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9 13:46:42

아시안 하이웨이 6호선

아시안 하이웨이 간선노선
AH1 AH2 AH3 AH4 AH5 AH6 AH7 AH8 AH9

파일:56415461.png
아시안 하이웨이 6호선
총연장 10,533km
기점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부산광역시 남포역(부산)
주요 경유국가
[[북한|]][[틀:국기|]][[틀:국기|]]

[[러시아|]][[틀:국기|]][[틀:국기|]]

[[중국|]][[틀:국기|]][[틀:국기|]]

[[카자흐스탄|]][[틀:국기|]][[틀:국기|]]
종점
[[러시아|]][[틀:국기|]][[틀:국기|]] 크라스노예
(
[[벨라루스|]][[틀:국기|]][[틀:국기|]] 국경 지점)
주요 교차도로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
아시안 하이웨이 30호선
아시안 하이웨이 32호선
1. 개요2. 경유 도시
2.1. 대한민국2.2. 북한2.3. 러시아/중국/카자흐스탄
3. 갤러리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에서 시작해서 북한, 러시아, 중국, 카자흐스탄을 경유하여 벨라루스에서 끝나는 아시안 하이웨이 간선노선이다.

러시아-벨라루스 국경선에서는 유럽 고속도로 30호선(E30)과 직결하여 폴란드, 독일, 네덜란드, 영국, 아일랜드까지 이어진다. 정확히는 카자흐스탄-러시아 서측 국경에 E30이 시작하며 벨라루스 국경까지 중첩된다.

대한민국 구간은 동해고속도로를 정식 AH6 구간으로 지정하고 7번 국도동해고속도로 포항 ~ 삼척 구간이 개통할 때까지 임시로 지정하고 있다. 그러나 포항 ~ 영덕 구간은 티스푼 공사이고 영덕 ~ 삼척 구간은 현재까지도 계획구간이라 임시 지정한 7번 국도가 사실상 정식 AH6이나 마찬가지인 상황이다. 동해고속도로 부산울산포항 구간은 AH6이 표시돼 있지만 삼척-강릉-양양-속초 구간에는 AH6 표지가 없는게 포항 ~ 삼척 구간 때문이다.

2. 경유 도시

2.1. 대한민국

원산까지 150km[1]
하얼빈까지 1,000km
모스크바까지 10,000km
아시안 하이웨이는 (AH6)
계속됩니다 (To be continued)
동해고속도로 속초방향 속초IC 1.2km 전(가마소교 인근)에 나오는 표지판
파일:AH6_Korean_Sign.png
7번 국도에 설치된 아시안 하이웨이 6호선 표지판

원래 6호선의 역할은 동해안을 따라 지어진 동해고속도로가 해야 맞는데 다들 알다시피 지금 동해고속도로는 허리가 끊긴 상태로 삼척~포항 구간은 계획 중으로 미개통인 상태다. 그래서 지금 6호선 역할은 7번 국도가 대신 수행 중이다. 하지만 동해고속도로 전 구간 개통시 6호선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게 된다. 문제는 영덕 - 포항 구간은 구상 중이라고 쳐도 물론 진행도는 바닥 그 이북의 삼척 - 영덕 구간은 타당성 조사에서도 낮은 평가를 받으며 보류되었고 같은 구간의 7번 국도가 사실상 고속도로나 다를 바 없는 도로 상태를 자랑하기 때문에 도통 허리가 이어질 기미가 안 보인다는 것이다.

7번 국도의 기점인 부산광역시 중구 옛시청교차로에서 출발하며 한반도 동해안 지역으로 연결된 7번 국도를 따라 울산광역시, 경상북도, 강원도로 이어진다. 아시안 하이웨이 6호선의 대한민국 마지막 구간은 강원도 고성군 제진역의 동해선 남북출입사무소로, 군사분계선을 넘은 후 북한으로 이어졌다.[2] 2024년 10월에 군사분계선 바로 이북 구간이 김정은 정권에 의해 폭파되면서 아시안 하이웨이 6호선도 완전히 단절되었다.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정문화회관 앞에서는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 경부고속도로 번영로[3]와 간접적으로 만나며 조금 더 북쪽으로 가면 노포IC[4]에서도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아시안 하이웨이 6호선(대한민국)
노선 소재지
충장대로(AH1)
중앙대로/ 거제대로 ([[7번 국도|
7
]])
중구 - 양산시
웅상대로 ([[7번 국도|
7
]])
양산시
통신사로 ([[7번 국도|
7
]])
이예로 ([[7번 국도|
7
]])
울주군
웅촌로 ([[7번 국도|
7
]])
동해고속도로
65
문수IC - 남포항IC
영일만대로 ([[31번 국도|
31
]])
포항시 시내구간
동해대로 ([[28번 국도|
28
]])
포항시 시내구간
동해대로 ([[7번 국도|
7
]])
포항시 ~ 삼척시
동해고속도로
65
근덕IC - 속초IC
미시령로 ([[56번 지방도|
56
]])
속초시 시내구간
동해대로 ([[7번 국도|
7
]])
속초시 - 고성군 군사분계선
남북 단절( 원산금강산간 고속도로)

2.2. 북한

금강군 - 원산시 - 함흥시 - 김책시 - 청진시 - 선봉군[5] - 라선시
아시안 하이웨이 6호선(북한)
노선 소재지
남북 단절(7번 국도)
원산금강산간 고속도로 고성군 - 원산시
( 7번 국도 [[7번 국도|
7
]])
원산시 - 라선시
도로 단절(A189)[6]

남북 단절로 인해 사실상 끊겨 있었다. 햇볕정책의 결과물로 왕복 2차로의 북한領 고성군 방면의 진입로가 연결은 돼 있었고 남북의 주요 교통로로 쓰여 왔으나, 2024년 10월 김정은 정권이 이 도로를 폭파하면서 도로의 기능을 완전히 상실했다. 7번 국도를 타고 올라가 강원도 동해시에 있는 동해항국제여객터미널에서 블라디보스토크행 카페리를 이용할 수 있고 아시안 하이웨이 6호선의 실질적인 바이패스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인천항발 중국행 카페리는 빈 협약 미가입 문제[7]로 인해 중국행 카페리를 이용할 수 없으나, 러시아는 빈 협약에 가입 및 효력이 되어 있어 러시아 방면으로의 차량 일시반출입이 가능해 서유럽 방면의 로드 트립을 목적으로 차량을 동해 - 블라디보스토크 간 카페리 이용히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2.3. 러시아/중국/카자흐스탄

중국과 카자흐스탄이 중간에 껴있어서 러시아는 세번 거쳐서 간다.
아시안 하이웨이 6호선(러시아/중국/카자흐스탄)
노선 소재지
도로 단절(7번 국도)
러시아
A189 라선시 - 라즈돌노예
A370 라즈돌노예 - 우수리스크
A184 우수리스크 - 프리모르스키
- 프리모르스키 - 쑤어펀허
중국
G10 쑤어펀허 - 하얼빈 - 간난
G301 간난 - 만저우리
러시아
A350 자바이칼스크 - 치타
R258 치타 - 울란우데 - 이르쿠츠크
R255 이르쿠츠크 - 노보시비르스크
R254 노보시비르스크 - 이실쿨
카자흐스탄
M51 카라코가 - 치스토에
러시아
R254 페트코보 - 첼랴빈스크
M5 첼랴빈스크 - 모스크바
M1 모스크바 - 크라스노예
벨라루스 M1
유럽 고속도로 E30

3. 갤러리

파일:AH6 표지판(대한민국).svg
대한민국에서 쓰는 아시안 하이웨이 6호선 표지판이다. 해당 사항은 7번 국도, 동해대로, 동해고속도로 등에서만 적용된다.

4. 관련 문서



[1] 직선 거리 기준. 육로 이용 시 약 190km. [2] 동해선 부산-울산선이 부산-포항선으로 연장개통이 되어 노선을 부산대교-부산항대교-광안대교-장산로-부산포항고속도로 전구간 또는 부산포항고속도로 시점으로 노선을 변경할법도 하지만 현재의 노선이 존치되고있는 상황이다. [3] 경부고속도로를 조금 타고 가서 번영로로 진입한다. [4] 체육공원로 등 마을도로를 통해 연결된다. [5] 선봉군에서는 아시안 하이웨이 32호선이 직접적으로 만난다. [6] 북한과 러시아를 잇는 도로교량이 없고 철도교량만 있다. [7] 중화민국이 ‘China’로 불리던 시절 먼저 빈 협약에 참여한 관계로 이렇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