엉클대도 관련 둘러보기 틀 | ||||||||||||||||||||||||||||||||||||||||||||||||||||||||||||||||||||||||||||||||
|
엉클대도 Uncle Daedo |
|
|
|
<colbgcolor=#a71c2c,#dc4343><colcolor=#ffffff,#191919> 국가 |
<colbgcolor=#ffffff,#191919>
|
설립일 | 2015년 7월 22일 |
업종명 | MCN |
대표이사 | 나동현 |
상장 여부 | 비상장 |
기업 규모 | 중소기업 |
주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 182, 701호 (
삼평동) |
[clearfix]
1. 개요
2015년 7월 30일 트위치 스트리머 대도서관이 창립한 법인회사로, DIA TV 계열의 방계회사이다. 한국반도체산업협회회관 7층에 위치해 있다.대도서관과 윰댕 외에도 함께 활동했던 편집자, 매니저 등의 사람들이 스태프로 들어와 있다. 크리에이터를 따로 양성하거나 영입할 계획은 아직 없다고 한다.
엉클대도라는 이름은 주 시청층인 10대 후반과 20대 초중반에게 삼촌뻘[1]이기도 해서 대도서관이 선택한 사명이며, 미군 징집 포스터의 이름인 엉클 샘에서도 따온 것으로 보인다.
설립 초기에는 따로 사무실이 없었다.[2] 그런데 이 때문에 주변 사람들이 스태프들에게 취업을 하긴 했는지 의심을 하기 시작해 송도국제도시에 처음 사무실을 설립했으며, 현재는 판교테크노밸리에 사무실이 있다. #
2020년부터는 코로나19의 여파로 재택근무를 실시하고 있으며, 회의는 디스코드로 진행한다.
2. 소속 크리에이터
|
|
대표이사 대도서관 | 이사 윰댕[3] |
3. 소속 스태프
2021년 5월 10일 기준으로 소속 스태프는 총 5명이다.- 마이클(남) - 본부장.[4] 대도서관 예능채널에서 얼굴을 공개했다. #
- 뮤즈(남) : 영상 편집자. 2018년 12월에 채용되었다. 2019년 말에 퇴사 후 2021년 재입사했다. 유튜브 채널
- 마쿤(남) : 영상 편집자.
- 스틴(남) : 영상 기획자.
4. 前 스태프
4.1. 2018년 퇴사
4.2. 2019년 퇴사
- 박누피(여): 영상 편집자. 윰댕 방송에서 얼굴을 공개했으며, 사실상 윰댕 편집부서의 에이스였다. 하지만 지속되는 건강 악화 및 개인적인 사정에 의해 2019년 5월경 퇴사를 결정했다고 윰댕이 본인의 생방송에서 직접 밝혔다.
- 몰리(여): 영상 편집자. 2018년 9월에 채용되었다. 2019년 말에 퇴사한 듯하다.
- 다코(여): 영상 편집자. 달콤대도에서 대도서관한테 중간중간 말거는 여자 목소리가 다코이다. 2019년 말에 퇴사한 듯하다.
- 수액(남) - 영상 편집자. 아프리카TV 시절 대도서관의 수다에서 재밌는 부분을 편집해서 본인의 유튜브 채널을 통해서 아프리카 방송을 올렸었다. # 2014년 초, 대도서관이 매월 300만 원을 주며 정식 편집자로 고용했다.[5] 엉클대도가 설립되자 원년 스태프가 되었다. 2019년 말에 퇴사한 듯하다.
- 노키(남): 영상 편집자. 본래 JTBC PD였고 2015년 대도서관 저스트 댄스 방송에 출연했던 적이 있다. # 2019년 말에 퇴사한 듯하다.
- 제드(남): 영상 편집자. 2018년 12월에 채용되었다. 2019년 말에 퇴사한 듯하다.
- 타비(여): SNS 관리자. 이 영상에서 스태프가 되기 전 타비의 사악한(?) 과거가 나온다. 2019년 말에 퇴사한 듯하다.
4.3. 2020년 퇴사
-
홍해녀(여): 영상 편집자. 윰댕의 수년지기 매니저였고 엉클대도가 설립되자 원년 스태프가 되었다.
수영 국가대표였다는 이야기가 있다.2020년 초에 퇴사한 듯하다.[6] 2020년 4월부터 유튜버(홍은수)로 활동중이다. 유튜브 채널 2021년 5월부터 몽페쉬에서 일하고 있다. - 용구: 홍해녀가 기르는 고양이. 용과장이라는 직함으로 불렸었다. #
- 조이(여): 영상 편집자. 윰댕 방송에서 얼굴을 공개했다. # 2020년 초에 퇴사한 듯하다.
4.4. 2021년 퇴사
- 송이(남): 영상 편집자. 2020년 4월에 채용되었다. 2021년 초에 퇴사한 듯하다.
- 모나(여): 영상 편집자. 첫 등장 영상 2021년 초에 퇴사한 듯하다.
- 도비(여): 영상 편집자. 첫 등장 영상 2021년 초에 퇴사한 듯하다.
- 시루(여): 영상 편집자. 2021년 초에 퇴사한 듯하다.
- 티거(여): 영상 편집자. 2021년 초에 퇴사한 듯하다.
- 망고(여): 영상 기획자. 2021년 초에 퇴사한 듯하다.
- 레페(여): 영상 편집자. 2021년 초에 퇴사한 듯하다.
5. 논란 및 사건사고
6. 채용
|
|
|
2017년 채용공고 | 2019년 채용공고 | 2021년 채용공고 |
- 2019년에는 영상 편집자, 기획자, 디자이너, 영상 촬영자[7]를 뽑았다.
- 2021년에는 영상 편집자를 뽑았다.
[1]
20대 후반과 30대 초반에게는 사촌형뻘인데 반해 10대 초중반에게는 아버지뻘이다.
[2]
업무 특성상 반드시 출근할 필요가 없고, 시간과 공간의 구애 없이 자유롭게 일할 수 있기 때문이다.
[3]
현재 엉클대도를 나와
몽페쉬에만 관여 및 소속이 되어 있다.
[4]
삼성전자 마케팅팀을 거쳐
유튜브 재팬에서 근무하다 대도서관이 채용하였다.
[5]
수액이 고용되기 전까지는 대도서관 혼자 직접 영상 편집을 했으나 인기를 얻고 스케줄이 바빠져서 편집자를 고용하게 되었다고 한다.
[6]
퇴사한 후에도 윰댕 유튜브 영상에 올라오는 등 개인적으로는 아직 만나고 있는 듯 하다.
[7]
주로 브이로그나 서브채널에 올라가는 영상을 촬영하며, 촬영자와 매니저를 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