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7 13:01:11

자싱시

자싱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ee1c25> }}}
{{{#!wiki style="color: #ffff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 지급행정구
지급시 11
현급행정구
시할구 37, 현급시 20, 32, 자치현 1
항저우시
성도
杭州市
상청구
上城区
첸탕구
钱塘区
궁수구
拱墅区
시후구
西湖区
빈장구
滨江区
샤오산구
萧山区
위항구
余杭区
린핑구
临平区
푸양구
富阳区
린안구
临安区
젠더시
建德市
퉁루현
桐庐县
춘안현
淳安县
닝보시
宁波市
하이수구
海曙区
장베이구
江北区
베이룬구
北仑区
전하이구
镇海区
인저우구
鄞州区
펑화구
奉化区
위야오시
余姚市
츠시시
慈溪市
샹산현
象山县
닝하이현
宁海县
원저우시
温州市
루청구
鹿城区
룽완구
龙湾区
어우하이구
瓯海区
둥터우구
洞头区
루이안시
瑞安市
웨칭시
乐清市
룽강시
龙港市
융자현
永嘉县
핑양현
平阳县
창난현
苍南县
원청현
文成县
타이순현
泰顺县
사오싱시
绍兴市
웨청구
越城区
커차오구
柯桥区
상위구
上虞区
주지시
诸暨市
성저우시
嵊州市
신창현
新昌县
자싱시
嘉兴市
난후구
南湖区
슈저우구
秀洲区
하이닝시
海宁市
핑후시
平湖市
퉁샹시
桐乡市
자산현
嘉善县
하이옌현
海盐县
타이저우시
台州市
자오장구
椒江区
황옌구
黄岩区
루차오구
路桥区
원링시
温岭市
린하이시
临海市
위환시
玉环市
싼먼현
三门县
톈타이현
天台县
셴쥐현
仙居县
진화시
金华市
우청구
婺城区
진둥구
金东区
이우시
义乌市
융캉시
永康市
둥양시
东阳市
란시시
兰溪市
우이현
武义县
푸장현
浦江县
판안현
磐安县
후저우시
湖州市
우싱구
吴兴区
난쉰구
南浔区
더칭현
德清县
창싱현
长兴县
안지현
安吉县
취저우시
衢州市
커청구
柯城区
취장구
衢江区
장산시
江山市
창산현
常山县
카이화현
开化县
룽유현
龙游县
리수이시
丽水市
롄두구
莲都区
룽취안시
龙泉市
칭톈현
青田县
진윈현
缙云县
쑤이창현
遂昌县
쑹양현
松阳县
윈허현
云和县
칭위안현
庆元县
징닝서족자치현
景宁畲族自治县
저우산시
舟山市
딩하이구
定海区
푸퉈구
普陀区
다이산현
岱山县
성쓰현
嵊泗县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color: rgba(0, 128, 255, .2)"
색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3px; text-align: center"
}}}}}}}}}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저장성의 지급시
[ruby(嘉兴, ruby=Jiāxīng)][ruby(市, ruby=Shì)] | [ruby(嘉兴, ruby=Kaxin)](T1)[ruby(市, ruby=Zr)](T3)
자싱시 | Jiaxing City
파일:ZhejiangJiaxing.jpg
시정부 소재지 저장성 자싱시 난후구 광창루1호
浙江省嘉兴市南湖区广场路1号
지역 화둥
면적 3,915km²
하위 행정구역 2구 3현급시 3현
시간대 UTC+8
인문 환경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인구 5,584,000명(2023)
인구밀도 1,426.3명/km²
HDI 0.787 (2022)
중국공산당인민위원회 서기 천웨이(陈伟)
인민상임위원회 주임 가오링후이(高玲慧)
시장 리쥔(李军)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가흥시위원회 주석 천리중(陈利众)
GRDP 전체 $745억 4,885만 (2019)
1인당 $17,891 (2022)
상징 시화 진달래, 석류꽃
시목 녹나무
언어 보통화, 오어 타이후 언어권 자싱방언
차량번호 浙F
행정구역 약칭 禾, 嘉, 秀, 本[1]
행정구역코드 420100
지역전화번호 573
우편번호 314000
ISO 3166-2 CN-ZJ-04 }}}}}}}}}
홈페이지
파일:중국 자싱 100.jpg

파일:중국 자싱 6.jpg
시탕진의 아름다운 풍경

1. 개요2. 역사
2.1. 선진시대2.2. 육조시대2.3. 수당시대2.4. 송원시대2.5. 명청시기2.6. 현대
3. 언어4. 여행
4.1. 시탕(西塘)4.2. 우쩐쩐(乌镇镇)4.3. 난베이후(南北湖)4.4. 난후(南湖)4.5. 船文化博物馆(선문화박물관)4.6. 月河历史街区(위에허역사가구)4.7. 가흥삼탑(嘉兴三塔)4.8. 메이완지에(梅湾街)4.9. 샹자땅(湘家荡)4.10. 슈앙쿠이샹(双魁巷)4.11. 즈청(子城)4.12. 뤄판팅(落帆亭)4.13. 롄쓰땅(莲泗荡)4.14. 빠오슈팅(曝书亭)4.15. 그 외
5. 인구6. 한국과의 관계7. 경제 및 특산품
7.1. 쭝즈(粽子)7.2. 난후링(南湖菱)7.3. 항백국(杭白菊)7.4. 셰차오자차이(斜桥榨菜)7.5. 펑차오복숭아(凤桥水蜜桃)7.6. 원후쟝야(文虎酱鸭)7.7. 홍다카오지(宏达烧鸡)7.8. 란인화뿌(蓝印花布)7.9. 그 외
8. 교통
8.1. 고속도로8.2. 철도8.3. 청지꾸이따오(城际轨道)8.4. 트램8.5. 수상운행
9. 출신인물
9.1. 고대9.2. 중세9.3. 현대

[clearfix]

1. 개요

"浙西有三屯,而嘉禾為大"
"절서에 세 고을이 있는데 그중 가화가 가장크다."
당나라 때 가흥의 평가

중국 저장성의 지급시로, 별칭은 화성(禾城)이다. 약칭으로는 禾 혹은 嘉라고 쓰며, 자싱이라 부르기 전에는 유권(由拳), 화흥(禾興), 수주(秀州)라고 불렸다. 자싱은 남쪽으로 쳰탕강(钱塘江) 남서쪽 항저우, 샤오싱, 닝보와 접해있으며, 서쪽으로는 후저우, 서북으로는 쑤저우, 동북으로는 상하이와 접해으며, 동으로는 항저우 만 건너편 저우산시를 바라보는 고대때부터 교통의 요충지이다.. 이 지역을 항자후평원(杭嘉湖平原)이라고 하며 중동부에 위치해 지형이 매우 평탄하다. 수나라 양제때 부터 이용한 베이징-항저우 운하가 자싱을 대각으로 가로질러 흐르며 강, 항구, 호수로 빽빽하게 덮여 있는 것이 특징이다.

자싱의 대학교인 가흥남호학원을 중심으로 보통 왼쪽 슈후(秀湖)를 중심으로 부촌이 형성되었으나, 2000년대 이후에는 난후(南湖)를 중심으로 빠바이빤(八佰伴)백화점, 완커광장(万科广场), 난후톈디(南湖天地)등 많은 상권이 우후죽순으로 발전하였다.

자싱시 내에 위치한 관광지로는 자산현(嘉善县)에 위치한 시탕쩐(西塘镇)과 통샹시(桐乡市)에 위치한 우쩐(乌镇)이 중국5A급여유경구로 유명하다. 시내에는 역시 5A급 여유경구로 난후(西湖)를 중심으로 자싱 시정부, 시경기장, 전람회장이 있어 한 도시에 5A급이 3곳이 있는것은 매우 드문만큼 역사와 문화가 발달했다고 할 수 있다. 난후 북쪽으로 당나라 때부터 있었던 관아인 즈청(子城)이 잘 복원돼있다. 서쪽으로는 또한 악비를 모시는 악왕묘가 있고, 도심 서남쪽 10km 부근에 구석기 마자방(马家浜)유적지가 있다.

제1회 공산당 회의가 이루어졌던 배가 바로 난후에 있고, 현재 중국 정부의 뿌리도시로 여겨지고 있기 때문에 중앙정부로부터의 많은 투자가 들어왔었다. 그 자금으로 가흥을 감싸는 고가도로가 지어졌다. 이전에는 복잡한 상하이, 항저우, 쑤저우를 떠나 온 부자들이 별장을 짓고 사는 경우가 많았으나, 현재는 자싱 시내 동쪽에 있는 중환동루(中环东路) 동쪽으로 커지청 지역과 시내 남쪽 창슈이루고가(长水路高架) 남쪽부터 자싱난역(嘉兴南站) 기차역까지 부동산 회사들의 대대적인 투자와 건설이 이루어지고 있고, 이미 건설이 진행된 아파트들은 이미 다 완판되었다. 그러나 현재 중국의 집값이 하향세이며, 가흥 외지역 사람들이 부동산을 갖고 있는 경우 많아 실제 입주율이 어떨지는 아직 미지수이다.

2. 역사

가흥은 7,00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중국 남부 문명의 발상지 중 하나이다. 태호문화지구(太湖文化地区)를 중심으로 한 문명의 발생지 중 하나인 마자방(马家浜)문화의 발상지이다. 이곳은 중국의 모든 왕조의 식량창고 역할을 하여 '天下粮仓(천하 곡물창고)'로 불렸다.

가흥1대성(一代城)이 지어졌을 때부터 계산하면 3,150여년 정도 되었다.

기록에 따르면 다양한 역사적 시기에 가흥은 서로 다른 영토로 분류되고 서로 다른 이름을 갖게 되었다.

2.1. 선진시대

춘추시대에는 이곳을 장(长水) 또는 추리(槜李)로 불리우며 오(吳), 월(趙) 두 나라가 이곳에서 수많은 전쟁을 벌였다. 전국시대에는 초(楚) 영토에 포함되었다.

진나라가 6국을 통일하고, 시황제는 강동은 천자의 기운이 있다고 여겨, 죄수들로 하여금 불결한 땅을 파게 하고 그 오명을 입히고자 수권현(囚拳县)을 설치하였고, 나중에 유권현(由拳县)으로 이름이 굳어졌다. 그리고 주천현(周泉縣)과 해염(海鹽縣)을 설치하여 회계군(會稽郡)에 속하게 하였다.

2.2. 육조시대

한나라 시기에는 진나라의 명칭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삼국시대 오나라가 들어선 이후에는 유권현(由拳縣) 남쪽과 해염현(海鹽縣) 서쪽을 나누어 염관현(鹽官縣)을 설치하였다. 오나라 황룡 3년(231년), 황제 손권은 "유권현에 야생가 스스로 자랐다(由拳野稻自生)"고 하여 길조로 여겨 그 땅의 이름을 유권에서 화흥(禾興)으로 고쳤고, 적오 5년(242년) 다 가흥(嘉興)으로 고쳤다.

서진(西晉), 동진(東晉), 남북조 시기에는 가흥이라는 명칭을 그대로 답습하였으며, 오군(吳郡)에 속하게 했다. 이때 가흥의 농업이 매우 발전하여 남조의 양나라 심약(沈約)이 송서(宋書)에 당시의 상황을 "一岁或稔则数郡忘饥"[2] 라고 기록하였다.

2.3. 수당시대

수나라 양제 때는 항저우에서 가흥을 거쳐 진강(鎮江)까지 이어지는 대운하를 파서 강남하(江南河)라고 명명하고 가흥에 관개시설과 교통의 혜택을 가져왔다.

당나라 현종 천보(天寶) 10년(751년)는 가흥현 동쪽 경계인 해염(海鹽)과 곤산(昆山)등을 분할하여 화정현(華亭縣)을 설치하였다.
당대에 27곳을 둔전하였는데, "절강 서부 3개 고을 중 가흥이 가장 크다(浙西三屯,嘉禾为大)"고 하여 중국 남동부의 가장 중요한 곡물 생산지가 되었다.또한 "가흥이 풍작이면, 강회[3]가 풍족해지고,가흥이 흉년이면, 강회가 부족해진다.(嘉禾一穰,江淮為之康;嘉禾一歉,江淮為之儉)고 하였다. 가흥은 중국 모든 왕조의 식량 공급원이 되었고 '천하의 양식창고(天下糧倉)'로 알려졌으며, 이로 인해 역대 조정에서는 강남과 가흥에 더욱 많은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오대십국시대에 오월국(吳越國)은 먼저 가흥의 북쪽 경계 오현(吳縣)의 남쪽을 분할하여 오강현(吳江縣)을 설치하고 소주(蘇州)의 완충지 역할을 하게했다. 후에 가흥을 해염(海鹽), 화정(華亭) 세 현을 묶어 개원부(開元府)를 설치하였다. 이때 가흥 역사상 처음 주부급(州府級) 관청이 설치되었다.

파일:자싱 중국 7.jpg
난후 북안에 남아있는 당나라 대의 옛 성벽인 즈청(嘉兴子城, 가흥자성)

2.4. 송원시대

북송 때는 이곳을 수주(秀州)라 불렀으나 가화군(嘉禾郡)[4]으로 개칭하였고, 남송 영종 청원 원년(1195년)에 가화부(嘉禾府)으로 승격되었다가 나중에 가흥군(嘉興郡)으로 개칭되었다. 송원시기 가흥의 경제는 비교적 발전하여 "백공의 기술이 소주 항주 등과 견줄만하고(百工技藝與蘇杭等)", "인구가 번성 재화가 풍부하여 절서(浙西)의 으뜸이다(生齒蕃而貨財阜,為浙西最)"라고 기록되었다.
남송 효종(孝宗)이 가흥의 낙반정(落帆亭)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남송의 유도(留都)[5]가 되었다. 송사 효종기(宋史·孝宗紀)에 건염원년 10월 무인일 임금이 수주 삼청갑의 관사에서 태어났다(建炎元年十月戊寅,生帝於秀州杉青閘之官舍)고 기록되어있다.

원나라 세조 쿠빌라이칸 지원(至元) 13년(1276) 가흥군을 가흥부안무사(嘉興府安撫司)로 바꾸고 나중에 가흥현(嘉興縣), 해염주(海鹽州), 숭덕주(崇德州)를 관할하는 가흥로총관부(嘉興路總管府)로 승격시킨다. 이 기간 동안 화정현은 화정부(華亭府)로 승격된다. 이후 송강부(松江府)로 개칭되고, 강절행성(江浙行省)에 속하게 된다.

2.5. 명청시기

명나라 선덕제 4년(1429)에 가흥현을 쪼개 서북쪽을 수수현(秀水縣), 동북 변방을 가산현(嘉善縣)으로, 해염현(海鹽縣)을 나눠 평호현(平湖縣)을 세웠으며, 숭덕현(崇德縣)을 나눠 동향현(桐鄉縣)으로 설치하고, 가흥부 내 7현을 두어 1부 7현이라 하였다. 가흥부는 지리적 중요성으로 인해 명나라 때 중서성(中書省)의 직할 관할하에 있었다가 나중에 절강성 소속으로 바뀌었다. 이 현과 군 제도는 이후 400~500년 동안 큰 변화를 겪지 않고 유지되었다. 당시 농업과 수공업의 발전을 바탕으로 상품경제가 점점 번영하게 되었고, 면화와 비단은 남북으로 판매되었으며, 해외로도 팔려나갔다. 당시 가흥의 왕강경진(王江涇鎮)은 옷과 이불 천하(衣被天下)라는 수식어가 붙었고, 가선(嘉善)에서는 "거두어도 끝이 없는 서당(西塘)의 직물(收不完的西塘纱)로 널리 알려졌으며, 동향(桐鄉)의 복원진(濮院鎮)의 비단은 "하루 만필 생산(日產萬匹)"이라는 수식어가 붙었다.
홍치제때 집필된 가흥부지(嘉兴府志)에 보면 "가흥은 절서의 대부[6]이다.(嘉興為浙西大府)", “강동 으뜸 도시이다(江東一都會也)”라고 기록돼있다.

명말청초, 순치제 2년 음력 6월 26일(1645년 8월 6일)에 가흥의 군민 청나라 변발을 요구하는 체발령(剃髮令)을 받아들이기를 거부하여 이곳을 공격하였다. 성안에 진입한 청군은 전대미문의 학살을 진행하였고, 이전의 번영을 되찾지 못했다. 조사에 따르면 그 해에만 가흥에서는 50만 명이 학살당했고, 가흥의 사회 발전ㆍ경제ㆍ문화 교류는 급락하는 계기가 되었다.

청나라 중기에는 항저우만 해안을 따라 방조제가 여러 차례 건설되었으며, 가흥의 사회적 경제가 점차 개선되고 마을은 번영을 되찾았다.

파일:중국 가흥 2.jpg
강희제 강남(중국) 순행 때마다 찾았다고 전해지는 연우루(烟雨楼)

2.6. 현대

1911년 11월 7일, 1911년 신해혁명당(辛亥革命黨) 사람들 가흥을 점령하고 가흥군정분부(嘉興軍政分府)를 세웠다.
중화민국 초기에 군정분부를 폐지하고 가흥(嘉興) 수수(秀水) 두 현을 합병하여 가화현(嘉禾縣)으로 명명하였다. 이후 후난성(湖南省)의 가화현과 이름이 같다고 하여 가흥현(嘉興縣)으로 개칭하였다.

중화민국 11년(1921년) 8월 3일, 중국공산당 제1차 전국대표대회의 의제가 가흥(嘉興) 난후(南湖)에 떠있는 훙촨(红船)이라는 작은 배에서 완성되어 중국공산당 개폐막, 즉 창립의 의미가 담겨있다. 이후 난후는 공산당의 성지라고 불리게 되었고, 현재 난후 옆에는 난후혁명기념관(南湖革命纪念馆)이 들어서 있다.

1937년 11월 5일부터 1945년 8월 15일까지 일본은 8년 가흥을 군사점령하고 식민통치를 했다.

1949년 5월 7일 국민정부가 쫓겨나면서 자싱시와 자싱현이 분리되었는데, 모두 후저우(湖州)에 주재하는 가흥전원공서(嘉興專員公署)에 예속되어 있었는데, 짧은 혼란기 동안 병합과 분리가 반복되었다.

1983년 8월, 자싱지구 행정공서(嘉興地區行政公署)를 폐지하고 자싱시와 후저우시를 분리하여 34년간의 '자싱, 후저우 공동 통치 시대(嘉湖共治时代)를 마쳤다. 그리고 자싱시에는 시내 구, 교외 구를 설치하고, 자산현(嘉善縣), 핑후현(平湖縣), 퉁샹현(桐鄕縣), 하이닝현(海寧縣), 하이옌현(海鹽縣)을 관할하게 했다. 이 중 하이닝현, 핑후현, 퉁샹현은 현재 자싱시 내 현급시(市)로 승격되었다.

1983년 9월 20일, 가흥시 도시지역에 성구인민정부(城区人民政府)가 설립되었다. 같은 날, 가흥시 농촌 지역에 교구인민정부(郊区人民政府)[7]가 설립된다.

1986년 11월, 하이닝(海寧) 현에서 시로 승격
1991년 6월, 핑후(平湖)현에서 시로 승격
1993년 5월, 퉁샹(桐乡)현에서 시로 승격
1993년 11월, 성구(城区)를 슈청구(秀城区)로 개명
1999년 6월 21일, 교구(郊区)를 슈저우구(秀洲区)로 개명
2005년 5월 25일, 슈청구(秀城区)를 난후구(南湖区)로 개명

2011년 1월 24일, 가흥시는 중국국가급 역사문화명성(中国国家级历史文化名城)에 선정되었다.
2011년 11월 28일에는 8년간 노력한 끝에 중국전국문명명성(中国全国文明名城)에 선정될 수 있었다.

파일:嘉兴南湖红船2021_(1).jpg
중국공산당 제1차 전국대표회의가 열린 배인 훙촨(红船). 현재는 난후혁명기념관(南湖革命纪念馆)으로 개조한 상태이다.[8]

3. 언어

오어(吳語), 즉 오(吳)방언을 사용하는 지역이다. 가흥은 대표적인 오근월각(吴根越角)[9] 지역이다. 자싱 지역의 오 방언의 특징으로는 쑤저우(苏州) 방언의 부드러움, 상하이 방언의 댜(爹)음, 닝보(宁波)방언의 딱딱함이 어우러져 그 특색이 선명하다. 전형적인 북부 오어로 주변으로는 후저우(湖州),쑤저우(苏州)、샤오싱(绍兴),항저우(杭州) 등 지역의 방언과 매우 밀접하여 기본적으로 방언이 통한다.

가흥 지역은 현재 상하이의 송장(松江)지역과 붙어있기 때문에 자싱의 오방언과 상하이 오방언이 발음, 억양, 문법 등에서 가장 가깝다고 한다. 실제로 가장 원시적인 형태의 상하이 방언은 오늘날의 가흥 방언과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가흥 사람들은 다른 도시에 갈 때 상하이 방언으로 오해받는 경우가 많다.

중국 표준어를 보급 이후로 자싱에서는 오 방언이 점차 감소하고 있다. 많은 자싱 사람들은 자신이 말하는 가흥 방언이 오 방언이라는 사실조차 모르는 상황이다. 오어가 주류 미디어 무대에서 밀렸났기 때문에 주변 상하이와 쑤저우의 어린이들처럼 가흥의 많은 어린이들은 어린 시절부터 TV와 학교에서 표준중국어만을 접하고 있다. 또한 많은 부모들이 의도적으로 자녀에게 오방언을 가르치지 않기 때문에 많은 자싱의 어린이들이 오어를 배울 수 있는 기회는 더더욱 적어지고있다. 가흥의 상당수 어린이들에게는 “姆妈(음마)[10], 吾奴(아라)[11], 上昼下昼(솬쥬하쥬)[12], 氽油条(텐유듀)[13], 死蟹一只(시하이쯔)[14] 등과 같이 간단한 말조차 알아들을 수 없는, 더 이상 모국어가 아니고 조부모만이 말할 수 있는 방언으로 시대가 바뀌었다. 자싱의 노인들은 손주들이 오어를 구사하지 못하여 조부모와 손자 사이의 정서적 의사소통에 장애가 있어 불편을 토로하기도 한다.

오어 단절 문제는 서로 다른 의견을 가진 많은 인사들에게 큰 우려를 불러일으켰다. 상하이, 쑤저우, 항저우 등 기타 지역에서 여러 오어 애호 인사들이 앞다투어 "오어 보호", "아이들에게 오어 사용 장려 및 가르치기", "강남 문화의 뿌리 보존", "문화 다양성 존중"을 촉구하고 우어를 장려하고 보호하기 위한 활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해 왔다. 가흥에는 오어를 보호하고 연구하는 소규모 그룹도 있다. 가흥일보 등 관영 언론은 오어의 생존 위기에 주목하기 시작했고 때로는 긍정적인 보도도 했다.

4. 여행

4.1. 시탕(西塘)

자산현(嘉善县)에 위치한 시탕은 1000여년 역사를 간직한 중국5A급여유경구 수향마을 고진(古鎮)이다. 고대에는 서당(胥塘), 사당(斜塘),평천(平川)으로 불렸으며, 자싱 시내에서 동북쪽으로 49km 약 50분 거리에 위치해있다. 면적은 1km²이며, 춘추전국시대 오(吳)와 월(越)의 경계였기 때문에 '오근월교(吴根越角)', '월각인가(越角人家)'라고도 불렸다. 2019년에는 중국 100대 문화 마을(中国文化百强镇)로 선정되었다.

4.2. 우쩐쩐(乌镇镇)

저장성 퉁샹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장강 남쪽의 유명한 고대 마을 중 하나이다. 자싱 시내에서 서쪽으로 33km 약 1시간 거리에 위치해있다. 마을의 전체 면적은 71.19km², 내부 성시 면적은 2.5km², 총 인구는 60,000여 명, 마을 내 상주 인구는 12,000여 명이다.
면적이 넓어 하루만에 다 보기 어렵고, 동책(東柵)과 서책(西柵)이 나눠져있어 입장료 차이가 있다.
중국5A급여유경구중 하나이며 전국 20대 황금연휴 예측 명승지 중 하나이다. 시탕과 같이 2019년에는 중국 100대 문화 마을(中国文化百强镇)로 선정되었다.

4.3. 난베이후(南北湖)

정식 명칭은 난베이후 풍경명승구(南北湖风景名胜区)이며 중국4A급여유구이다. 하이옌현(海盐县)에 위치했으며 산, 바다, 호수가 하나로 통합된 명승지이다. 자싱 시내에서 남쪽으로 55km 1시간거리에 위치해있다. 저장성에서 최초로 허가한 성급 명승지 중 하나이자 저장성 10대 아름다운 휴양지 중 하나이다.

4.4. 난후(南湖)

자싱 시내인 난후구(南湖区)에 위치한 중국5A급여유경구 호수이다. 원래 명칭은 원양호(鴛鴦湖)이고 줄여서 원호(鴛湖)라고 불렸었다. 수역 면적은 약 416,000㎡이고 수심은 약 2~5m로 난징 현무호(玄武湖), 항저우 서호(西湖)와 함께 장강 남부 3대 호수 중 하나로 꼽힌다. 호수 중앙의 섬에는 건륭제가 남순때 찾아 시를 지었던 연우루(煙雨樓)가 있으며, 호수를 조망하기 좋은 장소이다. 밤에는 야경이 멋지며 산책하기 좋다. 서쪽으로는 메이완지에(梅灣街)가 있으며, 서남쪽으로는 서남호(西南湖)가 있다.

1921년 8월 2일, 중국공산당 제1차 전국대표대회는 난후 위의 작은 배 에서 회의의 의제를 완성하고 중국공산당의 창건을 선언했다.그 이후로 중국 공산당은 난후를 중국 혁명의 발상지로 간주해 왔다.

4.5. 船文化博物馆(선문화박물관)

선문화박물관은 자싱 시내인 난후구(南湖区)에 위치한 선박 박물관이다. 가흥 조선소 옛터에 자싱시항운관리국(嘉興市航運管理局)이 건립하였으며 2003년 10월 26일에 정식으로 완공되어 개관한 중국 최초의 선박 박물관이다. 면적은 1,800m²이다.

4.6. 月河历史街区(위에허역사가구)

위에허(月河)는 경항대운하(京杭大運河)의 지류로 '달처럼 휘어져 도시를 감싸고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곳의 작은 강줄기, 아치형 다리, 좁은 골목, 오래된 건물 등 고대 수상 마을의 농후한 모습을 그대로 보여준다. 번화하면서도 낮에는 소박한 상업 거리, 강 위에 놓인 고풍스러운 다리, 분주한 모습이 옛 시절의 활기 넘치는 풍경을 재현하는 듯하고, 밤에는 강변의 고대 가옥에 걸려있는 붉은 등불이 켜져 야경이 아름답다. 입장료는 없으며 내부에는 먹거리와 분위기 좋은 술집들이 있고, 꽃시장이 즐비해있으며, 강아지, 고양이, 거북이, 금붕어, 토끼, 귀뚜라미 등 수많은 동물들을 파는 곳이 있다.

4.7. 가흥삼탑(嘉兴三塔)

경항대운하(京杭大運河) 연안에 세개의 탑이 세워져있다. 당나라 때 세워졌으며, '가화지(嘉禾志)'라는 책에 보면 "여기에는 백룡담이 있다. 물이 깊고 물살이 빨라서 배를 타고 건너면 많은 사람이 익사한다.(此處有白龍潭。水深流急,行舟過此多沉溺。)" 그래서 사람들은 "깊은 못에서 백룡이 파도를 일으키고 있어서 흙을 옮겨 연못을 채우고 3개의 탑을 세워 다스리게 했다(潭中有白龍興風作浪,於是運土填潭,建三塔以鎮之。)"고 추측했다.

삼탑은 광서 2년(1876)에 중건되었다. 삼탑 뒤에는 차선사(茶禪寺)라는 절이 있었는데, 당나라 때 이름은 용연사(龍淵寺)였지만 건륭제가 강남을 순시할적에 와서 차를 마시고 시를 지었고, 편액에 차선사(茶禪寺)라는 글귀를 새겨 하사했다. 그 이후 차선의 노을(茶禅夕照)은 가화팔경(嘉禾八景) 중 하나로 꼽혔다.

세 개의 탑은 모두 9층 벽돌탑이며 가운데 탑이 조금 더 높다. 약 15m 길이의 탑 내부에는 사다리가 없으며, 각 층의 벽감(壁龕)에는 흰색, 검정색, 빨간색으로 장식된 철제 부처상이 새겨져 있다.

명나라 말기 화가 항성모(項聖謨)가 '삼탑도(三塔图)'를 그렸으며, 현재 상하이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청나라 도광 4년 옹소해(翁小海)가 그린 '삼탑도(三塔图)'는 현재 자싱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1926년 미국에서 발행된 내셔널 지오그래픽 잡지에 세 개의 탑 사진이 실렸다.

1930년 일본은 '세계지리풍속대계(世界地理風俗大系)' 제3권을 펴냈고, 삼탑 사진이 대운하의 상징 중 하나로 등장했다.

중국의 근대 화가 펑즈카이(丰子恺)도 삼탑을 그렸는데, 그림의 이름은 자싱셰징(嘉兴写景)이다. 그의 그림에서 가운데 탑에서 머리 장식을 그리지 않아 당시 가운데 탑의 장식이 훼손되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 현재는 탑의 머리 장식은 복원되었다.

4.8. 메이완지에(梅湾街)

메이완지에(梅湾街)는 난후(南湖) 서쪽에 붙어있다. 역사적으로 이곳은 원래 쌀 시장과 실크 시장이 모이는 곳이었다. 동서 길이가 300m, 남북 폭이 4.6m이며, 고대에는 매화나무가 많이 자라고 대운하 강굽이에 인접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거리에는 김구선생피난처가 있고, 번역가이자 시인인 주성하오(朱生豪) 생가, 과학자이자 물 보전 전문가 왕후쩐(汪胡桢)의 생가, 미곡상의 저택이었던 쉬이구탕(徐诒谷堂) 등이 자리잡고 있다. 현재의 상황은 레저, 문화, 오락, 상업이 통합된 종합상업지구로 구축되어 있다.

4.9. 샹자땅(湘家荡)

샹자땅(湘家荡)은 난후구(南湖区) 치싱진(七星镇)에 위치한 호수의 이름이며 그 일대 땅을 일컫는다. 일찍이 명나라와 청나라 초기에 호수물이 맑고 농산물이 풍부한 명승지였다. 가흥시 동부 교외에 위치해 있으며 도시 지역에서 7km 떨어져 있다. 1997년 12월 26일, 저장성 인민 정부는 130헥타르의 호수를 포함하여 계획 면적 715헥타르에 달하는 샹자당 관광 휴양지 설립을 승인했다. 내부 삼림공원(森林公园), 정암사(精严寺) 등 명소가 대중에게 개방되어있다.

4.10. 슈앙쿠이샹(双魁巷)

자싱 구시가지 외곽 북동쪽 대운하 기슭에 있는 거리이다. 난후에서 북쪽으로 걸어서 10분거리이며, 1917년 샤오싱(绍兴) 출신인 쑹촨지(宋传箕)가 건립하였다. 원래 매춘업소를 열 계획이었으나 어떤 이유로 실패하고 주거용 건물로 바꾸었다.

건물 단지는 약 1,200㎡의 면적을 차지하며 남쪽 건물, ​​북쪽 건물, ​​동쪽 건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작고 깔끔한 전통적인 골목길이다. 북루(北樓)와 남루(南樓) 사이의 골목길은 길이 50m, 폭 2.5m이며 돌층계로 되어 있으며, 동루(東樓)를 통과하는 통로는 나루터에 도달한다. 2010년 자싱시 정부가 주민들을 이주시키고 개조하여 오랫동안 비어 있던 곳이 되었다.

4.11. 즈청(子城)

즈청(子城)은 고을 내에 있는 내성(內城)을 말한다. 당, 송대에는 자성(子成)이 대부분 지방 관청이 있는 곳에 있었고,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그러나 명청 시대에는 성벽만 수리하여 사용하였다. '자치통감(资治通鉴)' 당선종 원화14년 "자성이 뚫리는 지경에 이르렀지만 아성으로 지켰다.(比至,子城已洞开,惟牙城拒守)"는 구절이 있는데, 원나라 호삼성(胡三省)이 "무릇 큰성은 나성이라 하고, 작은 성은 자성이라한다. 또한 절도사가 거주하는 제 3중성이 있는데 이를 아성이라한다."[15]고 주석을 달아놨다.

성문 앞 거리에는 잡상인들이 즐비해있고, 성문 내부에 관아 터가 보존되어있다. 성 안에도 물건을 팔고 각종 이벤트가 행해진다. 성벽은 성문 변쪽만 남아 복원 되어있고 나머지는 무너졌다.

4.12. 뤄판팅(落帆亭)

뤄판팅(落帆亭)은 경항대운하를 통하는 갑문인 삼청갑(杉青閘) 옆에있던 정원이다. 위에허(月河)와 샹자땅(湘家荡) 중간쯤에 위치하고 있다. 뤄판팅(落帆亭)은 원래 양정(涼亭)[16]이었으며, 이름의 유래는 선박이 갑문을 지날때 돛[帆]을 내려[落] 그 이름이 붙었고, 후에 정원으로 확장되었다.

처음 건축된 연도는 알 수 없으며, 송나라 신종 황제 치세인 희녕(1068) 초기에 여온경(呂溫卿)이 재건했고, 청나라 광서 6년(1880)에 다시 재건되었다. 그 후 주류회사 소유가 되었으며 1921년에 개조되어 가흥의 명소가 되었다. 문화대혁명 당시 뤄판팅은 파괴되었고 석가산(石假山)[17] 태백정(太白亭) 등 유적만 남았다가 1988년에 재건되었다.

가흥의 옛지명인 화흥(禾興)은 정원 내 가화돈(嘉禾墩)이라는 돈대가 있에서 유래하였다. 정자의 맞은편에는 전해내려오는 전한시대 관료 주매신(朱買臣)의 처 최씨(崔氏)가 묻힌 오래된 부끄러운 무덤[羞墓]이 있다.[18]

1981년에 뤄판팅(落帆亭)은 자싱시 문화재 보호 단위(嘉兴市文物保护单位)로 지정되었으며, 2011년에는 삼청갑(杉青閘)의 하위 항목으로 절강성 문화재 보호 단위(浙江省文物保护单位)로 지정되었다.

4.13. 롄쓰땅(莲泗荡)

자싱 시내 북쪽 슈저우구(秀洲区) 왕팅징진(王汀泾镇)에 위치한 3A급 호수이다. 이곳은 고대 타이후(太湖)에서 흘러나간 물줄기가 만든 곳이다. 롄쓰땅의 수역은 4,000 에이커가 넘고 물고기와 새우가 풍부하다. 명나라때 호수 옆에 유왕묘(刘王庙)가 세워졌는데, 원나라때 강회(江淮)지역을 다스렸던 관리 유승충(劉承忠)[19] 을 기리고 있다.

청나라 옹정 2년(1724년)에 전국에 유승충을 위해 제사를 지내라는 명령이 내려졌고, 동치년간에 유승충에게 '보우상천왕(普佑上天王)'이라는 칭호를 내려 유왕묘는 점점 더 번성하게 되었다. 청나라 말~ 민국 초 시기에 유승충을 모시느는 종교단체가 상하이의 신공문(新公門), 노공문(老公門), 강소절강지역 일대의 팔선사(八仙社) 등 각지에서 만들어졌다. 이 단체의 구성원들은 대부분 배를 타는 어민들인데, 매년 청명절과 음력 8월 4일[20]에 유왕묘에서 이벤트가 개최하는데 이를 왕촨후이(网船会)라고 한다. 당시 이 기간 동안 자싱의 도시와 농촌 전역에서 수만 명의 사람들이 참가하였다. 하지만 항일전쟁 이후로 점차 쇠퇴하였고,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사찰은 버려졌다. 그러나 민간에서는 잊지않고 유승충을 기려 현재 왕촨후이(网船会)는 국가민속류비물질문화유산(国家民俗类非物质文化遗产)으로 등록되어있다.

1986년 6월, 유왕의 원래 자리에 공원, 정자 회랑 등을 짓고 유승충기념관(刘承忠纪念馆)을 건설하였다. 1998년에는 43m짜리 유공탑(刘公塔)을 세웠다.

4.14. 빠오슈팅(曝书亭)

자싱 시내에서 남서쪽 슈저우구(秀洲区) 왕뎬진(王店镇)에 위치한 청나라 초기 학자 주이존(朱彝尊)의 생가이자 정원이다. 면적은 6,500m²에 달하며 정원의 원래 이름은 죽택(竹垞)[21]이었다. 후에 주이존이 말년에 저작한 사집(詞集)인 '폭서전집(曝書亭集)[22]'이 유명해지면서 후대 사람들이 이 정원을 폭서정이라고 불렀다. 원래 주택은 남택(南宅)과 북택(北宅)이 있었으나 현재는 남택만 존재하며 성급보호단위(省级保护单位)로 등록되어있다.

이 정원은 청나라 강희 35년(1696)에 조성되어 30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지고 있다. 여러 차례 전쟁과 화재로 소실되었으며, 총 11차례의 수리를 거쳤다. 현재 보존되어 있는 정원 배치는 청나라 가경 원년(1796)에 절강성 학자 완원(阮元)이 보수한 것이다. 정원 내에는 폭서정(曝書亭), 수헌(水軒), 하지(荷池), 곡교(曲橋), 오로헌(娛老軒), 잠채당(潛採堂)、육봉정(六峰亭) 등이 있는데 그중 폭서정이 가장 유명하다. 정원의 문은 북쪽을 향하고 있고 문 안으로 들어가면 왼편에 남향으로 오로헌이 자리하고 있으며 3칸 짜리 대청이 이어져있다.

1963년 개축 당시 주씨사당에 있던 주이존의 석각상 옮겨져 벽에 새겨졌다. 강희제가 하사한 '연경박물(研經博物)'이라 쓰인 현판도 소실되었으나 누군가 다시써서 본당에 걸어두었다. 실내에는 주이존의 친필 족자가 걸려있으며, 사용했던 벼루, 그리고 당시 폭서정의 전경을 묘사한 그림이 있다.

정원 중앙에는 연못을 통과하는 굴곡진 돌다리가 남쪽까지 닿있다. 정자 북면 양쪽 청색 기둥에는 두보의 시구가 새겨진 대련(對聯)[23]이 걸려있다. 원래 시인 왕읍(汪揖)이 써놨다가, 나중에 중건할때 완원이 모사하였다. 기둥에 걸려있는 시구는 다음과 같다.
"會須上番看成竹[24],何處老翁來賦詩[25]"
"저 새로 나오는 죽순을 밟고서 대나무를 감상하는 사람들, 어디에서 온 노옹이 시를 짓는 가"
대련에 새겨진 시구절

또한 돌기둥에는 완원이 폭서정을 재건할 때 주이존과 저작한 백자령(百字令)이 새겨져있으며, 가흥의 지부(知府)[26]였던 만주족 시인 이탕안(伊湯安)이 쓴 시도 새겨져있다. 정자의 동쪽은 석가산이고 육봉정이 그위에 있다. 문화대혁명 전에는 서예가 장종샹(张宗祥)이 쓴 편액이 걸려있었다. 정원의 소박하고 아담한 스타일, 그리고 조밀한 구조 배치는 정원 건축 전문가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4.15. 그 외

고대 수향마을인 신청고진(新塍古镇)이 있다.

5. 인구

2020년 제7차 전국 인구 조사(第七次全国人口普查)에 따르면 자싱의 상주 인구는 5,400,868명이다. 2010년 6차 인구조사 때의 4,501,657명과 비교하면 10년 새 899,211명 증가해 19.98%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1.84%를 ​​기록했다.

그 중 남성인구는 2,814,061명으로 전체인구의 52.1%를 차지하며, 여성인구는 2,586,807명으로 전체인구의 47.9%를 차지한다. 0~14세 인구는 652,445명으로 전체 인구의 12.08%를 차지하며, 15~59세 인구는 3,705,861명으로 전체 인구의 68.62%를 차지한다. 60세 이상 인구 이상 인구는 1,042,562명으로 전체 인구의 19.3%를 차지하며, 그 중 65세 이상 인구는 758,584명으로 전체 인구의 14.05%를 차지한다.

도시에 거주하는 인구는 3,852,932명으로 전체 인구의 71.34%를 차지하며,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인구는 1,547,936명으로 전체 인구의 28.66%를 차지한다.

도시 상주인구 중 한족(汉族) 인구는 524만9020명으로 97.19%를 차지한다.

여러 소수민족의 인구는 151,848명으로 2.81%를 차지한다. 2010년 제6차 국세조사와 비교하면 한족 인구는 807,048명이 증가해 18.17% 증가했으나,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49% 감소했다.

6. 한국과의 관계

파일:자싱 중국 3.jpg

파일:자오싱 중국 2.jpg

자싱 시내 메이완제(梅灣街) 76호에 김구선생의 피난처(金九避難處)가 있다. 내부는 생가 겸 전시관으로 꾸며져 있다. 또한 대한민국 임시정부 인사들이 지낸 가택이 아직 보존되어있다. 그 옆에 김구 선생의 피난과 임정요인을 머물게 한 천퉁셩(陳桐蓀)의 가택이 보존되어 있다. 천퉁셩은 중화민국 간부 추푸청(褚辅成)[27]의 수양아들이었고, 당시 대한민국임시정부는 일본제국주의의 탄압을 피해 상하이에서 항저우로 옮겼다가 김구 선생에게 거액의 현상금이 걸리는 바람에 중국국민당 간부 추푸청의 고향인 가흥으로 피난한다.

1992년 한중수교 이후 한국, 중국 양국 정부와 효성그룹 등 한국 기업의 후원으로 김구 선생 피난처와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 숙소가 복원되어 있으며, 1999년엔 강원도 강릉시와 자매도시가 되었다. 그래서 강릉대학교에서 자싱난후학원으로 매년 교환학생이 온다.

스판덱스 세계 최대 생산 공장인 효성그룹 가흥공장과 한국타이어의 공장이 가흥에 위치해 있다.

7. 경제 및 특산품

수천년간 내려온 역사의 도시답게 그 특산물들이 많이 있다.

7.1. 쭝즈(粽子)

지역 특산으로는 단오절에 먹는 쭝쯔의 본고장으로 유명하며 자싱의 위에허(月河)에 가면 쭝즈 박물관이 있다. 그 제작 과정을 직접 볼 수 있다. 매년 음력 5월 5일, 가흥 주민들도 단오절을 기념하는데, 그들이 기념하는 것은 굴원이 아니라 전국시대 오나라 합려를 도와 초나라와 월나라를 굴복시킨 재상이자 가흥 2대성[28]의 건립자인 오자서이다. 오자서는 기원전 492년 음력 5월 5일 가흥 2대 성을 지었고, 공교롭게도 기원전 484년 이날 시신이 전당강(錢塘江)에 던져진 날이기도 했다. 그러므로 가흥 사람들은 오자서에 대한 깊은 감정을 가지고 있어 매년 단오절 기간에는 성대한 제사 행사가 거행된다.

7.2. 난후링(南湖菱)

우쟈오링(无角菱)이라고 불리우며 난후(南湖)지역에서 나온 우쟈오링을 난후링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마름열매, 능실, 능각이라고 불리우며 학명은 Trapa acornis이다. 북아열대 계절풍대에 있는 가흥의 온화하고 습하며 여름과 겨울 계절풍이 뚜렷이 교차하고 일조량이 충분한 지역에서 나온 특이한 식물이다. 그 모양이 둥글고 뿔이 없으며 껍질은 연두색에 끝이 둥글며 껍질이 얇고 살이 부드럽고 육즙이 풍부하고 달콤하고 아삭아삭하며 향긋한 향이 난다. 장시(江西), 후난(湖南), 절강(浙江) 그리고 일본에 분포하며 해발 200m 정도의 지역에서 자란다.

송나라 문인 범성대(範成大)는 오군지(吴郡志)에 이 난후링을 "근세에 훈뚠링이라는 것이 있는데 가장 향기롭고 달콤하다(近世又有馄饨菱者最甜香)"라고 기록했다.1959년 가흥에서 발견된 마자방문화유적(马家浜文化遗址)에서는 마른 난후링이 출토되었다. 난후링은 보통 청명절때 파종되고, 단오절 무렵에 옮겨심으며, 중추절에 시장에서 팔리게 된다.

7.3. 항백국(杭白菊)

자싱시 내 퉁샹시(桐乡市)의 특산품으로 항백국(杭白菊)이라는 꽃이 있다. 일종의 차를 우리는 용도의 국화이다. 매년 초가을에 이 꽃이 피어나는데, 이 시기는 항백국을 따서 약을 만드는 계절이다. 항백국은 햇볕이 잘 드는 환경 및 시원한 곳을 좋아하며 상대적으로 내한성이 강하여 느슨하고 비옥하고 습한 토양이나 사질토양에 적합하며 약산성 내지 약알칼리성 토양에서 자랄 수 있다.
역사적으로 "항백국과 용정차(杭白菊与龙井茶)"라는 명성을 누리고 있으며 중국 전통 유명 수출 한약재 중 "절팔미(浙八味)[29]" 중 하나로 꼽힌다.

항백국에는 이눌린, 아미노산, 플라보노이드 등 다양한 비타민 및 미량원소가 함유되어 있다는 사실이 의학 연구에서 밝혀졌다.
항백국은 간에 영양을 공급하고 시력 향상, 심장을 맑게 하고, 신장을 튼튼하게 하며, 비장과 위를 튼튼하게 하고, 목을 촉촉하게 하며, 체액 생성을 촉진 및 혈중 지질을 조절하는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차를 우려 자주 마시면 봄에는 습함 없애고, 여름에는 갈증을 해소하고, 가을에는 건조함을 해소하고, 겨울에는 체내 열을 내리는데 도움이 되는것으로 알려져있다.

7.4. 셰차오자차이(斜桥榨菜)

자싱시 내 하이닝시(海宁市) 셰차오쩐(斜桥镇)에서 나온 자차이(榨菜)라는 일종의 짱아찌 특산품이 있다. 셰차오쩐에서는 1931년 쓰촨성에서 도입된 이래로 자차이(榨菜)를 재배해 왔다. 1938년 셰차오자차이주식유한회사(斜橋榨菜股份有限公司)가 설립되었고, 이후 국영기업 하이닝채소공장(海宁蔬菜厂)이 세워졌다. 그리고 1980년대 전국적으로 유명한 "斜桥牌"라는 상표를 보유하고 있는 저장셰차오자차이 식품유한책임회사(浙江斜桥榨菜食品有限责任公司)는 국가 2급 기업인 하이닝 채소 종합 공장을 개편하여 설립한 기업법인이다. 반세기 넘게 제품을 생산하여 국내외에서 유명해졌다.

7.5. 펑차오복숭아(凤桥水蜜桃)

자싱시 난후취(南湖区)의 특산으로 전국농산품지리(全国农产品地理)에 명시돼있다. 이 복숭아는 명나라 군분보(群芬谱)와 청나라 강희 24년 가흥부지(嘉兴府志)에서도 여러번 언급된다. 난후취와 하이옌현 사이에 위치한 펑차오쩐(凤桥镇)은 항가호 평원(杭嘉湖平原)의 내륙에 위치하며, 사계절이 뚜렷해 수분과 열기가 보조를 맞추며, 온도 조건이 복숭아의 성장에 딱 알맞는 지역이다.

7.6. 원후쟝야(文虎酱鸭)

원후장이라는 소스로 만든 오리고기로 절강성 가흥 지역의 요리이다. 오리를 그들만의 방식으로 삶아 독특한 맛을 자랑하며 "빛깔은 홍갈색, 맛은 신선하고, 기름지나 질리지 않고, 바삭하지만 물렁하지 않다"는 것으로 유명하다. 전국적으로 소비자들에게 선호되고 있으며 가정, 여행, 연회용으로 많이 나오는 음식이다..

7.7. 홍다카오지(宏达烧鸡)

전국적으로 유명한 통닭회사이다. 홍다카오지의 창립자는 가흥시 시골 출신인 천홍다(陈宏达)이다. 그는 가난한 집안 환경 때문에 중학교를 졸업하고 아주 일찍부터 신발 수선 등의 사업을 시작했다. 1980년대 그는 아버지를 대신해 가흥 탕후이향(塘汇乡) 위생소의 청소부로 거리를 쓸고 화장실을 청소하는 일을 했다. 이듬해 농기구 가공을 전문으로 하는 작은 공장을 열었지만 큰 돈을 벌지 못했다. 1987년 작은 식당을 열어서 운영하였으나 식당에 닭을 사러오는 사람이 끊이지 않는 것을 보고 식당을 접고 20제곱미터 남짓한 집을 렌트하여 통닭을 전문으로 만들었다. 그러나 유명세는 가흥 탕후이향(塘汇乡)을 벗어나지 못했다. 그 이유인 즉슨 가흥에 안휘성 북부 사람이 파는 푸리지통닭(符离集烧鸡)이 이미 유명했기 때문이다. 그는 푸리지통닭가게에 잠입하여 몰래 요리법을 배워 그 맛을 익혔다. 맛을 따라잡자 천홍다는 가격 경쟁을 시작해 가흥과 주변 마을에서 저렴한 가격으로 닭고기를 사들였고 곧 확고한 입지를 다졌고, 이후 홍다카오지(宏达烧鸡) 상표등록을 한다.
1990년대 후반, 장쑤성과 저장성의 민간기업은 발전의 황금기에 접어들었다. 홍다카오지도 사업을 공격적으로 확장하여 1999년 상하이 유일의 지점을 차오양에 오픈을 시작으로 항저우까지 여러 체인점을 열었고, 가흥의 대표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2007년 11월 천홍다는 심근경색으로 세상을 떠났고, 아들이 물려받았다. 이때 가흥조리식품 시장의 경쟁은 치열해졌고, 홍다카오지는 돌파구 없이 치킨만 팔아 파산 위기에 처했다.
2018년, 홍다카오지는 마침내 자싱의 현지 물류, 백화, 각종 체인점, 상업개발을 주로 하는 롱좡룬 그룹(龙庄润集团)에 완전히 인수되었다. 홍다카오지의 모든 직원은 그대로 남아 그룹의 자회사가 되었다. 이후 홍다카오지 브랜드는 그룹의 투자를 받으며 가흥 및 주변 도시에 많은 지점을 오픈했다.

7.8. 란인화뿌(蓝印花布)

뎬란화뿌(靛蓝花布)라고도 하며 천에 푸른색 도료로 염색하는 일종의 공예품이다. 이 기법은 1300년의 역사를 갖고 있으며, 주 생산지는 자싱시 퉁샹시이다. 다른 전통적인 염색 기술과 비교하여 이 기술은 독특한 괄장(刮漿)이라는 염색 공정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남송 영종 가태년간에 제작된 구체적인 공정은 천에 약품을 바르고 파란색으로 염색한 후, 태양에 건조하고, 약품을 제거하여 누대, 인물, 꽃, 새 등의 문양을 드러냈다. 명나라 정덕제 시기 쓰여진 소주방지(苏州方志)에는 가정현(嘉定縣)과 안정진(安亭鎮)에서는 일종의 '약반포(藥斑布)'를 생산했다고 기재되어있다.

색깔을 내는데 필요한 식물인 남초(藍草)는 염색가공 발전에 큰 기여를 하였며, 동시에 교힐(絞纈)[30], 협힐(夹缬)[31], 납힐(蜡缬)[32]등 염색기술에 영향을 주었다. 송대에는 협힐의 민간 사용이 금지되어 그 기술이 쇠퇴했다. 그러자 기름종이 우산(油紙傘) 산업이 성장하면서 란인화의 핵심 원료인 동유지(桐油紙)가 등장하여 목판(木版)에 조각하던것을 지판(紙版)으로 대체할 수 있게 되었고 비용이 크게 절감되고 제판(製版) 유형이 풍부해졌다. 면직물산업의 발전은 인민들 사이에서 날염가공에 대한 거대한 수요를 창출하였다. 퉁샹시 우쩐에 가면 상시 나무 기둥 위에 염색한 직물을 말리고 있고, 가방, 의복 등의 공예품을 구입 수 있다.

7.9. 그 외

자싱은 비단의 고향으로 알려져 있고, 양모를 포함한 직물이 생산된다.

난후 지역에는 레고 공장이 위치해 있다. 국내를 포함한 아시아, 오세아니아 지역에서 판매되는 레고 제품들은 거의 이 곳에서 생산된다.

세계에서 가장 큰 가죽제품 수출지 중 한 곳이다. 기계, 화학, 전자산업도 이곳에 있다. 중국 동부의 중요한 에너지 기반 지역으로 중국 자체 내에서 지어진 첫 원자력발전소인 친산원자력발전소가 하이옌현에 위치해 있다.

8. 교통

자싱은 교통이 매우 편리하고 다양한 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있으며, 공도 등급이 높고, 도로 상태도 양호하다. 또한, 후쿤철도, 상하이-항저우 고속도로, 쑤저우-가흥 고속도로의 교차점에 있어 다른 지역으로의 교통도 매우 편리하다.
1시간 내외로 상하이 훙차오 국제공항,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 항저우 샤오산 국제공항으로 갈 수 있어 공항으로의 접근성도 좋다.[33] 맞닿아 있는 도시에 존재하는 공항만 세 곳이지만, 자싱시 슈저우구에 있는 군사공항[34]을 민군 통합공항으로 개조하는 작업을 2018년부터 하고 있으며, 2021년 개항 예정이였지만 미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2개의 활주로를 가지고 있으며, 개통이 되면 저장의 9번째 민간공항이 될 예정이다.

자싱항, 항저우항, 상하이 외고교항, 상하이 루차오항, 저우산항, 닝보항, 양산항 및 기타 대형 항구와 가깝다. 자싱 내에는 아직 지하철은 없지만, 자싱난역(嘉兴南站)과 도심을 연결하는 자싱 도시철도(嘉興軌道)[35]가 건설되었다. 또한 지하철이 생길수 있도록 지자체에서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자산현(嘉善县)에서는 쑤저우 철도 10호선, 상하이 지하철 17호선을 자산까지 연장할 것을 제안했다. 저장성 차원에서는 9호선을 자싱까지 연장할 것을 제안했고, 난후구(南湖区)와 자산현은 공동으로 상하이 17호선과 연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고속도로가 발달하지 않던 시절, 자싱은 주로 해상운송에 의존해 연간 2억 명의 승객을 수송했으나, 현재 철도는 매년 750만~800만 명의 승객이 이용하며, 도로 여객 운송은 연간 3,900만~4,200만 명의 승객이 이용한다. 자싱시의 도시 대중교통은 연간 5,900만~6,450만 명의 승객이 이용한다. 자동차 수는 170만 대(개인용은 110만 대)이며 2.8명당 자동차 1대 꼴이다

8.1. 고속도로

  • 국도: 320국도(国道)
  • 성도: 101성도(省道), 202省道
  • 고속도로: G60 후쿤고속공로(沪昆高速)[36], S11 자자수고속도로(乍嘉苏高速)[37], G92 항저우완환선고속도로(杭州湾环线高速), G1522 창타이고속도로(常台高速), G15 선하이고속공로(沈海高速), S12 션지아후고속도로(申嘉湖高速), S9 쑤타이고속도로(苏台高速), S13 롄항고속도로(练杭高速)

8.2. 철도

후쿤철도(沪昆铁路)에 자싱역, 자싱동역, 마왕탕역이 설치되어있고, 후쿤여객용 철도로는 자싱남역(嘉兴南站)으로 연결된다.
현재 쑤자용철로가 이미 건설중이며, 자싱북역(嘉兴北站), 자싱남역(嘉兴南站), 하이옌서역(海盐西站)을 잇는다.

8.3. 청지꾸이따오(城际轨道)

항저우와 하이닝 시외철도(杭海城际铁路)가 2021년 6월 개통되었다. 현재 상하이-자싱시간 철도(沪嘉城际铁路)는 자싱남역과 쑹장을 연결하기 위해 건설 중이며 가흥남역(嘉兴南站), 차오좡역(曹庄站), 가흥커지청역(嘉兴科技城站), 샹자당남역(湘家荡南), 치싱역(七星站) 등을 지날 예정이다. 또한 상하이-핑후 도시간 철도(沪嘉城际铁路), 핑후와 상하이 진산현을 연결하는 시외철도를 건설 중이다.

현재 연구 계획중인 시외철도 구간으로는 하이닝-자싱 간 철도(海嘉城际铁路)로 이 노선은 항하이시외철도(杭海城际铁路) 비윈역(碧云站)에서 시작하여 자싱남역(嘉兴南站)에서 끝날 예정이다.

하이-쑤저우-자산 도시간 시외철도는 자산역(嘉善站)에서 시작하여 상하이 훙차오기차역(上海虹桥火车站)에서 끝나며 공식적으로 공사가 시작되었다. 야오좡(姚庄), 시탕(西塘), 칭푸(青浦) 등 지역을 통과할 예정이다.

8.4. 트램

가흥 트램은 총 길이 98km, 총 7개 노선을 계획하고 있다. 프로젝트의 첫 번째 단계는 2019년 9월에 승인되었으며 총 길이 15.6km의 2개 노선이다. 1호선 시범구간(팡공로빈허로역(纺工路滨河路站)~가흥남역(嘉兴南站)은 10.6km로 2021년 6월 25일 14시에 개통되어 현재 운행중이다.

8.5. 수상운행

경항대운하(京杭大运河)
항션선(杭申线)
류핑션선(六平申线)
자자쑤선(乍嘉苏线)
후자션선(湖嘉申线)

9. 출신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분류:자싱시 출신 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1. 고대

  • 엄조(嚴助): ? ~ BC122. 전한 무제때 정치가.
  • 악가(岳珂): 1183 ~ 1243. 남송대 관리, 문인. 악비의 손자.
  • 장성(張成): ? - ?. 원대 옻칠공예 예술가.
  • 오진(吳鎮): 1280 ~ 1354. 원대 화가.

9.2. 중세

  • 항원변(項元汴): 1525 ~ 1590. 명나라 시기 화가.
  • 장리상(張履祥): 1611 ~ 1674. 명말청초 명리학자, 주자학 창도자.
  • 주이존(朱彝尊): 1629 ~ 1709. 명말청초 관리, 시인.
  • 왕개(王概): 1645 ~ 1705. 청나라 초기 화가.

9.3. 현대




[1] 4개 모두 사용되며, 이 중에서 의 사용 빈도가 제일 높다. [2] 강남은 땅이 넓고 자원이 풍부하며 수확량이 더욱 좋아서, 백성들이 열심히 일하고 자신의 몫을 잘 다한다면, 1년 또는 한 번의 수확으로 여러 도시가 굶주림을 겪지 않을 수 있다. [3] 장강과 회수 지역. 장쑤, 안후이 지역을 뜻함 [4] 추리(槜李), 유권(由拳)과 함께 가흥의 길 이름으로 남아있다. [5] 천도(遷都) 이전의 옛 도읍을 이름. [6] 조정(朝廷)의 부고(府庫), 관아 [7] 나중에 슈저우구인민정부(秀洲区人民政府)로 개칭 [8] 안에 입장은 불가하다. [9] 오월 국경이 마주하는 곳에 위치한 지역을 뜻함. 주로 자싱 시탕(西塘), 장쑤 우장(吴江)지역이 대표적이다. [10] 엄마 [11] [12] 아침저녁 [13] 중국의 아침음식 요우티아오(油条)를 튀기라는 말 [14] 비유. 죽은게 한마리는 먹을 수 없으므로 다른 방도가 없다는 뜻(没办法) [15] 凡大城谓之罗城,小城谓之子城。又有第三重城,以卫节度使居宅,谓之牙城。 [16] 비를 피하거나 휴식할 수 있도록 만든 정자.양사(凉榭)라고도 한다. [17] 정원 따위에 돌을 모아 쌓아서 조그마하게 만든 산. [18] 대략 주매신은 40세가 넘어도 가난하여 처가 견디지 못하 이혼하였는데, 나중에 한무제에 중용을 받아 회계태수가 되어 부인 최씨가 부끄러워 자살하였다는 이야기가 있다. [19] 그는 강회지역 메뚜기떼가 창궐하였을때 군대를 동원하여 메뚜기떼를 쫓아 농작물을 지켜냈다. 원나라가 멸망하자 강에 투신하여 후세에 유맹장군(劉猛將軍)이라 불렸다. [20] 유승충 탄신일 [21] 주이존의 호를 여기서 따왔다. [22] 부(賦) 1권, 금시(今詩) 22권, 사(詞) 7권, 문(文) 5권, 산곡 1을 포함하여 80권으로 되어있다. [23] 문이나 기둥에 써 붙이는 대구(對句). [24] 두보의 영춘순(詠春筍) 제 4구절의 한 부분 [25] 칠월일일제종명부수루(七月一日题终明府水楼) 두번째 시 부분 [26] 부지사(府知事). 명청시대 부(府)의 장관 [27] 1927년 저장성 정부위원 겸 민정청장으로 임명되었다. 훙커우 공원 의거 이후 김구 선생이 가흥으로 피난하도록 도왔다. 항일전쟁 당시 전국참정회(國民參政會) 참정원으로 활동하며 항일운동을 주장했다. 1946년 5월 구삼학회(九三學社)가 정식으로 창립되자 중앙이사를 맡았다. 나중에 그는 상하이법학원 원장을 역임했다. [28] 가흥 제 1대 성은 기원전 1120여년~기원전492년, 2대 성지는 기원전 492년~1645년까지 현대 남아있는 3대 성을 쌓기 전까지 사용되었다. 2대성은 3대 성의 기초가 되었다. [29] 절강의 8개 미(味)로 백술(白术), 백작(白芍), 절패모(浙贝母),원호(元胡), 현삼(玄参), 견맥동(笕麦冬), 온울금(温郁金), 그리고 항백국(杭白菊)을 일컫는다. [30] 홀치기 염색기법 [31] 무늬가 있는 판을 사용하여 염색을 하는 기법 [32] 녹인 황랍을 천의 무늬 위에 붓고 염색 후 제거하여 그 부분만 백색으로 남기는 기법 [33] 거리는 100~130km 정도이나 평야지대에 고속도로가 직선으로 뚫려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34] 자싱 난후 공항, 중국 인민해방군 동부전구 상하이기지 7여단 주둔 [35] 일종의 지상으로 다니는 전차로 생긴것이 애벌레같이 생겨서 마오마오총(毛毛虫)으로 불린다. [36] 상하이-쿤밍을 잇는 고속도로 [37] 자싱시 남동쪽 자푸항(乍浦港)에서 시작하여 핑후시와 가흥시를 거쳐 북쪽의 대강에서 장쑤성으로 진입하며 총 길이는 53.832km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