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15 22:42:18

여자기성전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가장 최근에 진행된 대회에 대한 내용은 제7회 해성배 여자기성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baduk_test3.png 한국의 주요 바둑 기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 종합 기전 GS칼텍스배 · 용성전 · 명인전 · 최고 기사 결정전 · 한국기원 선수권전 · YK건기배
제한 기전 맥심커피배 · 지지옥션배 · 대주배 · 국수산맥배 · KBS 바둑왕전 · 하나은행배
신인 기전 미래의 별 · 하찬석국수배 · 크라운해태배 · 이붕배 · 신예토너먼트
여자 기전 여자기성전 · 여자국수전 · IBK기업은행배 · 여자 최고 기사 결정전 · 난설헌배 · 뉴스핌 GAM배
리그전 바둑리그 · 챌린지리그 · 여자바둑리그 · 시니어리그
페어 바둑 SG배
다른 카테고리의 바둑 기전은 아래 문서 참고
국제 기전 · 일본 기전 · 중국 기전 · 대만 기전 · 폐지 기전
}}}}}}}}} ||

파일:0002755444_001_20170918140954088.jpg
2017년 출범식.
여자기성전
女子棋聖戰 / Women's Giseong(Kisei)[1] Title Match
주관 한국기원
주최 한국기원, 바둑TV
후원 해성그룹 (6회 ~ )[2]
대국규정 제한시간 각자 1시간, 40초 초읽기 3회[3]
상금 총상금 1억2100만원
( 우승 5,000만원, 준우승 2,000만원, 3위 1,000만원)[4]
대회방식 본선 24강 토너먼트[5], 결승 3번기(6회 ~ )[6][7]
계가 한국룰 덤 6.5집
최근 우승자 김은지 八단[8] ( 제7회 해성배 여자기성전)
최다 우승자 최정 九단 (4회 / 2회, 3회, 4회, 6회)
외부링크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여자기성전 공식 네이버 블로그
1. 개요2. 상세3. 대회 진행4. 역대 우승자

[CLEARFIX]

1. 개요

2017년 창설된 한국기원 바둑 기전. 1~5회까지는 한국제지가 후원했으며 현재는 한국제지의 모기업인 해성그룹의 후원으로 열린다. 기존의 여류기성전과는 다르고, 2017년 대회를 1회로 기산한다.

2. 상세

기존의 여류기성전( 2006년~ 2013년)은 부안군 후원으로 개최되었으나,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군수 교체되면서 바로 폐지되었다. 그래서 아예 새로 대회를 만들게 된 것이다.

남자 바둑은 침체가 길어지면서 있는 국내대회도 줄줄이 없어지고 있는데, 여자 바둑도 남자 바둑과 더불어 줄줄이 기전이 사라지다가[9] 2017년 국내기전으로 하나 생긴 것이다.

그동안 '여류(女流)'라는 표현을 많이 썼고 일본의 여류기성전은 여전히 그러한데, 여류라는 표현은 남녀차별이라는 의견도 있고 해서 '여자'라는 표현으로 교체했다.
2017년 바둑TV 최고 시청률을 보인 대회가 이 대회이다. 국내 바둑 기전 중 가장 높다. 전체 평균 0.336%. 기사

4회 대회부터는 결승 종료 후 특별 이벤트로 2:2 페어이벤트 대국이 열리고 있다.

6회 대회( 2022년)부터는 상금 규모가 기존보다 두 배로 커지며 명실상부한 국내 최대 규모의 여자기전이 됐다. 우승상금 5천만원으로 인상됐는데 5천만원은 국내 여자기전 최고액의 우승상금이다. 여기에 본선은 24강 본선 토너먼트로 대회 규모가 확대됐다. 또한 후원사가 한국제지에서 한국제지의 모기업인 해성그룹이 직접 후원을 맡게되었다.[10]

3. 대회 진행

4. 역대 우승자

회차 연도 우승자 전적 준우승자 비고
1 2017년 김다영 二단 2:1 오유진 五단 김다영, 초대 우승& 三단 승단
2 2018년 최정 九단 2:0 김혜민 八단 최정, 첫 번째 우승
3 2019년 최정 九단 2:0 김채영 五단 최정, 여자기성전 2연패
4 2020년 최정 九단 2:0 김채영 五단 최정, 여자기성전 3연패
5 2021년 오유진 九단 2:0 최정 九단 오유진, 최정의 4연패를 저지하고 여자기성전 첫 우승
6 2022년 최정 九단 2:0 김은지 五단 최정, 여자기성전 네 번째 우승
7 2023년 김은지 八단 2:1 최정 九단 김은지, 여자기성전 첫 우승 / 최연소, 최단기간[11] 九단 승단 신기록


[1] 기성은 한자가 두 개다. 棋聖(Kisei), 碁聖(Gosei). 일본에서 저 두 개를 Kisei와 Gosei로 구분하면서 영어 표현은 전 세계적으로 Kisei를 쓴다. [2] 1~5회까지는 계열사인 한국제지가 후원했으나 6회 대회부터 대회 규모 확대와 함께 모기업인 해성그룹이 직접 후원을 맡게 됐다. [3] 종전에는 30분 + 30초 피셔 방식(한 수 착수할 때마다 30초를 추가해주는 것. 마지막 초읽기랑 비슷하지만 초읽기에 들어가기 전부터 빨리 둘 경우 시간을 적금붓듯이 적립해 둘 수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초읽기라는 제도가 없는 체스에서는 이 방식을 쓴다.)을 썼으나 4기 대회부터 제한시간 1시간, 40초 초읽기 3회로 바뀌었다. [4] 1회부터 5회까지는 우승 3,000만원, 준우승 1,000만원이 주어졌다. [5] 전기 시드 3인(우승, 준우승, 3위) + 후원사 시드 1인 + 예선 통과자 20인 [6] 1~5회까지는 본선 16강 토너먼트, 결승 3번기로 진행했다. [7] 특이하게도 3위 결정전을 실시한다. 3위 결정전 승자는 상금 1,000만원과 함께 3위로 시드를 받고 다음 해 대회에 출전한다. [8] 우승으로 九단 승단 [9] 2016년까지 했던 여류국수전 한국경제신문 BnBK가 후원을 철회하면서 중단됐다. 결국 하림배 여자국수전이라는 이름으로 새로 창설되었다. [10] 5회 대회 결승에서 중계진이 언급했다. [11] 만 16세 7개월, 입단 후 3년 11개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