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005bac,#003e8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기본 정보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25%>
역사 ||<width=25%>
재단 ||<width=25%>
상징 ||<width=25%>
출신 인물 ||
제도 | |||
입학 | 학부 | 학사 제도 | 대학원 |
관련 기관 | ||
한진그룹 ( 대한항공) |
야구부 |
인하대학교 야구부 (Inha University) |
|
창단 | 1976년 |
지역 | 인천권 |
감독 | 정원배 |
우승 기록[1] | 9회 |
웹사이트 | 체육부 홈페이지 내 야구부 항목 |
역대 전적 | |||
대회 | 우승 | 준우승 | 4강[2] |
대통령기 | '81 | '80, '87, '95 | - |
전국대학야구선수권대회 | '82, '91, '96, '02 | '14, '15 | - |
협회장배/주말리그 왕중왕전 | - | - | - |
대학야구 춘계/하계/추계리그 | '97[3], '12[4], '15[5] | '79[6], '82[7], '89[8], '97[9] | - |
전국종합야구선수권대회 | '82 | '90 | - |
[clearfix]
1. 개요
대학 야구계에서 2000년대 중반 암울한 시기를 보냈으나 허세환[10]감독의 부임 후 팀을 조련하여 다시 우승권으로 팀을 일궈냈다.홈구장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용현동 캠퍼스에 위치했으나 수도권 전철 수인선 인하대역 역세권 캠퍼스 개발 사업으로 홈구장을 잃었고[11], 현재는 SK 와이번스 2군이 떠나면서 비게 된 송도국제도시의 송도LNG야구장을 사용한다. 훈련 시간이 줄어들었음에도 좋은 성적을 내고 있다.
2. 학번별 출신 선수
출신 선수 | |
학번 | 이름 |
75 | 이철성 |
77 | 김진우, 양승관, 인호봉, 장정기 |
78 | 김경남, 조범현 |
79 | 김상기, 송경섭, 오영일, 이광길, 이선웅 |
80 | 최계훈 |
81 | 김명성, 양후승[12], 이병억, 최상주, 허세환[13] |
82 | 김동기, 윤홍식 |
83 | 여태구 |
84 | 박상범, 정삼룡 |
85 | 강석천 |
86 | 장광호 |
87 | 김기태, 박기택, 최준호 |
88 | 구한성, 권명철, 김일혁, 이상현, 장원진 |
89 | 김성열, 김종신, 박기복[14], 성영재 |
90 | 고형욱 |
91 | 서석영, 위재영 |
92 | 김명건, 김승환, 박경호, 박주언, 서정일, 송지만, 정원배[15], 최정락 |
93 | 김도형, 김영수, 김해님, 엄태진, 이근명, 이득수, 임형길, 장동훈, 최경훈, 문현규 |
94 | 서재환[16], 송제혁, 심재윤, 이우석, 임경완, 정주용, 주영진 |
95 | 김성균, 김종환, 박철수, 이봉준, 이원석, 이종민, 장영균, 황우구 |
96 | 강상진, 박현철, 이재준, 정동관, 정영진, 한지원 |
97 | 김준희, 손문선, 안준형, 이재행, 이창은, 장성수, 장인규, 황인태 |
98 | 김경태, 김동준, 박형식[17], 백원우, 윤형국, 조장현, 조태우, 최철원 |
99 | 김선진, 박준범, 안상욱, 정재복, 최동락, 최상규, 한상준 |
00 | 김금남, 백영운, 이지민, 장호철, 정민, 조병선 |
01 | 강혁, 김동기, 김환용, 박재민, 손승현, 이동호, 이상우 |
02 | 강희윤, 심도령, 연경흠, 오선우, 이시몬, 이현승 |
03 | 국철희, 김윤권, 김정훈, 박윤식, 오준형, 이유민, 최진호 |
04 | 박민원, 박우석, 반재륭, 이기화, 진민수, 최성우 |
05 | 강성민, 김정행, 방정우, 오정복, 윤진호, 이은선, 조세범 |
06 | 김재우, 마장열, 송형민, 이동경, 이승하, 조용식 |
07 | 강진형, 김도훈, 김휘련, 박정훈, 신대철, 신민철 |
08 | 강치행, 김경열, 김종훈, 신민철, 최금강, 한희준 |
09 | 김경오, 민찬희, 유원석, 윤강민, 이천영, 정승인, 조승범 |
10 | 강백산, 박민호, 박주영, 박준태, 양원혁, 이주호, 정정환 |
11 | 김민욱, 장성호 |
12 | 강윤웅, 문성우, 이동건, 이민욱, 이성규, 이찬기, 임서준, 채상현 |
13 | 김두환, 김원준, 배광환, 서소망, 이종민 |
14 | 김진휘, 김태연, 박성모, 설재욱, 이도현, 이한솔, 정성종, 조장근 |
15 | 김시윤, 김윤호, 김재호, 안성진, 오선우, 정지원 |
16 | 김규민, 나태환, 박관진, 송승섭, 이재명 |
17 | 강진호, 김승민, 김지현, 이지섭, 조정민 |
18 | 김영훈, 김현성, 민성우, 방준혁, 신기인, 이다빈, 전영수 |
19 | 고명규, 김윤수, 박민형, 박찬희, 조준혁, 황성호 |
20 | 김서원, 박민수, 임주빈, 정창대, 정현승[18], 최준수 |
21 | 김청용, 선지승, 임준서, 전영준 |
22 | |
23 | 문교원 |
중퇴 | 박경호(79), 김동철(79), 서재응(96), 권윤민(97) |
인천 출신 중에는 양승관(전 NC 코치)[19], 김진우(전 삼미 선수), 김동기(전 현대 선수), 장원진(두산 코치), 위재영(전 SK 선수), 송지만(KIA 코치) 등이 있고 타 지역 출신 중에는 대구 출신 조범현(전 kt 감독)과 광주 출신 김기태(전 KIA 감독)[20], 이동건(KIA 불펜 포수) 등이 이 학교 출신 유명 선수였다.
현역으로는 이성규(삼성), 정현승(SSG), 오선우(KIA) 등이 있다.
3. 여담
- 인하대학교 야구부가 결승전에서 뛰던 날 인하대학교 배구부에서 단체로 응원을 왔다.
- 구한성이 전설의 타이거즈에서 술회하기를 신입생 2명이 옷장 1개를 같이 썼다고 한다.
- 김진영, 주성노 , 양승관 등 야구인들이 인하대 야구부 감독을 역임했다.
- 김경기, 정민태 모두 인하대 입학 제의를 받았으나 각각 고려대와 한양대로 진학했다.
[1]
대통령배+전국대학야구선수권+협회장배/주말리그 왕중왕전+춘계리그+추계/하계리그+전국종합야구선수권
[2]
4강 진출의 경우는 최근의 기록만 남아 있다.
[3]
추계
[4]
추계
[5]
춘계
[6]
춘계
[7]
춘계
[8]
추계
[9]
춘계
[10]
광주일고-인하대 출신,
선동열 감독과 고교 동기다. 프로 입단은 하지 않았고
광주일고 감독을 두 차례 역임하면서 팀을 전국대회 우승으로 이끌었고 많은 제자를
한국프로야구 선수로 키워냈다.
[11]
최순자 당시 총장의 독선이 문제가 됐다.
#
[12]
양승관의 동생
[13]
전 광주제일고, 인하대 야구부 감독. 현 나주광남고 감독.
[14]
전 롯데자이언츠 소속 야구선수이자 박기택의 친동생.
[15]
본교 야구부 감독
[16]
2세 위의 서재응의 형. 마이너리거 출신이다.
[17]
부천시b리틀야구단감독(소사리틀) (현재)
[18]
서건창의 사촌 동생이다.
[19]
고향팀
SK 와이번스와 계약해지된 후 2007년부터 3년간 인하대 야구부 감독을 맡았다.
[20]
공교롭게도 조범현 감독과 김기태 감독은 타이거즈 역대 감독 중 우승을 경험한 3인 중 2인이다. 남은 1인은
18년간 장기 집권하신 코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