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a0203a> 서울· 인천 | 한양도성 · 교동읍성 | ||||
경기도 | 수원화성 · 수원고읍성 · 안산읍성 | |||||
충청북도 | 청주읍성 · 충주읍성 | |||||
충청남도 | 결성읍성 · 남포읍성 · 보령읍성 · 대흥읍성 · 덕산읍성 · 면천읍성 · 비인읍성 · 서천읍성 · 한산읍성 · 해미읍성 · 홍주읍성 | |||||
전북 | 고부읍성 · 고창읍성 · 남원읍성 · 무장읍성 · 전주읍성 | |||||
광주· 전라남도 | 강진읍성 · 광주읍성 · 나주읍성 · 낙안읍성 · 순천읍성 · 진도읍성 · 흥양현읍성 | |||||
대구· 경상북도 | 경주읍성 · 대구읍성 · 선산읍성 · 성주읍성 · 안강읍성 · 안동읍성 · 연일읍성 · 영주읍성 · 영천읍성 · 장기읍성 · 청도읍성 · 흥해읍성 | |||||
부산· 울산 | 기장읍성 · 동래읍성 · 언양읍성 | |||||
경상남도 | 고성읍성 · 김해읍성 · 밀양읍성 · 사천읍성 · 양산읍성 · 영산읍성 · 웅천읍성 · 진주성 · 하동읍성 · 함양읍성 | |||||
기울임체는 문루 및 성곽이 대부분이 소실되어 터만 남은 읍성, 볼드체는 대부분이 보존, 복원된 읍성 행정구역은 현재 대한민국 기준 산성 틀 바로가기 |
}}}}}}}}} |
<colbgcolor=#c00d45> 순천읍성 順天邑城 | Suncheon City Wall |
|
|
|
정식 명칭 | 순천도호부읍성(順天都護府邑城) |
입지 | 평지성 |
기능 | 읍성 |
건설 |
미상[고려시대?] 1430년 (세종 12년) 12월[최초기록] |
폐성 | 1895년 (고종 32년) |
철거 | 1909년 (융희 3년) |
면적 | 미상 |
소재지 | 전라남도 순천시 남내동, 중앙동, 영동, 행동 |
[clearfix]
1. 개요
전라남도 순천시 중앙동·남내동·영동·행동에 있었던 조선시대 읍성. 순천부읍성이라고도 한다.
|
|
1912년, 읍성 북서쪽 순천선교부에서 바라본 풍경.[설명1] | 1914년, 연자루와 옥천. |
2. 구조
|
1900년대 순천읍성 추정[우승완,이석배,2008][윤현석,2012] |
2.1. 성벽
|
1900년대 연자루. |
- 연자루(남문): 순천의 상징적인 경관으로 랜드마크 역할을 했다. 1925년 철거되었다. 1976년 죽도봉에 복원되었지만 당대에 촬영된 사진과는 다른 모습이다. 디지털순천문화대전[우승완,2015(1)]
- 동·서·북문: 남문과 달리 옹성이 있었다.[우승완,2015(1)]
- 해자: 동·서·북문 밖에 해자가 있었다. 남문 쪽은 옥천이 해자 역할을 했다. 중앙동·남내동·영동·행동의 바깥 경계가 해자가 있던 곳을 표시하고 있다.
2.2. 성내
|
1920년대 초반 시장[설명2] |
- 도로: 연자루와 객사를 잇는 길이 읍성의 중심 도로였다. 광장, 시장 등 여러 용도로 이용되었다. 이 중심 도로에서 동문으로 이어지는 길, 객사 서쪽 담장을 따라 북문으로 이어지는 길, 관아 구역 북쪽과 남쪽을 따라 서문으로 이어지는 길이 있었다.[우승완,이석배,2008]
- 객사: 중앙동(법정동) 일대, 중앙로가 지나가는 부지가 객사 영역이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순천공립보통학교(현 순천남초) 교사로 사용되었다가 1920년대 후반 학교가 저전동으로 이전하면서 철거됐고 도로가 났다.[우승완,2015(2)]
- 관풍루: 객사의 정문이었다.
- 내아·관아: 중심 도로 서쪽에 면해 있었다. 현 삼성생명빌딩-청소년수련관 일대이다.
- 시장: 연자루(남문)와 객사를 잇는 도로가 5일장의 중심이었다. 1929년 웃장으로 이전했다.[우승완,2015(3)][clearfix]
2.3. 성저
|
|
1909년 환선정 | 1920년대 환선정 # |
-
환선정(喚仙亭)): 1544년 동천변에 처음 지어졌다. 활터가 있었다. 조선 시대에 여러 번 중수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회의실, 교실, 불교 포교당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었다. 해방 후에는 교회당으로도 이용되다가 1962년 대홍수로 유실되어 현판만 남았다. 1988년 죽도봉에 복원되었지만 일제강점기 사진과는 다른 모습이다.
디지털순천문화대전[김현진,2018]
19세기 지도에는 인근에 하중도가 있는 것으로 나온다. 이후 물길이 바뀌어, 1915년 지적도에는 연못으로 나온다( 지도 참조). 이 연못은 1930년대에 메워진다. - 우선정(遇仙亭): 1871년 동천의 하중도에 지어졌다.
[설명1]
왼쪽에 북문, 가운데에 객사, 오른쪽에 관아 건물들이 희미하게 보인다(
지도 참조). 왼쪽 산은 죽도봉이다.
[우승완,이석배,2008]
우승완, 이석배. (2008). 순천읍성의 토지이용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환경학회지, 7(1), pp. 61-72.
[윤현석,2012]
윤현석. (2012.11.28).
日, 1909년 의병 제압 위해 읍성 철거하며 첫 도로 개설. 광주일보.
[우승완,2015(1)]
우승완. (2015.02.12).
순천읍성을 들여다 보다 1 순천광장신문.
[우승완,2015(1)]
[설명2]
연자루에서 객사 방향(북쪽)을 바라본 모습이다. 객사가 1920년대 후반 철거되고 도로가 생겼으므로 그 이전 시기에 찍은 사진이다.
[우승완,이석배,2008]
[우승완,2015(2)]
우승완. (2015.05.22).
순천 최초의 근대 교육기관 ‘순천남초등학교’ 순천광장신문.
[우승완,2015(3)]
우승완. (2015.06.12).
조선시대 장터와 순천 ‘웃장’ 순천광장신문.
[김현진,2018]
김현진. (2018.10.25).
신선을 부르던 순천 환선정(喚仙亭)의 발자취. 순천광장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