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3 02:31:20

좌투우타

야구 의 투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좌투 양투 우투
좌타 양타 우타 좌타 양타 우타 좌타 양타 우타
타자 좌투좌타 좌투양타 좌투우타 양투좌타 양투양타 양투우타 우투좌타 우투양타 우투우타
오버핸드 스로
스리쿼터 스로
사이드암 스로 좌사좌타 좌사양타 - 양사좌타 - - 우사좌타 - 우사우타
언더핸드 스로 좌언좌타 - - - - - 우언좌타 - 우언우타
}}}}}}}}} ||
좌투우타 선수인 류현진
파일:류현진 토론토 투수.png
파일:류현진 타자.jpg
좌투 우타

1. 개요2. 단점3. 그럼에도 좌투우타를 하는 이유
3.1. 야수의 경우3.2. 투수의 경우
4. 사례5. 같이 보기

1. 개요

왼손으로 공을 던지고, 타석에서는 오른쪽 타석에 서는 형태로, 야구에서 가장 보기 힘든 투/타패턴이다. 반대인 우투좌타도 있다.

2. 단점

일반적으로는 오른손잡이의 경우 우투 우타, 왼손잡이의 경우 좌투 좌타가 된다.

하지만 야구는 왼손타자가 유리한 스포츠인 만큼[1] 오른손잡이지만 좌타석에 들어서는 선수가 꽤 있다. 이런 경우를 우투좌타라고 한다. 우투좌타가 생기는 이유는 1루를 제외한 내야 포지션이 오른손잡이일 수밖에 없는 현실에서 조금이라도 좌타자를 늘릴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2]

반면 좌투우타는 완전히 반대. 우투좌타는 이제는 흔히 볼 수 있어졌고, 좌투좌타 역시 우투좌타보단 희귀해도 종종 볼 수 있지만 좌투우타는 좌투좌타보다도 희귀하다. 현재 야구에서 투수를 제외한 내야 수비에서 왼손잡이가 유리한 포지션은 1루수밖에 없기 때문에 좌투인 경우는 손해 보게 되고, 마찬가지로 우타도 좌타보다 불리할 수밖에 없어 2중으로 손해 보게 되기에 실제로는 거의 보기가 힘들다. 당연히 전문적인 훈련을 받지 않은 사람들이 하는 동네야구에서도 거의 볼 수 없다.

3. 그럼에도 좌투우타를 하는 이유

3.1. 야수의 경우

1루수를 제외한 야수의 좌투우타는 메리트는커녕 오히려 마이너스만 들어있는 포지션이다. 좌투수 상대로 정말 못 치는 좌타자가 가끔 전향을 고려해보기도 하나 대부분 다음과 같은 이유로 결국 포기하게 되는데 첫 번째, 아무리 좌투수에게 약하다 한들 결국 우투수가 더 많고, 두 번째, 상술했듯 타석에서 좌타자는 우타자보다 명백한 이득을 가져가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야수로서 좌투우타가 가끔 탄생하는데 대부분은 정말 어쩌다 보니 그렇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일례로 리키 헨더슨은 왼손잡이임에도 다들 우타석에 들어서기에 어릴 적부터 '그냥 우타로 치는 게 야구인 줄 알고' 학습을 해 나중에는 교정할 수 없는 지경이 되어버렸다.[3] 이종범은 왼손잡이인데 어릴적 왼손잡이 글러브가 없어서 오른손으로 공을 던졌고 타격은 어쩌다 보니 우타가 더 잘 돼서 우타를 하다가 우투우타로 굳어져버렸다. 이게 한이 되었는지 오른손잡이인 아들 이정후에게 했던 유일한 야구 관련 조언이 무조건 좌타로 치라고 한 것이었다. 오 사다하루도 어릴 적에는 왼손으로 야구를 하면 아버지에게 혼날까봐 좌투우타로 야구를 시작했다.[4] 그 외에도 위에서처럼 오른손잡이 선수가 좌투수를 하고 싶어 왼손으로 투수를 하다가 프로 입단 전이나 대학교 등에서 야수로 전향을 한다든지, 그냥 그게 편했다든지, 아니면 만화 메이저 시게노 고로처럼 오른쪽 어깨의 손상 정도가 심해 왼손으로 던지는 것보다 못할 정도라거나 나세원처럼 양투양타였는데 부상으로 좌투우타로 전향했다든지 등 가지각색의 이유가 있다.

야수로서 좌투우타가 메리트가 하나도 없는 이유는 '좌투'가 가지는 단점 때문인 것도 크다. 투수야 좌투가 메리트가 되지만, 야수에게 좌투는 '내야수와 포수를 할 수 없는 선수'라는 낙인만 찍는 단점이다. 외야수는 던지는 손이 어느 손이든 상관없지만, 내야수는 1루 쪽, 내야수 기준 좌측으로 송구를 자주해야 하는 특성상 좌투가 생존하기 힘들다. 유일한 예외라면 라인 선상으로 빠지는 타구를 오른손 글러브로 잡고 왼손으로 던질 수 있는 1루수가 있는데, 애당초 1루수는 내야수 포지션 중 송구에 대한 부담이 가장 낮은 포지션이라 우투라고 해서 크게 불리하지도 않다. 즉, 괜히 좌투를 연습하다가 우타석에서의 페이스도 흐트러지느니 우투우타를 유지하는 게 낫다. 게다가 반대 손으로 던지는 것과 치는 것의 난이도 차는 매우 크다. 어지간한 노력이 아니면 보기 힘든 케이스이니만큼 이 부류의 선수는 정신적으로 강하다는 특징이 있다.

3.2. 투수의 경우

반면 투수의 경우 야수에 비해 훨씬 흔하게 볼 수 있다. 리그의 좌투우타 선수들의 90% 이상이 투수일 정도.

근본적으로는 좌완 투수가 갖는 메리트 때문이다. 좌투수는 좌타자에 강한데, 투구하는 손을 바꾸는 것이 타격을 바꾸는 것보다 훨씬 어렵기에 좌타자에 비해 좌투수의 수가 적다. 게다가 야구를 투수로만 한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에[5] 좌투가 유리하다고 왼손 투구를 연습하기에는 위험부담이 크며, 오히려 우투좌타의 메리트를 노리고 왼손잡이가 오른손으로 던지는 경우도 있어서 좌투는 더욱 더 귀하다. 반면 투수의 타석은 왼손이든 오른손이든 중요하지 않다. 기본적으로 타석에 들어서는 횟수부터가 야수보다 적고, 우타를 서건 좌타를 서건 투수에게 기대하는 타격 기대치는 매우 낮은 수준이다. 오죽하면 상황에 따라 번트만 잘 대도 그만이라는 소리가 나올 정도. 때문에 야수라면 비교적 이점을 가지게 되는 좌타석의 메리트가 투수에게는 거의 없으며, 야수라면 가지는 우타석의 불리함 역시 투수에게는 거의 없다.

좌투우타 투수는 우투좌타 야수가 타격만 왼손으로 하는 오른손잡이가 대부분인 것처럼, 오른손잡이인 투수가 투구만 왼팔로 하는 훈련을 받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대한민국 선수 중 대표적인 예가 류현진. 류현진은 원래 오른손잡이지만 공을 던지는 것만 왼손으로 하는 것으로 타고난 다른손잡이여서 그대로 좌투우타가 된 케이스이다. 대부분 선천적으로 오른손잡이임에도 좌투의 유리함을 얻기 위해 투구만 좌투로 하는 경우인데, 선천적 오른손잡이가 좌투우타를 할 경우, 투구 행위 이외에는 타격부터 일상생활까지 모든 것을 오른손으로 하게 되기 때문에, 던지는 팔(왼손, 왼어깨)의 부담을 줄일 수도 있다.

왼손잡이 좌투수임에도 타석에서 오른쪽에 서는 경우도 간혹 있는데, 이는 왼팔과 어깨 보호 때문이다. 우타석에 서면 왼팔은 밀기만 하고 오른팔에 힘이 들어가기 때문에 왼팔을 아낀다는 목적으로 우타석에 서는 것이다. 물론 몸에 맞는 볼에는 왼팔과 왼어깨가 앞으로 나와 있어 오히려 더 보호가 안 되지만, 보통 투수 상대로 몸에 맞는 볼이 나올 정도로 필사적인 몸쪽 승부를 벌이지도 않고 투수도 보통 야수들처럼 사구를 감수하고 안쪽으로 붙어서 존을 사수하려 들지도 않으며, 무엇보다 선발투수를 맞힌다면 이후 보복구가 기다리고 있어서 투수는 타 포지션에 비해 사구가 확연히 적다. 보통 나온다면 변화구가 빠진 경우나 번트를 대다가 맞는 정도인데 이런 느린 사구는 몸을 비틀어 등이나 엉덩이로 받아내는 경우가 많고 번트는 대려고 자세를 취해보면 알겠지만 왼팔이 오히려 존 중심에서 멀어지기 때문에 왼팔에 사구를 맞는 경우는 드물어서 투수는 사구를 걱정할 필요가 없다. 여튼 사실상 전술로서 의미는 전혀 없는 케이스이다. 만약 투수가 본격적으로 타격을 하려고 한다면 오히려 좌투수가 우타석에 서는 것은 방해가 될 수 있는데, 왼팔의 움직임이 투구와 타격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지명타자 제도가 있어서 투수가 타격을 할 일이 없는 리그는 그렇지 않은 리그보다 좌투우타 투수가 비교적 드물다. 비슷한 의미로 우투좌타인 투수들도 볼 수 있다. 단, 그 경우에는 오히려 선천적으로 왼손잡이/양손잡이였는데 내야수나 포수를 하려고 오른손으로 던지다 우완투수로 전향한 경우도 많다. 롯데 자이언츠 김원중이 그 예시.

4. 사례

현재 KBO 리그에서 좌투우타로 활동중인 투수는 한화의 류현진, 롯데의 심재민과 NC의 에릭 요키시, KT의 김건웅이 있고[6], 야수로서는 SSG의 기예르모 에레디아만이 유일하다.[7] 2025 KBO 드래프트에서 부산고 이원준이 SSG에 지명받아 SSG에만 좌투우타 야수가 두 명이 되었다.

은퇴한 선수들도 확인해보면 투수 중에는 김정수, 안창완[8], 야수 중에는 김한조[9], 나세원[10]이 좌투우타였다.

리그를 거쳐간 외국인 선수 중에는 2010년의 애드리안 번사이드 필 더마트레, 2014년의 앤드류 앨버스 앤디 밴 헤켄, 2019년의 채드 벨 크리스천 프리드릭이 있었다.

하지만 한국 야구 팬들에게 가장 익숙할 좌투우타 선수는 단연 류현진이다. 상술했듯이 오른손잡이지만 투구는 왼손으로 한다.[11]

일본프로야구에서는 한신 타이거즈에서 뛰었던 제프 윌리엄스가 좌투우타 투수였고, 같은 팀의 츠츠이 가즈야도 좌투우타이지만 중간계투로 주로 등장하다보니 타석에 들어설 일은 거의 없었다. 2017년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에서 영입한 카일 젠슨이 좌투우타였지만 알프레도 데스파이네에게 밀려 딱 6경기 출장하고 1군에 올라오질 못했다.[12] 토종 야수 중에는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의 타케하라 나오타카가 유일했으나 2016년 은퇴.[13] 이후 2022년 라이언 맥브룸이 히로시마에 입단하면서 좌투우타 타자가 생겼다. 2023년에 요미우리에 포스터 그리핀이 입단했다.

메이저리그에서는 칼 허벨, 샌디 쿠팩스, 토미 존, 랜디 존슨, 한때 투수 실버 슬러거의 단골이던 마이크 햄튼, 리키 로메로, 매디슨 범가너처럼 비교적 투수들이 많았다. 야수 중에는 역대 최고의 리드오프로 군림했던 리키 헨더슨이 대표적이고, 현역으로는 에반 화이트, 채스 맥코믹이 있다.

프로 외의 인물로는 천하무적 야구단 마리오도 좌투우타에 해당한다. 처음에는 포수로 시작했으나, 나중에는 좌투 포수로서 수비 시의 불리함을 없애고 육상부 출신의 빠른 발도 살리기 위해 외야수로 전향했다.

5. 같이 보기


[1] 좌타자의 타석은 우타자의 타석보다 1루에 약 한두 걸음 정도 더 가깝다. 게다가 배팅할 때 자연스럽게 좌타자는 몸이 1루 쪽으로, 우타자는 3루 쪽으로 향하게 되기 때문에 한 걸음 이상의 차이가 나게 된다. 게다가 어느 리그에나 가장 많은 수가 포진된 우투수에 강한 면모를 보여서 그 유리함이 훨씬 커진다. 물론 좌타자의 경우 좌투수에 약하지만 좌투수의 비율이 적기 때문에 우투수에 약한 우타자보다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수비 시프트의 발전으로 좌타가 오히려 불리한 게 아니냐는 소리도 많이 나오고 있다. [2] 우투좌타인 선수의 대부분은 본래 오른손잡이이지만, 본래 왼손잡이인데 어릴 적에 좌투용 글러브 수급이 어려워서 공은 오른손으로 던져온 사람도 꽤 있긴 하다. [3] 나중에 마이너리그에서 스위치 히터로 시도를 했으나 좌타 성적이 너무 안 좋아서 그냥 우타로 살았다. [4] 왼손잡이를 교정하려 시도하는 것은 우리나라에도 2000년대 초반까지 남아있던 관습이다. [5] 수많은 유소년 투수들이 경쟁 또는 부상 등의 사유로 야수로 전향한다. 이승엽, 추신수, 이대호, 최정, 강백호 등 내로라 하는 강타자들도 프로 지명은 투수로 받은 경우가 많고, 이정후도 초등학교에서는 유격수와 투수를 겸했다. [6] 류현진을 제외하고 모두 현재 KT 소속이거나 KT 출신 선수이다. [7] 현역 선수 중에서는 삼성 라이온즈의 외야수 김동엽이 지속적으로 좌투 전향을 시도해왔다. 오른쪽 어깨 부상 이력으로 인해 수비 능력이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이었다. 2020 시즌 중에는 아예 좌투로 경기에 나온 적이 있었고, 2022 시즌과 2023 시즌 개막 전에 좌투 전향을 또 준비했다. 그러나 두번 모두 실패하고 다시 우투우타로 돌아갔다. [8] 2군이 제대로 운영되지 않던 KBO 리그 초창기 시절에는 투수 타자로 출전하는 일이 종종 있었다. 당시 롯데 자이언츠 2군에서 타격 재능이 있다고 평가받던 투수 안창완 김응국이었다. 그 중 안창완은 아마추어 시절 팀의 중심 타자로 활약한 경력이 있었다. [9] 최초의 좌투우타 야수였다. 롯데-청보-태평양을 거쳤던 선수로 1군 출장 기록이 있는 유일한 한국인 좌투우타 야수이다. [10] 2014년 프로 입단한 선수로 김한조 이후 30년만에 나온 프로야구 사상 두 번째 좌투우타 야수였으나 2020 시즌 종료 후 방출되었다. 1군 출장 기록이 없다. [11] 여담으로 류현진의 라이벌이었던 김광현도 오른손잡이지만 좌완이다. 단 김광현은 타격도 왼손으로 하는 좌투좌타다. [12] 포지션은 1루/외야수 [13] 2004년 롯데의 4라운드 지명을 받고 입단한 선수로 입단 1년차부터 2군 홈런왕을 차지할 정도로 파워는 좋았으나 파워만 좋았어서 대타요원으로 가늘고 길게 선수생활을 하다가 2016년 36세로 은퇴했다. 그래도 대졸사회인 중하위픽인 선수가 1군 레귤러를 단 한 시즌도 차지하지 못했는데도 어찌어찌 프로에서 12년이나 버텼으니 나름대로 성공적인 선수생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