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5 07:12:15

제10회 응씨배 세계 프로 바둑 선수권 대회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응씨배 세계 프로 바둑 선수권 대회
,
,
,
,
,
응씨배 세계 프로 바둑 선수권 대회
제9회 응씨배 세계 프로 바둑 선수권 대회
제10회 응씨배 세계 프로 바둑 선수권 대회
제11회 응씨배 세계 프로 바둑 선수권 대회
우승
신진서 이치리키 료 미정
1. 개요2. 대회 진행 방식3. 예선4. 본선
4.1. 56강4.2. 28강4.3. 16강4.4. 8강4.5. 4강4.6. 결승

1. 개요

2024년 개최되는 응씨배 세계 프로 바둑 선수권 대회. 지난 9회 대회가 코로나 19 여파로 인해 이번 10회 대회 개최년도의 전년도인 2023년에 결승이 치러지고 바로 다음 해에 10회 대회가 열리게 됐다.

2. 대회 진행 방식

  • 이번 대회는 본선 56강으로 진행되며, 이 중 전기 시드인 신진서와 셰커는 16강 부터 출발을 한다. 또한 결승이 다시 5번기로 환원되어 진행된다. ( 관련 기사)
  • 56강과 28강은 한큐바둑을 사용하여 온라인 대국으로 열릴 예정이며 16강부터 대면 대국으로 전환하여 대회를 진행한다.
  • 제한시간은 4강까지는 56강~8강은 각자 2시간, 준결승 각자 2시간 30분, 결승 5번기는 각자 3시간 30분으로 정했다. 벌점 2점을 대가로 받는 추가시간(3회 소진시 시간패)은 기본 시간의 1/6로 변경되었다.[1] 이는 모든 대국이 3시간 30분이던 제7회까지와 추가시간 규칙이 같다.
  • 이전까지는 16강전 때(8, 9회는 대회 시작 때) 제비뽑기로 대진표를 짜면 결승까지 그대로 갔기 때문에 4강전 이하에서 과반이 아니면서 같은 소속끼리 만나는 일도 있었지만, 이번 대면 대국은 바둑이 끝날 때마다 과반이 아닌 소속이 다른 소속끼리 만나게 제비를 뽑는다.

3. 예선

  • 중국 선발전은 3월달에 열렸으며 남자조는 32명이 참가해 6라운드 스위스 시스템으로 대국을 하여 리친청, 양딩신, 펑리야오, 양카이원, 투샤오위, 자오천위가 본선에 진출했다. 여자조에서는 탕자원이 본선 티켓을 받았다. ( 관련 기사)
  • 한국대표 선발전은 4월 1일 부터 3일까지 열리며 남자조는 3명, 여자조는 1명을 선발한다. ( 선발전 대진표) 각자 제한시간 2시간이며 제한시간 모두 소진 시 벌점 2점을 대가로 20분을 추가로 받는다.(3회 모두 소진시 시간패)
  • 한국 선발전 중게 대국(바둑TV에서 여자조 대국을 중계한다.)
    날짜 중계 경기 흑번 백번 결과

    4/1 TV 여자조 1회전 오유진 조승아 흑 3집반승[2]

    수순/TV 김채영 조혜연 흑 불계승

    4/2 TV 여자조 준결승 김채영 김은지 백 불계승

    수순/TV 오유진 최 정 흑 3집반승[3]

    4/3 수순/TV 여자조 결승 오유진 김은지 182수 백 불계승[4]

    수순 남자1조 결승 김진휘 박상진 199수 흑 불계승

    남자2조 결승 강동윤 홍성지 252수 백 불계승

    남자3조 결승 한승주 안성준 362수 흑 1집반승

4. 본선

제10회 응씨배 세계 프로 바둑 선수권 대회 출전 선수 명단
국가 출전 선수 (선수명의 굵은 글씨는 16강 부터 시작)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전기 시드 신진서(전기 우승)
국가시드 변상일( 세계대회 우승)
박정환, 신민준, 김명훈(랭킹시드)
박건호, 원성진, 안국현, 이지현(국가대표 상비군 시드)
선발전
통과자
김진휘, 홍성지, 한승주(남자조 통과자)
김은지(여자조 통과자)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전기 시드 셰커(전기 준우승)
국가시드 구쯔하오, 딩하오, 커제, 미위팅, 당이페이, 리쉬안하오,
왕싱하오, 쉬자양, 랴오위안허, 황밍위, 류위항, 셰얼하오
선발전
통과자
리친청, 양딩신, 펑리야오,
양카이원, 투샤오위, 자오천위(남자조 통과자)
탕자원(여자조 통과자)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이치리키 료, 시바노 도라마루, 이야마 유타, 쉬자위안,
위정치, 야마시타 게이고, 세키 고타로, 모토키 가쓰야,
사다 아쓰시, 히로세 유이치, 우에노 아사미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
쉬하오훙, 라이쥔푸, 왕위안쥔, 쉬징언, 샤오정하오,
천치루이, 젠징팅, 루이취엔, 루위화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알렉산더 치, 리리옌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안드리 크라벳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페이트라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마테우스 수르마

4.1. 56강

56강 (2024년 4월 20일)
파일:중국 국기.svg 셰얼하오 289수 흑 불계승 마테우스 수르마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쉬하오훙 285수 백 6집반승 안국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미위팅 308수 백 6집반승 세키 고타로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펑리야오 256수 백 불계승 위정치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천치루이 106수 백 불계승 박정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루위화 236수 백 불계승 우에노 아사미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당이페이 304수 흑 11집반승 야마시타 게이고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쉬징언 224수 백 반집승 김진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젠징팅 177수 흑 불계승 이야마 유타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탕자원 196수 백 불계승 원성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샤오정하오 129수 흑 불계승 페이트라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리친청 282수 백 불계승 모토키 가쓰야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양카이원 247수 흑 불계승 홍성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랴오위안허 202수 백 불계승 박건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황밍위 -수 - 승 안드리 크라벳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라이쥔푸 244수 백 불계승 신민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자오천위 227수 흑 불계승 변상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커제 248수 백 불계승 김명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왕위안쥔 228수 백 불계승 이치리키 료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투샤오위 203수 흑 불계승 한승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쉬자양 157수 흑 불계승 쉬자위안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딩하오 198수 백 불계승 히로세 유이치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류위항 160수 백 불계승 리리옌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양딩신 263수 흑 불계승 시바노 도라마루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왕싱하오 359수 백 1집반승 이지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구쯔하오 221수 흑 불계승 김은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루이취엔 -수 - 승 알렉산더 치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리쉬안하오 297수 백 2집반승 사다 아쓰시 파일:일본 국기.svg
  • 56강 최대 이변이 벌어졌다. 김은지 2017년 삼성화재배 우승자이자 지난 해 신진서를 꺾고 난가배 초대 우승을 했던 구쯔하오를 완파한 것. 김은지는 구쯔하오를 상대로 몰아붙이는 바둑 내용으로 결국 마지막엔 구쯔하오의 대마를 잡아내어 28강에 진출했다. 구쯔하오가 벌점까지 감수하며 살리려 했으나 역부족이었다.

4.2. 28강

28강 (2024년 4월 21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변상일 205수 흑 불계승 커제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은지 164수 백 불계승 왕싱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민준 150수 백 불계승 황밍위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원성진 120수 백 불계승 이야마 유타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진휘 327수 백 4집반승 야마시타 게이고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정환 282수 백 반집승 우에노 아사미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이치리키 료 176수 백 불계승 투샤오위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세키 고타로 117수 흑 불계승 펑리야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쉬하오훙 283수 흑 불계승 셰얼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샤오정하오 204수 백 불계승 리친청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루이취엔 154수 백 불계승 리쉬안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양카이원 168수 백 불계승 랴오위안허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쉬자양 216수 백 불계승 딩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류위항 233수 흑 불계승 양딩신 파일:중국 국기.svg
  • 변상일은 커제에게 중반까지 우세했으나 우상귀에서 커제가 놓은 덫에 걸려들어 바둑이 뒤집혀 패하고 말았다. 전날 56강에서 구쯔하오를 완파하는 이변을 일으켰던 김은지는 왕싱하오에게 져 탈락했다.
  • 박정환은 막판에 위기를 맞기도 했으나 우에노 아사미의 끝내기 실수로 재역전에 성공하여 반집승을 거뒀고, 김진휘는 야마시타 게이고를 상대로 역시 역전승을 거두며 16강에 진출했다. 신민준은 황밍위에게, 원성진은 이야마 유타에게 승리를 거두면서 한국은 5명[5]이 16강에 진출했다.
  • 일본의 1인자 이치리키 료는 중국의 투샤오위의 대마를 잡고 이겼고, 대만의 쉬하오훙은 셰얼하오를 이기고 16강에 진출했다. 바둑리그 용병 선수들끼리 붙었던 양카이원[6]과 랴오위안허[7]의 대국에서는 랴오위안허가 이겼다.

4.3. 16강

  • 날짜 : 2024년 7월 3일
  • 장소 : 중국 상해 응씨 빌딩
  • 해당 대국부터 대면 대국으로 전환되며 28강 승자 14인에 전기 우승자 신진서, 준우승자 셰커가 합류하여 16강을 구성함에 따라서 이에 맞춰 대진을 다시 추첨한다. 제한시간 각자 2시간이며 벌점 2점 대가로 받는 추가시간은 20분이다.
  • 중계: 바둑TV - 문도원, 송태곤 / K바둑 - 김규리, 백홍석 / 사이버오로 수순 중계 / 타이젬바둑 - 김다영
16강 (2024년 7월 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 180수 백 불계승 왕싱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민준 152수 백 불계승 커제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정환 201수 흑 불계승 쉬자양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원성진 223수 흑 불계승 리쉬안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진휘 331수 백 6집반승 셰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이치리키 료 225수 흑 불계승 류위항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쉬하오훙 209수 흑 불계승 펑리야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랴오위안허 313수 흑 2집반승 리친청 파일:중국 국기.svg
  • 전기 우승자 신진서는 왕싱하오에게 좌변에 큰 집을 내주면서 완패를 당하면서 패해 결국 응씨배 2연패 도전이 무산되었다. 신민준은 커제에게 대마가 잡혀 패했다. 박정환도 쉬자양에게 아쉽게 패했고, 김진휘는 중반 대우세를 지키지 못하고 셰커에게 역전패를 당하고 말았다.
  • 원성진은 리쉬안하오를 상대로 불리했던 형세에서 우변 대마사낭을 통해 전세를 뒤집고 백 대마를 잡는 화끈한 바둑 내용으로 대역전승을 거두며 한국 선수 중 유일하게 8강에 진출했다.
  • 이치리키 료는 류위항에게 중간에 실수가 나온 것을 제외하고는 전체적으로 우세한 형세를 유지하면서 승리를 거뒀고, 쉬하오훙은 중반 우변에서 우세를 잡으면서 승리를 거뒀다. 이로써 16강 결과 중국 5, 한국과 일본 그리고 대만이 각 1명씩 8강에 진출했다.

4.4. 8강

8강 (2024년 7월 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원성진 276수 백 불계승 셰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이치리키 료 305수 흑 반집승 쉬자양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쉬하오훙 325수 백 반집승 리친청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커제 185수 흑 불계승 왕싱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 원성진은 중반 좌상에서부터 불리한 형세로 기울어지면서 결국 셰커에게 완패를 당하고 말았다. 마지막으로 남은 한국 선수인 원성진이 탈락하면서 한국은 8강에서 모두 탈락하게 됐다.[8][9]
  • 이치리키 료는 쉬자양을 상대로, 쉬하오훙은 리친청과 만나 반집을 남겼다.
  • 커제는 왕싱하오에게 완승을 거두어 준결승에 진출했다.
  • 결과적으로 중국-일본-대만 선수가 모두 4강에 합류하였다. 한국은 사상 처음으로 응씨배 4강에 오르지 못했다.

4.5. 4강

  • 날짜 : 2024년 7월 6/8/9일
  • 장소 : 중국 영파
  • 해당 대국은 제한시간 각자 2시간 30분이며 벌점 2점 대가로 받는 추가시간은 25분이다.
파일:중국 국기.svg 커제 1 2 이치리키 료 파일:일본 국기.svg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대국 일정
흑번
백번
결과
1국 2024년 7월 6일 이치리키 커제 144수 백 불계승
2국 2024년 7월 8일 커제 이치리키 352수 백 2집반승
3국 2024년 7월 9일 커제 이치리키 200수 백 불계승 }}}

파일:중국 국기.svg 셰커 2 0 쉬하오훙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대국 일정
흑번
백번
결과
1국 2024년 7월 6일 쉬하오훙 셰커 262수 백 불계승
2국 2024년 7월 8일 셰커 쉬하오훙 203수 흑 불계승
3국 2024년 7월 9일 2:0으로 종료되어 해당 사항 없음 }}}

준결승 3번기에서 중국의 셰커는 대만의 쉬하오훙에게 2연승을 거두며 결승에 진출했으며, 반대조에서는 일본의 이치리키 료가 커제에게 1패 후 2연승으로 결승에 진출하는 파란을 일으켰다. 2국에서 커제에게 2집반을 남기고 승리를 거둔 이치리키 료는 3국에서는 커제의 대마를 잡는 압승을 거두어 결승에 진출했다. 일본은 22회 LG배 이야마 유타 이후 7년 만에 메이저 세계대회 결승 진출자를 배출하게 됐다. 그리고 1996년 3회 대회 요다 노리모토 이후 28년 만에 일본기사가 응씨배 결승 무대에 오르게 됐다.

4.6. 결승

  • 날짜 : 2024년 8월 12/14일, 9월 8/10/12일[11]
  • 장소 : 중국 중경 (1~2국) 상해 (3~5국)
  • 해당 대국은 제한시간 각자 3시간 30분이며 벌점 2점 대가로 받는 추가 시간은 35분이다. 대국은 한국 시간으로 오전 10시 30분에 시작하며 중간에 오후 1시부터 30분간 점심 시간을 가진다.
제10회 응씨배 세계 프로 바둑 선수권 대회 결승 5번기
파일:중국 국기.svg 셰커 0 3 이치리키 료 파일:일본 국기.svg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대국 일정
흑번
백번
결과
1국 2024년 8월 12일 이치리키 료 셰커 341수 흑 1점 승[12]
2국 2024년 8월 14일 셰커 이치리키 료 260수 백 9점 승[13]
3국 2024년 9월 8일 이치리키 료 셰커 237수 흑 불계승[14]
4국 2024년 9월 10일 3:0 으로 종료되어 해당 사항 없음
5국 2024년 9월 12일
우승 파일:일본 국기.svg 이치리키 료 九단 (응씨배 첫 우승, 생애 첫 메이저 세계대회 우승) }}}

제10회 응씨배 결승은 응씨배 사상 첫 중일전 결승으로 성사되었다. 전기 대회에서 신진서에게 준우승을 하고 다시 한 번 결승에 올라 응씨배 우승에 재도전하는 셰커와 일본 역대 세 번째 응씨배 결승 진출자가 된 이치리키 료의 5번기 승부로 펼쳐지게 됐다. 셰커가 지난 대회의 한을 풀지, 아니면 이치리키 료가 일본에 오랜만에 세계대회 우승 트로피를 안겨줄지 주목되는 시리즈이다.
  • 1국 | 중계 : 바둑TV[지연] - 문도원, 송태곤 / 타이젬바둑 - 최철한[A]
    1국은 이치리키 료가 먼저 웃었다. 이치리키 료는 초반에 고전했으나 공격적인 수를 두어기며 분위기를 잡으면서 그 이후 부터는 거의 시종일관 우세한 내용을 보여주며 바둑을 이어갔다. 셰커도 끈끈한 모습을 보여주며 추격했는데 막판에 이치리키 료가 시간을 다쓰면서 벌점 2점을 공제 받는 변수가 있었으나 결국엔 이치리키 료가 1점(한국식 계가로는 반집)을 남겨 승리했다. 시간 내로 바둑을 끝냈었다면 원래는 3점 승(한국식 계가로 2집반 승[17])이었다. 1국을 가져온 이치리키 료는 셰커 상대로 상대전적 통산 첫 승[18]을 거뒀다.
  • 2국 | 중계 : 바둑TV[지연] - 문도원, 최명훈 / 타이젬바둑 - 최철한[A]
    이치리키 료는 2국마저 가져가며 우승까지 1승을 남겨두게 됐다. 중반에 고전했으며 설상가상으로 주어진 제한 시간 3시간 30분을 모두 소진해 벌점 2점을 대가로 35분의 추가 시간을 받은 상태였던 이치리키 료는 우변에서 수를 내는데 성공하면서 바둑의 전세를 역전시키는데 성공하였고 이후 좌변에서도 셰커가 좋지 못한 모습을 보이며 바둑이 점점 이치리키 료에게 기울어졌다. 이치리키 료가 추가 시간을 한 번 더 받아서 벌점이 4점으로 늘어났으나 그것은 변수가 되지 않을 정도로 여유있는 형세로 기울어졌다. 패를 통해서 상중앙 흑돌 9점을 잡은 이치리키 료는 최종적으로 벌점 4점을 공제되었어도 9점(한국식 계가로 백 7집반승)[21]을 넉넉하게 이겼다.
  • 3국[22] | 중계 : 타이젬바둑 - 최철한 ( 바둑TV 하이라이트 - 고윤서, 조인선)
    초반은 서로 무난하게 스타트했다가 중반에 셰커의 무리한 젖힘이 나오며 이치리키 료가 유리해졌다. 그러다 서로의 매우 어려운 중반 전투에서 이치리키 료의 실착이 나오며 셰커가 크게 유리해지며 상변에 어느 정도의 집만 만들어도 반면으로도 비슷한 필승지세로 흘러갔다. 하지만 마무리 과정에서 셰커가 흑의 좌변을 무리하게 깨러 가면서 바둑이 이상해지고 곧이어 상변에서 믿을 수 없는 실착이 두 번 연달아 나오며 원래 백이 20집 이상 날 수도 있던 상변 백 모양이 4집으로 줄어버리는 대참사가 나면서 대역전을 당했다. 마지막으로 셰커가 좌변 흑을 잡다가 우변 백 대마가 잡히면서 8시간의 장기전은 이치리키 료의 역전승으로 끝났다.

    이 대국을 이기면서 이치리키 료가 일본기원 소속으로는 LG배 장쉬 이후로 19년 만에, 순혈 일본인으로는 후지쯔배 고바야시 고이치 이후 27년 만에 메이저 세계대회 우승을 무려 응씨배로 달성하게 되었다. 반면 셰커는 박정환에 이어 응씨배 2연속 준우승 기록(...)을 달성했다.

[1] 이를 환산하면 기본시간 초과시 벌점을 대가로 부여되는 추가시간은 2시간 대국은 20분, 2시간 30분 대국은 25분, 결승은 35분의 추가시간이 주어진다. [2] 오유진 시간 패널티 1회(2점 공제) [3] 양 선수 모두 시간 패널티 3회(각 6점 공제) [4] 오유진 시간 패널티 2회(4점 공제) [5] 신진서는 전기 우승 시드를 받아 16강에서부터 시작한다. [6] '바둑메카 의정부' 외국인 선수 [7] '고려아연' 외국인 선수 [8] 그동안 9번의 대회에서 한국은 9번 모두 결승 진출자를 배출했고 우승 6번,준우승 3번을 기록하였다. 심지어 6회 대회땐 아직까지도 유일한 결승 내전을 만든 국가이다.(최철한vs이창호) 그 정도로 압도적이었던 한국이 4강도 아니고 8강에서 전멸당하고 만 것이다. [9] 응씨배 창설 이전 한국은 일본과 중국에 한참 밀리는 바둑 변방으로 분류되었으나(당장 응씨배 1회 대회때 한국의 시드는 고작 1장이였다. 그리고 그 1장의 시드로 출전한 조훈현이 우승했다.) 응씨배에서의 압도적인 성적으로 인해 오랜 기간동안 바둑 최강국으로 이름을 떨쳤다. 하지만 2010년대부터 중국에 비해 점점 밀리는 선수층 등의 문제와 다른 국가(일본,대만)의 약진으로 인해 최악의 결과가 나오게 되었다. [A] 제5회 응씨배 준우승, 제6회 응씨배 우승자 [11] 3~5국은 본래 10월 열릴 예정이었는데 앞당겨졌다. [12] 이치리키가 계가로 3점 앞섰지만 제한 시간을 한 번 넘기며 벌점 2점 감점. [13] 이치리키가 계가로 13점 앞섰지만 제한 시간을 두 차례 넘기며 벌점 4점 감점. [14] 시간 초과로 이치리키 료 벌점 4점, 셰커 벌점 2점 부여. [지연] 오후 1시부터 지연 중계 [A] [17] 이날 중계 한 바둑TV에서는 해당 바둑의 수순을 받아서 착수한 사람들이 직접 한국식 계가를 했다. [18] 이 대국 전 까지 4전 전패였다. [지연] [A] [21] 계산으로 12집 차이난다. 다만 중국-응씨룰은 백은 반집승, 2집반승 이렇게만 가기 때문에 7집반을 남겼을 경우 9점(8집반)으로 처리된다. 흑은 1집반, 3집반... 이렇게 올라가서 흑1점, 흑3점 이런 식으로 이길 수 있다. [22] 응씨배 결승 일정이 당겨지며, 농심배 4국과 같은 날에 열리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