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3 14:11:02

오호츠크해 기단

1. 개요2. 특징
2.1. 푄 현상2.2. 장마2.3. 오호츠크해 기단의 세력 여부
3. 관련 문서

1. 개요

러시아 사할린 섬 캄차카 반도 사이에 있는 오호츠크 해에서 발생하는 차고 습한 기단이다. 대한민국 사계절 날씨에 영향을 끼치는 네 기단[1] 중 하나이다.

2. 특징

여름철 북반구에 내리쬐는 햇빛이 강해지면 오호츠크해 주변의 육지가 데워지고 한류가 흐르는 오호츠크해와의 온도차가 커진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아진 주변 육지에서는 상승기류가 발달해 저기압이, 한류가 흘러 온도가 낮은 오호츠크해 해상에는 하강기류가 발달해 고기압이 생긴다. 이렇게 생성된 고기압이 오호츠크해 고기압이며 한류가 흐르는 해상에서 발달하기 때문에 온도가 낮고 습도가 높아 한랭다습하다. 대한민국에 영향을 미치는 시기는 주로 초여름[2], 초가을[3]이며, 코리올리 힘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풍향이 꺾이면서 북동풍~동풍을 만든다. 이로 인해 양쯔강 기단이 몰고 온 중국 미세먼지 시베리아 기단이나 북태평양 기단처럼 막아 준다. 그런데 오호츠크해 기단이 있어도 동풍이 불지 않는다면 대기가 정체되어 미세먼지가 많아진다. 또한 건조하며 온도가 올라간다.

2.1. 푄 현상

이 기단은 푄 현상을 만드는 주범이 되는데 영서 지역과 수도권 지역에서는 시원하고 습하기는 커녕 도리어 초여름, 초가을에 폭염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4] 우선 차갑고 습한 동풍이 강원도 영동 지역에 불어오게 되는데 이 때 습기를 많이 함유한 채로 들어온다. 하지만 이 바람이 태백산맥을 강제로 타고 올라가서 기온이 낮아지게 된다. 기온이 낮아지면 수증기가 물방울로 응결되어 대관령 인근에 비를 뿌리고 건조해져서 다시 태백산맥을 타고 내려간다. 이러면 서울/수도권 지역과 강원도 영서 지역은 오히려 고온건조한 날씨가 나타나는 것이다. 하지만 전국에 걸쳐 고온건조한 날씨가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오호츠크 기단에 직접 영향을 받는 영동 지방은 이 기단 특성에 맞게 시원하고 습한 날씨가 이어진다. 기상청 '지난 날씨 달력'에 들어가서 6월의 강릉 날씨와 춘천 날씨를 비교해보자. 그리고 가끔씩 오호츠크해 기단이 겨울의 시베리아 기단처럼 상당히 강하게 발달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 영동 뿐 아니라 한반도 전역이 시원한 정도를 넘어서 쌀쌀한 경우가 나타난다. 그리고 직접 영향을 받는 영동 지방은 더욱 더 쌀쌀함을 나타난다. 그리고 한반도 전역이 한낮에도 고온이 아닌 약간 선선한 날씨를 보인다. 그리고 영동의 경우에는 한낮에도 크게 쌀쌀한 날씨를 보인다.

가끔씩 4~5월이나 한여름, 가을철에도 이로 인해 푄 현상을 만드는 일이 있다. 대표적으로 2019년 4월 22일. 그리고 7월 초중순에도 마른장마가 올 때 이 기단으로 푄 현상을 발생시켜 폭염이 오기도 한다.[5] 그러나 2020년 7월의 경우는 시베리아 기단이 와서 전국 가리지 않고 쌀쌀했다. 그리고 늦여름-초가을에 다시 세력을 확장하기도 하는데 보통 8월 말에서 9월 중순 사이에 세력을 확장하며 가을장마전선을 형성하여 엄청난 집중호우와 비를 뿌리기도 한다. 6월과 9월의 날씨가 비슷한 이유는 이 기단 때문이며, 9월의 맑은 날은 초여름처럼 다시 건조해진다. 따라서 9월의 날씨도 서풍보다는 동풍이 잦아서 푄 현상이 잘 나타난다.[6] 이후 10월이 되면 이동성 고기압의 힘이 강해지며 서풍이 불기 시작하고 즉시 가을이 시작된다. 물론 어떤 해에는 10월, 심지어 11월에도 동풍이 잦은 경우도 있다. 2019년 10월은 동풍이 잦아 미탁 이후 고온 건조해진 다른 지역과 달리 영동은 한달 내내 비가 잦았다. 4~5월도 동풍이 잦은 경우가 있는데 2015년 4월과 2011년 5월이 있다. 그렇다고 6월이나 9월에 서~남서풍이 불지 않는 것은 아니다.

동풍의 경우 북고남저형이며 북동쪽에 고기압이 있으며 남쪽에 저기압이 있는데 주로 5월 말~6월, 8월 말~9월에 이런 기압배치이다.

2.2. 장마

6월 말엽이 되면 밑에서 서서히 북태평양 기단이 활동을 시작한다. 이렇게 되면 대한민국을 선점하고 있던 오호츠크해 기단이 밀려나게 되는데 더운 공기가 찬 공기와 맞딱~맞짱~뜨리며 층운형 구름을 형성한다.[7] 이 구름이 점점 세력이 커지면 북태평양 기단과 오호츠크해 기단의 전선면이 모두 구름으로 뒤덮이며 어마어마한 양의 비를 뿌리게 되는데 이것이 장마전선이다.

장마가 끝나면 덥고 습한 북태평양 기단전기세 테러 원흉이 올라와서 우리가 아는 푹푹 찌는 무더위 한여름 날씨가 이어진다.

2.3. 오호츠크해 기단의 세력 여부

오호츠크해 기단이 약해지면 장마가 어설프게 오고, 무더위가 빨리 오게 된다. 오호츠크해 기단이 강할수록 시원하고 덜 습하면서 약간 건조한 여름을 보낼 수 있다 하지만 오호츠크해 기단이 약해지면 북태평양 기단이 한반도로 올라와 습하고 꿉꿉한 무더위를 보내게 된다.

이 탓에 장마 기간 도중에는 아직 오호츠크해 기단의 영향을 받아 시원하거나 더워도 건조한 편의 날씨를 보일 때가 많다.

2018년의 경우 6월말 ~ 7월초에 오호츠크해 기단이 적정해서 장마가 뚜렷하게 왔지만, 북태평양 고기압의 세력확장이 빨라 오호츠크해 기단의 세력이 급격히 약화되어 조기에 위로 올라가서 폭염이 오게 되었다.[8]

1894년 여름에도 6월 중순에 북태평양 기단의 때이른 확장 때문에 오호츠크 기단이 별다른 힘을 쓰지 못 하고 밀려났고, 이는 여름의 마지막날인 8월 31일까지 푹푹 찌는 날씨를 보인 원인이 되었다.

단 오호츠크해 기단이 매우 강하여 장마가 쏟아지기는 하는데, 북쪽으로 장마전선이 올라가지 않는 경우에는 한여름에도 무더위가 오지 않는다. 이 경우 7월말~8월초 한여름에도 서울은 20도 아래로 내려가기도 하며, 한반도 중부 내륙에는 아침 기온이 15도 아래로 내려가기도 한다. 강원 산지는 10도 아래로 내려가기도 한다. 이 경우 여름 내내 상대적으로 시원한 여름을 경험하게 되며, 곧장 가을로 넘어간다. 대표적인 사례가 1913년, 1936년, 1980년, 1993년이다.

또한 2009년은 장마 기간만 보면 7월 하순에 정상적으로 끝나서 평범하게 종료된 것으로 보이지만, 북태평양 기단이 아닌 오호츠크해 기단 등의 찬공기로 남하하면서 장마가 종료되었기 때문에 찬 공기의 지배를 받아 7월 하순~8월 상순 한여름에도 위와 같은 기온이 나타났다. 자세한 내용은 이상 저온/대한민국/21세기 문서 참조. 심지어 중하순 일부에 찾아온 더위도 북태평양 기단이 아닌 이동성 고기압(찬 공기의 변질)이며 그게 물러가면 찬 공기의 영향으로 이상 저온이 나타났다.

그리고 2022년 2023년은 장마철의 기압배치가 상당히 특이했었는데, 장마전선 영향이 평상시 오호츠크해 기단과 북태평양 기단과의 충돌이 아닌 티베트 고기압과 북태평양 고기압과의 세력 다툼으로 인한 장마가 지속되었다. 그 자체가 매우 이례적인데도, 2년 연속으로 일어났고 이 탓에 장마전선이 와도 시원한 날씨는 커녕 후텁지근한 열대야와 더운 날씨가 이어졌고 2년 연속 6월 열대야가 나타났다. 또한 고온 기단들의 지배로 장마가 소강되기만 하면 곧바로 폭염이 나타나는건 덤이었다.

2023년은 9월이 되자 러시아 북동부에서 생성되기 시작하여 한반도가 이 기단의 영향을 받았는데 문제는 북서쪽 한기가 약한 상태여서 동풍으로 인한 푄 현상으로 서쪽 지역에 때아닌 폭염만 계속 일으키는 원인이 되었다. 그나마 동해안 지역의 고온이 덜했다는 점이 위안.

3. 관련 문서


[1] 나머지는 시베리아 기단, 양쯔강 기단, 북태평양 기단. [2] 5월말~6월 혹은 7월 초 중순 [3] 8월말~9월 [4] 다만 초가을은 이미 여름의 더위를 겪은 뒤라서 같은 기온이어도 초여름보단 다소 선선하게 느껴진다. [5] 물론 2021년 같이 북태평양 기단이 동해상으로 가서 푄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6] 2020년 9월의 경우 이 기단의 영향으로 동풍이 자주 불어서 영동 지역의 강수량과 강수일수가 많았으며, 다른 지역들은 초순을 제외하고 대체로 맑고 건조했다. 2015년, 2021년 9월도 대체로 이 기단의 영향을 받았다. [7] 덥고 습한 북태평양 기단이 차고 습한 오호츠크해 기단을 밀면서 더운 공기가 찬 공기 위를 타고 올라 온도가 낮아지면서 함유하고 있던 수증기가 물방울로 응결된다. 이러면 얇고 넓은 난층운이 형성된다. [8] 2018년 장마는 태풍이 장마전선을 위쪽으로 끌어올려서 7월 11일로 평년보다 매우 빠르게 끝났다. 그 이후 최악의 폭염이 이어지고 8월 말의 태풍 솔릭의 영향으로 가을장마나 다름없는 날씨를 보이기도 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