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명의 유튜버에 대한 내용은 요리왕 비룡(유튜버) 문서 참고하십시오.
관련 문서: 신 중화일미
요리왕 비룡 (1997~1998) 中華一番! |
|||
|
|||
{{{#212529,#e0e0e0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장르 | 요리, 모험 | |
원작 | 오가와 에츠시(小川悦司) | ||
감독 | 안노 마사미(案納正美)[1] | ||
감독 보좌 |
카가와 유타카(香川 豊) 타카기 준(高木 淳)1~14화 |
||
캐릭터 디자인 |
키시 요시유키 니노미야 츠네오 |
||
미술 감독 | 모리모토 시게루(森元 茂) | ||
미술 설정 | 이토 카즈에(伊藤主計) | ||
색채 설계 |
후루사토 히사요(古里久代) 시노야마 치에코(篠山智恵子) 미야시타 마리(宮下眞理) |
||
촬영 감독 | 요시자카 켄이치(吉坂研一) | ||
현상 | IMAGICA | ||
음향 감독 | 후지노 사다요시(藤野貞義) | ||
녹음 스튜디오 | 액트 스튜디오(アクトスタジオ) | ||
음악 | 오오타 미치히코(太田美知彦) | ||
요리 감수 | 핫토리 영양전문학교(服部栄養専門学校) | ||
프로듀서 |
타키야마 마도카(瀧山麻土香)
후지 테레비/1~18화 코사오 슌이치(小竿俊一) |
||
애니메이션 제작 | 닛폰 애니메이션 | ||
애니메이션 제작협력 | 스튜디오 피에로 | ||
제작 |
후지 테레비 닛폰 애니메이션 |
||
방영 기간 |
1997. 04. 27. ~ 1998. 09. 13. 1999. 07. 05. ~ 1999. 10. 12. |
||
방송국 |
후지 테레비 / (일) 19:30 KBS 2TV, 대교방송, 애니원, 애니맥스 코리아 |
||
스트리밍 | TVING ▶ | ||
한국 정식발매 | 손오공 ( VHS) | ||
편당 러닝타임 | 24분 | ||
화수 | 52화 | ||
시청 등급 | 모든 연령 시청가 | ||
관련 사이트 | [2] |
[clearfix]
1. 개요
신 중화일미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감독은 안노 마사미[3].1997년 4월 27일 ~ 1998년 9월 13일까지 후지 테레비 계열 채널에서 방영됐다. 총 52화.[4] 애니메이션 제작 명의는 닛폰 애니메이션이지만, 실제 제작은 스튜디오 피에로에서 했다.[5] 70년대부터 시작했던 세계명작극장 시리즈가 집없는 아이 레미를 마지막으로 휴식기를 가지게 되어 그 시간대(일요일 오후 7시 30분)을 이어받아 방영됐다.
원작 12권(2부 7권) 내용까지 진행하다가 스토리를 거의 따라잡게 되어 오리지널 스토리로 종영했다. 자세한 것은 아래 '원작과의 차이점' 부분에서 후술한다.
1990년대를 풍미했던 음반사 BEING이 타이업으로 참여하여 OP/ED곡은 전부 BEING 소속 아티스트가 불렀다. 이 중에는 한국에서도 유명한 ZARD도 있다.
2. 주제가
2.1. 일본어판
상술했듯 일본판의 오프닝/엔딩은 모두 BEING 계열 아티스트가 담당했다. 오프닝과 엔딩이 각각 3개씩이나 되는 만큼 영상도 꽤 다채로운 편. 하지만 어째서인지 시즌이 지나갈수록 캐릭터의 외모가 발전하고 있다. OP1과 OP3의 마오와 메이리를 비교하면 다른 인물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2.1.1. OP1
OP1 (1~18화) 空 하늘 |
|||
|
|||
TV ver. | |||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212529,#e0e0e0> 노래 | 오구로 마키 | ||
작사 | |||
작곡 | |||
편곡 | 하야마 타케시(葉山たけし)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212529,#e0e0e0> 연출 | 신보 아키유키 | |
작화 | 와카바야시 아츠시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슬램덩크의 엔딩곡 'あなただけ見つめてる' 등으로 알려진 오구로 마키의 곡. 광과민성 발작이 걱정되는 사람이라면 초반 부분은 반드시 건너뛰고 보는 것을 추천한다. 폴리곤을 애니에서 영원히 묻어버린 포켓몬 쇼크 때처럼 여러 원색 화면이 빠르게 번갈아가며 강하게 깜빡이는 장면이 나오는데,[6] 이런 것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사람이 아니더라도 눈이 피곤하긴 하다. 영상 연출은 신보 아키유키. 작화는 와카바야시 아츠시. 중국에서 인기가 많은지, 이 곡을 부른 가수 오구로 마키는 중국의 애니송 라이브에 여러번 참여해서 이 노래를 부른 적이 있다.
2.1.2. ED1
ED1 (1~20화) 青い空に出逢えた 푸른 하늘에서 만났어 |
||
|
||
TV ver. | ||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212529,#e0e0e0> 노래 | 츠지오 아리사(辻尾有紗) | |
작사 | 코마츠 미호 | |
작곡 | ||
편곡 | 후루이 히로히토(古井弘人)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이 곡을 부른 츠지오 아리사는 이 곡이 데뷔곡이자 마지막 곡이 되어버렸다. 하지만 이후 다른 명의로 활동하고 있다는 의혹이 있는 편. 작사, 작곡을 맡은 코마츠 미호가 나중에 자신의 앨범에서 커버하기도 했다.
2.1.3. OP2
OP2 (19~36화) 息もできない 숨도 쉴 수 없어 |
||
|
||
TV ver. | ||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212529,#e0e0e0> 노래 | ZARD | |
작사 | 사카이 이즈미 | |
작곡 | 오다 테츠로 | |
편곡 | 하야마 타케시(葉山たけし)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한국에서도 유명한 ZARD의 곡. 작곡가였던 오다 테츠로가 이 곡 이후 빙을 퇴사했기 때문에 이 곡은 그가 빙 계열 아티스트에 제공한 마지막 곡이 됐다. 애니에서 쓰인 버전과 싱글 버전의 편곡이 다르다. 싱글 버전은 좀 더 록의 음색이 강한 편. 애니 방영 당시에는 ~Now I can breath~라는 부제가 있었는데 ZARD의 음반에선 빠져서 나왔고 음반 발매 이후에는 애니에서도 빠졌다.
KBS 방영 당시 오프닝은 이 오프닝의 영상을 기반으로 하여, 본편의 장면 몇개를 합친 것. 원래는 위 영상처럼 초반에 빠르게 점멸하는 연출이 있었지만 포켓몬 쇼크의 영향으로 25화부터는 해당 연출이 완전히 제거됐다.
2.1.4. ED2
ED2 (21~36화) ミネラル 미네랄 |
||
|
||
TV ver. | ||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212529,#e0e0e0> 노래 | 나나오 카오리(七緒 香) | |
작사 | ||
작곡 | 마츠모토 타카히로(松本孝弘) | |
편곡 |
마츠모토 타카히로(松本孝弘) 토쿠나가 아키히토(徳永暁人)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1997년부터 2000년까지 빙 소속이었다가 은퇴한 나나오 카오리의 곡으로, 작곡은 B'z의 기타리스트 마츠모토 타카히로가 담당했다.
원래 이 곡의 1절 후렴구에는 야마토 혼(大和魂)이라는 가사가 있는데 중국을 무대로 한 애니에서 안어울린다고 판단했는지 애니 방영분에서는 해당 가사만 2절의 것으로 바꾸었다. 온갖 작화뽕을 받은 메이리를 내세운 영상도 압권.
2.1.5. OP3
OP3 (37~52화) 君さえいれば 너만 있다면 |
||
|
||
TV ver. | ||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212529,#e0e0e0> 노래 | DEEN | |
작사 | 코마츠 미호 | |
작곡 | ||
편곡 | 이케다 다이스케(池田大介)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테일즈 오브 데스티니의 주제가 등으로 한국에서도 알려진 DEEN의 곡. 작사, 작곡은 코마츠 미호가 담당했다. 캐릭터들의 외모를 한참 미화한 엄청난 작화뽕의 오프닝 영상이 특징. 이 곡 역시 애니에서 쓰인 버전과 싱글 버전의 편곡이 다르다. 나중에 작사, 작곡을 맡은 코마츠 미호가 커버하기도 했다.
본격적인 인터넷 시대가 열린 2000년도 극 초반엔 이 곡이 " 러브히나 애니메이션의 OST로 가수는 해당 작품의 주인공 우라시마 케이타로의 성우인 우에다 유지"라는 식으로 곡 정보가 완전히 잘못 기재 된 MP3 파일이 나돌기도 했다. 두 노래 모두 곡명이 君さえいれば로 동일한 데다 깊이 의식하지 않고 들으면 우에다 성우가 연기한 케이타로와 DEEN의 목소리가 얼핏 비슷하게 들리기 때문에 발생한 착오로 보인다.[7]
2.1.6. ED3
ED3 (37~52화) 風のように自由 바람 같은 자유 |
||
|
||
TV ver. | ||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212529,#e0e0e0> 노래 | 우토쿠 케이코(宇徳敬子) | |
작사 | ||
작곡 | ||
편곡 | UK Project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원래는 록의 음색이 강한 편곡이었으나 41화부터 어쿠스틱 느낌이 강한 편곡으로 바뀌었다. 위 영상에 쓰인 버전 역시 41화 이후 버전이며 음반으로 발매된 쪽도 41화 이후 편곡 기반. 애니 방영당시엔 없었으나 음반 발매시 ~Free as the wind~라는 부제가 붙었다. 오프닝, 엔딩, 본편을 통틀어서 애니메이션의 작화는 기본적으로 원작과 꽤 차이가 있으나 이 엔딩은 비교적 원작의 화풍에 근접한 편. 근데 어째 중반까지의 영상은 19세기 중국과는 영 동떨어진 상황이 펼쳐진다.
2.2. 한국어판
2.2.1. OP
OP 불명 |
||
|
||
TV ver. | ||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212529,#e0e0e0> 노래 | 배연희 | |
작사 | 배연희, 이원희 | |
작곡 | 김윤건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절 빛나게 살고 싶어 언제나 웃으며 날아볼까 눈부시게 비치는 찬란한 햇살 우리의 길 멀고 험해도 지금 달려가면 희망의 미래가 있어 2절 최고가 되고 싶어 언젠가 힘차게 달려볼까 찬란하게 눈 부신 저 높은 태양을 향해 함께 날아봐 지금 시작하면 빛나는 미래가 있어 후렴 푸르른 바다를 향해 저 높은 하늘을 향해 우리의 꿈을 찾아서 날개를 활짝 펴자 무지개 빛 꿈을 찾아서 쓰러져도 멈추지 않아 우리의 꿈 최고의 꿈 반드시 이룰거야 |
KBS판 오프닝은 번안곡이 아닌 순수 창작곡이며, 보컬인 배연희와 이원희가 작사를, 김윤건이 작곡을 했다.[8] 오프닝 & 엔딩의 보컬을 맡은 배연희는 강변 가요제 우승 경력의 실력파로, 이 외에 리리카 SOS의 한국판 주제곡인 도시의 천사도 불렀다. 작곡가 김형석 사단에서 보컬 디렉터로 활동했으며, 한스밴드를 시작으로 이정현, 조성모, 이수, 진혜림, 박용하등의 제자를 키워낸 국내에서도 손꼽히는 트레이너이자 보컬 디렉터이다. 현재는 동덕여대 실용음학과 교수로 서 제자들을 가르치고 있으며, 작곡가인 김윤건과는 예전에 한 팀으로 활동했다. 그 팀의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리리카와 요리왕 비룡 무적 캡틴 사우르스 등의 애니메이션 곡을 녹음하게 됐다. 곡이 워낙 명곡이라 원판 초월이라는 평가도 많은 편이며, 90년대를 수놓았던 애니송 명곡을 꼽으라면 절대 빠지지 않는 곡이다.
영상은 일본판을 이래저래 짜집기해서 만들었는데, 의도한게 아니겠지만 가면요리사가 최종보스처럼 느껴지는 구성인게 특징. 그리고 23초 즈음에 소호가 유란을 뜀틀처럼 넘어가는 장면이 갑작스럽게 편집돼서 끊기는데, 원본에선 넘어가는 척 하면서 유란의 가슴을 만지는 성추행을 저질러서 그렇다. 지상파 방송에서 이런걸 내보냈다간 큰일나기 때문에 방송심의상 삭제한 것. 애니맥스 버전에서는 이게 그대로 나온다.
마구마구의 OST인 Shining Star와 너무 비슷하여 표절 논란이 있었는데, 드러난 진실은 바로 작곡가가 김윤건으로 같았다는 것. 즉 표절이 아니라 자기복제이다. 사실 너무 심하게 비슷해서 문제가 된 것으로 마구마구의 OST가 10년 늦게 나왔다고 한다. 해명영상을 통한 설명.[9]
금영노래방에 '요리왕 비룡(Main)'이라는 제목으로 60111에 수록되어 있다.
시간이 흘러 2020년에는 이 곡을 부른 가수 배연희가 유튜브 채널을 오픈하면서 다시 오프닝곡을 불렀다.
2.2.2. ED
ED 불명 |
||
|
||
TV ver. | ||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212529,#e0e0e0> 노래 | 배연희 | |
작사 | 배연희, 이원희 | |
작곡 | 김윤건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멀지만은 않을거야 요리와 영광의 그 날이 최고의 길 아직 멀고 험해도~ 언젠가는 반드시 (아하) 이뤄내고 말거야 (아하) 천하제일 특급 요리사 (아하) 그 꿈을 위해 상큼한 희망과 달콤한~ 미래 모두가 놀라 그 이름을 외칠~거야 천재소년 비룡 요리왕 비룡 참 환상적인 하늘의 맛 만들거야 멀지만은 않을거야 요리와 영광의 그 날이 최고의 길 아직 멀고 험해도~ 언젠가는 반드시 (아하) 이뤄내고 말거야 (아하) 천하제일 특급 요리사 (아하) 그 꿈을 위해 상큼한 희망과 달콤한~ 미래 모두가 놀라 그 이름을 외칠~거야 천재소년 비룡 요리왕 비룡 참 환상적인 하늘의 맛 만들거야 |
엔딩곡. 작사는 배연희와 이원희이고, 작곡은 김윤건이다.
KBS 방영 당시에는 초기에는 오프닝과 엔딩 둘 다 기존 오프닝을 사용하고 있었다가 중반부에 이 곡을 오프닝으로 바꾸고 기존에 쓰던 오프닝을 엔딩으로 옮긴 적이 있었다. 그러다가 후반부에 다시 기존 오프닝으로 바꾸고 이 곡을 엔딩으로 옮겼다.
금영노래방 기기에는 '요리왕 비룡(Ending)'이라는 제목으로 60112에, TJ노래방에는 '요리왕비룡 2기 엔딩'이라는 제목으로 17389에 수록되어 있다.
3. 회차 목록
<rowcolor=#212529,#e0e0e0> 회차 | 제목[10]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방영일 |
제1화 |
天才料理少年マオ 천재요리소년 비룡 |
스가 요시유키 (菅 良幸) |
카가와 유타카 (香川 豊) |
타케우치 아키라 (武内あきら) |
日: 1997.04.27. 韓: 1999.07.05. |
|
제2화 |
幻の麻婆豆腐対決 환상의 마파두부 |
타카기 준 (高木 淳) |
타니구치 모리야스 |
日: 1997.05.04. 韓: 1999.07.06. |
||
제3화 |
めざせ! 特級厨師 요리사의 길 |
키시마 노부아키 (岸間信明) |
이이지마 마사카츠 (飯島正勝) |
이토 코지 (伊藤広治) |
日: 1997.05.11. 韓: 1999.07.07. |
|
제4화 |
非情! 陽泉酒家の掟!! 양천주가의 전통 |
토다 히로시 (戸田博史) |
테라히가시 카츠미 (寺東克己) |
니시다 켄이치 (西田健一) |
마루야마 코이치 (丸山宏一) |
日: 1997.05.18. 韓: 1999.07.08. |
제5화 |
伝統を打ち破れ! 打倒・陽泉酒家 우리는 친구 |
사가 사토시 (さがさとし) |
후치가미 마코토 (渕上 真) |
무라카미 겐이치 (村上元一) |
日: 1997.05.25. 韓: 1999.07.12. |
|
제6화 |
火炎料理人・餃子兄弟 만두형제의 음모 |
스가 요시유키 | 타카기 준 | 타니구치 모리야스 |
日: 1997.06.01. 韓: 1999.07.13. |
|
제7화 |
卑劣な罠! 追いつめられたマオ 만두잔치 |
키시마 노부아키 | 카가와 유타카 |
이시카와 테츠야 (石川哲也) |
日: 1997.06.08. 韓: 1999.07.15. |
|
제8화 |
対決! ドラゴン餃子!! 정직한 대결 |
스가 요시유키 | 이이지마 마사카츠 | 마루야마 코이치 |
日: 1997.06.15. 韓: 1999.07.19. |
|
제9화 |
夢への挑戦! 特級厨師試験 특급요리사 시험 |
키시마 노부아키 | 테라히가시 카츠미 | 니시다 켄이치 | 타니구치 모리야스 |
日: 1997.06.22. 韓: 1999.07.21. |
제10화 |
究極の技! 国士無双の麺 끝없는 도전 |
스가 요시유키 | 사가 사토시 | 후치가미 마코토 | 무라카미 겐이치 |
日: 1997.07.06. 韓: 1999.07.22. |
제11화 |
最終決戦! 伝説の闘味場 새로운 신화 |
키시마 노부아키 |
타카무라 아키라 (高村 彰) |
마스타니 사부로 (増谷三郎) |
日: 1997.07.13. 韓: 1999.07.26. |
|
제12화 |
宿命の天才・美少年料理人フェイ 두 천재요리사 |
스가 요시유키 | 타카기 준 |
미야자키 나기사 (宮崎なぎさ) |
日: 1997.08.03. 韓: 1999.07.27. |
|
제13화 |
完成ナマズ麺! 運命の判定 운명의 판정 |
키시마 노부아키 | 카가와 유타카 | 이시카와 테츠야 |
日: 1997.08.10. 韓: 1999.07.28. |
|
제14화 |
勝者の証・栄光の紋章 최후의 승자 |
토다 히로시 | 테라히가시 카츠미 | 스기시마 쿠니히사 | 마루야마 코이치 |
日: 1997.08.17. 韓: 1999.07.29. |
제15화 |
天才料理少年!? シロウ? 천재악동 소호 |
키시마 노부아키 | 니시다 켄이치 | 타니구치 모리야스 |
日: 1997.08.24. 韓: 1999.08.02. |
|
제16화 |
超ボイン! 美人に注意甘い罠 미녀요리사의 정체 |
스가 요시유키 | 후치가미 마코토 | 무라카미 겐이치 |
日: 1997.08.31. 韓: 1999.08.03. |
|
제17화 |
甦れ! 幻のおこげ料理! 전설의 누룽지탕[11] |
이이지마 마사카츠 | 미야자키 나기사 |
日: 1997.09.14. 韓: 1999.08.04. |
||
제18화 |
赤の恐怖・幽霊屋敷の秘密 도깨비집의 정체 |
키시마 노부아키 | 카가와 유타카 |
츠바타 요시아키 (津幡佳明) |
日: 1997.09.21. 韓: 1999.08.05. |
|
제19화 |
愛のかけ橋・[ruby(銀河麺, ruby=ギャラクシーメン)] 사랑의 은하수 |
스가 요시유키 | 니시다 켄이치 | 마루야마 코이치 |
日: 1997.10.26. 韓: 1999.08.09. |
|
제20화 |
不幸をよぶ黒い鶏 전설의 닭, 오골계 |
키시마 노부아키 |
코시 시게오 (腰 繁男) |
타니구치 모리야스 |
日: 1997.11.02. 韓: 1999.08.11. |
|
제21화 |
大陸一の男! 陽泉酒家への挑戦 의문의 도전자 |
스가 요시유키 | 후치가미 마코토 | 무라카미 겐이치 |
日: 1997.11.16. 韓: 1999.08.12. |
|
제22화 |
撃墜王! 標的にされたマオ 만두명인, 천봉 |
키시마 노부아키 | 히라마츠 타다시 | 스기시마 쿠니히사 | 미야자키 나기사 |
日: 1997.11.30. 韓: 1999.08.16. |
제23화 |
輝け! [ruby(大宇宙焼売, ruby=ビッグバンしゅうまい)] 후회없는 대결 |
카가와 유타카 |
타카하시 히데요시 (高橋英吉) |
日: 1997.12.07. 韓: 1999.08.18. |
||
제24화 |
謎の招待状・仮面料理人の罠 가면요리사의 초대장 |
스가 요시유키 | 테라히가시 카츠미 | 이이지마 마사카츠 | 마루야마 코이치 |
日: 1997.12.14. 韓: 1999.08.19. |
제25화 |
引き継がれた[ruby(魂, ruby=スピリッツ)]・異人館の血戦!! 가면요리사의 정체 |
키시마 노부아키 | 코시 시게오 |
노구치 다이조 (野口大蔵) |
日: 1997.12.21. 韓: 1999.08.23. |
|
제26화 |
最強の切札! あざ笑う[ruby(悪魔, ruby=ジョーカー)] 마지막 승부 |
스가 요시유키 | 니시다 켄이치 | 타니구치 모리야스 |
日: 1998.01.18. 韓: 1999.08.24. |
|
제27화 |
壮絶! 復讐の[ruby(最終楽章, ruby=グランドフィナーレ)]! 가면요리사의 추억 |
키시마 노부아키 | 히라마츠 타다시 | 스기시마 쿠니히사 | 미야자키 나기사 |
日: 1998.01.25. 韓: 1999.08.25. |
제28화 |
友情の[ruby(野外, ruby=アウトドア)]料理 심야의 결투 |
스가 요시유키 | 후치가미 마코토 |
오오시타 큐마 (大下久馬) |
日: 1998.02.01. 韓: 1999.08.26. |
|
제29화 |
裏からの[ruby(刺客, ruby=ヒットマン)]・冷血の天才レオン 암흑요리계의 도전 |
키시마 노부아키 | 테라히가시 카츠미 | 카가와 유타카 | 타카하시 히데요시 |
日: 1998.02.15. 韓: 1999.08.30. |
제30화 |
魔性の切れ味! 妖刀七星刀! 칠성도와 백혈도 |
코시 시게오 | 노구치 다이조 |
日: 1998.02.22. 韓: 1999.08.31. |
||
제31화 |
四大中華を閉じ込めろ! 真鯛大陸封 환상의 도미요리 |
스즈키 타카요시 (鈴木孝義) |
니시다 켄이치 |
미즈노 토모키 (水野知己) 노구치 다이조 |
日: 1998.03.01. 韓: 1999.09.01. |
|
제32화 |
氷と炎! 激突!! 料理人魂 얼음과 불의 대결 |
스가 요시유키 | 코시 시게오 |
타니구치 모리야스 마루야마 코이치 |
日: 1998.03.08. 韓: 1999.09.02. |
|
제33화 |
伝説の厨具! 永霊刀の秘密!! 전설의 요리기구 영령도의 비밀 |
키시마 노부아키 | 스기시마 쿠니히사 | 타카하시 히데요시 |
日: 1998.03.15. 韓: 1999.09.06. |
|
제34화 |
魔都上海! 裏からの宣戦布告!! 암흑요리계의 선전포고 |
코시 시게오 | 니시다 켄이치 | 마루야마 코이치 |
日: 1998.03.22. 韓: 1999.09.07. |
|
제35화 |
水上大闘味場! 鉄腕スープの魔力 선상의 요리대결 |
스가 요시유키 | 카가와 유타카 | 荻一村 |
日: 1998.04.19. 韓: 1999.09.08. |
|
제36화 |
サンチェ特製! 冷製煮こごりスープ 소추의 용궁자라탕 |
이이지마 마사카츠 | 타니구치 모리야스 |
日: 1998.04.26. 韓: 1999.09.09. |
||
제37화 |
面点[ruby(王, ruby=キング)]ラコン! 千六百年の鎮魂饅頭 전설의 만두황제 |
키시마 노부아키 |
후쿠시마 히로유키 (福島宏之) |
하부 나오야스 (羽生尚靖) |
시마즈 이쿠오 (嶋津郁雄) |
日: 1998.05.03. 韓: 1999.09.13. |
제38화 |
スーパー点心大激突! 究極の裁定!! 전통과 파격의 대결 |
스가 요시유키 | 니시다 켄이치 | 타카하시 히데요시 |
日: 1998.05.10. 韓: 1999.09.15. |
|
제39화 |
もうひとつの七星刀! 謎の美女シャン 의문의 칠성도 |
키시마 노부아키 | 카가와 유타카 |
이리에 아츠시 (入江 篤) |
日: 1998.05.24. 韓: 1999.09.16. |
|
제40화 |
目覚めよレオン! 料理人の宿命 일석의 회상 |
스가 요시유키 | 후치가미 마코토 |
시오카와 타카시 (塩川貴史) |
日: 1998.05.31. 韓: 1999.09.20. |
|
제41화 |
邪剣を砕け! 魂の七星刀!! 칠성도의 비밀 |
키시마 노부아키 |
스즈키 와루오 (鈴木輪流郎) |
카세 마사히로 (加瀬政広) |
日: 1998.06.07. 韓: 1999.09.21. |
|
제42화 |
復讐鬼ショウアン!! 因縁の結末 복수의 화신 |
스가 요시유키 | 하부 나오야스 | 시마즈 이쿠오 |
日: 1998.06.14. 韓: 1999.09.22. |
|
제43화 |
マオの実力! [ruby(大魔術熊猫, ruby=マジカルパンダ)]豆腐 마법의 마파두부 |
키시마 노부아키 | 니시다 켄이치 | 타카하시 히데요시 |
日: 1998.06.21. 韓: 1999.09.27. |
|
제44화 |
衝撃の判定! 仙女の手のひら 불타는 누린함 |
스가 요시유키 | 카가와 유타카 |
아사쿠라 타카미츠 (朝倉高光) |
日: 1998.06.28. 韓: 1999.09.28. |
|
제45화 |
長江炎上! ショウアン大海に死す 장풍의 최후 |
키시마 노부아키 | 후치가미 마코토 | 시오카와 타카시 |
日: 1998.07.26. 韓: 1999.09.29. |
|
제46화 |
シェルを救え! 麺のあらし 도적단의 흉계 |
스가 요시유키 | 스즈키 와루오 | 카세 마사히로 |
日: 1998.08.02. 韓: 1999.09.30. [12] |
|
제47화 |
魔神降臨! 奇跡の魔聖銅器 공포의 항아리 |
키시마 노부아키 | 니시다 켄이치 | 타카하시 히데요시 |
日: 1998.08.09. 韓: 1999.10.04. |
|
제48화 |
天かける星! 特製[ruby(彗星, ruby=コメット)]炒飯 혜성 볶음밥 |
하부 나오야스 | 시마즈 이쿠오 |
日: 1998.08.16. 韓: 1999.10.05. |
||
제49화 |
闇の迷宮! 心をつなぐ一杯の粥 죽 한 그릇의 사랑 |
카가와 유타카 |
아베 히로유키 (阿部宏幸) |
日: 1998.08.23. 韓: 1999.10.06. |
||
제50화 |
帝都北京! 牙をむく裏料理界 최후의 음모 |
스가 요시유키 |
타카야마 히데키 (高山秀樹) |
후치가미 마코토 | 시오카와 타카시 |
日: 1998.08.30. 韓: 1999.10.07. |
제51화 |
天才フェイの秘策! ネオ万漢全席 황실요리 대결 |
스즈키 와루오 | 카세 마사히로 |
日: 1998.09.06. 韓: 1999.10.11. |
||
제52화 |
大逆転! 栄光の勇厨師たち 중화요리왕 |
니시다 켄이치 | 타카하시 히데요시 |
日: 1998.09.13. 韓: 1999.10.12. |
4. 해외 공개
4.1. 대한민국
KBS 2TV 월~목요일 애니메이션 | ||||
정글북 | → | 요리왕 비룡 | → | 무적캡틴 사우루스 |
KBS 영상사업단이 수입 후 더빙제작을 맡아 1999년 7월 5일부터 10월 12일까지 매주 월~목 오후 6시 40분마다[13] KBS2를 통해 요리왕 비룡이라는 제목으로 한국어 더빙판을 방영했다. 번역은 김성연, 연출은 이원희 PD가 담당했다.
방영 당시 엄청난 인기몰이를 했으며, 1980~90년대에 유년~청소년 시절을 보낸 이들에겐 빠지지 않고 언급되는 전설의 작품. 이후 케이블 채널에서 방영권을 가져와 여러번 재방을 했는데 2000년 대교방송, 2004년 애니원TV,[14] 2015~2016년 애니맥스에서도 재방영됐다.[15]
작중에 등장하는 캐릭터들의 이름이 중국식 발음이기 때문인지 전부 로컬라이징을 했는데, 기본적으론 한자를 음독하되 발음이 애매해지는 경우는 전부 임의로 지어냈다. 그래서 몇몇을 제외하면 이름의 한자 표기 자체가 존재하지 않으며, 심지어 이름이 한자로 표기되어 있는 몇 안되는 인물들의 경우마저 표기를 따르지 않았다. 맹달이나 여포, 황호 등 삼국지연의에서 따온 듯한 이름도 보인다.
주요 배경이 청나라 말기의 중국이기에 일본 느낌이 거의 없다. 이 때문에 당시 방영된 일본 애니메이션 중에서는 드물게도 미방영된 에피소드가 단 1편도 없다. 낫토, 우메보시, 일본식 주먹밥 같은 일본식 음식들도 ' 왜나라'에서 건너온 음식이라는 식으로 알맞게 처리했다. 예를들어 낫토는 한자식 표기인 납두(納豆)라고 표기함과 동시에 불린 콩에 짚을 넣어 발효해 먹는 음식이라고 정확하게 설명하는데, 당시로서는 매우 파격적이라고 할 수 있다.[16] 아마도 앞서 언급된 음식들은 스토리상 빼기 어려운 키 아이템으로 다뤄지기 때문에 살리는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
다만 방영시간에 끼워 맞춰야 하는 이유 때문에 부분적으로 삭제되거나 편집된 장면이 생각보다 많다. 일단 1화에서부터 이유는 모르겠지만 수 많은 부분이 편집됐다. 소호의 어머니가 일본인이라는 사실도 다른 지방에서 왔다는 식으로 처리했다. 그래서 소호가 합류하는 에피소드만 보면 소호의 고향이 사천 밖의 어느 지방이고, 일본식 음식인 우메보시나 오니기라도 중국이나 외국 어느 지방의 요리로 착각할 수 있다. 원작에서는 마오가 우메보시나 주먹밥 같은 일본요리를 처음 먹어본다는 투의 대사를 시전하지만, 한국어 더빙판에선 일본 관련 요소를 최대한 드러내지 않는 식으로 더빙했기 때문. 하지만 상해에서 벌어진 암흑요리계와의 대결에서 비룡이 "소호 어머님이 말씀하신 왜나라의" 라는 대사로 일본인이라는 걸 암시하는 장면이 나온다.[17] 또한 소추가 칼질하다 손을 다쳐 피를 흘리는 장면, 운남성에 발령받은 관리 맹달이 소호의 어머니에게 수작을 부리거나 소호가 유란을 성추행하는 장면[18], 해조가 심사위원들에게 술을 대접하는 부분, 일석에게 칠성도를 들이밀며 '죽어'라고 말하는 부분, 장풍이 비룡을 구타하는 부분 등 잔인하거나 폭력적이거나 선정적인 부분은 전부 삭제됐다.[19] 방영시간을 맞춰야 하는 이유로 에피소드 초반부나 아이캐치 직후 부분 등 일부 장면이 삭제됐지만 이야기의 흐름에 방해되지 않게 편집했다.[20]
또한 흰 공과 빨간 공을 단지에 넣어서 심사하는 방법이나, 심사관들이 흰 숟가락과 빨간 숟가락을 택일하여 다수결로 판정을 내리는 것은 전형적인 일본식 방법인데 이런 것도 전혀 잘리지 않고 그대로 방영됐다. 해당 채점법이 일본식일 뿐 하는 사람은 100% 중국인이고 이게 딱히 왜색으로 비춰지는 건 아니니 놔둔듯. 그리고 이런 방식의 심사가 일본식인 것은 우리나라에서 그다지 알려지지도 않았고 딱히 왜색일만한 부분도 없었다. 라면집에서 식사하는 장면도 전형적인 일본식 라멘집인데 이것 역시 그대로 방영됐다.
한국어 더빙이 상당히 잘되어 국내 팬들에게 반응이 상당히 좋았는데, 리액션에서 좀 오버한다는 느낌이 들지만 묘하게 잘 어울린다. 그리고 한국 더빙판만의 특징으로, 외국어를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 원판에서는 외래어(특히 영어)가 많이 나오지만, 한국판의 경우 원판에서 외국어로 나온 부분도 최대한 한국어로 번역했다.[21] 한국에서 익숙하지 않은 식재료인 닭새우, 우메보시, 상해참게(상해대갑게)는 비슷한 바닷가재(바닷새우), 매실장아찌(또는 소금에 절인 매실), 꽃게로 적절히 의역한 것을 제외하면 재료나 요리 이름도 의역 없이 제대로 번역했다.
국내판 더빙은 화면에 나오는 한자를 전부 훈독하거나 해석해서 자막으로 띄웠다. 예를 들어 미미(美味) : 매우 뛰어난 맛
일본판도 타나카 마유미, 유키노 사츠키[22], 오오츠카 아키오, 이시모리 탓코우, 하야미 쇼, 칸나 노부토시, 코스기 쥬로타, 사카구치 다이스케, 오키아유 료타로, 모리카와 토시유키, 오가타 켄이치, 요시다 리호코 등 초호화스러운 성우진을 자랑하지만 한국판 역시 이에 못지않다. 최수민, 장정진, 문선희, 주호성, 김정애, 이봉준, 김소형, 김승준, 김일, 온영삼, 박상일 등 가히 어느 쪽이 더 호화로운지 우열을 가리기 힘들 정도.
김정애 성우가 자그마치 1인 4역을 맡아 아동, 소년, 누님, 여성(소호 / 소추 / 진진 / 채린)의 목소리를 모두 소화하는 역량을 보여준다. 물론 최수민을 제외하고는 전부 겹치기 출연을 했었다. 장정진 성우의 경우는 장룡 사부와 뒷요리계의 괴노인을 같이 맡았고, 유란역을 맡은 문선희 성우는 해조 역과 '비룡&진진'남매의 친어머니 미령(파이) 요리사 역을 함께 맡았다.[23]
비룡 역을 연기한 최수민 성우는 홍쇼에서 언급하기를 처음에는 제목만 듣고 '남자가 무슨 요리왕이지?'와 같은 편견을 가지기도 했었으나[24], 대본을 받아서 집에서 보니까 너무 좋았다고 한다. 최수민 성우는 이 비룡을 '슬픔을 극복하고 이겨나가는 캐릭터'라고 해석하며 연기했다고 한다.
참고로 오프닝은 강변가요제 출신의 배연희가 불렀으며, 작사 작곡은 윤건. (시대가 다르니) 당연하지만 브라운 아이즈의 윤건과는 다른 사람. 트위터로 해명했다.
방영 당시 계림닷컴(현 계림북스)에서 'TV 애니메이션 소설'과 '퍼즐애니북스' 레이블로 동화책과 그림책을 냈고, 손오공의 관계사 서울애니메이션에서도 비디오테이프로 냈다.
5. 평가
당시 애니메이션 상당수가 그렇듯 작화의 질은 불안정한 수준이다. 작붕이 심각한 화가 있는가 하면 꽤 안정적인 화도 있고 공을 많이 들인것이 눈에 띄는 화도 있다. 대표적으로 가면요리사 편의 엔딩인 27화의 작화가 매우 우수한 편. 그리고 오프닝/엔딩은 쓸데없이 작화가 아주 훌륭해서 같은 인물이지만 느낌이 상당히 다르기 때문에 본편과의 갭이 심하다.이후 디지몬 시리즈의 삽입곡이나 주제가를 많이 다루게 되는 오오타 미치히코(太田美知彦)가 담당한 BGM의 평도 상당히 좋은 편. 그 전설의 누룽지탕 리액션에 나오는걸로 유명한 BGM인 만리장성 #이 현재까지도 밈으로 사용될 정도로 유명하며 그 외에도 요염 # 등 뛰어난 퀄리티의 BGM이 다수 존재한다. BGM과 OP/ED곡의 TV사이즈 버전을 수록한 OST도 따로 발매됐다.
DVD는 2006년에 총 10권 분량으로 발매됐고 비슷한 시기에 DVD-BOX도 상하편으로 발매됐다. 2015년에 디지털 리마스터판이라는 명칭으로 DVD-BOX가 새로 발매됐다. 일본 아마존닷컴 프라임 비디오에도 2016년에 업로드됐다.
차원을 넘나드는 요상하고 과장된 리액션이 특징. 그래서인지 내용을 몰라도 그 요리에 대한 리액션은 기억하는 사람들이 있을 정도. 그리고 원작도 그렇지만 애니판에서도 참 기상천외한 요리들이 제법 나온다.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슈르함과 광기를 느끼는 사람도 있는 모양. 조리 과정이나 시식하는 장면에서 괜히 액션이 들어가기도 한다. 용을 타고 싸우거나 가장 유명한 장면은 아래 누룽지탕 에피소드의 경우 필수요소화 되어 만화 자체는 몰라도 저 장면만은 아는 사람들이 많다. 흔히 알려진 뭔가를 먹고 뒤에 '美味'나 '至福' 같은 한자가 나오며 누군가가 과하게 기뻐하는 장면은 전부 이쪽의 패러디.
용자 시리즈 등 로봇물로 유명한 피즈 사운드의 효과음이 이 작품에서도 쓰였는데, 특히 섬광이 뿜어져 나오는 연출에서는 무슨 용자물 필살기 같은 효과음이, 용이 나오는 연출은 전형적인 피즈 사운드 계열의 용 포효 사운드, 불사조나 주작이 날아오르는 연출 역시 특유의 새 효과음이 나온다.
6. 원작과의 차이점
그림체가 조금 더 미형이다. 원작은 조금 통통하면서 둥글둥글하다. 주인공 류마오신부터가 먹성좋은 요리사라는 점을 반영했는지 마치 허영만의 식객에 나오는 성찬처럼 복스럽게 그려진다.따라서 외모버프의 영향으로 주인공을 조금 영웅적이게 연출한다. 원작은 허당 이미지가 강하다. 또 히로인과의 관계도 원작은 그냥 친구 느낌이 강한데 애니 쪽은 러브라인에 힘을 준 편이다. 엄밀히 말해선 주인공은 관심이 덜한데 히로인 쪽에서 많이 좋아하는 형식이다. 원작은 아예 히로인이 다른 남자에게 갈 뻔한 NTR 비슷한 스토리까지 있어 대조적이다.
기본적으로 대략 12권(2부 7권)정도까지의 원작 전개를 충실히 따라갔다. 즉, 구화마을 사건까지.
다만 애니화가 너무 일찍 되어버렸으므로 원작에서 장황하게 나오는 서양요리사 바자르와의 대결, 양천주가 방화사건과 마오가 용의자로 누명쓰고 사형 당할 위기에 처했을 때 위기에서 빠져나오기 위해 쿠안 장로의 손녀를 위한 요리를 만드는 내용 등 굵직한 스토리들이 대거 잘려나갔다. 그외에 일부 요리 대결은 오리지널 스토리로 진행됐는데, 이를테면 애니에서 뒷요리계의 샹의 음모에 빠진 마오와 메이 리가 동굴속에 갇힌 에피소드에 나오는 소금물을 증류해 담수를 만들도록 해주는 특수한 냄비는 원작에서 상해로 향하던 중 난파되는 과정에서 나오며, 애니 최종 에피소드인 황실 요리대결에서 광서제가 먹은 악용죽&봉황수정은 원작에서 광주련대표 쿠안 장로의 손녀의 병을 고칠때 나오는 요리다.
또한 세세한 설정변경도 많은데 쇼안(장풍)이 원작과 달리 처음부터 안대를 차고 있는 것으로 나오고[25] 메이리와 만날때 부분이랑[26] 양천주가로 들어갈 때 메이 리랑 같이 들어가는 것[27]과 뒷배경에도 약간 차이가 있다든가, 원작에서는 특급주사 시험 이후 마오(비룡) 혼자 떠나는 요리수행을 애니에서는 메이리(유란)가 동행하는 등 원작에 있는 에피소드라도 설정이나 전개가 달라지기도 한다.
구작 애니판의 결말은 암흑요리계[28]에 의해 세뇌당한 훼이(아미)가 광서제[29][30] 앞에서 마오와 대결을 펼치는 최종 보스로 나오고 이후 정신을 차린 훼이와 함께 여행을 떠나는 걸로 끝나지만 원판은 그런거 없이 뒷요리계 최고간부 '오호성'이 이후 모습을 드러내며 결국 오호성의 총대장인 카이유와 서태후(!) 앞에서 최종 보스전을 치르게 된다. 애니화되는 대부분의 만화들이 겪는 '원작과 애니메이션 전개속도의 차이' 때문. 이 때문에 애니메이션은 결말이 후속 2기가 있는 것처럼 끝나버렸기 때문에 이는 구작 애니메이션의 평가가 안 좋아진 이유가 됐다.
원작팬들에게는 일단 중간에 끊긴 것도 있겠지만 대체적으로 원작과 갭이 심한 그림체[31], 애니화된 만화의 팬덤 대부분과 마찬가지로, 애니판 특유의 막나가는 요리과정이나 리액션 연출 등 세세하게 바뀐 전개나 설정 등에서 호불호가 갈리는 편이다. 하지만 원작자는 구작 애니판에 대해 꽤 좋은 평가를 내리고 있다. 무료로 볼 수 있는 기회가 있으면 반드시 트위터에 그 루트를 소개할 정도이다.
7. 리메이크: 요리왕 비룡 더 마스터
자세한 내용은 요리왕 비룡 더 마스터 문서 참고하십시오.
[1]
스튜디오 삐에로의 창립멤버로, 감독작은 몇 안되며 주로 연출가로 활동했다. 2000년대에 연출로 참여한 유명 작품은
블리치 정도. 2013년 스튜디오 삐에로를 퇴사하고 업계에서 은퇴했다.
[2]
닛폰 애니메이션 소개 홈페이지.
[3]
야히로 아사히 라는 필명으로도 활동한적 있다.
우주마신 다이켄고,
오늘부터 우리는!! 등으로도 유명.
[4]
방영 기간이 무려 1년 5개월로 기간만으로 따지면 거의 6쿨 정도의 엄청난 분량인데, 야구 중계 등으로 휴방을 밥먹듯이 해서 약 반년 정도의 시간을 버렸기에 실제 방영 분량은 4쿨밖에 안된다.
[5]
닛폰 애니메이션은 자신들이 제작했다는 애니메이션도 기획 정도만 하고 실제 제작은 하청을 돌리는 경우가 많다. 해당 제작사의 가장 대표적인 작품인
마루코는 아홉살도 아지아도 하청. 본 애니메이션의 감독인 안노 마사미도 피에로 창립멤버 중 하나며 애니업계에서 은퇴할 때까지 피에로 소속이었다. 다만 닛폰 애니메이션 소속 직원이 참여를 안한 것은 아니다.
[6]
사실 이런 연출은 포켓몬 쇼크가 뉴스에 뜨는 식으로 엄청 유명해지기 전까지만 해도 여러 애니에서 자주 쓰이던 기법이었다.
[7]
당시에는 인터넷으로 얻을 수 있는 정보가 부족했기 때문에 진짜로 다들 저렇게 생각했고 이 곡이 러브히나의 OST라는 식으로 인터넷에 퍼졌다. 덧붙여 러브히나의 엔딩곡은 작중
우라시마 하루카를 연기한
하야시바라 메구미, 즉 여성 성우 겸 가수가 부른 곡이다.
[8]
브라운 아이즈의 윤건과는 동명이인으로 다른 사람이다. 가장 유명한 노래로는
MBC SPORTS+
KBO 리그 하이라이트 BGM과 게임트랙.
[9]
영상을 보면 작곡가인 김윤건이 해명하는 과정에서 요리왕 비룡의 오프닝 가수인 배연희가 반만 DNA 복제구만.이라고 하는 부분이 있다.
[10]
국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KBS 2TV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11]
그 유명한 오오옷!이 나오는 에피소드다.
[12]
여담으로 서장이 면을 무한 리필로 폭풍 흡입하는 씬은 이와테현의 명물 완코 소바를 패러디 한것이라 한다.
[13]
8월 30일부터 오후 6시 15분으로 땡겨졌고, 그 자리에는 어린이드라마로 메꿔졌다.
[14]
현재 한국판 영상으로 돌아다니는 건 대부분 애니원TV나 챔프 등
대원방송 계열 채널의 방영분을 녹화한 것. 원작 만화의 애장판 정발과 비슷한 시기에 방영을 시작한 것을 봐서는 홍보 효과(학산문화사와 대원방송 모두 대원 계통이다)를 노린 듯.
[15]
애니맥스판은
Laftel에서 다시 볼 수 있다.
# 참고로 이 버전은 일어판 2~3기 오프닝 영상을 짜집기해 오프닝 영상을 만들었으며, 화면 편집 작업도 새로 했다.
[16]
타 작품에선 이런 음식류도 가차없이 짤리거나 한국식으로 로컬라이징한다. 예를 들어
짱구는 못말려에서
낫토는
청국장 혹은
콩자반으로 변경되는 편이었다.
[17]
사실 암시라고 할 것도 없는게 소호(시로)의 어머니는 다른 사람들과 달리
기모노 차림에 전형적인
야마토 나데시코 모습이라 이미 누가봐도 일본인인 게 잘 드러나 있다.
[18]
한국판만 보면 유란이 뜬금없이 소호한테 화내는 거처럼 보인다
[19]
암흑요리사가 영령도로 자결하는 장면은 할복장면, 즉 피가 직접 나오는 부분만 삭제됐다. 피 묻은 영령도나 암흑요리사가 입에서 피를 흘리면서 양천주가 사람들에게 암흑요리계의 야망을 말하는 부분은 잘 나왔다.
[20]
예를 들어 가면요리사의 과거 회상도 혜미가 언급되기 전까지 전부 잘렸다. 물론 뒤에 가서 언급해도 부자연스럽지는 않다. 문제는 방영시간을 맞추기 위해 해독제를 먹이는 장면, 장룡이 가면요리사의 묘를 만들어준 장면 등 흐름상 자연스러웠던 장면이 삭제됐다.
[21]
스프를 육수나 탕 요리로, 레시피를 비법 소세지를 순대 등으로 그나마 청나라 시대에 맞게 번역됐다. 이 레시피 부분에 대해선 더빙제작을 담당한
이원희 PD의 코멘트가 있는데, 시대고증을 위해 실제 중국집 사장에게 자문을 구해 번역했다고 한다. 작품배경이 청나라 중국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일본어 원작에서 영어를 사용하는게 오히려 심하게 부자연스럽다고 느껴질 정도였다. 일본어 원작의 '바운드 자라스프', '마지컬 팬더두부', '네오 중화요리'보단 오히려 한국어의 '용궁자라탕', '마법의 팬더두부', '초월 중화요리'가 더 자연스럽다. 더빙판에서 외국어는 딱 하나 '샤부샤부'밖에 없다.
[22]
이 당시에는 데뷔 5년차의 신인이었다.
[23]
성우 문선희는 '유란' 역할 뿐만 아니라 4화에서는 소추의 어머니 역할을, 18화에서는 '혜련' 낭자 역할을, 19화에서는 '아랑' 아가씨 역할을 맡았다.
[24]
지금이야 유명한 남자 요리사들이 TV에 자주 나오지만 비룡이 방영했던 1990년대 후반은 남자 요리사에 대한 편견이 심했던 시절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배우
이정섭으로 특유의 여성스러운 목소리에, 요리를 잘 하는 이미지가 겹쳐져서 이정섭 여사님이라고 불렸던 일도 있다.
[25]
원작과 달리 눈에 기름에 의한 화상 때문에 안대를 찬 것으로 나오지만 나중에 다시 등장할때는 원작에서도 애니의 설정을 채용하여 애꾸눈으로 나온다.
[26]
원작에서는 코브라를 잡아달라고 하지만 애니에서는 닭으로 나온다.
[27]
애니는 산췌(한국 애니에서의 이름은 소추)랑 만나서 들어가는 것으로 나온다.
[28]
원작 뒷요리계. 더빙판에서는 암흑요리계, 또는 암흑패로 나온다. 뒷요리계라는 표현은 裏料理界의 역어로, 만화책판에서 나오는 표현. 오히려 암흑요리계가 더 자연스럽다는 의견이 있다.
[29]
생김새는
한푸를 입은 한나라나 송나라, 명나라식 복식에 뚱뚱한 모습으로 전혀 광서제 답지 않지만 광서제가 맞다. 란페이펑에게 하달된 임명서에
광서제라는 문구가 나오기 때문에 원작 최종결말이
서태후의 만한전석인 것에서도 알 수 있다.
[30]
근데 1화에서는 황제가 청나라 복장을 잘만 입고 나온다!
[31]
오래된 애니메이션답게 작화감독에 따라 그림체가 들쑥날쑥한 편이긴 한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작과 비슷한 그림체가 하나도 없다! 그나마 유사한 그림체는 본편이 아닌 3기 엔딩 영상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