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을병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대한민국 국회의원 ( 강원 삼척시) | |||||||||||||||||||||||||||||||||||||||||||||||||||||||||||||||||||||||||||||||||||||||||||||||||||||||||||||||||||
제14대 김정남 |
→ |
제15대 장을병 |
→ |
선거구 통합 최연희[1] |
제15대 성균관대학교 총장 | |||
<colbgcolor=#808080><colcolor=#fff>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장을병 張乙炳 | Chang Eul-byung |
|||
출생 | 1933년 2월 5일 | ||
강원도
삼척군 원덕면 (現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
|||
사망 | 2009년 7월 5일 (향년 76세) |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 |||
본관 | 인동 장씨 | ||
호 | 옥원 (沃原) | ||
재임기간 | 제15대 성균관대학교 총장 | ||
1991년 2월 20일 ~ 1995년 2월 19일 | |||
제12대 한국정신문화연구원장 | |||
2001년 9월 29일 ~ 2004년 9월 28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808080><colcolor=#fff> 학력 |
삼척호산초등학교 (졸업) 삼척중학교 (졸업) 삼척공업고등학교 (졸업) 성균관대학교 법정대학 ( 정치외교학 / 학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 정치외교학 / 석사 · 박사) |
|
병역 | 학도의용군 전역 | ||
신체 | 168cm, 79kg | ||
의원 선수 | 1 | ||
의원 대수 | 15 | ||
경력 |
성균관대학교 법정대학 정치학과 교수 복직교수협의회 공동대표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 공동대표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 결성 제15대 성균관대학교 총장 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 정치개혁시민연합 공동대표 개혁신당 공동대표 민주당 공동대표 제15대 국회의원 (강원 삼척시 / 통합민주당) 국민신당 최고위원 새정치국민회의 부총재 새천년민주당 최고위원 한국정신문화연구원장 (제12대 / 국민의 정부) 고구려연구재단 이사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사 |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정치학자, 정치인. 호는 옥원(沃原)이다. 직선제로 뽑힌 첫 성균관대학교 총장이기도 하다.2. 생애
1933년 강원도 삼척군 원덕면(현 삼척시 원덕읍)에서 태어났다. 삼척호산초등학교, 삼척중학교, 삼척공업고등학교(현 강원대학교 삼척캠퍼스), 성균관대학교 정치학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모교인 성균관대학교 정치학과 교수를 역임하였다. 1980년 서울의 봄 당시 신군부의 계엄에 저항해 지식인 134인 선언을 주도했다는 이유로 중앙정보부에서 심하게 고문 받고, 1980년 강제 해직됐다. 당시 그는 청암 송건호, 한완상 서울대학교 교수, 소설가 이호철 등과 함께 "국군은 정치적으로 엄정 중립을 지켜야 한다. 그런데 한 사람이 국군 보안사령관과 중앙정보부장직을 겸직하고 있다는 사실은 명백한 불법이므로 시정되어야 한다"라는 선언으로 전두환 당시 보안사령관을 정면으로 겨냥했다.
1984년 성균관대에 복직해 복직교수협의회 공동대표, 대학교권수호 특별위원장 등을 지내며 민주화운동에 헌신해오다 1991년부터 1995년까지 모교 성균관대학교에서 총장을 지냈다.
1991년 백골단의 폭력진압에 희생된 재학생 김귀정의 노제 허용을 위해 경찰 책임자와 협의를 하고 있는 장을병[2] |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직후 개혁신당을 창당하였다가 곧바로 민주당과 합당하여 통합민주당 창당시 김원기 의원과 공동대표를 역임하였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합민주당 후보로 강원도 삼척시 선거구에 출마하여 성균관대학교 교수 시절 제자였던 현역 국회의원 자유민주연합 김정남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그러나 통합민주당은 15석에 그치며 원내교섭단체도 구성하지 못하는 참패를 당했고, 총선참패 이후 열린 전당대회에서 이기택이 총재로 복귀하면서 당내갈등은 심화되었다. 이에 장을병은 자기가 공동대표를 맡았던 당이었음에도 탈당하고 만다. 그뒤 무소속으로 머물다가 제15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국민신당에 입당하였고 최고위원을 역임하였다. 1998년 국민신당이 새정치국민회의에 흡수되자 새정치국민회의 부총재에 임명되었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강원도 동해시-삼척시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최연희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낙선 이후에도 김대중 대통령에 의해 새천년민주당 최고위원(총재 지명직)이 되었지만,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 원장에 임명되면서 정계를 떠났다. 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와 한국정의구현연구원장도 역임하였다.
이후 만년에 자신의 모교이자 총장으로 재직했던 성균관대 정치외교학과의 명예교수로서 강의를 이어갔는데, 건강이 나빠지면서 중단하였다. 2009년 7월, 76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3. 총장 시절
90년대 초중반 성균관대 총장 재임 당시 삼성을 성균관대학교의 재단으로 영입해 이후 21세기 들어 성균관대학교가 명문대로 성장, 발전하는데 바탕을 마련한 공로자다. 이런 성과를 낼 수 있었던 배경으로는 뛰어난 리더십을 들 수 있는데, 1991년 성균관대학교 총장이 되었을 당시 그는 직선제로 선출된 첫 총장으로 교수진들의 투표와 지지를 받은 총장이었다.덕분에 권위가 서니 당시 재계, 정치계 인맥도 굉장히 폭넓었는데, 성균관대학교 총장으로 재직중일 당시 운영재단이었던 봉명재단이 나간 후, 재정난에 시달리자 고심 끝에 결국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비서실장에게 연락을 취하여 성균관대학교에 재단으로 들어올 것을 이야기하게 되었고, 삼성은 의과대학이 없는 대학은 발전할 수 없다고 말하며 성균관대학교가 정부로부터 의대 설립 인가를 받으면 들어오겠다고 하였다. 이에 장을병 총장은 청와대로 가 김영삼 당시 대통령과 이야기 끝에 김영삼 대통령이 임기 말에 허가를 해주겠다고 하였고[3] 이후 1996년에 교육부가 이를 승인해주어 의대가 설립되고, 삼성이 재단으로 들어오게 되었다.
4. 기타
장을병의 제자 중에는 역시 모교인 성균관대 정치외교학과에서 활동한 김일영 교수, 이종석 전 장관 등이 있었는데, 장을병이 그들의 박사논문 지도 교수였다. 김 교수는 장을병이 타계한 지 불과 수개월 후인 같은 해 11월에 지병인 암으로 세상을 떠났다.칼럼도 썼는데, 1997년 9월 26일 동아일보 < 원칙이 사라진 정치판>
1979년 월봉저작상, 1982년 홍조근정훈장, 1989년 심산학술상을 수상하였다. 장을병 1주기 추모식 때는 강원대학교 삼척캠퍼스 도서관 4층에 "장을병 기념홀"을 개관하며 고인을 기렸다. 도서관과 기념홀에서는 고인의 기증품 장서 8000여 점과 애장품 가운데 육필원고, 저서, 서화 등 고인의 유품을 전시하였다. 또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호산초등학교 교정에는 "장을병 선생 추모비"가 건립되었다.
저술 및 작품에는 『한국정치론』, 『정치적 커뮤니케이션론』, 『정치의 파라독스』, 『인간회복의 정치론』, 『커뮤니케이션과 정치발전』, 『삶을 위한 정치학』, 『정치를 위한 변명』, 『전환기의 한국 정치』, 『인물로 본 한국 민족주의』, 『무엇을 보며 가고 있는가』, 『못난 정치 잘난 국민』, 『남북한 정치의 구조와 전망』, 『내가 아는 양김 정치』, 『인물로 본 8·15 공간』, 『이승휴의 삶과 정치활동』 등이 있다. 그리고 자서전 『옹이 많은 나무』는 유작이다.
고구려연구재단 이사, 동안이승휴기념사업회 회장 등도 지냈다. 특히 말년에는 이승휴사상선양회 이사장으로 있으면서 이승휴 연구서인 『이승휴의 삶과 정치활동』 등의 저서를 남겼으며, 삼척시 현안사업협력위원회 회장직도 맡아 지역 발전에 헌신하였다.
5. 선거 이력
<rowcolor=#fff>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1996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강원 삼척 |
|
14,957 (31.80%) | 당선(1위) | 초선 |
2000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강원 동해·삼척 |
[[새천년민주당| |
33,691 (39.00%) | 낙선(2위) |
6. 둘러보기
강원도 제15대 국회의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춘천 을 | 강릉 갑 | 강릉 을 | |
한승수 | 류종수 | 황학수 | 조순 | |
원주 갑 | 원주 을 | 동해 | 삼척 | |
함종한 | 김영진 | 최연희 | 장을병 | |
홍천·횡성 | 영월·평창 | 태백·정선 | 속초·고성·양양·인제 | |
이응선 | 김기수 | 박우병 | 송훈석 | |
철원·화천·양구 | ||||
이용삼 | ||||
* 강릉 을 최욱철 의원직 상실 (1998.3.24.) | ||||
◀
제14대
제16대 ▶
|
}}}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0AA7B><tablebgcolor=#00AA7B>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0AA7B><tablebgcolor=#00AA7B>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노무현 | 김상우 | 추미애 | 이상수 | 김충일 |
유재건 | 김원길 | 조순형 | 김근태 | 설훈 | |
임채정 | 손세일 | 장재식 | 박범진 | 김영배 | |
신기남 | 김명섭 | 김민석 | 유용태 | 이해찬 | |
김병태 | 김운환 | 서정화 | 이강희 | 서한샘 | |
이재명 | 조한천 | 정동채 | 임복진 | 박광태 | |
이길재 | 조홍규 | 김인영 | 이윤수 | 조성준 | |
최희준 | 이석현 | 안동선 | 최선영 | 남궁진 | |
조세형 | 원유철 | 김영환 | 천정배 | 이성호 | |
유선호 | 정영훈 | 김길환 | 박종우 | 송훈석 | |
장을병 | 이용삼 | 장영달 | 정동영 | 채영석 | |
강현욱 | 최재승 | 이협 | 윤철상 | 조찬형 | |
장성원 | 김태식 | 정세균 | 정균환 | 김진배 | |
김홍일 | 한화갑 | 김충조 | 김경재 | 조순승 | |
정호선 | 김성곤 | 김명규 | 국창근 | 양성철 | |
박상천 | 박찬주 | 김옥두 | 김영진 | 김봉호 | |
배종무 | 김인곤 | 권정달 | 장영철 | 이규정 | |
정희경 | 박상규 | 이성재 | 길승흠 | 박정수 | |
이동원 | 신낙균 | 한영애 | 방용석 | 김종배 | |
송현섭 | 이훈평 | 김태랑 | 이미경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