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5 12:32:54

주기성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81818,#e5e5e5
덕조 의조 희조
인조 흥종 예종(睿宗)
공종 혜제 순제
단제 선제 예종(禮宗)
도제
명 황제 }}}}}}}}}}}}

남명 추존 황제
주기성 | 朱器墭
묘호 없음
시호 선황제(宣皇帝)
주(朱)
기성(器墭)
황후 선황후(宣皇后)
부황 단제(端帝)
모후 단황후(端皇后) 왕씨(王氏)
생몰 16세기 추정 ~ 1692년

1. 개요2. 생애3.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주기성(朱器墭, 16세기 추정 ~ 1629년)은 명나라의 황족으로 당왕 주석황의 아들이며 융무제의 부친이다. 융무제가 즉위하자 선황제(宣皇帝)로 추존되었다.

2. 생애

1594년 당왕세자로 책봉되었다.

주기성은 어려서부터 입에 흉한 혹이 있었고, 부왕 주석황은 그런 주기성을 미워하였으며 총애하는 후궁 소생의 차남을 세자로 세우려 하였다. 주석황은 주기성을 승봉사(承奉司)에 유폐하고 죽이려 했으나, 주기성의 조모이자 주석황의 생모가 반대하여 죽이지 못했다.

주기성은 1629년 사망하였는데 동생인 주기상(朱器塽)[1], 주기준(朱器埈)[2]에게 독살당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주기성의 아버지 주석황은 1632년 사망하였으며 당왕은 주기성의 아들인 주율건이 계승하였다.

주율건이 즉위하자 주기성은 당유왕(唐裕王)으로 추존되었으며, 1645년 주율건이 융무제로 즉위한 후, 선황제(宣皇帝)로 추존되었다.

3.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9d537;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81818,#e5e5e5
덕조 주오사 | 의조
의조 희조 | 주초이 | 주초오 | 주초십
희조 수춘왕 | 주오이 | 인조
인조 남창왕 | 우이왕 | 임회왕 | 홍무제
홍무제 흥종 | 진민왕(秦愍王) | 진공왕(晉恭王) | 영락제 | 주정왕(周定王) | 당정왕(唐定王)
흥종 건문제
건문제 화간태자 | 주문규
영락제 홍희제 | 한왕 | 조간왕 | 주고희
홍희제 선덕제 | 월정왕(越靖王) | 양헌왕(襄獻王)
선덕제 정통제 | 경태제
정통제
(천순제)
성화제 | 덕장왕(德莊王)
경태제 회헌태자
성화제 도공태자 | 홍치제 | 예종(睿宗) | 기혜왕(岐惠王)
홍치제 정덕제 | 울도왕
정덕제 없음
예종(睿宗) 가정제
가정제 애충태자 | 장경태자 | 융경제
융경제 헌회태자 | 정도왕(靖悼王) | 만력제
만력제 태창제 | 빈애왕(邠哀王) | 공종 | 예종(禮宗)
태창제 천계제 | 간회왕(簡懷王) | 숭정제
천계제 회충태자 | 도회태자 | 헌회태자
숭정제 도제
남명(南明)
도제 없음
공종 홍광제
홍광제 없음
혜제 순제
순제 단제
단제 선제
선제 융무제 | 소무제
융무제 장경태자
예종(禮宗) 영력제
영력제 애민태자
비정통 군주 황자
현무제 없음
순덕제 주학(朱學)
소무제 없음
동무제 주유계
흥업제 주도제
정무제 없음
}}}}}}}}}}}}


[1] 작위는 복산왕(福山王)이다. [2] 작위는 안양왕(安陽王)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