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위대 제33 무장척탄병사단 샤를마뉴, rd3=무장친위대/부대일람)]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제2사단 | 제20사단 | 제23사단 | 제26사단 | 제27사단 | |||
제29사단 | 제30사단 | 제33사단 | 제38사단 | 제51사단 | |||
제57사단 | 제61사단 | 제62사단 | 제63사단 | 제65사단 | |||
제67사단 | 제68사단 | 제69사단 | 제70사단 | 제71사단 | |||
제76사단 | 이라크 평화·재건 사단 | ||||||
※ 둘러보기: 해체·해편된 각급 육군 부대 | |||||||
사단 | 해체된 사단 |
제33보병사단 {{{#063b94 第33步兵師團}}} {{{#063b94 The 33rd Infantry Division}}} |
||||||
창설일 |
1955년
3월 20일(제33예비사단) 1975년 7월 1일(제33보병사단) |
|||||
해체일 | 1982년 8월 5일 | |||||
상징명칭 | 번개부대[1] | |||||
소속 | 대한민국 육군 | |||||
상급부대 | 수도군단 | |||||
규모 | 사단 | |||||
역할 |
수도권의
해안 경계 및
김포시
강안 경계 서울특별시 남부, 인천광역시, 경기도 서남부 지역의 향토방위 |
|||||
초대 사단장 | 예) 준장 백홍석 (육사 3기) | |||||
해체 전 사단장 | 예) 대장 안필준(육사 12기) | |||||
위치 | 인천광역시 부평구 일신동 | |||||
[clearfix]
1. 개요
인천광역시 부평구를 근거지로 했던 수도군단 소속 사단. 별칭은 번개부대. 1955년 창설되었으며, 1982년 8월 5일 해체되었다.2. 역사
대한민국 육군의 보병 사단. 1955년에 제6군관구사령부 예하 부대로 창설되었지만, 1982년 제17보병사단으로 재창설 되었다.1955년 3월 20일 강원도 양구군 적리(훗날 21사단 구 63연대 자리)에서 대한민국 육군본부 직할 제33예비사단으로 창설되었다. 당시 33사단은 수도권 남부의 향토예비사단이었다. 창설 당시에는 육군본부 직할부대였으나 같은해 인천 부평구로 부대이전하면서 동시에 2군사령부(현 2작사) 제6군관구사령부(현 수도군단)에 예속되었다.
당시의 관할구역은 서울특별시 남부와 경기도 서남부(지금의 인천광역시 자치구 지역 포함)로, 지금의 제17보병사단, 제51보병사단, 제52보병사단의 관할구역을 합친 것이라 봐도 무방하다.
옛 수도권 지역 향토사단( 30사단, 33사단)에서 각 1대대씩 차출하여 현 수방사 제1경비단의 전신이 되는 수경사 직할부대로 개편된 것 고려하면, 33사단은 간접적으로는 현 수도방위사령부의 아버지라고 할 여지가 존재한다.[2] 33사단에서 1개 대대 병력을 차출하여 수경사 33대대 → 수경사/수방사 33단으로 개편되었고, 1996년에는 33단이 30단을 사실상 흡수 통합하는 식으로 1경비단으로 개편되었으며, 수방사 제1경비단에는 옛 33사단, 현 17사단의 피가 흐른다고 볼 수 있다.
33사단은 서해안으로 자주 침투하던 무장공비들을 차단하는 데 여러번 공을 세우기도 하였다. 그 과정에서 현역장병과 예비군 여럿이 전사했다.
김포공항 경비를 담당하던 부대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 예하에 김포특정경비사령부를 두었다.
1969년에는 예하 101연대 1대대와 30사단 예하 91연대 1대대가 맞교환되기도 하였다.
1975년에는 제63훈련단(현 55사단)이 창설되면서 한강 이남 수도권 지역에 대한 예비군훈련임무를 그쪽으로 인계하였다.
1976년에는 경기서부 지구에 대한 위수사령부 역할을 수도군단으로부터 인수받았는데, 그것이 사단 정문에 붙어있는 '경기서부지구 위수사령부'의 유래이다.
1980년 5.17 계엄령 당시에는 33사단 예하 101연대[3] 병력들이 여의도 대한민국 국회의사당에 출동하여 국회 개회를 저지한 흑역사가 있다.
사단 본부는 1955년 이래로 17사단이 된 지금까지도 쭉 인천광역시 부평구에 위치하고 있지만, 특히 과거에는 지금의 부천시인 옛 부천군 소사읍 인근에 있다고 해서 '소사에 있는 33사단'으로 많이 통했다고 한다.[4]
3. 예하부대
괄호 안은 당시 관할구역.(편의상 1975~1978년경)- 제99보병여단[5] (부평권, 부천, 김포)[6]: 당시 연대본부는 지금의 17사단 100여단 자리에 주둔
- 제100보병연대 (수원, 화성, 평택)[7]: 당시 연대본부는 지금의 51사단 사령부에 주둔
- 제101보병연대 (서울 남부, 시흥, 안양)[8]: 당시 연대본부는 안양 석수동(51사단 167연대 옛 주둔지) 주둔
- 제102보병연대 (원인천권)[9][10]
자세한 내용은
제17보병사단 문서 참고하십시오.
4. 과거부대
5. 출신 인물
5.1. 사단장
볼드체는 대장 진급이 된 사단장. |
역대 제33보병사단장 | |||||
역대 | 이름 | 계급 | 임관 | 비고 | 기타 |
초대 | 백홍석 | 예) 소장 | 前 사단장 | ||
2대 | 최경만 | 예) 준장 | 前 사단장 | ||
3대 | 김봉철 | 예) 소장 | 前 사단장 | ||
4대 | 이세호 | 예) 대장 | 육사 2기 | 前 육군참모총장, 제3야전군사령관 | |
00대 | 박정인 | 예) 준장 | 육사 6기 | 前 울산경비사령부 사령관, 제3보병사단 사단장 | |
00대 | 김윤호 | 예) 대장 | 육사 10기 | 前 합동참모의장, 제1야전군사령관 | |
21대 | 안필준 | 예) 대장 | 육사 12기 | 前 제1야전군사령관 | [11] |
후신(後身) 사단인 제17보병사단장에 대한 내용은 제17보병사단 문서 참고하십시오.
5.2. 장교/부사관
5.3. 병
-
성유보 - 언론인
33사단에서 군 복무를 마쳤다.
6. 기타
6.1. 근무환경
6.2. 사단가
7. 사건사고
-
5.16 군사정변
반란군 세력으로 참가.
-
구로동 카빈 강도사건
당시 33사단 예하 향토예비군부대였던 제100보병연대 관할 평택 무기고(現 제51보병사단 제169보병여단)에서 발생한 사건. 사건 자체는 구로구 지역을 중심으로 한 서울특별시 서남부 지역에서 이뤄졌지만, 범인들의 무기가 33사단 예하부대에서 탈취된 것.
- 1980년 5.17 계엄령 하 여의도 출동 및 국회 개회 저지 사건
8. 여담
[1]
후신인
제17보병사단이 이
상징명칭까지 가져갔다.
[2]
현 수방사는 6.25 전쟁 전후의 수도경비사령부,
수도사단과는 계보가 이질적이며,
제6군관구사령부의 피는 현 수도군단이 이어받고 있다.
[3]
당시에는 여의도도 연대의 관할 위수구역에 포함되었다.
[4]
한편 당시 30사단은
수색의 30사단으로 통했다. 1980년대부터 현재는 17사단은 부천 송내에 있는 부대로 지칭되는 경우가 있다. 아무래도 행정구역상 부평구에 위치하고는 있지만 가장 가까운 전철역이 부천
송내역이라서 그런듯.
[5]
제51보병사단
[6]
현 17사단 예하 507여단 관할구역
[7]
현 51사단 관할구역
[8]
서울 남부는 현 52사단, 시흥군과 안양시는 현 51사단 관할구역
[9]
현 17사단 예하 507여단 관할구역
[10]
지금의 시흥시, 안산시 지역 해안경계를 담당하기도 했다.
[11]
마지막 사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