]

1. 개요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 제34대 감독 브란코 이반코비치 체제를 서술한 문서.

2. 선임 과정

오만 대표팀 감독으로 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 출전한 직후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후보로 거론되었고, # 실제로 2024년 2월 24일, 정식으로 선임되었다는 소식이 보도되었다. #

그의 이력을 보면 중국과 인연을 제외하면 감독으로 그리 눈에 띄지 않는다. 2000년대 이후 중국 대표팀이 불러댄 엄청난 감독 라인업에 비하면 축구굴기가 사그라드는 것처럼, 감독의 네임밸류도 점점 낮아지고 있다. 직전의 세르비아 출신 알렉산다르 얀코비치의 경우엔 이미 이전에 비해 네임밸류는 내려가긴 했었지만 그래도 이반코비치보다는 이력이 화려한 편이었다. 그 전에는 2006년 이탈리아를 통산 네 번째 FIFA 월드컵을 우승시킨 세계 최고 연봉의 끝판왕 마르첼로 리피를 데려와서 세계를 경악시켰고, 그 중간에 선수로는 레전드, 감독으로도 중국 리그에서 꽤 호평을 받던 파비오 칸나바로를 앉히기도 했다. 그 이전에도 스페인 출신의 세계적 명장 호세 안토니오 카마초, 일본이 필립 트루시에를 부른데 착안한 듯 프랑스에서 좋은 감독으로 평가받던 알랭 페랭, 그 뒤에는 한국이 계속 네덜란드 감독으로 재미를 본 것에 주목한 듯 네덜란드 출신 아리에 한도 불러 아시안컵 준우승이라는 호성적을 냈고, 더 이전에는 세르비아 출신으로 맡았던 모든 나라들을 16강에 진출시켜 16강 제조기로 불린 보라 밀루티노비치까지 하나같이 검증된 명장이란 명장들은 거의 다 불러모았었다. 당연히 지불한 금액도 엄청났다. 물론 한국과 일본 등 주변국들이 비록 말도 많고 탈도 많았지만 결국 월드컵 등에서 꾸준히 성과를 내고 있는 것을 감안한다면 이런 세계적인 명장들을 데려옴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거듭되는 실패는 심각해도 너무 심각한 상황이다.

3. 활동

3.1. 2024년

선임 이후 그의 첫 데뷔전은 2024년 3월 21일, 2026 FIFA 월드컵 아시아 2차 지역예선 C조 싱가포르 원정경기였는데, 전반전에는 우레이의 2골로 앞서갔지만, 후반전에 조직력이 무너지면서 2골을 허용하며 2:2 무승부로 경기가 끝나며 데뷔전부터 최종예선 진출에 적신호가 켜지고 말았다. 그러나 닷새 뒤 홈경기에서는 리위안이의 퇴장이라는 악재도 극복하고 4:1 대승을 거두며 원정에서의 굴욕을 완벽하게 설욕하고 같은 날 태국을 3:0으로 완파한 대한민국에 이어 조 2위로 상승했다.

하지만 6월 6일 열린 태국과의 홈경기에서는 전반전에 선제골을 내준 뒤 후반전에 간신히 동점골을 넣으며 1:1로 비기면서 3위 태국과의 승점차이가 3점차가 되었다.

대한민국과의 최종전에서 최소한 무승부를 거두어야 안정적으로 3차 예선에 갈 수 있는 위기일발의 상황에 놓였다. 전반은 0:0으로 마치며 선전했지만 이후 이강인에게 선취골을 내주었는데, 이후 현실적으로 한국을 상대로 승점을 취득하기 어렵다고 판단했는지 오히려 더욱 극단적인 수비로 경기를 펼치며 추가 실점 없이 0:1로 경기를 마무리했다. 얼마 후 태국과 싱가포르의 경기에서 태국이 싱가포르에 3:1로 승리하면서 중국과 득실과 승점이 모두 동일한 결과가 나왔지만, 승자승에서 앞서면서 아슬아슬하게 3차예선에 진출했다.

3차예선에서는 일본, 호주, 사우디아라비아, 바레인, 인도네시아와 함께 C조에 속하게 되었다.

일본과의 1차전은 0:7로 대패를 당하면서 불안하게 출발했다. 이어 사우디아라비아와 2차전도 1:2로 역전패했다. 홈 팬들의 일방적인 응원을 업고 사우디 선수 한 명이 퇴장당하고 선제 자책골까지 기록한 사우디를 상대로 패배한 대굴욕이다.

한 달 후 호주와의 3차전도 선제골을 넣으면서[1] 출발은 좋았지만 이후 3골을 먹히며 1:3 역전패를 당하고 말았다. 홈에서 치르는 인도네시아와의 경기도 승리를 장담할 수 없으며 이 경기까지 패배할 경우 경질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보인다. 다행히 인도네시아전은 2대1로 이기면서 드디어 첫 승을 거두긴 했다.

한달 후 바레인과의 5차전은 경기 막판에 1대0으로 어렵사리 이겼다. 이것도 바레인 선수의 막판 선제골이 비디오 판독 결과 취소되었고, 몇분 후 장위닝이 결승골을 넣은 것을 끝까지 지켰고, 이로써 2연승을 기록하게 되었다.

그러나 기쁨도 잠시 일본과의 6차전은 1대3으로 완패하고 말았다.

3.2. 2025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7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무려 이번 3차예선에서 최초로 중국 선수가 직접 넣은 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