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1 01:09:09

이태준(군인)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2A5034><tablebgcolor=#2A5034>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2A5034><tablebgcolor=#2A5034>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81818,#e5e5e5
초대
전원근
2대
정광섭
3대
이길봉
4대
고석연
5대
이태준
6대
이석형
7대
이희도
8대
문운규
9대
윤중기
10대
정해천
11대
정춘성
12대
박경철
13대
김채식
14대
강필수
15대
강민수
※ 초대~4대 : 상사, 5대~현재: 원사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대한민국 제5대 육군주임원사
이태준
Lee Taejun
파일:external/kookbang.dema.mil.kr/23605.jpg
출생 1942년
사망 2014년 6월 (향년 72세)
복무 대한민국 육군
1961년 ~ 1996년 12월
재임기간 제5대 육군주임원사
1993년 2월 ~ 1996년 12월
임관 보병 231기
최종계급 원사
최종보직 육군주임원사
주요보직 제12전차대대 주임원사
참전 베트남 전쟁
1. 개요2. 생애3. 여담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육군의 전 군인. 최종계급은 원사. 제5대 육군주임원사를 역임했으며, 무려 주임원사직만 25년 11개월 15일간 수행해온 부사관계의 입지전적인 인물이다.

2. 생애

파일:external/kookbang.dema.mil.kr/23605.jpg
2011 경기도 최고 인증서 수여식에서 주임원사를 오래한 사람으로 선정되어 김문수 경기지사에게 인증서를 받고있다.
1942년에 출생하여 1961년 대한민국 육군에 입대하였고, 임관 이후 제20기계화보병사단 소속으로 인사, 정보, 작전, 군수 등 여러 분야를 두루 거쳤다.

1965년 중사 시절 하사관 5만명 가운데 최우수 전투원으로 선정되었고 맹호부대 기갑연대 소속으로 베트남전 파병 제1진으로 참전하였다. 적과 교전 중 생긴 아군 부상병들을 위해 시간을 벌거나 직접 들쳐업어 후송하는 등의 상황이 자주 있었다고 하며 이 공로로 인헌 무공훈장을 수여받았다.

만 29세에 현재의 원사계급에 해당하는 주임상사 보직을 맡았다. 당시에는 원사계급이 없었기 때문. 젊은 나이에 주임상사가 되었기 때문에 복무하면서 소대, 중대, 대대, 사단, 군단, 야전군 등 각급 단위 부대에서 모두 근무한 경험이 있었다고 한다.

1993년 2월 5대 육군주임원사로 취임했다. 1996년 12월 이석형 원사에게 주임원사직을 이임 후 35년 6개월간의 군 생활을 마무리 짓고 전역했다. 방송사에서 전역식을 취재했는데 육군에서 근무하면서 2남 2녀를 대학교까지 졸업시킬 수 있었기에 군에 감사한다고 말했다.

전역 후에는 야전군사령부급 이상의 주임원사를 지낸 예비역들의 모임인 충정회의 회장을 역임했다.

2014년 6월에 72세로 사망하였다. 생전에 군생활 중 사용하던 물건들을 연천에 있는 자택에 전시하고 있었는데 사후에 일부는 육군 부사관학교에 기증되었고 2018년 인터넷 중고거래 사이트에 나오기도 했다고 한다.

3. 여담

  • 제20기계화보병사단 61여단 제12전차대대에서 18년 동안 근무하고 사단급 부대로 넘어갔다. 현재는 군 인사 체계상 부사관도 일정기간이 지나면 순환보직을 하기 때문에 이렇게 오래 근무하는 게 불가능하다.
  • 그가 현역 시절 전국 팔도 육군 부대에서 주임원사 임무를 수행한 기간은 총 25년 11개월 15일. 총 군 복무 기간 35년 8개월 11일 가운데 3분의 2 이상을 ‘부대의 어머니'로 살았다.
  • 과거엔 부사관이 하사관이란 명칭으로 불렸으며 장교와는 다르게 임관이 아닌 임용이라고 표시했다. 정식적인 군 간부가 아니라 사병과 통합되어 있었기에 병사도 간부도 아닌 애매한 위치였고, 병보다 복무 기간만 조금 더 길고 대우나 봉급도 눈곱만큼만 더 좋은 한직이었다. 계급장 역시 병과 같은 포제 계급장이었다. 또한 일제강점기의 잔재 중 하나인 장교들의 하사관 무시도 극심했고 여러모로 대우가 좋지 않았다.[1]물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개선되어가며 지금의 중간 간부로 자리매김하게 되었지만 여전히 어느 정도의 잔존은 남아있었고 이를 개선하고자 계급장을 장교와 같은 금속제 휘장으로, 임용이란 표현을 임관으로, 하사관이란 명칭을 부사관으로 바꾸는데 크게 일조한 사람이 바로 이태준 원사다. 물론 이러한 명칭 표현들만 바꾼다고 바로 바뀌지는 않지만 변화를 기피하고 굉장히 보수적인 군대라는 집단에서는 이러한 개선조차도 상당히 어려운 일이다.


[1] 자세한 내용은 부사관 문서의 과거 내용 문단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