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6 22:45:51

손소(손오 승상)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손오의 무장에 대한 내용은 손소(삼국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손책의 아들에 대한 내용은 손소(손오)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손오의 승상(丞相)
{{{#!wiki style="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2px solid transparent; margin: 0 -10px;"
{{{#ece5b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81818,#e5e5e5
1대 2대 3대 4대 4대 대리
손소 고옹 육손 보즐 주거
5대 5대 대리 6대 7대 8대(左) 8대(友)
손준 손은 손침 복양흥 육개 만욱
9대 10대
□연 장제
※ 둘러보기: 한의 대장군 (大將軍) · 후한의 태위 (太尉) · 후한의 대사공 (大司空) · 후한의 대사농 (大司農) · 조위의 태위 (太尉) · 조위의 사도 (司徒) · 조위의 사공 (司空) · 촉한의 재상 (宰相) }}}}}}}}}}}}}}}
孫邵
손소
시호 숙후(肅侯)
작위 양선후(陽羨侯)
최종직위 승상(丞相) 겸 위원장군(威遠將軍)
성씨 (孫)
(邵)
장서(長緖)
생몰년도 163년 ~ 225년 5월
고향 청주(青州) 북해국(北海國)
승상 재임기간 222년 ~ 225년 5월
1. 개요2. 생애3. 미디어 믹스

[clearfix]

1. 개요

후한 말과 삼국시대 오나라의 문신이며 는 장서(長緖)로 청주 북해국 사람이다.

2. 생애

손오의 초대 승상을 지냈으며 《 삼국지》<오주전>에는 승상으로 죽었다는 기록 밖에 없다. 그의 기록은 주석으로 인용된 《오록》과 《지림》, 그리고 훗날 허숭이 편찬한 《 건강실록》에 분산되어 있다.

손소는 신장이 8척으로 처음에는 북해상 공융에게 출사하여 공조가 되었고 그에게서 '조정의 인재'라고 극찬받았다. 나중에 동향 사람 유요 양주 자사로 부임하자 함께 강동으로 갔다.

이후 손책에게 임관하여 손권이 집정하자 여러 차례 진언을 올렸다. 여강태수를 지냈고 거기장군 장사로 옮겼으며 황무 원년( 222년), 손권이 오왕(吳王)에 임명되자 승상, 위원 장군이 되었고 양선후에 봉해졌다. 사실 승상 자리에 관한 중신들의 중의는 오랫동안 손씨를 섬긴 장소에게 있었지만 당시 손권은 장소와 사이가 좋지 못했기 때문에 손소를 승상에 삼았다. 장온 글염이 상주하자 스스로 위계를 사임하고 죄를 청했으나, 손권이 복직시켰다. 황무 4년( 225년) 5월에 죽으니 시호를 숙후라 했고 후임으로 6월에 고옹이 승상이 되었다.
《지림》에 따르면 저자 우희가 박물군자 유성숙에게 정사 삼국지에 손소전이 없는 까닭을 묻자 '《오서》의 편찬자 위소가 손소와 사이가 나쁜 장온의 당이기 때문이오'라고 답했다, 위소가 편찬한 《오서》는 오나라의 공식 관찬 사서로 진수가 정사 삼국지를 편찬할 때 그대로 인용했기에 손소의 기록이 없었던 것이다.

3. 미디어 믹스

3.1.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삼국지 시리즈/장수(ㅅ) 문서
96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4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45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