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30 12:24:25

스파클(붕괴: 스타레일)/작중 행적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스파클(붕괴: 스타레일)
파일:붕괴 스타레일 로고.png
[[붕괴: 스타레일/등장인물|
캐릭터별 작중 행적
]]
{{{#!wiki style="margin: 0 -0px -10px"
{{{#!wiki style="margin: 0px; min-width: 100px; display:inline-block"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color=#ffffff,#dddddd>
## 구분선
[[붕괴: 스타레일/임무/개척 임무|
파일:호요랩_파멸척자 남.png

카일루스
파일:호요랩_파멸척자 여.png

스텔레
]][[히메코(붕괴: 스타레일)/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히메코.png

히메코
]][[웰트(붕괴: 스타레일)/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웰트.png

웰트
]][[Mar. 7th/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Mar. 7th.png

Mar. 7th
]][[단항/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단항.png

단항
]]
## 구분선
[[은랑/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은랑.png

은랑
]][[블레이드(붕괴: 스타레일)/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블레이드.png

블레이드
]][[카프카(붕괴: 스타레일)/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카프카.png

카프카
]][[반디(붕괴: 스타레일)/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반디.png

반디
]]
## 구분선
[[아를란/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아를란.png

아를란
]][[아스타(붕괴: 스타레일)/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아스타.png

아스타
]][[헤르타(붕괴: 스타레일)/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헤르타.png

헤르타
]][[완·매/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완매.png

완·매
]]
## 구분선
[[브로냐(붕괴: 스타레일)/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브로냐.png

브로냐
]][[게파드(붕괴: 스타레일)/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게파드.png

게파드
]][[클라라(붕괴: 스타레일)/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클라라.png

클라라
]][[서벌(붕괴: 스타레일)/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서벌.png

서벌
]][[나타샤(붕괴: 스타레일)/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나타샤.png

나타샤
]][[페라/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페라.png

페라
]][[삼포(붕괴: 스타레일)/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삼포.png

삼포
]][[후크(붕괴: 스타레일)/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후크.png

후크
]][[제레(붕괴: 스타레일)/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제레.png

제레
]][[루카(붕괴: 스타레일)/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루카.png

루카
]][[링스(붕괴: 스타레일)/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링스.png

링스
]]
## 구분선
[[연경(붕괴: 스타레일)/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연경.png

연경
]][[백로(붕괴: 스타레일)/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백로.png

백로
]][[청작/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청작.png

청작
]][[정운(붕괴: 스타레일)/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정운.png

정운
]][[소상(붕괴: 스타레일)/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소상.png

소상
]][[경원(붕괴: 스타레일)/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경원.png

경원
]][[나찰(붕괴: 스타레일)/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나찰.png

나찰
]][[어공/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어공.png

어공
]][[단항/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음월.png

단항·음월
]][[부현(붕괴: 스타레일)/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부현.png

부현
]][[경류/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경류.png

경류
]][[계네빈/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계네빈.png

계네빈
]][[곽향(붕괴: 스타레일)/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곽향.png

곽향
]][[한아/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한아.png

한아
]][[설의/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설의.png

설의
]][[운리/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운리.png

운리
]][[초구(붕괴: 스타레일)/작중 행적|]]
## 구분선
[[토파즈&복순이/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토파즈.png

토파즈&복순이
]][[어벤츄린/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어벤츄린.png

어벤츄린
]][[제이드(붕괴: 스타레일)/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제이드.png

제이드
]]
## 구분선
[[블랙 스완(붕괴: 스타레일)/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블랙 스완.png

블랙 스완
]][[미샤(붕괴: 스타레일)/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미샤.png

미샤
]][[스파클(붕괴: 스타레일)/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스파클.png

스파클
]][[갤러거(붕괴: 스타레일)/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갤러거.png

갤러거
]][[로빈(붕괴: 스타레일)/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로빈.png

로빈
]][[부트힐/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부트힐.png

부트힐
]]
파일:스타레일_은하.png | 은하
## 구분선
[[아젠티/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아젠티.png

아젠티
]][[Dr. 레이시오/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레이시오.png

Dr. 레이시오
]][[아케론(붕괴: 스타레일)/작중 행적|
파일:호요랩_아케론.png

아케론
]]
}}}}}}}}}}}}}}} ||
{{{#!wiki style="margin: 0px 5px; background-color: #3c4150;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5px; width:50px; text-align: center"

1. 개요2. 메시지3. 별무리 기행 PV: ≪스파클≫: 무대 뒤에서4. 개척 임무
4.1. 제3장 - 페나코니
4.1.1. 제1막: 음향과 분노4.1.2. 제2막: 비둘기 속의 고양이4.1.3. 제3막: 우리들의 시대에4.1.4. 제4막: 안녕, 페나코니
5. 동행 임무
5.1. 가면의 듀엣
6. 이벤트 스토리
6.1. 에테르 배틀

[clearfix]

1. 개요

온라인 게임 《 붕괴: 스타레일》의 등장 캐릭터 스파클의 작중 행적을 서술한 문서.

2. 메시지

## 테이블 시작
스파클
파일:스타레일 X 표시.png

상태 메시지
<colbgcolor=#F5F5F5>{{{#!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메시지 목록 1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able width=100%>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스파클
메시지 1
개척자
메시지 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선택지 1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메시지 목록 1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3. 별무리 기행 PV: ≪스파클≫: 무대 뒤에서

별무리 기행 PV: 「≪스파클≫: 무대 뒤에서」
{{{#!wiki style="margin:0 -10px"
{{{-1 {{{#!folding 기타 언어 버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8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일본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8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중국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2d2f34>
}}}}}}}}}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8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영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2d2f34>
}}}}}}}}}}}}}}}}}}}}}
파일:별무리기행_스파클1.png
본래 에도성의 연극배우 출신[1]이었으며, '스파클'은 그녀가 맡았던 배역의 이름이었다. 허나 배우 연기에 과몰입하다보니 결국 현실과 배역의 경계를 구분하지 못하게 되었고 계속되는 연극 속에 자신과 가면의 경계가 무너져 끝내 미쳐버리고 만다. 종국에는 자신이 '스파클'이 되었고 스파클의 인격에 본래의 인격이 잡아먹히고 만다.
파일:별무리기행_스파클2.png
다만 그 설정이 진실인지는 알 수가 없는 연출이 마지막에 등장하였다. '에도성 출신의 연극배우'라는 설정 조차 수많은 스파클의 과거 설정 중 하나일 수도 있다는 내용.

4. 개척 임무

4.1. 제3장 - 페나코니

4.1.1. 제1막: 음향과 분노

개척자의 꿈에서 블랙 스완과 대화하는 모습으로 첫 등장. 이후 페나코니의 꿈세계에서 어벤츄린을 놀리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파일:분탕충스파클.png
이후 삼포로 위장한 모습을 풀며 개척자와 반디를 재우며 "진짜 꿈세계"로 보낸다.[2]

그 후 1막 후일담에서는, 죽은 로빈으로 위장해 오빠인 선데이에게 접근한다. 선데이가 눈치채자 변장은 바로 풀지만, 복수하고 싶지 않냐고 속을 긁거나 죽은 로빈을 연기하며 취소될 위기에 처한 공연을 대신해주겠다고 비야냥거려, 애써 담담하게 계획을 짜던 선데이조차 분노케 한다. 그 후에도 글하지 않고, 그저 도와줄 수 있다고 말한 것 뿐이라며 어딘가로 유유히 사라진다. [3][4]

4.1.2. 제2막: 비둘기 속의 고양이

어벤츄린의 앞에 다시 나타난다. 선데이의 화합의 낙인에 의해 시한부가 된 어벤츄린을 보고 비웃으며 그래서 내가 벙어리랑 친구가 되라고 말했는데라고 1막때 말했던 대사를 다시 말하는데, 즉 저 대사는 어벤츄린에 대한 조롱이 아니라 어벤츄린이 상황을 타개할 방법을 은유적으로 말해준 것이었다. 그걸 알아채지 못하고 헛고생하냐며 비웃다가, 어벤츄린이 17시스템 시간 안에 조사를 끝내야 한다는 소식을 듣자 페나코니를 파괴할 수 있는 스위치를 넘겨주고는 헤어진다.

4.1.3. 제3막: 우리들의 시대에

로빈으로 변장해 사람들에게 스위치를 뿌리며 등장한다. 축제 때 누르라면서 뭔가를 준비하는 모습을 보이고 이후 선데이와 로빈을 만나 간단한 기싸움을 한 뒤 퇴장한다.

다만 해당 챕터에선 스위치에 대해 밝혀지진 않고 잠들어 있다가 아케론이 공간을 가르자 깨어나는 모습으로 짧게 등장하는 데에 그친다.

4.1.4. 제4막: 안녕, 페나코니

메인 빌런. 4막 초반부에는 사냥개 가문 일원으로 위장해[5] 3막까지도 사람들에게 나눠주던 그 많던 버튼들을 수거해 정리하고 있었으며, 한창 축제가 진행중일때 등장해 개척자에게 폭탄의 존재를 알린다.[6] 개척자는 페나코니에서 만난 지인들을 채팅방으로 불러[7] 폭탄을 함께 찾기 시작하고 개척자 일행이 999개의 인형을 모두 찾았지만 그 중에 폭탄은 없었다.

이후 사실 인형은 1,000개가 있으며 진짜 폭탄이 있는 위치로 개척자를 보내고, 역시 스파클의 연락을 받고 온 반디가 각본의 '세번째 죽음'을 실행하기 위해 폭탄을 안고 날아오르게 된다. 이에 카운트 다운마저 줄이고 결국 폭탄이 터져 반디가 희생...한 줄 알았으나 사실은 진짜 폭탄이 아니라 폭죽이었고[8] 스파클이 개척자에게 다가와 그렇게 반디의 안위가 걱정되면 가까이서 보라며 망치로 배 밖으로 밀치자 샘이 개척자를 받아주며 상황 종료.

4막 종료 후 문자 메세지를 통해 페나코니에 개입한 스파클의 진위가 드러나는데, 애초에 반디의 3번째 죽음을 최대한 안전하게 실행하기 위해 스텔라론 헌터 측에게 의뢰를 받고 온 것이었다.[9] 이후 좋은꿈 커튼콜 PV를 통해 이를 보는 플레이어들에게 환락을 맛볼 수 있었냐며 이 이야기를 바치는 것으로 페나코니는 마무리된다.[10][11]

결과적으로 스파클은 페나코니의 이해관계와 무관했으며, 포지션으로만 따지면 애초에 누굴 다치게 할 생각도 없는 완전한 아군이었다. 최초에 위협적으로 드러난 것과는 달리, 분탕질을 치면서도 아무도 실질적인 피해는 입지 않았으며[12] 4막에서도 페나코니 캐릭터들이 모두 같이 협력하는 단초를 제공하면서, 반디와 개척자가 함께하는 최고의 엔딩씬을 선물했다. 최초에는 자기만 재밌으면 되는 환락으로 비춰진 것과 달리, 이를 보고 있는 플레이어와 함께 환락을 즐기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환락의 화신이라는 평가마저 생겨났다.

5. 동행 임무

5.1. 가면의 듀엣

스파클이 삼포를 통해 블랙스완에게 도전장을 보냈다.이후 말도 안되는 추리쇼를 블랙스완에게 시켰고, 자기와 파트너를 하지 않겠냐며 제안했다.
블랙스완은 거절했고, 스파클은 정신조종을 통해 사람들을 불러 블랙스완을 위협했다. 하지만 블랙스완이 스파클과 그 옆에 있는 삼포의 기억을 일시적으로 지워 둘을 헷갈리게 한 틈을 타 빠져나갔다.

임무가 끝난 이후, 개척자에게 ???이라는 발신 상대가 블랙 스완으로 기억 거품 위치를 잊어버렸다는 메시지를 보내는데, 기억하는 자가 기억 거품을 기억하지 못한다는 것에 위화감을 느낀 개척자가 의문을 제기한다. 역시나 블랙 스완 계정으로 메시지를 보내는 스파클이였고, 다음엔 너랑 놀아주겠다며 예고를 남기고 존재하지 않는 사용자라며 계정이 사라진다.

6. 이벤트 스토리

6.1. 에테르 배틀

에테르 배틀 스토리를 끝내고 경기장 주변에 추가된 기억 거품과 상호작용하면 같은 소속의 가면의 우인 소속인 지오반니와 삼포가 대화하는 걸 볼 수 있는데 환락에 대한 가치관을 이야기하며, 이때 지오반니가 '그분'께서 페나코니에 갈 준비를 한다는데 넌 갈 생각이 없냐고 묻는다. 이에 삼포는 질색하듯이 그녀랑 다시 마주치고 싶지 않다고 하는데 이때 언급하는 그녀가 스파클일 가능성이 높다.

[1] 이때 교복을 입은 모습을 보아 학업과 병행한 것으로 추측된다. [2] 개척자는 스토리 중반부까지 꿈세계를 탐험하고 반디와 데이트를 하며 평화롭게 관광을 하고 있었는데, 스파클의 계략으로 인해 악몽과 같은 역경이 시작된 셈. 물론 정치적으로 여러 파벌이 엮여 있어 언제 어떤 일이 벌어질지 알 수 없는 상황이었고, 반디나 로빈의 죽음이 꼭 스파클의 탓이라고는 할 수 없었지만... [3] 꿈세계에서의 죽음이 현실세계에서의 죽음으로도 이어지는지 밝혀진 바가 없으며, 따라서 로빈이 정말 죽었는지 알 수 없다. 스토리도 이제 겨우 1막이 끝났으므로, 스파클이 앞으로 어떤 행동을 보여줄지, 숨겨진 계획이 있었는지 모르는 일이다. [4] 그럼에도, 스파클은 윤리적으로 '망자를 모욕했다'. 이렇게 비호감 스택이 제대로 쌓여버린 탓에, 캐디나 성능 측면에서 호평을 받았음에도 뽑아야 하나 유저들 사이에서 고민하는 의견이 많아졌다. [5] 처음엔 혼잣말을 하고 있어서 원래 목소리를 내고 있었지만 토파즈가 말을 걸러 다가오자 곧바로 변조한다. [6] 이 때부터 마지막 장면까지 BGM이 스파클의 캐릭터 PV 테마인 모노드라마로 고정된다. 또한 폭탄들은 모두 스파클의 모습을 한 인형들인데, 이야기를 해보면 대부분 동행임무 가면의 듀엣에서 스파클이 만들어낸 캐릭터들의 재탕이다. 본인 왈 떡밥 회수라고. [7] 가면의 우인답게 어떤 방식으로 찾았는지 몰라도 채팅방에 난입하는 모습까지 보여주는데, 추후 전개를 생각해보면 은랑의 해킹으로 접속했거나, 개척자와 반디를 제외한 인원 중 누군가가 스파클에게 협력했을 경우 초대해줬을 수도 있다. 그와중에 핵심 내용만 확인하고 바로 채팅방을 나가는 레이시오는 덤 거기다 사냥개 가문이 수거한 버튼 10만개를 48시간 동안 전부 일일히 하나하나 눌렀다고 한다 [8] 채팅방에서의 이름이 폭죽은 어디서 봐야 하지 였던 것이 복선. [9] 여기서 의뢰자는 게임을 통해 만났다는 점으로 보아 은랑이라는 의견과, 스텔라론 헌터라면 거스를 일이 없을 각본에 대한 직접적인 개입을 의뢰한 점에서 엘리오 본인이 아니냐는 의견이 존재한다. 다만 미래를 보는 엘리오의 능력을 생각해 보면, 설령 은랑이 의뢰한 것이라 해도 엘리오가 반디 몰래 지시한 안배일 가능성이 높다. [10] 해당 PV에서 말하길 페나코니라는 무대에선 모두가 자기 자신을 주인공이라 여기고, 주인공이 많을수록 재밌기에 모두를 불렀다고 말한다. 후에 스파클이 나눠주던 버튼이 등장하는데 놀랍게도 이 버튼은 실제로 세계 각지에 설치되어서 다양한 사람들이 누를 수 있었다(!) 이에 스파클은 "각각의 무대로 데려오기 위해 노력했어"라고 말하며 막을 꼭 내려야 한다면 관객도 주인공이 되어서 나쁠 건 없지 않냐는 말을 전한다. 이를 토대로 볼 때 개척 임무 3장 4막에서 폭탄을 찾기 위한 단톡방에서 언급한 16,537명의 귀한 꿈을 좇는 여행객이 실제로 버튼을 누른 사람 수인 것으로 보인다. [11] 이는 플레이어의 입장에서는 각자의 비중을 가지면서 본인이 할 수 있는 활약을 해낸 게임 안의 페나코니 속 캐릭터들이 하나하나 모두 주인공이지만 스파클이 좋은 꿈 커튼 콜 PV에서 언급한 것처럼 게임이라는 무대 위에 있는 캐릭터도, 현실이라는 무대 아래에서 그것을 지켜보고 있는 우리까지 모두가 페나코니라는 거대한 무대의 공연에서 주인공이었다는 것이다. [12] 오히려 중요한 힌트를 여러 번 제공했고, 개척자와 반디를 좋은꿈의 이면으로 밀어넣었으나 반디의 목적과 좋은꿈의 진실을 생각하면 도와준 것이나 다름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