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25 22:40:55

야마시타 게이고

야마시타 게이고
山下敬吾 / Yamashita Keigo
파일:feef3839bd464e7ea27660071be81d88_th.jpg
직업 바둑기사
소속 일본기원 도쿄본원
생년월일 1978년 9월 6일 ([age(1978-09-06)]세)
국적
[[일본|]][[틀:국기|]][[틀:국기|]]
출신지 홋카이도 아사히카와시
입단 1993년
단급 九단
누적우승경력 23회
일본기원 야마시타 게이고 소개 페이지

1. 개요2. 생애3. 기풍4. 주요 우승 기록5. 주요 기사들과의 상대 전적
5.1. 한국 기사5.2. 일본 기사

[clearfix]

1. 개요

일본 바둑 기사.

2. 생애

장쉬, 다카오 신지, 하네 나오키와 더불어서 헤이세이 사천왕으로 불리는 기사이다. 고등학교 수학 교사이자 바둑 애호가인 아버지로부터 형과 함께 바둑을 배워 기원 등에서 실력을 연마했다. 1986년 소학교 2학년 때 소년소녀바둑대회(이하 대회) 소학생부에서 역대 최연소 기록으로 우승하며 소학생 명인이 되었는데 당시 결승전 상대가 훗날 프로에서 타이틀을 다투게 되는 다카오 신지였다.

1987년 대회 2연패를 노렸으나 쿠로타키 마사노리에게 패해 준우승에 그쳤다. 그해 12월 어머니, 형과 함께 상경해 아마추어 강호인 키쿠치 야스로가 운영하는 료쿠세이 바둑학원에 입학했다. 1988년 도쿄도 대표로 대회에 출전하나 사상 최초의 형제 결승전에서 패해 준우승에 그쳤다. 1989년 일본기원 원생이 되어 1993년 입단했다.

2003년 12월 4일 전 일본기원 원생이자 현재 바둑 인스트럭터인 다카나시 쇼코와 결혼해 2004년 장남이 태어났다.[1]

2010년 5연패 달성이 걸린 (대)기성전에서 장쉬에게 종합 전적 1-4로 패해 기성(棋聖) 타이틀을 상실했고 명예 기성 칭호 획득에도 실패했다. 혼인보전에서 하네 나오키를 종합 전적 4-1로 물리치고 처음으로 혼인보 타이틀을 탈취했다. 8월 20일 혼인보 타이틀을 획득한 다음 첫 취위식(就位式)에서 아호를 '도와(道吾)라고 발표했다. 4세 혼인보 도사쿠(道策), 홋카이도(北海道)의 '道'와 이름(敬吾)의 '吾'를 합친 것이다.

2011년 혼인보전에서 하네 나오키의 도전을 종합 전적 4-3으로 물리치고 혼인보 타이틀을 방어했다. 한편 8년만에 도전한 명인전에서는 이야마 유타를 4-2로 파하고 처음으로 명인위를 획득하며 사상 7번째 명인 · 혼인보가 되었다. 이 해에 기성(棋聖)전 4연패, 혼인보전 2연패 등을 평가받아 고바야시 고이치에 이어 바둑계 2번째로 홋카이도민 영예상을 수상했다.

2017년 9월 중국의 리허와 천쯔젠을 꺾고 삼성화재배 16강에 진출했다. 11월 제19회 농심신라면배에서는 신민준에게 패배했다.[2]

2018년 3월 월드바둑챔피언십에서 대만 왕위안쥔을 꺾고 4강 진출, 4강전에서는 이야마 유타에게 패해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2018년, 다시 혼인보전 도전권을 획득해 5월 15일부터 이야마 유타와 결승 7번기에 임했지만 종합 전적 1-4로 패배하며 타이틀 획득에는 실패했다.

7월 24일 백령배 16강전에서 구쯔하오에게 패해 탈락. 9월 23일 천부배 A조 8강전에서도 구쯔하오에게 또 패했다.

2018년 11월 8일 제43기 기성(棋聖)전 도전자 결정전에서 고노 린을 꺾고 통산 1000승을 달성함과 동시에 도전권을 획득했다.

2019년 1월 10일부터 시작된 제43기 기성(棋聖)전 결승 7번기에서는 이야마 유타에게 종합 전적 3-4로 패배했다.

8월 3일 국수산맥배에서 박정환을 꺾고 일본 기사 중 유일하게 8강에 올랐지만, 다음날 천야오예에게 지며 탈락했다.

10월 17일 농심배에 일본 대표팀 2번 주자로 출전했지만, 중국 대표팀 1번 주자 양딩신에게 패했다.

그리고 2020년, 제75기 혼인보전 본선 리그에서 7전 전패를 기록하여 리그에서 탈락하고 말았다.[3]

2021년 10월 23일 삼성화재배 16강전에서 중국 자오천위에게 패했다.

2023년 8월 4일 몽백합배 32강전에서 미위팅에게 접전 끝에 패했다.

2024년 4월 21일 응씨배 28강전에서 김진휘에게 패했다.

3. 기풍

호전적인 기풍으로 접근전이 특기다. 이전에는 첫 수를 천원, 5의 5에 두는 경우가 많아 특히 2000년 기성(碁聖)전 도전자 결정 토너먼트부터 도전기 5번 승부까지 5의 5를 많이 둬 주목을 끌었다. 그러나 그 후 토너먼트 상위에서의 대국이 늘어나면서 대담한 포석을 볼 수 없게 되었다.

의외로 국제 바둑 기전인 후지쯔배, 춘란배, 삼성화재배 LG배에서 본인의 야마시타류를 자주 써먹었다. 일본 기전에서는 상금이 크다보니 일반적인 바둑을 뒀지만, 국제 기전에서는 각종 신수를 시험하곤 했다. 이때 야마시타한테 야마시타류를 배우고 나중에 야마시타류를 국내 기전에서 써먹은 기사가 최철한 九단과 목진석 九단이다(...)

야마시타류는 첫수를 천원에 두거나, 5의5, 대 고목 등에 두면서 철저하게 중앙 세력과 전투를 추구하며, 중앙을 중시하되 빠른 스피드로 판을 짜나가는 것이 특기이다. 남들보다 한칸 더 멀리, 여러 큰 곳을 중앙을 향하여 빠르게 운석한다는 것이 특이점. 야마시타류는 중앙을 중시하고 세력바둑을 둔다는 점에서 다케미야 마사키의 우주류와 비슷해 보인다. 하지만 다케미야의 우주류는 차근차근 세력을 쌓아서 조금 느린 편인 반면, 야마시타류는 그야말로 초스피드를 앞세운다는 것이 특이점. 그래서 농심신라면배 삼성화재배 등 국제 기전에서 한국 중국의 바둑 아마추어 팬들이 야마시타의 바둑을 보고 낭만이 있다는 평을 많이 한다. 지나치게 전투적이고 실리적이고 다 똑같아 보이는 초반 포석을 야마시타는 성적이 안좋아지더라도 결단코 거부했기 때문이다.

4. 주요 우승 기록

7대 타이틀 획득 기록

* 기성전(棋聖) 5회(2003, 2006~2009)

* 명인전 2회(2011~2012)

* 혼인보전 2회(2010~2011)

* 천원전 2회(2004, 2009)

* 기성전(碁聖) 1회(2000)

* 왕좌전 2회(2006, 2007)

5. 주요 기사들과의 상대 전적

5.1. 한국 기사

박영훈 1:4
이세돌 0:4
이창호 2:7
조한승 2:4
조훈현 0:3

5.2. 일본 기사

장쉬 36:47


[1] 처남은 바둑 기사 다카나시 세이켄 九단이다. [2] 참고로 야마시타 게이고는 이번 제19회 농심배에 참가한 한중일 기사들 중 제1회 농심배를 경험해본 유일한 기사이다. 사실 한국과 중국의 경우를 보면, 야마시타 게이고의 또래인 70년대 중후반생 기사들은 이미 최정상권에서 물러난 상황이다. [3] 첫 출전자인 요코쓰카 리키 七단(본선 리그 진출에 성공하며 三단에서 七단으로 승단했다.)에게도 10집 반으로 패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