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4 11:51:21

오기마치 덴노

오오기마치 천황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001F, #BD0029 20%, #BD0029 80%, #AF001F); color: #DCA6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일본 신화|
전승
]]
<rowcolor=#DCA600>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진무 안네이 이토쿠 고쇼
<rowcolor=#DCA600>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고안 고레이 고겐 가이카 스진
<rowcolor=#DCA600>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스이닌 게이코 세이무 주아이
[[고훈 시대|
고훈 시대
]]
<rowcolor=#DCA600> 제15대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오진 닌토쿠 리추 한제이 인교
<rowcolor=#DCA600> 제20대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안코 유랴쿠 겐조 닌켄
<rowcolor=#DCA600>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제29대
부레쓰 안칸 센카 긴메이
<rowcolor=#DCA600> 제30대 제31대 제32대
비다쓰 요메이 스슌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아스카 시대|
아스카 시대
]]
<rowcolor=#DCA600> 제32대 제33대 제34대 제35대
스슌 스이코 조메이 고교쿠
<rowcolor=#DCA600> 제36대 제37대 제38대 제39대
고토쿠 사이메이 덴지 고분
<rowcolor=#DCA600> 제40대 제41대 제42대 제43대
덴무 지토 몬무 겐메이
[[나라 시대|
나라 시대
]]
<rowcolor=#DCA600> 제43대 제44대 제45대 제46대
겐메이 겐쇼 쇼무 고켄
<rowcolor=#DCA600> 제47대 제48대 제49대 제50대
준닌 쇼토쿠 고닌 간무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헤이안 시대|
헤이안 시대
]]
<rowcolor=#DCA600> 제50대 제51대 제52대 제53대 제54대
간무 사가 준나 닌묘
<rowcolor=#DCA600> 제55대 제56대 제57대 제58대 제59대
몬토쿠 세이와 요제이 고코 우다
<rowcolor=#DCA600> 제60대 제61대 제62대 제63대 제64대
다이고 스자쿠 엔유
<rowcolor=#DCA600> 제65대 제66대 제67대 제68대 제69대
가잔 이치조 산조
<rowcolor=#DCA600> 제70대 제71대 제72대 제73대 제74대
고산조 도바
<rowcolor=#DCA600> 제75대 제76대 제77대 제78대 제79대
스토쿠 고노에 니조 로쿠조
<rowcolor=#DCA600> 제80대 제81대 제82대
안토쿠 고토바
[[가마쿠라 시대|
가마쿠라 시대
]]
<rowcolor=#DCA600> 제82대 제83대 제84대 제85대 제86대
고토바 준토쿠 주쿄
<rowcolor=#DCA600> 제87대 제88대 제89대 제90대 제91대
고사가 고우다
<rowcolor=#DCA600> 제92대 제93대 제94대 제95대 제96대
후시미 고니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남북조시대(일본)|
남조
]]
<rowcolor=#DCA600> 제96대 제97대 제98대 제99대
조케이
[[무로마치 시대|
무로마치 시대
]]
<rowcolor=#DCA600> 제100대 제101대 제102대 제103대
쇼코
<rowcolor=#DCA600> 제104대 제105대 제106대
고나라 오기마치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rowcolor=#DCA600> 제106대 제107대
오기마치 고요제이
[[에도 시대|
에도 시대
]]
<rowcolor=#DCA600> 제107대 제108대 제109대 제110대
메이쇼 고코묘
<rowcolor=#DCA600> 제111대 제112대 제113대 제114대
고사이 레이겐
<rowcolor=#DCA600> 제115대 제116대 제117대 제118대
모모조노
<rowcolor=#DCA600> 제119대 제120대 제121대 제122대
고카쿠 닌코 고메이 메이지
근현대
<rowcolor=#DCA600> 제122대 제123대 제124대 제125대
메이지 다이쇼 쇼와 아키히토
<rowcolor=#DCA600> 제126대
나루히토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color: #DCA6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아스카 시대|
아스카 시대
]]
[[나라 시대|
나라 시대
]]
제35대
제41대
제43대
제44대
제45대
지토 겐쇼 쇼무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헤이안 시대|
헤이안 시대
]]
제46대
제49대
제51대
제52대
고켄 고닌 사가
제53대
제56대
제57대
제59대
준나 우다
제61대
제63대
제64대
제65대
스자쿠 엔유 가잔
제66대
제67대
제69대
제71대
이치조 산조 고산조
제72대 [[인세이|
원정
]]
제74대 [[인세이|
원정
]]
제75대 [[인세이|
원정
]]
제77대 [[인세이|
원정
]]
도바 스토쿠
제78대
제79대
제80대 [[인세이|
원정
]]
니조 로쿠조
[[가마쿠라 시대|
가마쿠라 시대
]]
제82대 [[인세이|
원정
]]
제83대
제84대
추존 [[인세이|
원정
]]
고토바 준토쿠
제86대 [[인세이|
원정
]]
제88대 [[인세이|
원정
]]
제89대 [[인세이|
원정
]]
제90대 [[인세이|
원정
]]
고사가
제91대 [[인세이|
원정
]]
제92대 [[인세이|
원정
]]
제93대 [[인세이|
원정
]]
제95대
고우다 후시미
[[남북조시대(일본)|
남조
]]
제95대
제96대
제98대 [[인세이|
원정
]]
조케이
[[남북조시대(일본)|
북조
]]
제95대
북조 초대 [[인세이|
원정
]]
북조 제2대
북조 제3대 [[인세이|
원정
]]
고곤 고묘 스코
북조 제4대
북조 제5대 [[인세이|
원정
]]
고코곤 고엔유
[[무로마치 시대|
무로마치 시대
]]
북조 제3대 [[인세이|
원정
]]
북조 제5대 [[인세이|
원정
]]
제98대
제99대
제100대 [[인세이|
원정
]]
추존
제102대 [[인세이|
원정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제106대
추존
요코
[[에도 시대|
에도 시대
]]
제107대
제108대 [[인세이|
원정
]]
제109대
제111대
메이쇼 고사이
제112대 [[인세이|
원정
]]
제113대 [[인세이|
원정
]]
제114대
제115대 [[인세이|
원정
]]
제117대
제119대 [[인세이|
원정
]]
고카쿠
[[일본국|
현대
]]
제125대

}}}}}}}}}}}}

<colbgcolor=#bd0029><colcolor=#dca600>
일본 제106대 천황
오기마치 천황
正親町天皇
파일:정친정천황.jpg
출생 1517년 6월 18일
야마시로국 교토 교토 어소
(現 교토부 교토시)
사망 1593년 2월 6일 (향년 75세)
야마시로국 교토 선동어소
(現 교토부 교토시)
능묘 후카쿠사 북릉([ruby(深草北陵, ruby=심초북릉)])
재위기간 제106대 천황
1557년 11월 17일 ~ 1586년 12월 17일
상황
1586년 12월 17일 ~ 1593년 2월 6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bd0029><colcolor=#dca600> 미치히토([ruby(方仁, ruby= 방인)])
부모 부황 고나라 덴노
모후 요시토쿠몬인
형제자매 3남 6녀 중 장남
배우자 세에코오인
자녀 5남 6녀
종교 불교
원호 오기마치인([ruby(正親町院, ruby=정친정원)])
시호 오기마치 덴노([ruby(正親町天皇, ruby=정친정천황)])
연호 고지([ruby(弘治, ruby=홍치)], 1557년 ~ 1558년)
에이로쿠([ruby(永祿, ruby=영록)], 1558년 ~ 1570년)
겐키([ruby(元亀, ruby=원귀)], 1570년 ~ 1573년)
덴쇼([ruby(天正, ruby=천정)], 1573년 ~ 1586년)
}}}}}}}}}

1. 개요2. 생애
2.1. 초기2.2. 에이로쿠의 변 이후 오다 노부나가의 상락까지2.3. 오다 정권(아즈치) 시기2.4. 도요토미 히데요시(모모야마) 시기2.5. 말년
3. 쇼쿠호 정권과의 관계

[clearfix]

1. 개요

일본의 제106대 천황.

고나라 덴노의 장남으로, 휘는 미치히토(方仁)였다. 센고쿠 시대 말기부터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쇼쿠호 정권)까지 재위한 인물이었다.

2. 생애

2.1. 초기

초창기 인생은 군주라는 위치가 무색할 정도로 비참한 삶을 살았다. 고지 3년(1557년), 부황인 고나라 덴노가 붕어하자 '천조'(践祚, 천황위를 잇는 것, 즉위식과는 별개)했다. 당시 일본 천황과 그 밑에서 일하는 구게(공경)들은 심각하게 궁핍했다. 센고쿠 다이묘들에게 금전적인 지원을 사정을 했을 정도였다.

즉위식 조차도 3년 후 모리 모토나리, 미요시 나가요시 등 여러 다이묘들이 금을 헌상하고 나서야 올렸다.[1] 에이로쿠 3년 1월에 즉위식을 마친 오기마치 덴노는 금전적으로 도움을 준 여러 센고쿠 다이묘들에게 포상으로 관위를 하사했다. 가장 많은 금을 헌상한 주고쿠(중국)의 모리 모토나리에게는 무츠노카미의 관위를 내리는 것에 더하여 후계자였던 모리 타카모토에게 다이젠다이부(대선대부)를 내리는 등 여러 특권을 부여했다. 한편 혼간지(本願寺, 본원사)의 법주였던 켄뇨도 막대한 돈을 헌상하여, 천황으로부터 '문적'(門跡)의 칭호를 하사받았다. 이후 혼간지의 세력은 더욱 강대해졌다.

오기마치 덴노의 재위 초기에는 그래도 조정이 위치한 기나이(기내) 일대를 제패한 미요시 나가요시의 존재로 인해 평온함을 유지했다. 나가요시는 천황과 일정 거리를 유지하면서도 궁궐의 보수와 경호 등에 미요시씨의 힘을 보탰고, 나가요시가 생존한 동안 조정은 어느 정도 안정적으로 운영되었다.

한편 기독교 선교활동을 벌이는 예수회를 탐탁지 않게 여겨 이들을 교토에서 추방하라는 칙령을 내렸으나, 정작 쇼군 아시카가 요시테루나 기나이의 지배자 미요시 나가요시가 서양과의 교류에 호의적인 입장이었기 때문에 칙령은 유명무실했다.

2.2. 에이로쿠의 변 이후 오다 노부나가의 상락까지

미요시 나가요시의 사몰로부터 1년 뒤인 에이로쿠 8년(1565년), 쇼군 아시카가 요시테루 미요시 요시츠구에 의해 살해당하는 중대한 사건이 벌어졌다. 이 참혹한 에이로쿠의 변 이후 미요시 산닌슈 마츠나가 히사히데 사이에 내전이 발발하여 도다이지(동대사)가 불타는 등 기나이가 극도로 혼란스러워지는 사태가 벌어졌다. 잇따른 정국의 불안정으로 오기마치 덴노의 생활은 다시 궁핍해졌고, 황실의 권위는 더욱 추락하게 되었다.

에이로쿠 11년(1568년), 오다 노부나가는 "정당한 무로마치 막부의 쇼군"인 아시카가 요시아키[2]를 자리로 돌려보내고, 조정과 오기마치 덴노를 보호한다는 대의명분을 내걸며 상락(上落, 군대를 이끌고 수도에 들어가는 것)하여 교토를 손에 넣었다. 오다 노부나가는 궁핍한 조정의 재정을 여러가지 정책과 원조로 회복시키는 한편, 오기마치 덴노의 권위를 이용하여 자신의 적대 세력에게 칙령을 보내 강화를 실현시켰다(협천자 영제후).

2.3. 오다 정권(아즈치) 시기

겐키 원년(1570년)의 아사쿠라 요시카게 아자이 나가마사와의 싸움, 덴쇼 원년(1573년)의 쇼군 아시카가 요시아키와의 싸움, 덴쇼 8년(1580년)의 이시야마 혼간지와의 싸움 등에서 맺어진 강화는 모두 오기마치 덴노의 칙령에 따른 것이었다. 또한 덴쇼 5년(1577년)에 오다 노부나가는 우대신(右大臣, 우다이진)에 서임되었다. 하지만 1년 뒤 사임하고 다시는 조정의 관직을 맡지 않았다.

오다 노부나가는 이외에도 우근위대장(右近衛大將, 우콘에노다이쇼)의 직위를 1575년부터 1578년까지 맡았다. 이 지위는 최초의 세이이다이쇼군(정이대장군)인 미나모토노 요리토모가 맡았던 지위이기도 했다. 이 시기는 노부나가의 기나이 통일과 무로마치 막부의 오다 - 아시카가 체제의 붕괴 기간과 완벽히 일치하기 때문에[3] 노부나가의 우콘에노다이쇼 취임을 오다씨의 가격을 끌어올리고 무로마치 막부의 지배를 부정하며, 자신의 위치를 아시카가씨와 상대화하고, 명확히 세간에 제시할 의도를 가지며 취임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기도 한다.

1582년 5월 무가전주(武家傳奏, 부케덴소) 가주지 하루토요(勧修寺晴豊, 1544 ~ 1603)가 노부나가의 가신이었던 무라이 사다카쓰(村井貞勝, ? ~ 1582)와 만나 "노부나가가 관백, 정이대장군, 태정대신 중 하나에 취임했으면 한다."는 의향을 전했다고 한다. 이를 삼관추임문제(三職推任問題)라고 한다. 이에 오다 노부나가가 무라이에게 무언가를 전하기는 했지만 그 내용에 대해서는 전해지지 않는다. 이때 오다 노부나가가 무엇을 대답했는지 기록되지 않은 탓에 모두 거절했다는 추측이 있다.[4]

2.4. 도요토미 히데요시(모모야마) 시기

1582년 혼노지의 변으로 오다 노부나가가 암살당하고, 주모자였던 아케치 미츠히데는 직후 야마자키 전투에서 토벌당했다. 미츠히데를 토벌한 공으로 오다 가문 내에서 세력을 급속히 확장한 하시바 히데요시는 결국 경쟁자인 시바타 카츠이에시즈가타케 전투에서 격파하고, 노부나가의 잔여 세력을 통합하며 집권했다. 그는 '천황의 비호자'를 자칭하고, 황실의 위신과 권위를 세우며 많은 황금을 바치는 등의 행동을 보였다.

덴쇼 13년(1585년)에 관백상론(関白相論)이 격화되자, 그 해결에 나선 하시바 히데요시는 후지와라 씨족의 수장인 고셋케(오섭가)의 고노에 사키히사의 양자로 들어가 관백에 임명되었다.[5] 관백은 후지와라씨만 할 수 있는 자리였지만, 태정대신과 달리 관백은 원칙적으로는 영외관에 해당하는 명예직이라 위상이 애매했다. 이듬해 당시까지 성씨가 하시바였던 히데요시는 오기마치 덴노로부터 '도요토미'(豊臣, 풍신)의 성(姓)을 하사받아 도요토미씨 정권을 세우게 되었다.

일본에서는 근대화 이전까지 성(姓)과 씨(氏)가 구분되어 있었는데,[6] 한국의 성(姓)에 해당하는 것이 우지{ 씨(氏)}였고, 씨(氏)에 해당하는 것이 묘지(苗字, 묘자)였다. 천황으로부터 하사받는 성을 혼세{ 본성(本姓)}라고 했는데, 대표적인 4대 본성 겐지/원氏, 헤이시/평氏, 후지와라시/등원氏, 타치바나시/귤氏였다.

가마쿠라 막부를 세운 미나모토노 요리토모 무로마치 막부를 세운 아시카가 다카우지는 황실의 신적강하된 분가로 세이와 겐지, 그 중에서도 카와치 겐지라는 유명한 무가 출신이었다. 오다 노부나가는 아시카가씨를 부정한다는 의미로 헤이시/평氏를 대외적인 성(姓)으로 사용했으며,[7] 초기 히데요시 또한 헤이시를 사용했다가 후지와라氏의 양자가 되면서 후지와라氏를 사용했고, 오기마치 덴노로부터 도요토미氏라는 혼세(본성)을 하사받은 것이었다.[8] 12월 25일,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태정대신에 서임되었다.

2.5. 말년

덴쇼 14년(1586년), 황태자가 죽자 오기마치 덴노는 황태자(사네히토 친왕, 요코 태상황)의 아들이자 본인의 손자인 가즈히토 친왕( 고요제이 덴노)에게 양위하고 선동어소로 이어했다. 이후 분로쿠 2년(1593년) 1월 5일에 승하했다.

==# 천황 계보 #==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제21대
제24대
제23대
제22대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3대
제32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제37대
제38대
제41대
제40대
제39대
제43대
제49대
제44대
제42대
제47대
제50대
제45대
제51대
제52대
제53대
제46대
제48대
제54대
제55대
제58대
제56대
제59대
제57대
제60대
제61대
제62대
제63대
제64대
제65대
제67대
제66대
제68대
제69대
제70대
제71대
제72대
제73대
제74대
제75대
제77대
제76대
제78대
제80대
제79대
제81대
제82대
제86대
제83대
제84대
제87대
제88대
제85대
제89대
제90대
제92대
제91대
제93대
제95대
제94대
제96대
북조 초대
북조 제2대
제97대
북조 제3대
북조 제4대
제98대
제99대
북조 제5대
북조 제6대
제100대
제102대
제101대
제103대
제104대
제105대
제106대
제107대
제108대
제109대
제110대
제111대
제112대
제113대
제114대
제115대
제117대
제116대
제119대
제118대
제120대
제121대
제122대
제123대
제124대
제125대
제126대



3. 쇼쿠호 정권과의 관계

오기마치 덴노의 재위기간은 센고쿠 시대를 거치면서 무로마치 막부가 완전히 붕괴하고, 쇼쿠호 정권(오다, 도요토미 정권)이 새로이 설립되는 격변기였다. 기존의 무가 정권이 센고쿠 시대를 거쳐 해체되고,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라는 두 인물이 연이어 천하인이라는 이름으로 새로운 집권자로 커가던 시기였다. 오기마치 천황과 교토 조정은 이들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살아남았다. 이들은 한 쪽이 디른 한 쪽을 압도하는 것이 아닌, 서로의 이익을 위해 서로 협조하는 공무결합왕권을 구축하였다.


[1] 그래도 부황 고나라 덴노가 10년, 할아버지 고카시와바라 덴노가 21년이 지나서야 즉위식을 연 것에 비하면 빨리 연 것이었다. [2] 아시카가 요시테루의 동생 [3] 센고쿠 시대때 무로마치 막부는 껍데기뿐이기는 했지만, 그 권위를 실질적으로 부정하는 센고쿠 다이묘는 얼마 없었다. 막부를 완전히 무시했던 초기의 미요시 나가요시나 미요시 요시츠구 정도였다. 오다 노부나가의 경우에도 본래는 막부의 권위를 존중했으나, 요시아키 쇼군과 점차 사이가 나빠져 결국 쇼군을 교토에서 추방하고 막부를 정지시켰다. [4] 노부나가는 일인지하의 위치를 목전에 둔 상황이었지만 삼관추임문제 직후 벌어진 혼노지의 변으로 인해 사망했다. [5] 고노에 家는 고셋케의 으뜸으로 후지와라 씨족 전체를 대표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의 전범 중 한 명인 고노에 후미마로가 이 집안 출신이었다. [6] 원래 춘추전국시대(나아가서는 진나라 치세까지)의 중국도 성과 씨가 구별되어 있었는데 성은 바뀌지 않았지만 씨는 상황에 따라 얼마든지 바뀌었다. 시황제만 하더라도 영성 조씨로 구별한다. 하지만 한나라 이후부터 성씨는 같은 개념으로 통합되었다. [7] 간무 헤이시 또한 세이와 겐지처럼 황실의 신적강하된 분가에서 기원한 유명한 무가 집안으로 《 헤이케모노가타리》(《평가물어》) 시절, 미나모토씨와 대립했던 집안이었다. 그 때문에 미나모토를 무너뜨리는 것은 타이라라는 풍문이 있었는데 그를 이용한 것이었다. [8] 그래서 잘 모르는 한국인들에게는 하시바 히데요시를 도요토미 히데요시로 바꾼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도요토미노 아손(우지) 하시바(묘지) 히데요시가 정확한 이름으로 하시바라는 성을 버린 것이 아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