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rfix]
1. 개요
수학자중 1941-1950년에 출생한 인물 목록을 다룬 문서.2. 목록
이름 | 출생 년도 | 주요 업적 | 주요 수상 내역[1] |
레슬리 램포트 | 1941 | 램포트 서명, 비잔티움 장군 문제, 챈디-램포트 알고리즘, 팩소스 알고리즘, 원자적 레지스터 계층 | 2013년 튜링상 |
데니스 설리번 | 1941 | 설리번 대수, 유리수 호모토피 이론, 위상 공간 국소화, 페리-설리번 불변량 | 1971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2010년 울프상 수학 부문, 2022년 아벨상 |
클라우디로 프로세시[2] | 1941 | 호지 대수, 데 콘치니-프로세시 콤팩트화, 헤센베르크 다양체, 아틴-프로세시 정리 | |
앨드리지 나이트 바우스필드 | 1941 | 바우스필드 국소화 | |
바스 반 프라센 | 1941 | 초평가주의(Supervaluations)[3], 굿맨-응우옌-반 프라센 대수, 반 프라센 반사 원리 | |
아미르 프누엘리 | 1941 | 선형 시제 논리 | 1996년 튜링상 |
조셉 아마디 고겐[4] | 1941 | 고겐 범주(Goguen categories), 제도(institution)[5], OBJ[6], 숨겨진 대수(Hidden algebra)[7] | |
로날드 라파엘 코이프만[8] | 1941 | 순수 및 응용 조화 해석학에 대한 기여[9][10][11][12] | |
마이런 새뮤얼 숄즈 | 1941 | 블랙-숄즈-머튼 모형, 블랙-숄즈 방정식 | 1997년 노벨 경제학상 |
칼 그루스 조쿠시[13] | 1941 | 낮은 기저 정리(Low basis theorem), 조쿠시-소아르(Jockusch–Soare) 강제법 | |
세르게이 빅토로비치 보츠카레프[14] | 1941 | 유계 변동 함수의 푸리에 급수의 절대 수렴에 대한 지그문트 문제해결, 쌍직교계(biorthogonal system)에 대한 콜모고로프 정리의 일반화, 직교기저 이론의 평균화 방법 | 1977년 살렘상 |
브루스 리 로스차일드 | 1941 | 그레이엄-로스차일드 정리, 그레이엄 수 | |
윌리엄 베크너 | 1941 | 바벤코-베크너 부등식, 엔트로피 불확정성(Entropic uncertainty)에 관한 허시만(Hirschman)의 추측 증명 | 1975년 살렘상 |
데이비드 켈로그 루이스 | 1941 | 가능세계론, 공통지식(Common knowledge), 램지-루이스 방법, 루이스 신호 게임, 양상 실재론 | |
존 벤자민 프리들렌더 | 1941 | 무한히 많은 [math(a^2 + b^4)] 형식의 소수가 있음을 증명(프리드렌더-이와니에크 정리) | |
피터 헨리 조지 악첼[15] | 1941 | 악첼의 반기초 공리[16], 프레게 구조, 초집합론(Hyper set Theory)[17] | |
로버트 본 무디 | 1941 | 카츠-무디 대수 | |
그레임 브라이스 시걸 | 1941 | 시걸 추측, 아티야-시걸 완비화 정리, 아티야-시걸 공리 | |
하라다 코이치로 | 1941 | 하라다-노턴 군, 고렌스타인-하라다 정리 | |
벤자민 와이스 | 1941 | 유한 위상 엔트로피를 가진 계(system)는 평균 차원(mean dimension)이 0임을 증명, sofic subshifts, 도로 색칠 추측(road coloring conjecture), Small sets | |
이둔 라이텐[18] | 1942 | 오슬랜더-라이텐 이론 | |
입 헤닝 마센[19] | 1942 | 안정 사상류군의 코호몰로지에 대한 멈퍼드 추측 증명 | 2011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
잭 하워드 실버 | 1942 | 실버 정리, 창의 추측(Chang's conjecture)의 일관성 증명, 실버 강제법, 실버 기계[20], 0#[21]를 발견, 기수 k가 비가산 공종도를 가진 특이 무한 기수 λ <κ에 대해 2λ = λ +이면 2κ = κ +임을 증명 | |
스탠리 조엘 오셔 | 1942 | ENO 방법, WENO 방법, 레벨 집합 방법 | 2014년 가우스상 |
펄 에릭 루트거 마틴뢰프 | 1942 | 마틴뢰프 유형 이론, 마틴뢰프 무작위성 | |
이타카 시게루 | 1942 | 코다이라 차원, 이타카 차원 | |
닐 시드니 트루딩거 | 1942 | 트루딩거-모저 부등식, 야마베 문제 | |
케네스 존 바와이즈[22] | 1942 | 추상 모형이론(Abstract model theory)의 공리화[23], 거짓말쟁이 역설에 관한 해법을 제시[24] | |
라이너 보그트[25] | 1942 | 오퍼라드, 준 범주(Quasi-category) | |
카렌 울렌벡[26] | 1942 | 도널드슨-울렌벡-야우 정리, 2차원 조화 사상의 거품화(bubbling), 국소 쿨롱 게이지의 존재와 양-밀스 방정식이 타원형 방정식임을 보임, 4차원의 고립된 특이점이 거품화될 수 없음을 보임 | 2019년 아벨상 |
리처드 조셉 레이버[27] | 1942 | 레이버 정리, 레이버 강제법, 레이버 함수, 레이버 테이블, 무한히 많은 나무의 곱에 대해 완벽 부분 나무(perfect subtree) 버전의 할펜-뢰클리(Halpern–Läuchli) 정리가 성립한다는 것을 증명 | |
브루노 부흐베르거 | 1942 | 그뢰브너 기저, 부흐베르거 알고리즘 | |
마이클 로버트 허먼 | 1942 | 허먼 환(Herman ring), M이 부드럽고 닫힌 유향 다양체인 경우 방향을 보존하는 미분동형사상 군의 Identity component는 단순군이다는 스메일의 추측을 증명 | 1976년 살렘상 |
라요스 스칠라시[28] | 1942 | 스칠라시 다면체 | |
크리스핀 제임스 거스 라이트 | 1942 | 신논리주의(Neo-logicism) | |
윌리엄 조셉 하부쉬[29] | 1942 | 하부쉬 정리[30] | |
리처드 스트라이트 해밀턴 | 1943 | 야마베 흐름, 리치 흐름[31], 게이지-해밀턴-그레이슨 정리, 얼-해밀턴 고정점 정리 | 1996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2003년 클레이 연구상, 2011년 쇼상 수학부문 |
월터 존 새비치[32] | 1943 | 새비치 정리, NL(Nondeterministic Logarithmic-space)을 정의함 | |
앙드레 주얄 | 1943 | 크립키-주얄 의미론, Combinatorial species | |
제임스 얼 바움가트너[33] | 1943 | 바움가트너 공리, 바움가트너-하즈날 정리(Baumgartner–Hajnal theorem) | |
루이스 조셉 빌레라[34] | 1943 | 공간의 삼각측량에 대한 조각다항함수(piecewise polynomial function) 공간의 기저를 찾음[35] | 1994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
시우얌통 | 1943 | 표준환의 유한 생성성 증명 | |
윌프리드 슈미트 | 1943 | 이산급수에 대한 랭글랜즈 추측 증명, 블래트너(Blattner) 추측 증명 | |
멜빈 혹스터 | 1943 | 혹스터-로버트 정리, 가환대수에서의 호몰로지 추측, Tight closure | 1980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
허버트 케네스 쿠넌 | 1943 | 거대 기수(Huge cardinal), 쿠넌 비일관성(inconsistency) 정리 | |
마이클 오낸 | 1943 | 오낸 군, 오낸-스콧 정리 | |
임레 사이먼 | 1943 | 열대 기하학(Tropical geometry)[36] | |
낸 멕켄지 레어드 | 1943 | 기대값 최대화 알고리즘, 데르시모니안-레어드(DerSimonian-Laird) 추정량 | 2021년 국제 통계학상 |
로버트 스티븐 스트리차츠[37] | 1943 | 스트리차츠 추정[38] | |
제프 치거 | 1943 | 치거 상수, 영혼 정리, 분할(Splitting) 정리, 영혼 추측, 치거 부등식 | 2001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2021년 쇼상 수학부문 |
니콜라스 마이클 카츠 | 1943 | 엑스-카츠(Ax–Katz) 정리, 카츠-랭 유한성 정리, 그로텐디크-카츠 p-곡률 추측, 과잉 수렴 모듈러 형식(Overconvergent modular form) | |
빅토르 게르셰비치 카츠 | 1943 | 카츠-무디 대수 | |
도널드 브루스 루빈 | 1943 | 루빈 인과 모델(Rubin causal model), 기댓값 최대화 알고리즘 | |
미하일 레오니도비치 그로모프 | 1943 | 사교 위상수학, 그로모프 조임 불가능성 정리, 쌍곡군, 유사정칙곡선, 그로모프 경계, 그로모프 부등식, 그로모프-하우스도르프 수렴, 그로모프 컴팩트 정리, 그로모프-위튼 불변량, Pseudoholomorphic curve, 호모토피 원리(Homotopy principle), 평균 차원(Mean dimension), 소픽군(Sofic group)[39] | 1981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1993년 울프상 수학 부문, 2009년 아벨상 |
앤드루 존 캐슨 | 1943 | 캐슨 불변량, 캐슨 핸들 | 1991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
찰스 헨리 베넷 | 1943 | 양자 키 분배(BB84 프로토콜), 양자 정보에 관한 베넷의 네가지 규칙[40], 양자 순간이동(Quantum teleportation), Logical depth[41], 맥스웰의 악마[42] | 2018년 울프상 물리학 부문, 2023년 브레이크스루상 물리학 부문 |
윌리엄 존 미첼 | 1943 | 미첼 순서 | |
아브라함 나우모비치 트라트만[43] | 1944 | 도로 색칠 추측 증명, 6보다 작은 차수의 모든 반군이 유한 기저임을 증명 | |
아드리안 리처드 데이비드 마티아스 | 1944 | 마티아스 강제법 | |
장 마크 폰테인 | 1944 | p진 호지 이론, 폰테인-마주르 추측, 폰테인 주기 환, logarithmic geometry(가토 카즈야, 뤼크 일뤼지와 함께 창시자 중 한 명) | |
마이클 애쉬바처 | 1944 | Thin 군의 분류, quasithin 군의 분류 | 1980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2012년 울프상 수학 부문 |
카렐 리보 프리크리[44] | 1944 | 프리크리 강제법(Prikry forcing) | |
제임스 그리그 아서 | 1944 | 아서-셀베르그 대각합 공식(Arthur–Selberg trace formula), 아서 추측, 아서 패킷(Arthur packet) | 2015년 울프상 수학 부문 |
로버트 던컨 맥퍼슨 | 1944 | 교차 코호몰로지 | |
게르하르트 프라이 | 1944 | 프라이 곡선,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해결에 도움(엡실론 추측), trace zero varieties | |
베일리 휫필드 휘트 디피 | 1944 | 디피-헬먼 키 교환 | 2015년 튜링상 |
리처드 피터 스탠리 | 1944 | 스탠리 분해, 스탠리 상호 정리(Stanley's reciprocity theorem), Order polynomial[45], 일반 단순 구(general simplicial spheres)에서 g-추측을 증명 | |
이바르 에클랑 | 1944 | Symplectic capacities 도입, 에클랑 변분원리 | |
로버트 콕스 머튼 | 1944 | 블랙-숄즈-머튼 모형, 머튼 모형, 머튼 포토폴리오 문제, 점프 확산(Jump diffusion) | 1997년 노벨 경제학상 |
휴 로웰 몽고메리 | 1944 | 몽고메리-오들리즈코 법칙 | 1974년 살렘상 |
레오니드 니소노비치 바세르스타인[46] | 1944 | 바세르스타인 계량(Wasserstein metric) | |
피에르 르네 들리뉴 | 1944 | 베유 추측 증명, 절대 호지 사이클 정의, 들리뉴-베일린손 코호몰로지, 들리뉴-루스티그 이론, 들리뉴-멈퍼드 스택, 푸리에-들리뉴 변환, 들리뉴 추측, 랭글랜즈-들리뉴 국소 상수 | 1978년 필즈상, 2008년 울프상 수학 부문, 2013년 아벨상 |
앨런 에드워드 해처[47] | 1944 | 스메일 추측 증명, end-incompressibility 발명, 모든 비압축성 곡면을 원위에 뚫린 토러스 번들(punctured-torus bundles over the circle)로 분류 | |
제프 패리스 | 1944 | 패리스-해링턴 정리, 커비-패리스 정리 | |
리처드 닐 라이언스 | 1945 | 라이언스 군 | |
조셉 번스타인 | 1945 | 번스타인-사토 다항식, 카즈단-루스티그 추측 증명, 얀첸 추측 증명, D-모듈 | |
아루나스 루드발리스 | 1945 | 루드발리스 군 | |
에브게니 미하일로비치 니키신[48] | 1945 | 니키신-스타인 분해(factorization) 정리, 니키신 시스템 | 1973년 살렘상 |
사하론 셸라흐 | 1945 | 화이트헤드 문제가 ZFC 공리계와 독립임을 증명, 가능 공종도(possible cofinalities), 몰리의 문제 해결, 사우어-셸라흐 보조정리, 셸라흐 기수, 적절한 강제법 공리, Superstable theories | 1983년 카프상, 2001년 울프상 수학 부문, 2017년 하우스도르프 메달 |
레온 멜빈 사이먼 | 1945 | 변분 문제의 해결을 위한 singular sets의 구조를 이해하는데 공헌함[49][50][51] | 1994년 보셰 기념상 |
에드먼드 멜슨 클라크 주니어 | 1945 | 계산 트리 논리, Model Checking | 2007년 튜링상 |
마이클 아이젠만 | 1945 | 격자 위의 임계 이징 모형과 Φ4 모형은 5차원 이상에서 축척 극한 아래에서 가우시안 자유장과 같은 보편성 부류(universality class)에 속함을 증명 | |
크레이그 트레이시 | 1945 | 트레이시-위덤 분포 | |
이언 스튜어트[52] | 1945 | 여러 유명 대중 수학서를 집필 | |
마틴 에드워드 헬먼 | 1945 | 디피-헬먼 키 교환 | 2015년 튜링상 |
로버트 그리스[53] | 1945 | 괴물 군, 그리스 대수, 길만-그리스 정리 | |
앨런 프리즈[54] | 1945 | 볼록체의 부피를 근사화하기 위한 다항식 시간 알고리즘[55], 세메레디 규칙성 정리의 알고리즘 버전 | 1991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
레너드 애들먼 | 1945 | RSA 암호, 애들먼-포메란스-루멜리 소수판별법, DNA 컴퓨팅 분야 시작 | 2002년 튜링상 |
이매뉴얼 더만 | 1945 | 블랙-더만-토이 모형 | |
앨러스터 이안 펜톤 우르크하트[56] | 1945 | 관련성 논리(Relevance logic) R의 결정 가능하지 않음을 증명[57] | |
마틴 리베 | 1945 | 균등 위상동형인 바나흐 공간이 균등 선형 동형인 유한차원 부분공간을 가지고 있음을 증명, 리베(Ribe) 프로그램 | |
고드프리 피터 스콧 | 1945 | 스콧 핵(Scott Core) 정리 | |
카메론 고든 | 1945 | 순환 수술(Cyclic surgery) 정리, 캐슨-고든 불변량, 고든-루케 정리 | |
장루이 로데 | 1946 | 진비엘 대수, 라이프니츠 대수 | |
메나헴 마기도르 | 1946 | 마기도르 강제법, 마틴 최대 공리, 가장 작은 강콤팩트 기수가 가장 작은 가측 기수 또는 가장 작은 초콤팩트 기수와 같을 수 있음을 증명 | |
토마스 윌리엄 쾨르너[58] | 1946 | 크로네커, 디리클레, 헬슨 집합에 대한 일부 결과[59] | 1972년 살렘상 |
그리고리 알렉산드로비치 마르굴리스[60] | 1946 | 균질 동역학, 카즈단-마르굴리스 정리, 초강체(superrigidity) 정리, 오펜하임 가설 증명, 마르굴리스-개버-갈릴 Expander graph 구성, 보웬-마르굴리스 측도 | 1978년 필즈상, 2005년 울프상 수학 부문, 2020년 아벨상 |
존 윌러드 모건 | 1946 | 톰 추측 증명[61], 스미스 추측 증명 | |
루디 러커[62][63] | 1946 | Pocket set theory | |
알렉산더 소티리오스 케크리스 | 1946 | 보렐 동치 관계에 난류 이론을 사용 | 2003년 카프상 |
배리 사이먼 | 1946 | 사이먼의 문제[64], 수리 물리학과 해석학 분야에 폭 넓은 연구[65][66][67][68][69] | |
레오 안토니 해링턴 | 1946 | 패리스-해링턴 정리 | |
조지 루스티그 | 1946 | 들리뉴-루스티그 이론, 카즈단-루스티그 다항식, 카즈단-루스티그 추측, 결정기저, 루스티그 추측 | 1985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2014년 쇼상 수학부문, 2022년 울프상 수학 부문 |
데이비드 카즈단 | 1946 | 카즈단-루스티그 다항식, 카즈단-루스티그 추측, 카즈단-마르굴리스 정리, 카즈단의 속성 T | 2020년 쇼상 수학부문 |
위르크 마르틴 프뢸리히[70] | 1946 | 격자 위의 임계 이징 모형과 Φ4 모형은 5차원 이상에서 축척 극한 아래에서 가우시안 자유장과 같은 보편성 부류(universality class)에 속함을 증명 | |
마르틴 다이어[71] | 1946 | 볼록체의 부피를 근사화하기 위한 다항식 시간 알고리즘, 고정된 차원의 선형 계획법, 마르코프 연쇄의 혼합을 증명하기 위한 경로 결합 방법(path coupling method), 제약 충족 문제 계산의 복잡도(complexity of counting constraint satisfaction problems) | 1991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
피터 샬렌 | 1946 | JSJ 분해(toral 분해), 순환 수술(Cyclic surgery) 정리 | |
나이절 제임스 히친 | 1946 | 히친 계, ADHM 작도, 일반화 복소 다양체, 힉스 다발 | 2016년 쇼상 수학부문 |
리처드 아놀드 쇼어 | 1946 | 로저스의 동질성 추측[72]을 반박, 튜링 점프(Turing jump)가 튜링 차수(Turing degree)에서 정의 가능함을 증명 | |
리처드 제이 립톤 | 1946 | 카프-립톤 정리, 평면 분리기(Planar separator) 정리 | |
윌리엄 서스턴 | 1946 | 서스턴 기하화 추측, 닐센-서스턴 분류, 예르겐센-서스턴 정리, 오비폴드, 밀너-서스턴 반죽 이론, 이중 극한 정리(Double limit theorem), 쌍곡 덴 수술 정리, 서스턴 지진 정리[73], Ending lamination 정리[74] | 1976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1982년 필즈상 |
글렌 쉐퍼 | 1946 | 뎀스터-쉐퍼(Dempster–Shafer) 이론 | |
유리 발렌티노비치 네스테렌코[75] | 1946 | π, e^π, Γ(1/4)[76], e^π√3, Γ(1/3)는 Q에 대해 대수적 독립임을 증명하고 또한 Q에 대해 e^π√n (n은 양의 정수)이 대수적 독립임을 증명함 | 1997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
야코프 엘리아시베르크 | 1946 | 엘리아시베그크-그로모프 정리, 접촉 기하학, 사교 장론(Symplectic Field Theory), 3차원 구의 접촉 구조(contact structures) 분류, 호모토피 원리(Homotopy principle), 3차원 다양체의 overtwisted contact structures의 분류 | 2001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2020년 울프상 수학 부문 |
앤드루 치치 야오 | 1946 | 야오의 원리, 야오 그래프, 돌레프-야오 모델, 야오 테스트 | 2000년 튜링상 |
조셉 시파키스 | 1946 | Model checking | 2007년 튜링상 |
알렉산더 르보비치 로젠버그 | 1946 | 가브리엘-로젠버그 재구성 정리, 비가환 기하학 | |
마이클 필딩 반즐리 | 1946 | 프랙탈 압축(fractal compression), 프랙탈 변환(Fractal transform), 콜라주 정리, 반즐리 고사리(Barnsley fern) | |
데이비드 프레이스[77] | 1947 | 프레이스 정리, 분리 가능한 쌍대를 가진 바나흐 공간의 모든 립시츠 함수는 조밀 집합에서 프레셰 미분 가능함을 증명 | 2011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
도리안 모리스 골드펠드 | 1947 | 허수 이차 수체의 가우스 유수 문제를 타원 곡선의 L-함수와 연결시키고 유효 하한을 증명, (마이클)앤쉘-(아이리스)앤쉘-골드펠드 키 교환 | 1987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
마사키 카시와라 | 1947 | 결정 기저, D 모듈, 카시와라 지표 정리, 카즈단-루스티그 추측 증명, 코바노프-라우다 추측 증명 | 2018년 천 메달 |
더글라스 코너 라베넬 | 1947 | 타원 코호몰로지, 라베넬 추측, 케르베르 불변량 문제 | 2022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
유리 블라디미로비치 마티야세비치 | 1947 | 힐베르트의 10번째 문제 해결(MRDP 정리) | |
아르카디 세묘노비치 네미로프스키[78] | 1947 | 타원체 방법(Ellipsoid method), convex extremal problem에 대한 정보 복잡성 및 효과적인 해결법[79], Self-concordant function, Semidefinite programming(SDP) | 1982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
알랭 콘 | 1947 | 비가환 기하학, 콘 주기성, 스펙트럼 삼조, 순환 호몰로지, 순환 대상, Ⅲ종 인자 대수의 분류 완료, 바움-콘 추측, 보스트-콘 시스템, 콘 임베딩 문제, 열 시간 가설(Thermal time hypothesis), 비가환 표준 모형 | 1982년 필즈상, 2000년 클레이 연구상 |
데이비드 아이젠버드 | 1947 | 호지 대수, 아이젠버드-레빈-킴시아시빌리(Khimshiashvili) 시그니쳐 공식, 북스바움-아이젠버드 판정법 | |
로널드 로린 라이베스트 | 1947 | RSA 암호 | 2002년 튜링상 |
헨리크 이와니에크 | 1947 | 무한히 많은 [math(a^2 + b^4)] 형식의 소수가 있음을 증명(프리드렌더-이와니에크 정리), 2차원 구의 반지름의 증가에 따른 정수점(integral point)의 고른 분포에 관한 린닉 문제 해결 | 2001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2002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2015년 쇼상 수학부문 |
수렌 유리예비치 아라켈로프 | 1947 | 아라켈로프 기하학, 아라켈로프 인자 | |
안드레아스 라파엘 블라스[80] | 1947 | ZF공리하에서 모든 벡터공간은 기저를 갖는다는 것이 선택공리와 동치임을 증명 | |
그레고리 차이틴 | 1947 | 차이틴 불완전성 정리, 차이틴 상수, 콜모고로프 복잡도, 차이틴 알고리즘 | |
장 루이 콜리엇 텔렌[81] | 1947 | 엑스-코헨 정리를 일반화하는 추측을 제시, 정수론과 유리 다양체에 관한 연구 | 1991년 페르마상 |
이삭 리처드 제이 말리츠[82] | 1947 | Positive set theory | |
장 이브 지라르[83] | 1947 | 지라르 역설, 선형논리, Geometry of interaction[84], System F[85], 타케우치 추측 증명 | |
마일스 앤서니 리드 | 1948 | 가중 사영 공간에서 파노 초곡면 95개 모두 유리(rational)가 아님을 증명, Canonical singularity와 terminal singularities 도입 | |
미클로스 라치코비치[86] | 1948 | 타르스키 원 제곱 문제 해결 | 1993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
장 미셸 비스무트 | 1948 | 역 확률미분방정식(Backward stochastic differential equation), 비스무트 초접속(Bismut superconnection), 비스무트 접속(Bismut connection), 해석적 뒤틀림(Analytic torsion)에 대한 비스무트-르뷰(Bismut—Lebeau) 임베딩 공식, 가약 리 군(reductive Lie group)의 반단순(semi-simple) 원소에서 모든 궤도 적분에 대한 비스무트의 명시적 공식(explicit formula) | 2021년 쇼상 수학부문 |
로바스 라슬로[87] | 1948 | 위상수학적 조합론(Topological combinatorics)[88], 크네저 추측 증명, 로바즈 수, 조합 최적화에 타원체 방법을 적용, 약한 완벽 그래프 정리 | 1982년, 2012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1999년 울프상 수학 부문, 2021년 아벨상 |
로버트 엔드레 타잔 | 1948 | 타잔의 오프라인 최하위 공통 조상(off-line lowest common ancestors) 알고리즘, 타잔의 강하게 연결된 연결성분(Tarjan's strongly connected components) 알고리즘, 선형시간 평면성 테스트 알고리즘, 피보나치 힙, 스플레이(Splay) 트리 | 1982년 IMU 주판 메달, 1986년 튜링상 |
알렉산더르 슈리이버[89] | 1948 | 조합 최적화에 타원체 방법을 적용[90], 서브모듈러 최소화(submodular minimization)가 강한 다항시간 알고리즘을 보임[91] | 1982년, 2003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
케네스 리벳 | 1948 |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해결에 도움(엡실론 추측을 증명 현재는 리벳의 정리), 에르브랑-리벳 정리 | 1989년 페르마상 |
클라우스 요한슨 | 1948 | JSJ 분해(toral 분해) | |
사무엘 제임스 패터슨 | 1948 | 3차 가우스합에 대한 쿠머의 추측을 반증하고 수정된 형태를 증명 | |
마르틴 그뢰첼[92] | 1948 | 조합 최적화에 타원체 방법을 적용 | 1982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
하비 프리드먼 | 1948 | 역 수학(Reverse mathematics)의 설립, Friedman translation | |
요아킴 쿤츠[93] | 1948 | 쿤츠 대수[94], 쿤츠 반군(Cuntz semigroup) | |
마이클 라포포트 | 1948 | 양의 표수의 국소체 k에 대한 일반 선형군 GL(n,k)에 대한 국소 랭글랜즈 추측을 증명 | |
옌스 카르스텐 얀첸 | 1948 | 얀첸 여과, 얀첸 합 공식, 얀첸 추측, Translation functor | |
존 로버트 스틸 | 1948 | 큰 기수 공리를 이용하여 사영 결정(projective determinacy)을 증명 | 1988년 카프상, 2015년 하우스도르프 메달, 2023년 카프상 |
레오니드 아나톨리에비치 레빈 | 1948 | 쿡-레빈 정리, NP-완전 개념 제시, P-NP 문제, 평균의 경우의 복잡도 | |
찰스 웨일 래코프 | 1948 | 영지식(zero-knowledge) 증명 | |
루이스 앙헬 카파렐리 | 1948 | 카파렐리-콘-니런버그 부등식, 완전비선형 타원 편미분 방정식(fully nonlinear elliptic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의 해의 정상성(regularity), 자유 경계 문제(Free boundary problem)의 정상성(regularity) | 1984년 보셰 기념상, 2012년 울프상 수학 부문, 2018년 쇼상 수학부문, 2023년 아벨상 수상 |
베르나르 모리 | 1948 | stable Banach spaces 도입, 바나흐 공간 이론에서 무조건 기본열 문제(unconditional basic sequence problem) 해결 | |
알렉스 제임스 윌키 | 1948 | 윌키(Wilkie)의 정리, 타르스키의 고등학교 대수 문제[95] 해결 | 1993년, 2013년 카프상 |
헤인즈 로버트 밀러 | 1948 | 설리번 추측 증명 | |
레슬리 가브리엘 발리언트 | 1949 | 발리언트-바지라니 정리, #P-완전, 홀로그램 알고리즘, Probably approximately correct learning | 1986년 IMU 주판 메달, 2010년 튜링상 |
야우싱퉁 | 1949 | 칼라비 추측 증명, 칼라비-야우 다양체, 양 에너지 정리(positive-energy theorem), SYZ 추측, 오모리-야우 최대 원리, 다차원 민코프스키 문제와 몽주-앙페르 방정식의 경계 값 문제 해법 제시, 도널드슨-울렌백-야우 정리 | 1981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1982년 필즈상, 2010년 울프상 수학 부문, 2023년 쇼상 수학부문 |
헨드릭 렌스트라[96] | 1949 | LLL(Lenstra-Lenstra-Lovász) 격자 기저 감소 알고리즘, 렌스트라의 타원곡선 알고리즘, 역 페르마 방정식(Inverse Fermat equation)에 대한 모든 해의 계산, 고정된 개수의 변수를 사용한 정수 계획법(integer programming)[97], 칼리츠-완(Carlitz–Wan) 추측 증명 | 1985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
찰스 루이스 페퍼먼[98] | 1949 | 페퍼먼-스타인 이론, 다양체 가설이 검증 가능함을 증명, Ambient construction, 베시코비치 집합 구조를 사용하여 1보다 큰 차원에서 원점 중심에 있는 공(ball)에 대해 절단된 푸리에 적분(truncated Fourier integrals)이 무한대에 이르는 반경으로 p ≠ 2일때 LP 노름으로 수렴 할 필요가 없음을 보여줌 | 1971년 살렘상, 1978년 필즈상, 2008년 보셰 기념상, 2017년 울프상 수학 부문 |
알렉산더 빌렌킨 | 1949 | 영원한 급팽창(Eternal inflation)이 일반적임을 보임, 보르데-구스-빌렌킨 정리 | |
댄 버질 보이쿨레스쿠[99] | 1949 | 자유 확률(비가환 확률론)[100], 보이쿨레스쿠 비가환 엔트로피 | |
앤드루 마이클 오들리즈코 | 1949 | 메르텐스 추측이 거짓임을 증명, 오들리즈코-쇤하게 알고리즘, 몽고메리-오드리즈코 법칙 | |
코라도 데 콘치니[101] | 1949 | 호지 대수, 드 콘치니-프로세시 콤팩트화 | |
크리스토스 파파디미트리우 | 1949 | 내쉬 균형의 계산 복잡성[102], 최소 3명의 플레이어가 있는 게임에서 내쉬 균형을 찾는 것이 복잡도 종류 PPAD[103]에 대해 완전하다는 것을 보임[104] | |
보리스 질버 | 1949 | 자리스키 기하학 창시, pseudo-exponentiation | |
리처드 버트 멜로즈 | 1949 | 기하학적 산란 이론(Geometric Scattering Theory), 회절 이론과 산란 이론의 몇 가지 미해결 문제에 대한 그의 해결책 그리고 그들의 해결에 필요한 해석적 도구들을 개발함 | 1984년 보셰 기념상 |
뵤른 달버그[105] | 1949 | 달버그(Dahlberg) 정리, 네 정점 정리(Four-vertex theorem)의 역(converse)을 증명 | 1978년 살렘상 |
세르주 클라이너만 | 1950 | 민코프스키 공간의 비선형 안전성, Null 형식 및 국소 존재 정리에 대한 시공간 추정[106] | 1999년 보셰 기념상 |
뱌체슬라프 블라디미로비치 쇼쿠로프 | 1950 | 비소멸 정리, 3차원과 4차원 로그 플립 존재 증명 | |
베네딕트 하이먼 그로스 | 1950 | 그로스-재기어 정리, 가우스 유수 문제, 겐-그로스-프라사드 추측 | 1987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
도론 자일베르거[107] | 1950 | 교대 부호 행렬(Alternating sign matrix) 정리, 윌프-자일베르거 쌍, q-TSPP 추측 증명 | |
로버트 마이클 구랄닉 | 1950 | 유한 유사 단순군(finite quasi-simple groups)의 표현론, 코호몰로지, 부분군 연구와 이 작업을 다른 수학 영역에 적용 | 2018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
라즐로 바바이 | 1950 | 아서-멀린 프로토콜, 라스베가스 알고리즘, 그래프 동형 문제의 준다항식 시간 알고리즘 | |
폴 시모어 | 1950 | 로버트슨-시모어 정리, 강한 완벽 그래프 추측 증명, 최대 흐름 최소 절단(Max-flow min-cut) 정리를 매트로이드로 일반화, k=6일 때 하트비거(Hadwige) 추측 증명 | 1979년, 1994년, 2006년, 2009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2003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
리처드 멜빈 쉔 | 1950 | 야마베 문제 해결, 야마베 불변량, 양 에너지(Positive energy) 정리, 미분 가능한 구(Sphere) 정리 | 1989년 보셰 기념상, 2017년 울프상 수학부문 |
제라르 피에르 코르뉘에졸스[108] | 1950 | 균형된 행렬(balanced matrices)의 다항시간 인식 알고리즘[109] | 2000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
질 피지에 | 1950 | 같지 않은 두 텐서 노름을 만들어내 힐베르트 공간 H 의 선형 유계 작용소 B (H) 의 두 복사본의 텐서 곱에 대한 C *노름의 유일성 문제 해결, 폰 노이만 부등식을 만족하는 작용소가 축약과 비슷한지에 대한 여부를 부정적으로 해결 | 1979년 살렘상, 1997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
야노시 핀츠 | 1950 | 하일브론 삼각형 문제의 반증함[110], 쌍둥이 소수 추측과 관련된 다음의 정리를 증명했다. [math(\displaystyle\liminf_{n\to\infty}\frac{p_{n+1}-p_n}{\log p_n}=0)] 여기서 [math(p_n)]은 n번째 소수를 의미한다. 이 식의 의미는 임의의 양의 실수 c에 대해서도 무한히 많은 소수 p와 바로 다음 소수 p'의 쌍이 존재하여, 차이가[math(c\log p)]보다 작게 된다는 것이다.] | 2014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
안드레이 수슬린 | 1950 | 세르 추측 증명(퀼런-수슬린 정리), 메르쿠르예프-수슬린 정리 | 2000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
로버트 마크 고어스키 | 1950 | 교차 호몰로지 | |
프랭크 켈리 | 1950 | quasireversibility(준 가역성), Dynamic Alternative Routing(동적 대체 라우팅), 혼잡 제어(Congestion control), Loss network의 동작이 히스테리시스(hysteresis)를 나타낼 수 있음을 보여줌 | |
제프 네드 칸 | 1950 | 보르수크 추측이 거짓임을 증명, 칸의 정리, 랜덤 그래프가 주어진 작은 그래프의 서로소 복사본으로 덮일 수 있는 변의 밀도의 하한 결정[111] | 2012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
[1]
필즈상,
아벨상,
울프상,
노벨상,
튜링상,
가우스상,
천 메달, IMU 주판 메달, 쇼상, 브레이크스루 상,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보셰 기념상,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오스트로우스키(Ostrowski) 상, 국제 통계학상, 살렘상, 페르마상, 카프(Karp)상, 하우스도르프 메달, 클레이 연구상
[2]
Claudio Procesi
[3]
https://en.wikipedia.org/wiki/Supervaluationism
[4]
Joseph Amadee Goguen
[5]
https://ko.wikipedia.org/wiki/%EC%A0%9C%EB%8F%84_(%EB%85%BC%EB%A6%AC%ED%95%99)
[6]
https://en.wikipedia.org/wiki/OBJ_(programming_language)
[7]
https://en.wikipedia.org/wiki/Hidden_algebra
[8]
Ronald Raphael Coifman
[9]
Calderon-Zygmund theory and multilinear operato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10]
Analyse harmonique non-commutative sur certains espaces homogènes. É́tude de certaines intégrales singulières. Springer-Verlag 1971.
[11]
Representation theorems for holomorphic and harmonic functions in Lp, Paris, SMF, 1980
[12]
Au delas des operateurs pseudo-differentiels, SMF, Asterisque 1978
[13]
Carl Groos Jockusch Jr.
[14]
Sergei Viktorovich Bochkarev
[15]
Peter Henry George Aczel
[16]
https://en.wikipedia.org/wiki/Aczel%27s_anti-foundation_axiom
[17]
http://tinf2.vub.ac.be/~dvermeir/mirrors/www.cs.bilkent.edu.tr/%257Eakman/jour-papers/air/node8.html
[18]
Idun Reiten
[19]
Ib Henning Madsen
[20]
https://en.wikipedia.org/wiki/Silver_machine
[21]
https://en.wikipedia.org/wiki/Zero_sharp
[22]
Kenneth Jon Barwise
[23]
https://en.wikipedia.org/wiki/Abstract_model_theory
[24]
https://en.wikipedia.org/wiki/Liar_paradox
[25]
Rainer M. Vogt
[26]
여성 최초 아벨상 수상자
[27]
Richard Joseph Laver
[28]
Szilassi Lajos
[29]
William Joseph Haboush
[30]
https://en.wikipedia.org/wiki/Haboush%27s_theorem
[31]
푸앵카레 추측을 증명하는데 사용되었다
[32]
Walter John Savitch
[33]
James Earl Baumgartner
[34]
Louis Joseph Billera
[35]
Billera, Louis (1988). "Homology of smooth splines: Generic triangulations and a conjecture of Strang".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310: 325–340. doi:10.2307/2001125
[36]
열대 기하학의 창시자인 임레 사이먼의 국적이 브라질이라서 이러한 이름이 붙여졌다.
[37]
Robert Stephen Strichartz
[38]
https://en.wikipedia.org/wiki/Strichartz_estimate
[39]
sofic은 히브리어 סופי 에서 왔으며 의미는 "유한"이다
[40]
https://en.wikipedia.org/wiki/Bennett%27s_laws
[41]
https://en.wikipedia.org/wiki/Logical_depth
[42]
1960년 롤프 란다우어는 어떠한 측정 방법에 있어 만약 그 측정 방법이 열역학적으로 가역적인 방법이라면 열역학적 엔트로피의 증가가 필요하지 않음을 알았다. 이것은 또한, 열역학적 엔트로피와 정보 엔트로피 사이의 관계로 인해, 기록된 측정은 지워져선 안 됨을 뜻한다. 다른 말로 하면 문의 어느 쪽에 분자가 있어야 하는지 결정하기 위해, 맥스웰의 악마는 분자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해야 된다는 뜻이다. 그러나 찰스 헨리 베넷은 맥스웰의 악마의 정보 저장공간은 꽉 찰 것이고 전에 모았던 정보를 지우기 시작해야만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정보를 지운다는 것은 열역학적으로 비가역적인 과정이고 계의 엔트로피를 증가시킨다.
[43]
Avraham Naumovich Trahtman
[44]
Karel Libor Prikry
[45]
https://en.wikipedia.org/wiki/Order_polynomial
[46]
Leonid Nisonovich Vaserstein
[47]
A. Hatcher. Algebraic Topology라는 대수위상수학 교재의 저자이다.
[48]
Evgenii Mikhailovich Nikishin
[49]
Asymptotics for a class of nonlinear evolution equations, with applications to geometric problems. Ann. of Math. (2) 118 (1983), no. 3, 525–571.
[50]
Cylindrical tangent cones and the singular set of minimal submanifolds. J. Diff. Geom. 38 (1993), no. 3, 585–652.
[51]
Rectifiability of the singular set of energy minimizing maps. Calc. Var.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 3 (1995), no. 1, 1–65.
[52]
플랫랜드의 후속작이라고 할 수 있는
플래터랜드를 쓰기도 하였다.
[53]
Robert Louis Griess, Jr
[54]
Alan M. Frieze
[55]
M.Dyer, A.Frieze and R.Kannan (1991). "A random polynomial-time algorithm for approximating the volume of convex bodies". Journal of the ACM. 38 (1): 1–17. doi:10.1145/102782.102783. S2CID 13268711
[56]
Alasdair Ian Fenton Urquhart
[57]
"The Undecidability of Entailment and Relevant Implication." Journal of Symbolic Logic 49(4): 1059–1073 (1984).
[58]
Thomas William Körner
[59]
"Some results on Kronecker, Dirichlet and Helson sets." Annales de l'institut Fourier 20.2 (1970): 219-324.
[60]
그리고리 마르굴리스의 업적을 소개한 글
https://horizon.kias.re.kr/16505/
[61]
토머스 므로카, 피터 크론하이머와는 별개로 증명
[62]
공상 과학 소설 작가로도 유명하며 알레프 수를 주제로한 단편 소설 "White Light"
https://en.wikipedia.org/wiki/White_Light_(novel)가 유명하다
[63]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의 증증증 손자이다
[64]
https://de.wikipedia.org/wiki/Simon-Probleme
[65]
Resonances in n-body quantum systems with dilatation analytic potentials and the foundations of time-dependent perturbation theory, Annals of Mathematics 97 (1973), 247–274
[66]
The P(φ)2 quantum theory as classical statistical mechanics, Annals of Mathematics 101 (1975), 111–259
[67]
Spectral analysis of multiparticle Schrödinger operators, Annals of Mathematics 114 (1981), 519–567
[68]
Semiclassical analysis of low lying eigenvalues, II. Tunneling, Annals of Mathematics 120 (1984), 89–118
[69]
Operators with singular continuous spectrum: I. General operators, Annals of Mathematics 141 (1995), 131–145
[70]
Jürg Martin Fröhlich
[71]
Martin Edward Dyer
[72]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11543/
[73]
https://en.wikipedia.org/wiki/Earthquake_map
[74]
https://en.wikipedia.org/wiki/Ending_lamination_theorem
[75]
Yuri Valentinovich Nesterenko
[76]
감마 함수
[77]
David Preiss
[78]
Arkadi Semyonovich Nemirovsky
[79]
Judin, D.B.; Nemirovski, Arkadi (1976). "Informational complexity and effective methods of solution for convex extremal problems". Ekonomika i Matematicheskie Metody. 12: 357–369.
[80]
Andreas Raphael Blass
[81]
Jean-Louis Colliot-Thélène
[82]
Isaac Richard Jay Malitz
[83]
Jean-Yves Girard
[84]
https://en.wikipedia.org/wiki/Geometry_of_interaction
[85]
https://en.wikipedia.org/wiki/System_F
[86]
Miklós Laczkovich
[87]
로바스 라슬로의 업적을 소개하는 글
https://horizon.kias.re.kr/17681/
[88]
로바스 라슬로는 크네저 그래프의 채색수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수적 위상수학의 보르숙-울람 정리를 사용하였는데 이산수학 분야에 대수적 위상수학 분야의 정리가 사용된 것은 이때가 처음이다
[89]
Alexander Schrijver
[90]
Grötschel, Martin; Lovász, László; Schrijver, Alexander (1981). "The ellipsoid method and its consequences in combinatorial optimization". Combinatorica. 1: 169–197.
[91]
Alexander Schrijver, "A combinatorial algorithm minimizing submodular functions in strongly polynomial time," Journal of Combinatorial Theory, Series B 80 (2): 346–355, 2000.
[92]
Martin Grötschel
[93]
Joachim Cuntz
[94]
https://en.wikipedia.org/wiki/Cuntz_algebra
[95]
https://en.wikipedia.org/wiki/Tarski%27s_high_school_algebra_problem
[96]
Hendrik Willem Lenstra Jr.
[97]
H.W. Lenstra, "Integer programming with a fixed number of variables", Mathematics of operations research, Vol 8, No 8, November 1983
[98]
찰스 페퍼먼 그는 12세에 대학에 입학해 15세에 첫 논문을 썼다. 20세에 박사 학위를 받고 22세에 미국 역사상 최연소 대학 정교수가 됐다.
[99]
Dan-Virgil Voiculescu
[100]
https://en.wikipedia.org/wiki/Free_probability
[101]
Corrado de Concini
[102]
The Complexity of Computing a Nash Equilibrium
[103]
https://en.wikipedia.org/wiki/PPAD_(complexity)
[104]
나중에 Xi Chen과 Xiaotie Deng에 의해 2 명의 플레이어로 확장됨
[105]
Björn Dahlberg
[106]
Space-time estimates for null forms and the local existence theorem
[107]
Doron Zeilberger
[108]
Gérard Pierre Cornuéjols
[109]
Michele Conforti, Gérard Cornuéjols, and M. R. Rao, "Decomposition of balanced matrices", Journal of Combinatorial Theory, Series B, 77 (2): 292–406, 1999.
[110]
https://en.wikipedia.org/wiki/Heilbronn_triangle_problem
[111]
Johansson, Anders; Kahn, Jeff; Vu, Van H. (2008). "Factors in random graphs". Random Structures and Algorithms. 33: 1–28. doi:10.1002/rsa.2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