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09 14:34:15

삼위일체론

파일:삼위일체론.svg
삼위일체론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D40000> 위격 성부 · 성자 · 성령
정립 공의회 제1차 니케아 공의회
문제 필리오퀘 문제 · 요한의 콤마 }}}}}}}}}

고전 그리스어 Τριάδος
라틴어 Trinitarismus
영어 Trinitarianism
한자 三位一體論
파일:삼위일체론.svg 파일:Shield-Trinity-Scutum-Fidei-English.svg
'삼위일체 방패'라고 하며 삼위일체를 요약하는 그림이다.
왼쪽은 라틴어, 오른쪽은 영어.

1. 개요2. 이해와 묘사
2.1. 삼위일체의 논리적 오류
3. 삼위일체와 야훼라는 이름에 대해서4. 성경 속의 삼위일체론을 위한 근거들5. 고대 교회
5.1. 원시삼위일체론5.2. 4세기 삼위일체론 논쟁
5.2.1. 양태론5.2.2. 동력설5.2.3. 로고스 그리스도론5.2.4. 제1차 니케아 공의회
5.2.4.1. 니케아 신경의 모체
5.2.5. 니케아 정통신학의 수호자 아타나시오
5.2.5.1. 생애5.2.5.2. 그의 신학
5.2.5.2.1. 유일신관: 「이방인에 반대해서」5.2.5.2.2. 구원론관: 「강생에 대해서」
5.2.5.3. 삼위일체 이론에 대한 그의 기여
5.2.6. 삼위일체론의 완성: 카파도키아 신학자들
5.2.6.1. 성부와 성자의 관계5.2.6.2. 성자와 성령의 관계5.2.6.3. 성령과 성부의 관계5.2.6.4. 분석과 종합5.2.6.5. 카파도키아 학파에 의해서 형성된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의 신앙고백5.2.6.6. 필리오퀘 문제
6. 동방교회의 그리스도론 논쟁과 칼케돈 공의회7. 현대: 삼위일체 하느님의 선교8. 이단적 사상
8.1. 反삼위일체 교파
9. 인용문10. 기타
10.1. 삼위일체의 상징과 회화10.2. 요한의 콤마
11. 주요 문헌
11.1. 입문

[clearfix]

1. 개요

그리스도교에서 가르치는, 아버지, 아들, 그리고 세 위격들의 신학적 의미에서 출발한 단일한 하느님에 대한 신학 이론이다. 성자 하느님( 예수 그리스도)와 성령 하느님이 성부 하느님과 맺는 관계를 다루며, 성부와 성자와 성령이 '말씀[1]'이라는 본질을 공유하되 그 위격[2]이 다르다는 주장이다. 각 위격 사이에 우열은 존재하지 않으며, 삼위는 모두 각각 온전한 하느님이다. "그럼 그리스도교는 삼신론인가"라고 묻는다면 아니다. 이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것이 삼위일체론이다. '하나이면서 동시에 셋'이라고 말하는 것이나 다름없기 때문에 신앙의 영역이라고 하기도 한다.

( 칠십인역으로서) 히브리 성경만 공인되었던 신약시대의 초기교회 사도들은 " 예수 그리스도는 하느님의 아드님이며/하느님 그 자체이시다"고 믿고 가르쳤지만, 아래에서부터 설명되는 구체적인 신학 모델로서의 삼위일체론까지 정립했던 것은 아니다. 삼위일체 이론은 그보다 후세의 신학자들과 교부들이 히브리 성경에 유일하신 하느님이 언급되어 있고, 신약에는 성부, 성자, 성령 하느님이 등장하므로 이를 해석하고자 숙고하면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성서비평의 등장 이후 신개신교 신학에서는 학문의 대상으로 다루어지기 꺼려지거나, 심지어 무의미한 것으로 취급받기도 했다. 이러한 태도는 20세기 이후 비판받으며 삼위일체론을 그리스도교 교의학에서 가장 중요한 주제로 취급한 신학자들까지 나오는 데 이르렀다. 오늘날에는 사실상 그리스도교 교파에서 삼위일체론은 매우 중요한 교리 중 하나로서 여겨진다. 삼위일체를 부정하는 순간 의심의 여지 없이 이단 혹은 이교 취급을 받아 온 역사는 과거로 머물러 있지 않는다 (e.g. 아리우스파, 모르몬교).

2. 이해와 묘사

이하 내용의 대부분은, 이해하기 위해서 실체와 효능인의 개념에 대한 그리스 철학의 관점과 위격에 대한 교부 철학, 스콜라 철학의 입장에 대한 사전 지식이 필요하다. 동시에 이 본문에도 정통 삼위일체론과 다른 내용이 중간중간에 적혀있었다.
삼위일체는 우리가 알 수 없는 하느님의 본질에 대하여 성자 종속론이나 양태론 등의 거짓된 탈출구를 만들어내서 탈출하는 것을 포기하는 것을 말한다.

다시 말해서 알 수 없는 것(분명히 한 분이신데 셋이시다)을 알 수 없는 것 그대로 결론을 낸 것인데, 이런 삼위일체론이 오히려 지식에 대한 탐욕으로 변질되는 것은 오히려 이상하다 볼 수 있다.
교황 베네딕토 16세, 「그리스도 신앙」

요약해서 삼위일체론은 알 수 없는 신의 본질을 다른 무언가로 포장해서 결론내지 않고, 알 수 없음이라는 상태 그대로 결론을 냈다는 것이다. 그리고 쉽게 말해서 삼위일체론은 부정신학[3]의 산물인데 원래 삼위일체론은 신학분야 중에서도 신의 본질에 대하여 다루는 신론에 속하고, 신론은 헤시카즘을 추구하는 동방정교회는 물론 서방교회인 가톨릭 교회에서도 주로 부정신학적으로 다룬다. 당장에 서방교회의 스콜라시대의 대가인 아퀴나스도 다른 부분은 긍정신학으로 다루다가 신론에서는 부정신학으로 다룬다.

주류 그리스도교에서 정통 교리로 가지고 있는 신관(神觀).[4] 많은 그리스도인이 양태론이나 역동적 군주신론으로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것.[5]

같은 아브라함계 신을 믿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그리스도교와는 전혀 다른 종교인 이슬람, 유대교를 구분하는 가장 큰 차이점. 이슬람과 유대교에서는 이 교리 때문에 그리스도교를 다신교적 요소를 받아들였다고 비판하기도 하며 일종의 신성모독이라고까지 주장한다. 그리스도교에서는 유대교를 이슬람교보다 가깝게 보지만 유대교 측에서는 삼위일체의 존재 때문에 이슬람이 오히려 교리적으로 더 가깝다고 보고 있다. 이슬람에서는 예수를 하느님 또는 하느님의 아들이 아닌 어디까지나 인간인 예언자로서 존경하고 있고, 심지어 마지막 예언자인 무함마드 이전에 존재한 메시아임도 인정하지만 어디까지나 예언자라는 입장이다. 성령은 천사나 하느님의 권능으로 보고 있으므로 삼위일체론을 부정한다.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소집한 니케아 공의회에서 주교들과 교부들이 "성자와 성부는 동일한 실체다"(Homoousion on Patri)라고 결론을 내림으로써 삼위일체론의 기본 개념이 정리되었다. 다만 삼위일체에 대한 개념 자체가 니케아 공의회에서 갑자기 나온 것은 아니다. 복음서에는 예수와 성부의 동질성을 말하는 구절도, 구분을 말하는 구절도 모두 발견된다. 여기서 양 극단의 해석(아리우스파와 단일신론)을 쳐내고 나온 것이 니케아 공의회의 합의이다.

삼위일체론에 대해서는 , 얼음, 수증기가 서로 다르게 보이지만 결국은 똑같은 H2O라는 설명이 자주 쓰인다. 그러나 이 표현은 매우 조심스럽게 해야 한다. 만약 '겉모습'에 주목하여 버려서, 성부와 성자는 곧 같은 존재인데 하나의 본체가 서로 겉모습만 달리 나타났을 뿐이라고 이해한다면[6], 그 생각은 성부수난설, 혹은 양태론이라고 불리는, 초대교회 시절부터 있었던 이단적 주장이다.

이 비유가 문제가 있는 이유를 좀 더 직관적으로 설명하자면 H2O라는 분자 하나가 물, 얼음, 수중기 세 형태로 동시에 존재하지 못한단 것이 문제의 핵심이다. 삼중점에서는 물질이 고체, 액체, 기체로 공존하지만, 분자 하나는 삼중점에서도 고체이거나 액체이거나 기체 상태이다. 세 위격은 본질적으로 하나이지만 겉모습을 바꿔가며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존재한다. 간혹 양자역학의 입자 파동 이중성으로 설명하려고도 하는데, 입자와 파동도 한 순간에는 한 형태로만 존재한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직접적인 비유는 힘들지만 블랙홀 특이점 정도나 되어야 삼위일체론과 비교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블랙홀의 특이점은 부피는 0이지만 질량은 존재하며, 존재는 인정하지만 실체가 무엇인지는 알지 못하며, 공간에 위치하지만 시간의 흐름에서 벗어나 있다.

또한 페르소나(위격)라는 용어의 이해에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원래 이것은 그리스도교에서 삼위일체에 사용한 용어이지만, 삼위일체론에서 활용된 이후에도 독자적으로 고유하게 발전하여 그리스도교와는 전혀 관련 없는 의미를 가졌기 때문이다. 독일의 가톨릭 신학자인 칼 라너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오늘날 우리가 페르소나 단어를 복수형으로 사용할 때, 이 단어의 현대적 의미로 말미암아 거의 필연적으로 복수적인 정신 행위의 중심, 정신적 주체성과 자유를 생각하게 된다. 하지만 하느님 안에는 이러한 세 가지 중심은 있지 않다. 하느님 안에 단 하나의 본성이 있고 단 하나의 절대적 자기존재가 있으며 아버지의 자기표현은 단 하나 로고스(이는 말하는 이가 아니라 말해진 이다)가 있고, 아버지와 아드님 사이에는 (두 가지 행위를 전제하는) 상호 사랑이 없고, 아버지의 사랑하며 구별을 설정하는 자기수용이 있다.

라너에 의하면 삼위일체론의 페르소나는 '생각하고 행동하는 주체'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하느님의 각 위격은 자기의식을 소유하지만 이는 하느님의 본성을 매개하여 주어진 것이며, 그렇기에 각 위격의 자기의식은 위격들 서로를 구분 짓지 않으며, 하느님 안에 세 가지 '주체성'은 없다. 만약 세 가지 주체성을 가진다고 생각한다면, 이는 삼신론의 위험에 떨어진다. 때문에 라너는 페르소나 개념을 보충하기 위해, 구별되는 '자립실체방식'(distinkte Subsistenzweise)을 보조 개념으로 사용하자고 제안하였다.

조금 더 쉽게 설명하면 신학에서의 “인격”은 심리학에서 얘기하는 것처럼 “성격(character)”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신학에서는 ‘전인격[7]적인 존재’를 의미한다. 삼위일체에서의 위격은 인격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이 말은 삼위일체의 위격은 세 하느님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한 하느님의 상대적인 상호관계라는 말이 된다.

사실 삼위일체론을 이해하기 어려운 가장 큰 이유는, 이것이 어려운 개념이라서가 아니라 우리의 논리체계에서는 아예 성립하지 않는 명제이기 때문이다. 하느님은 한 분이시며, 성부도 하느님이고 성자도 하느님이며 성령도 하느님이다. 그렇다면 당연히 성부=성자=성령이어야 하는 것이 우리의 논리체계인데, 그게 아니라고 하니 이해가 안 되는 것이 당연하다. 삼위일체는 그냥 믿음이지 인간이 확인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삼위일체는 신앙의 신비로 불리는 것들 중에 가장 대표적인 것이다.

그런데 이게 그리 쉽지 않은 게, 예수가 곧 성부라고 해도 이단이고, 예수는 성부와 별개라고 해도 이단이다. 정확하게는 '성부와 성자와 성령은 신적 본질은 같되 위격은 다르다'라는 의미다. 좀 더 복잡한 교부시대 표현을 빌리면 성부가 성자를 낳았고, 성부에게서 성령이 발현한다.[8] 그러나 세 위격은 모두 태초부터 존재하였으며 선후 관계는 없다. 이 논리가 골 때리는 것은 대충 이런 구조이기 때문이다. 하느님은 한 분이시다, 성부와 성자와 성령은 하느님이시다, 여기서 하느님은 한 분이므로 성부와 성자와 성령은 같아야 된다고 말하면 이해하기가 쉬운데, 성부와 성자와 성령은 같은 분이 아니라고 하니까 논리가 꼬인다.

하지만 믿음의 영역을 떠나 이성적으로는 설명이 쉽게 되지 않는 까닭에, 이러한 삼위일체의 의미를 학문적으로 묻는 시도가 중세 철학계에서 일어나게 되었고, 이것이 곧 보편논쟁이 된다. 이 보편논쟁에서 가장 큰 두 축이 되었던 의견은, 삼위가 실재한다고 보는 실재론과, 이름만이 있을 뿐이라는 유명론이었고, 각각 성 안셀모 오컴의 윌리엄이 해당 사상을 대변했다.

삼위일체는 애초에 성경에 나오지 않는 말이다. 서방교회에서는 오랫동안 이른바 요한의 콤마로 삼위일체에 대해 성서적 근거를 부여하려고 했다. 하지만 요한의 콤마는 동방교회 쪽 그리스어 필사본에는 나타나지 않고 오직 서방교회의 라틴어 필사본에만 나타났다. 이 구절은 후대에 삽입된 것이라는 것이 문헌비평학적으로는 사실로 받아들여진다. 삼위일체는 성경에 언급되지는 않지만, 그리스도교가 발생한 곳은 다신교의 세상이었으며, 거기서는 많은 신들에 대한 믿음이 일반적인 현상이었다. 그러한 종교 시장 안에서 그리스도교의 하느님과 다른 신들이 어떻게 다른지 구분하는 것이 초기 그리스도교 교부들에게 맡겨진 과제였을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그리스도교는 그리스도인들이 말하는 하느님이 어떤 신인가, 그리고 그 하느님이 구약성서에서 분명하게 밝히는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의 하느님"과는 어떤 관계인가라는 물음과 씨름해야만 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그의 저서 "삼위일체론"에서 삼위일체를 인간의 지성에서 발견하려 애썼다. 그의 사유에 따르면, 우리가 물체를 인식할 때, 물체의 모상이 우리의 지성에 떠오르게 되고, 이 둘 사이를 의지가 이어주게 된다. 즉 실체가 성부이고, 모상이 성자이며 의지가 성령인 것이다. 하지만 정교회에서는 성령을 "성부와 성자 사이의 의지"라거나 "둘 사이의 사랑"으로 설명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는다.

전통적으로는 창세기의 천지창조 일화에서, 초월자가 스스로를 복수로 지칭하는 것을 삼위일체에 대한 단서로 해석하기도 한다. 다만 창세기를 근거로 삼는 건 오늘날 신학에서 부정적인데, 천지창조 일화에서 초월자가 복수형으로 지칭된 것은, 많은 고대 언어가 많음과 위대함, 혹은 존경, 거대함 등을 명확하게 구분짓지 않고 복수형으로 쓰던 언어 습관에서 비롯한 것이다. 이를 장엄복수형이라고 하는데, 이를테면 "우리 모습으로 사람을 만들자"라는 말에서 '우리'는 의미상으로는 '나'의 강조로 보는 것이 더 알맞다.[9] 그렇기에 성서비평학이 발달한 이후의 신학에서는, 창세기보다는 복음서에서 삼위일체 설명을 도출하는 것을 선호한다. 사실 애초에 교부 시대부터 삼위일체는 복음서에 기반을 두었고 창세기는 곁가지이긴 했지만.

2.1. 삼위일체의 논리적 오류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논리적 오류를 설명할 때 동일성 관계의 추이성을 핵심으로 서술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 토론 - 논리적 오류를 설명할 때 동일성 관계의 추이성을 핵심으로 서술
토론 - 논리적 오류나 특정한 관점이라는 부연 없이 '이해가 불가능하다'는 형태의 서술을 금지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전통적인 삼위일체론은 A=B가 참이고, A=C가 참인데 B=C는 참이 아니라는 주장이기 때문에, 대상의 동일성 관계에 있어서 추이성을 위반하는 것이다. 한 마디로 삼위일체는 논리적으로 말이 되지 않는다. 동치관계 문서 참조.[10]

'a와 b는 같은 대상이다'라고 할 때 논리학에서는 그 '같음'이라는 관계에서 추이성이 성립한다고 본다. 예시를 통해 설명하면 이러하다. 두 명제 " 해리슨 포드 한 솔로를 연기한 사람과 같다," "한 솔로를 연기한 사람은 인디아나 존스를 연기한 사람과 같다"에서 상식이 있으면 누구나 " 해리슨 포드는 인디아나 존스를 연기한 사람과 같다" 라고 추리할 수 있다. 지금 이 예시가 너무 당연하고 사소해서 '뭐 이딴 걸 이렇게 심각하게 이야기해?' 라는 생각이 들면 정확하게 이해한 것이다.[11] 삼위일체는 이 간단한 생각과 어긋난다.

본문위 맨 위에 나온 이미지는 '삼위일체 방패'라 부르는 것이다. pater, filius, spritus sanctus는 각각 성부, 성자, 성령을 의미하며, deus는 하느님을 의미한다. est는 '같다'를, 'non est'는 '같지 않다'를 의미한다. 일단 성령을 제외하고 성부와 성자만 생각하자. 그림은 '성부는 하느님과 같다'는 것과 '하느님은 성자와 같다'는 것을 나타낸다. 해리슨 포드의 예를 생각하면 당연히 '성부와 성자는 같다'라는 결론이 나와야 한다. 그러나 그림에서는 '성부와 성자가 같지 않다'고 표시하고 있다. 우리의 상식에 따르면 성부와 하느님이 같고 하느님과 성자가 같으면 성부와 성자도 같아야 하는데, 삼위일체론에서는 성부와 성자가 같지 않다고 주장한다. 이러니 논리적인 관점 혹은 상식적인 관점에서는 이해를 할 수가 없게 된다. 그리고 우리의 지적 능력이 부족해서 삼위일체의 주장을 이해할 수 없다고 생각하기도 어렵다. '삼위일체가 성경과 일치하는 신에 대한 설명일지는 몰라도, 상식적으로 생각했을 때에는 틀렸다'라고 하면 간단하게 전체 상황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니 위에서도 언급하였듯 그리스도교 신학에서도 삼위일체에 대한 이해를 포기하였다. 삼위일체를 굳이 신비라고 부르는 것은 그런 이유다. 즉 삼위일체론은 논리적인 언어로 이해하여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악의 문제처럼 그냥 그렇다고 받아들여야 한다. 신학에서 할 수 있는 최선의 표현은 '성부, 성자, 성령은 그 본체에 있어서 동일하지만 서로 다른 동등한 위격을 지니고 있다.'이다. 그러나 삼위일체에 대한 이러한 설명은 삼위일체가 우리의 상식에 부합함을 보인 것도 아니고 우리의 상식이 틀린 것을 보인 것도 아니다. 이 설명은 삼위일체를 '신만이 가진 신비의 일종'으로 간주하는 것에 불과하다.

신학에서 이런 두루뭉술한 해결책을 선택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성서 해석과 우리 상식 사이의 갈등을 중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일부 이견은 있으나 삼위일체는 성서에서 묘사하는 하느님을 가장 잘 나타내는 개념이다. 신학자들은 삼위일체 개념이 일반 상식과 충돌되지 않도록 무던히도 노력했으나,[12] 그 중에 성공한 것이 없으니 신의 신비로 넘기는 것이 가장 적절한 해결책이 된다. 신학계 내에서는 삼위일체의 논리적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고 보는 학자가 여전히 있고, 일부 학자는 논리적 문제가 없다고 여기기도 한다. 그러나 신학계 바깥에서 그러한 관점을 받아들이는 경우는 없다.

혹자는 '삼위일체는 세 위격이 본질에서 동일하지만 위격에서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동치관계의 추이성이 여기에 적용될 수 없다'고 할 수 있다. 이 주장이 타당하려면 지시에 대한 철학적 문제들이 해결되어야 한다. '아이유'라는 단어가 특정한 한 사람을 지칭하듯이, '성부'라는 단어도 특정한 신을 지칭한다. 동일본질 동등위격에 따르면 '성부'라는 단어는 신이라는 본질과 함께 세 위격 중 하나를 동시에 지칭해야 한다. '성부'가 지칭하는 그 본질과 그 위격이 같은 대상이라면 이행성 문제를 피할 수 없고 위격이 본질과 같은 대상이 아니라면 성부라는 위격은 신이 아니다. 존재를 속성으로 간주하여 생각한다면 설명할 수는 있다. 가령 '성부'라는 위격이 '신성'이라는 속성을 가진다는 식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 역시 삼위일체의 근본 정의와 어긋나는 동시에 철학적으로도 정당화가 가능하지 않다. 칸트가 논파한 이래로 존재를 속성으로 간주하는 학자는 없다.

양태론 등 반삼위일체 교리 중 일부는 이런 문제를 완전히 해결한다. 그러나 논리적인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설명들은 모두 성경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아 이단으로 분류된 교단을 제외하고 그들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2단락의 서술을 보면 '알 수 없음'으로 결론이 났다고 되어있는데 성경에서 나타난 신에 대한 묘사를 최대한 커버하는 설명을 만들다보니 그렇게 된 것이다. 다르게 말하면, 성경에서 묘사하는 신은 논리적 혹은 상식적으로 정당화되지 않는다. 사람이 이해하기 쉽도록 신을 표현하는 것 자체가 성경과 위배된다.

3. 삼위일체와 야훼라는 이름에 대해서

파일:zwQvxcP.jpg
야훼란 이름의 의미에 관해서는 견해가 갈린다. ① ‘그분이다!’는 의미의 환호성(yah!)이라는 견해 ② ‘있다’는 의미의 동사(hyh 혹은 hwh)에서 유래한다는 견해, 즉 모세가 하느님으로부터 ‘나는 곧 나다’(출애 3:14)라고 들었던 이름을 백성에게 전할 때 간접화법으로 ‘그는 곧 그다’라고 했다는 견해, ③ 모세의 질문에 대한 주님의 거절이라는 견해(소극적으로 유비적인 답변을 하신 예, 출애 33:19-23) ④ 주님의 영원성을 강조하여 ‘나는 곧 나였던 나일 것이다’(I shall be what I was)라고 번역하는 견해, ⑤ 하느님의 속성을 가리키는 자존(自存)을 의미한다는 견해 등이 그것이다. 생각건대, 이 모든 설명은 하느님의 이름이 출애 3:14에서 동사 ‘있다’(qal)의 형태에 근거를 두고 있음을 간과하는 흠이 있다. 문법적으로 야훼는 이 동사의 원인을 나타내는 형식이어서 "그는 있도록 한다. 그는 존재하는 모든 것을 그렇게 존재하도록 한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그 이름은 만물의 창조주이신 이스라엘의 하느님을 묘사하는 것이다.
가톨릭 대사전, 야훼 항목 中

'야훼'라는 말이 삼위일체 중에서 '성부'에게만 해당된다고 오해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그리스도교적 논리로 볼 때 오류이다. 성부도 야훼고 성자도 야훼고 성령도 야훼이다. 그리스도인들이 '하느님'이라고 부르는 대상이 야훼인데 그 하느님이 삼위일체이므로 당연히 세 위격 모두 본질적으로 같은 야훼 하느님이 되는 것이다. [13]

다음 성서 구절들을 참조해보자.[14]
하느님께서 모세에게 “나는 있는 나다.” 하고 대답하시고, 이어서 말씀하셨다. “너는 이스라엘 자손들에게 ''있는 나'께서 나를 너희에게 보내셨다.’ 하여라.”
And God said to Moses, ‘I Am who I Am. This' he added ‘is what you must say to the sons of Israel: “I Am has sent me to you”.’
탈출기 3,14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너희는 아래에서 왔고 나는 위에서 왔다. 너희는 이 세상에 속하지만 나는 이 세상에 속하지 않는다. 그래서 너희는 자기 죄 속에서 죽을 것이라고 내가 말하였다. 정녕 내가 나임을 믿지 않으면, 너희는 자기 죄 속에서 죽을 것이다.” 그러자 그들이 예수님께 “당신이 누구요?” 하고 물었다.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이르셨다. “처음부터 내가 너희에게 말해 오지 않았느냐? 나는 너희에 관하여 이야기할 것도, 심판할 것도 많다. 그러나 나를 보내신 분께서는 참되시기에, 나는 그분에게서 들은 것을 이 세상에 이야기할 따름이다.” 그들은 예수님께서 아버지를 가리켜 말씀하신 줄을 깨닫지 못하였다. 그래서 예수님께서 다시 그들에게 이르셨다. “너희는 사람의 아들을 들어 올린 뒤에야 내가 나임을 깨달을 뿐만 아니라, 내가 스스로는 아무것도 하지 않고 아버지께서 가르쳐 주신 대로만 말한다는 것을 깨달을 것이다. 나를 보내신 분께서는 나와 함께 계시고 나를 혼자 버려두지 않으신다. 내가 언제나 그분 마음에 드는 일을 하기 때문이다.” 예수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시자 많은 사람이 그분을 믿었다.
Jesus went on: ‘You are from below; I am from above. You are of this world; I am not of this world. I have told you already: You will die in your sins. Yes, if you do not believe that I am He, you will die in your sins.’ So they said to him, ‘Who are you?’ Jesus answered: ‘What I have told you from the outset. About you I have much to say and much to condemn; but the one who sent me is truthful, and what I have learnt from him I declare to the world.’ They failed to understand that he was talking to them about the Father. So Jesus said: ‘When you have lifted up the Son of Man, the you will know that I am He and that I do nothing of myself: what the Father has taught me is what I preach; he who sent me is with me, and has not left me to myself, for I always do what pleases him’. As he was saying this, many came to believe in him.
요한 8,23-30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이르셨다.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나는 아브라함이 태어나기 전부터 있었다.”
Jesus replied: ‘I tell you most solemnly, before Abraham ever was, I Am
요한 8,58
‘I Am’ or ‘I am He’ is the unique divine name revealed to Moses, Ex 3:14, cf. Is 43:25; 45:18. Jesus claims this title for himself, vv. 28,58; 13:19, a claim which is seen as blasphemous, v. 59. The same Gk phrase, ego eimi, can be used for self-identification (‘It is I’), with typical Johannine ambiguity, 6:20; 13:19; 18:5, 8. Jesus also uses it for his great claims, 6:35; 8:12; 10:7,11; 11:25; 14:6; 15:1.
요한 8,24의 The CTS New Catholic Bible의 주석

본문과 주석에서 볼 수 있듯 영어 I Am 또는 I am He로 번역되는 표현은 야훼의 자기 표현으로 이해되고 있으며, 예수 역시도 이 표현을 본인과 직접 연결해서 말한다. '야훼'라는 표현이 성부에게만 해당한다고 성경에서 말한 적도 없기도 하거니와,[15] 이 표현을 대체하는 표현인 아도나이와 엘로힘(Elohim)도 특정 위격을 전제한 표현이 아니다. 즉 탈출기 3장의 유명한 계시 역시도, '성부가 자신의 위격에만 해당하는 이름을 계시한 것'이 아니라 '하느님이 하느님의 이름을 계시한 것'으로 봐야 할 것이다.

정리를 하자면, '야훼'라는 표현을 대체하는 말은 주님 혹은 하느님이며, 다음 명제는 모두 참이라고 할 수 있다.
1. 성부는 야훼이다.
2. 성자는 야훼이다.
3. 성자는 야훼의 아들이다.

4. 성경 속의 삼위일체론을 위한 근거들

"삼위일체가 성경에 나오는가?"라고 묻는다면, 정확하게는 그리스도교의 전승으로 내려오는 교의라고 답할 수 있다[16]. 주로 사용되는 근거들은 다음과 같다 (이하의 인용들은 모두 공동번역 성서판이다):[17]
그러므로 너희는 가서 이 세상 모든 사람들을 내 제자로 삼아 아버지아들성령의 이름으로 그들에게 세례를 베풀고
마태오의 복음서 28:19
은총의 선물은 여러 가지이지만 그것을 주시는 분은 같은 성령이십니다. 주님을 섬기는 직책은 여러 가지이지만 우리가 섬기는 분은 같은 주님이십니다. 일의 결과는 여러 가지이지만 모든 사람 안에서 모든 일을 이루어주시는 분은 같은 하느님이십니다.
고린토 전서 12:4-6
그리스도의 몸도 하나이며 성령도 하나입니다. 이와 같이 하느님께서 여러분을 당신의 백성으로 부르셔서 안겨주시는 희망도 하나입니다. 주님도 한 분이시고 믿음도 하나이고 세례도 하나이며, 만민의 아버지이신 하느님도 한 분이십니다. 그분은 만물 위에 계시고 만물을 꿰뚫어 계시며 만물 안에 계십니다.
에베소서 4:4-6
예수 그리스도의 은총과 하느님의 사랑과 성령께서 이루어주시는 친교를 여러분 모두가 누리시기를 빕니다.
고린도 후서 13:13

이 구절들만이 성서비평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교의학에까지 삼위일체론의 토대로 사용된다. 그 밖에 다양한 본문들이 삼위일체론의 근거로서 인용되어 왔다.
고대교회에서 종교개혁까지 삼위일체론의 다양한 표현들이 히브리 성경 안에서 이미 계시되었다고 믿어왔음에도 불구하고, 성서비평이 시작되면서 히브리 성경에는 삼위일체의 확실한 진술을 전혀 찾을 수 없음이 정당하게 입증되었다.

5. 고대 교회

서지
  • Hauschild, W.-D., Lehrbuch der Kirchen- und Dogmengeschichte, Bd. 1, 1-51.
  • 레온하르트, 로후스, 『조직신학 연구방법론』, 기독교문서선교회, 392-409.
  • 판넨베르크, 볼프하르트, 『조직신학 1』, 새물결플러스, 419-452.
  • 리터, 아돌프 마르틴, 『고대교회』, 한국신학연구소.
  • Ritter, A. M., "Trinität" I (TRE 34).
  • 역사신학연구회, 『삼위일체론의 역사』, 대한기독교서회, 27-254.

5.1. 원시삼위일체론

예수는 아버지 하느님의 통치가 가까이 왔다는 종말론적 선포를 외쳤다. 이러한 "아버지" 하느님 이해는 히브리 성경과 제2성전기 유대교로부터 전달된 부성적인 돌봄의 표현으로서, 본래 고대 히브리 종교에서의 혼란적인 하느님의 성별 표현(호세아 11:1–4)과는 대립된 가부장적인 상이었다. 어쨌거나 예수에게 "아버지"는 고유명사로서, 선하심으로 창조하시는 하느님의 돌봄과 함께, 그리고 하느님의 통치가 완성될 종말론과 함께 표현되었다. 따라서 예수에게 "하느님 사랑"과 "이웃 사랑"은 상호 침투적으로 일치했다. 그럼에도 예수는 엄연히 자신을 하느님과 구별했다 (마르코 10:17.; 요한 10:33; 14:28; 19:7). 예수를 통해서 아버지로서 선포된 하느님의 나라는 예수 자신으로부터 시작되었다는 자각과 더불어, 예수 자신은 또는 첫 그리스도교 공동체는 예수에게 "아들"이라는 표현을 붙일 수 밖에 없었다.
공중의 새들을 보아라. 그것들은 씨를 뿌리거나 거두거나 곳간에 모아들이지 않아도 하늘에 계신 너희의 아버지께서 먹여주신다. 너희는 새보다 훨씬 귀하지 않느냐?
—마태오의 복음서 6:26

예수의 부활에 대한 고백을 통해 시편 110:1에 따라 최초의 그리스도교 신앙은 하느님께서 예수를 "주"(Kyrios)가 되도록 하셨다고 고백할 수 있었다 (사도행전 2장). 예수는 "하느님의 아들"이 되셨을 뿐 아니라 그것을 넘어서서 (로마 1:4), 예언자들(잠언 8:22; 4에스라 12:33; 에녹 46:1)에 의해 예언되었던 그 "지혜", "메시아", 그리고 "사람의 아들"로 이해되었다. 즉 태어나기 전부터 그는 하늘에 선재했으나, 이 땅으로 내려왔다고 이해되었다. 따라서 "주님도 한 분이시고, ... 하느님도 한 분이시니 (에페소 4:5)," 주는 하느님의 오른편에서 함께 하느님의 통치를 실현하며 선과 악을 심판하러 내려 오실 것이었다.
그러므로 이스라엘의 온 백성은 분명히 알아두시오. 여러분이 십자가에 못박아 죽인 이 예수를 하느님께서는 우리의 주님이 되게 하셨고 그리스도가 되게 하셨습니다.
—사도행전 2:36

그후 오직 영을 통해서만 하느님과 연합할 수 있다는 교리는 바울로의 이해에 따라 영의 존재는 대단히 중요하게 되었으니, 왜냐하면 그에게 주에 대한 신앙과 하느님에 대한 신앙의 연결은 하느님의 영에 의해서 비로소 가능한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에게 예수 그리스도는 또한 영과 같지만, 아버지와 아들의 연합을 매개한다는 점에서 영과 다르며, 영을 통해서 또 아들로 입양됨이 이루어진다. 공관복음은 모두 예수의 지위와 활동을 하느님의 영에 의한 것으로 이해하는 반면, 요한복음은 예수의 활동과 승천 후에야 믿는 자들에게 영이 주어졌다고 이해했다. 따라서 요한 학파에서 영은 예수와 분명히 구분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그리고 예수를 죽은 자들 가운데서 다시 살리신 분의 성령께서 여러분 안에 계시면 그리스도를 죽은 자들 가운데서 다시 살리신 분께서 여러분 안에 살아 계신 당신의 성령을 시켜 여러분의 죽을 몸까지도 살려주실 것입니다. ... 누구든지 하느님의 성령의 인도를 따라 사는 사람은 하느님의 자녀입니다.
—로마서 8:11,14

이레나이우스는 말씀을 예수에, 지혜를 영에 귀속시켰다. 순교자 유스티누스는 지혜와 말씀을 동일시했는데, 이러한 이해는 아테네의 아테나고라스, 테르툴리아누스, 그리고 오리게네스에게로 이어졌다. 따라서 창조를 비롯해 섭리의 활동에 예수와 하느님의 영이 어떻게 관여했는지에 대한 질문들이 요구되었다. 오리게네스는 성령을 창조 활동과 완전히 분리시켜 성화된 자들에 대한 베타적인 은총 가운데에서의 활동으로만 제한했다. 이들에 가서야 셋이 모두 하느님이면서 구별된다는 표현이 부각되었지만 셋이 완전히 동등하다는 표현은 아직 없었다.
여기서 아래의 것들을 다루는 것이 적절하게 여겨진다. "하느님으로 인해서 거듭난" 자가 왜 복을 받기 위해서는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이 필요하며, 그 삼위가 전체적으로 역사하지 않으면 구원을 얻을 수 없으며, 성령이 없이는 아버지와 아들에게도 속할 수 없는가. 이것을 생각해 보면, 아버지와 아들의 역할과 똑같이 성령의 특별한 역사를 서술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만물을 다스리시는 하느님 아버지는 존재하는 모든 개별체에게, 자기 자신[의 존재]으로부터 존재를 주면서 손을 뻗는다. 단지 이성적 존재들에게만 관계하는 (왜냐하면 그는 아버지 다음으로 두 번째 지위를 갖기에) 아들[의 영역]은 아버지의 것보다 작다; 성령의 영역은 더욱 작아서, 그는 겨우 성도들에게만 다가간다. 따라서 아버지의 권세는 아들과 성령의 것보다 크며, 아들의 권세는 성령의 권세보다 크고, 이것은 다시금 성령의 권세는 다른 거룩한 존재들[곧 천사들]을 훨씬 능가한다 ...
—오리게네스, 『원리론』 I, 3:5.[18]

5.2. 4세기 삼위일체론 논쟁

삼위일체 논쟁의 신학적 문제의 근원은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관계’에 관한 것이다. 신약 성경에는 예수가 신과 동일하다고 말하는 듯한 부분과 구분된다고 말하는 듯한 부분이 둘 다 있으며, 심지어 요한 복음 1장의 로고스 찬가에서는 다음과 같이 동시에 나타난다:
한처음, 천지가 창조되기 전부터 말씀이 계셨다. 말씀은 하느님과 함께 계셨고 하느님과 똑같은 분이셨다.(요한 1장 1절, 공동번역)
그런데 동일한 요한 복음에서, 마치 의도적이라는 듯이 "함께 계셨"다와 "똑같은 분이셨다"가 같이 나오는데, 이를 어떻게 이해해야 한다는 말인가? 또한 필립비서 2장 5-7절을 보자:
그리스도 예수님께서 지니셨던 바로 그 마음을 여러분 안에 간직하십시오.
그분께서는 하느님의 모습을 지니셨지만
하느님과 같음을 당연한 것으로 여기지 않으시고
오히려 당신 자신을 비우시어
종의 모습을 취하시고
사람들과 같이 되셨습니다.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성경』
여러분은 이런 태도를 가지십시오. 그것은 곧 그리스도 예수께서 보여 주신 태도입니다.
그분은 하나님의 모습을 지니셨으나,
하나님과 동등함을 당연하게 생각하지 않으시고,
오히려 자기를 비워서
종의 모습을 취하시고,
사람과 같이 되셨습니다.
-대한성서공회 『표준새번역 성경』
이 구절에서는 그리스도가 신의 '모습(μορφή)'[19]을 지녔으나 종의 '모습(μορφή)'을 취했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그리스도는 신과 어떤 관계인가? 결국 삼위일체론에 대한 논쟁은 이러한 구절들을 어떻게 읽어야 하냐는 논쟁이라 할 수 있다.

밀라노 칙령 이전의 그리스도교는 아마도 로마제국의 박해를 받았던 종교로 추측되고, 따라서 신학적 논쟁은 공권력과는 무관한 행위였다. 반면 칙령 이후의 그리스도교는 국가의 승인과 콘스탄티누스 황제의 신앙을 둘 다 가진 종교가 되었다.[20] 이렇게 되자 제국의 분열을 막기 위해 그리스도교 내부의 신학적 논쟁을 해결해야 할 필요성이 생겼고, 동시에 국가의 권위가 교회 회의에 일종의 '공인 마크'를 찍어줄 수도 있게 되었다. 이 '공인 마크'가 찍힌 시노드가[21] 제국의 분열을 박기 위한 콘스탄티누스 1세의 노력은 자신의 지위를 강화하는 것과도 관련이 된다. 그리스도교는 디오클레티아누스의 박해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세력으로 성장했다. 이런 세력을 탄압할 바에는 동맹을 맺어 자신의 정치적 자산으로 삼는 것이 이득이다. 그리스도교의 분열상은 이 정치적 목적에 방해가 되었기에 콘스탄티누스에게는 그리스도교를 통합할 이유가 충분했다. 이런 저런 이유 때문에 제1차 니케아 공의회가 열렸고 여기에서 삼위일체론은 그리스도교의 정통교리로 인정받게 된다.[22] 이후 니케아 공의회를 비롯한 일련의 세계 공의회[23]들이고, 삼위일체론 및 그리스도론의 주요한 결론들은 여기에서 합의되었다.

5.2.1. 양태론

일부 사람들은 유일신론을 고수하면서 동시에 삼신론을 배격하기 위해 양태론(독일어: Modalismus; 영어: Modalism)을 피력했다. 양태론에서 그리스도와 영은 아버지 하느님과 구별되지 않고, 단지 다른 현현 방식이었다. 따라서 양태론에서 아버지 하느님은 고난 받았기 때문에 성부수난설(독일어: Patripassianismus; 영어: Patripassionism)과, 그리스도는 진짜 인간이 아니라 가상의 몸을 입었다는 가현설(독일어: Doketismus; 영어: Docetism)이 도출되었다.[24]
노에투스(Noëtus) 추종자들은 ... 이렇게 가르친다: 한 분이신 동일하신 하느님은 만물의 조성자요 아버지이다; 그가 원하기만 하면 언제나 그는 과거의 의로운 자들에게 자신의 불가시성을 고려하지 않고 나타나셨다; 곧 그가 자신을 보도록 허락하지 않으면 그는 불가시적이다; 하지만 보게 하시면, 볼 수 있는 분이다. 그가 파악할 수 없도록 하시면 그는 파악이 불가능한 분이시다. 그리고 그가 원하시면 파악할 수 있다. 이렇게 그는 동일한 근거에서 극복할 수 없으며, 극복할 수 있고, 생겨나지 않으며 [생겨나고], 불멸하시며 동시에 사멸하는 분이시다. ... 그[노에투스]도 주장하기를 한 분 동일하신 아들과 아버지라고 했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알려졌다. ... [이 땅에] 나타나시고, 동정녀에게서 탄생하시고 사람 가운데 사람으로 거하셨던 이 한 분은 그를 볼 수 있게 허락된 자들에게 출생 때문에 아들로 알려주었다; 하지만 이것을 파악할 수 있는 자들에게 출생 때문에 아들로 알려주었다; 하지만 이것을 파악할 수 있는 자들 앞에서 그는 자신이 아버지라는 것을 숨기지 않았다. 고통에 찬 [십자가의] 나무에 달리시고 자기 영혼을 스스로 넘겨주신, 죽으시지만 죽지 않으시는 분이 스스로 무덤에 안장되시고, 창에 찔리고 못에 박히신 그가 스스로 제 삼일에 깨어나셨다. 그분에 대해서 그들은 그가 바로 만물의 하느님이라고 말하며 ...
로마의 히폴리투스, 『이단 논박』 VII, 9:10.[25]

그러나 (원)정통파 신학자들은 초월적인 하느님은 고난 받으실 수 없으나, 반면에 그리스도는 실제 사람이 되어 고난 받으셨다는 믿음으로 인해 양태론을 거부했다.
... 사벨리우스(Sabellius)가 불경스럽게도 성자는 성부[와 동일한 분]이시며 성부도 또한 그렇다고 주장한다면, 그들은 거룩한 일자['단일성']는 서로 다르며 각각 완전히 구분된 세 실체들로 나누면서, 말하자면 삼신을 선포한다. 하지만 이유를 막론하고 만물의 하느님과 하느님의 로고스는 하나여야 하며, 성령은 하느님 안에서 안식하며 거하여야 한다. 하지만 하느님의 삼위['셋 됨']는 하나, 곧 만물의 하느님이며, 전능하신 분 안에 마치 하나의 정점 안에 있는 것과 같이 서로를 포함하고 결합되어야 한다는 것은 필수불가결하다. ... 하지만 세 하느님은 구약도 신약도 가르치지 않는다. 당연히 이와 똑같이 아들을 피조물['만들어진 자']로 여기며 그분이 실제로 만들어진 것들 중 하나라고 생각하는 자들도 비판받아 마땅하다; 하지만 [성경에 있는] 하느님의 가르침은 그에게 출생을 마땅하고 걸맞은 범주라고 인정하고 있다. ... 말하자면 성자가 생겨났다면, 그는 언젠가 없었다. 하지만 그분 스스로 말했듯이 그가 "아버지 안에" 계시며, 그가 그리스도이시고, 로고스요, "지혜"요 "능력"이라면 그는 항상 계셨던 것이다. ... 하지만 이것들이 하느님의 능력들이다! ... 그러니까 신적인 일자를 세 신성으로 나누어도 안 되며 주님의 높으심과 넘치는 위대함이 한 피조물[의 개입]을 통해서 침해받게 해서는 안 된다; 오히려 하느님, 아버지, 전능하신 분과 그리스도 예수 그의 아들과 성령을 믿어야 하는데—만물의 하느님과 로고스가 하나로 된 것을 믿어야 한다 ... 왜냐하면 이렇게 하여야만 신적인 삼위[개념과]와 [하느님의] 거룩한 단독 통치하심의 가르침이 견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교황 디오니시오, in: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 『니케아 공의회의 결정들』 26:2-7.[26]

5.2.2. 동력설

동력설(독일어: Dynamismus; 영어: Dynamism)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유일신론을 고수하면서 예수 그리스도의 구별과 그의 인성을 받아들이기 위해 아들의 신성을 제한했다. 동력설에서는 인간 예수가 성령을 받아 신적 능력을 얻었다고 가르쳤다. 따라서 그리스도는 인간이었으나 하느님에 의해 양자로 입양된 "하느님의 아들"이라는 결론을 얻었으며, 이것을 양자설(독일어: Adoptianismus; 영어: Adoptianism)이라고 부른다.[27]
비잔티움에서 온 테오도투스(Theodotus)라는 사람은 ... 그리스도에 관해서는 ... 그분은 아래 방식으로 나타나셨다고 주장하였다: 예수는 하나의 사람이며, 곧 아버지의 뜻에 따라서 동정녀로부터 출생하셨고, 다른 사람들처럼 사셨으며, 특별히 하느님을 경외하였다; 요단강에서 세례를 받고 나서 [이 때문에] 그리스도를 입으셨다. 그리스도는 그에게 비둘기 모습 가운데서 위로부터 내려왔다. 그러므로 [하느님의] 능력은 성령이 그에게 내려와 그 안에서 모습을 드러내기까지는 그 안에서 역사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것[성령]을 그는 그리스도라고 부른다. 그들[테오도투스주의자들]은 그분[자신]을 성령이 내려올 때 하느님이 되었다고 하지 않는다; 하지만 다른 자들은 죽은 자들로부터 부활하신 이후[에는 가능하다고 하였다].
로마의 히폴리투스, 이단 논박 VII, 35:1f.[28]

그러나 동력설의 주장은 근본적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독특성을 히브리성경의 예언자들이나 성령 부음 받은 기독교인들과 구별할 수 없었고, 결과적으로 안티오키아와 니케아 공의회들에서 이단으로 정죄되었다.

5.2.3. 로고스 그리스도론

로고스 그리스도론(독일어: Logos-Christologie; 영어: Logos Christology)의 지지자들은 예수 그리스도를 하느님에게서 유래되었고, 그와 결합되어 있으며, 세상을 향한 하느님의 (하느님 자신과 구별될 수 있는) 말씀으로 현존한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이 입장을 통해 아버지와 아들을 구별하면서 하느님의 유일성을 견지할 수 있었기 때문에 3세기에 큰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그러나 이 입장은 로고스가 그 근원에 후속적인 지위를 갖는다는 종속론(독일어: Subordinatianismus; 영어: Subordinationism)으로 기울어졌다.[29]
하느님께서 아버지가 아니었던 시간은 ... 없었다. [이와 같이 그리스도도] 그가 로고스, "지혜"와 "능력"이기에 항상 존재하였다. 하지만 하느님께서 이들의 원천은 결코 아니었다 ... 하지만 아들은 자기 존재를 자기 자신이 아니라, 아버지로부터 가진다. ... 우리가 일컫는 이름들[성부, 성자, 성령] 중 각각의 이름은 그 이름과 이웃해 있는 이름하고 나눌 수 없고 떨어뜨릴 수 없도록 연결되어 있다. [그러니까] 아버지를 말한다면, 내가 [드러내놓고] 아들을 개입시키기 전에 [이미] 아들을 아버지 안에 함께 표현한 것이다 ... 우리는 이런 식으로 하나됨을 나누지는 않으면서 셋으로 확장시키고 또 그 반대로 셋을 하나로 축소시키지 않으면서 하나됨으로 모으고 있다. ... 사람들은 이것을[곧 성부와 성자의 관계를] 생겨나고 만들어진 것들의 영역에서 온 어떤 일들에서 분명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말하면서 나는 즉석에서 사실 나의 의도에 완전하게 맞아 떨어지지 않는 하나의 예를 들었다. 곧 식물들은 그것을 가꾸는 자들과 동일하지 않고, 배가 또한 배 만드는 자와 같지 않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 후에는 더 장황하게 목적에 더 잘 맞는 사례들을 다루었으며, 더 맞아 떨어지는 것[비유]들을 더욱 자세하게 다루었다. 곧 내가 당신[분명히 로마의 디오니시오를 말한다]에게 다른 편지에서도 그렇지 않다고 제시했던 여러 보탬이 되는 증거들을 찾아내었다; 이 편지에서 나는 사람들이 마치 내가 그리스도는 하느님(아버지)과 동일본질이라는 것을 부인[또는: 침묵]한다고 하는 사람들의 비난이 틀렸다고 반박하였다. 이 개념은 성경 어디에도 없고 찾을 수 없다고도 주장한다면, 사람들이 무시하려고 작정하였던 내가 그 후에 했던 말들은 절대로 이 생각과 일치하지 않는다. 곧 나는 실례로 사람들의 출생관계를 들었다. 왜냐하면 여기서는 분명히 종족의 동일성의 관계가 문제이기 때문이다. 부모는 [바로] 자기 자식이 아니라는 이 한 가지에서만 자기 자식들과 다르다고 나는 말했다 ... 하나의 씨앗이나 한 뿌리에서 나온 식물이 자기들이 뚫고 나온 그것과는 다르다고도 말했다; 하지만 그 식물은 그 뿌리하고 완전한 본성의 동등성 가운데 있다. ...
알렉산드리아의 교황 디오니시우스, in: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 디오니시우스의 의도 15-18.[30]

아들이 아버지에 종속적인지, 아니면 둘이 동등한지의 문제는 다음의 아리우스–아타나시우스 논쟁에서 해결되어 로고스 그리스도론은 이단으로 정죄되었다.

5.2.4. 제1차 니케아 공의회

서기 325년,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쉽게 도달할 수 있는 소아시아 지역의 니케아에 300여 명 정도의 주교가 모였다. 이들은 대부분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동방 교회 사람들이었으나 서방 교회의 대표들도 있었다. 이 중에는 불과 몇년 전만 해도 투옥당하거나 고문당하거나 유배되었던 사람들도 있었다. 콘스탄티누스의 초대로 모인 이들은 그리스도교 역사상 최초로 교회의 보편성을 증언하는 사건에 직접 참여하게 되었다.
5.2.4.1. 니케아 신경의 모체
우리는 한 분이신 하느님을 믿는다. 그분은 전능하신 아버지이시며, 유형무형한 만물의 창조주이시다.
그리고 우리는 한 분이신 주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다. 그분은 하느님의 외아들이시며, 아버지에게서 나셨으며, 곧 아버지의 신적 본체에서 나셨다. 하느님에게서 나신 하느님이시며, 빛에서 나신 빛이시며, 참 하느님에게서 나신 하느님이시다. 그분은 창조되지 않고 나셨으며 아버지와 한 본체로써 같으시다. 그분으로 말미암아 만물이, 하늘에 있는 것들이나 땅에 있는 것들이 생겨났다. 그분은 우리 인간을 위하여, 우리의 구원을 위하여 내려오시어 육신을 취하시고, 사람이 되셨으며, 고난을 받으시고, 셋째 날에 부활하시고, 하늘로 올라가셨으며, 산 이와 죽은 이들을 심판하러 오실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성령을 믿는다.
“그분이 존재하지 않은 시대가 있었다.”, “나시기 전에 존재하지 않았다.”고 말하는 사람들은, 또는 비존재에서 생겨났다거나, 다른 히포스타시스(Hypostasis, 본체) 또는 우시아(ousia, 본질)에서 존재한다고 말하는 사람들을, 또는 하느님의 아들은 창조되었으며, 변할 수 있으며, 달라질 수 있다고 말하는 사람들을, 보편교회는 저주한다.

니케아 공의회에 참석한 주교들에 의해 채택된 신경은 성자 혹은 말씀(로고스)이 피조물이거나 신성이 성부보다 떨어진다는 개념을 배격하는 데 큰 관심이 있었다. 논란의 대상이 된 것은 호모우시오스(동일본질)이라는 단어다. 이 단어는 성자가 성부와 동일한 신성을 지니고 있음을 분명히 전달하려는 의도를 지닌다. 그러나 이 구절은 그 후 니케아 신경에 대한 반대를 불러일으키는 주된 원인이 되는데, 이 구절이 성부와 성자 사이의 구별을 부인함으로써 “성부수난설”을 시사하는 듯이 여겨졌기 때문이다.

니케아 공의회에 참석한 주교들은 그들이 합의한 신경에 의해 아리우스 논쟁이 끝나기를 바라며 서명했다. 이 회의는 아리우스파를 이단으로 규정하고 직분을 박탈했고, 콘스탄티누스는 이에 더하여 면직된 주교들을 그들의 도시에서 추방했다. 교리의 정통성 여부 문제에 관하여 세속 권력이 개입한 이 전례는 후에 심각한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주교들의 소망과는 달리 니케아의 공의회가 아리우스 논쟁을 종식시키지는 못했고 그 뒤로 세속 권력과 정치 세력이 교회 문제에 꾸준히 개입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5.2.5. 니케아 정통신학의 수호자 아타나시오

Quicumque vult salvus esse, ante omnia opus est, ut teneat catholicam fidem: Quam nisi quisque integram inviolatamque servaverit, absque dubio in aeternum peribit. Fides autem catholica haec est: ut unum Deum in Trinitate, et Trinitatem in unitate veneremur. Neque confundentes personas, neque substantiam separantes. Alia est enim persona Patris alia Filii, alia Spiritus Sancti: Sed Patris, et Filii, et Spiritus Sancti una est divinitas, aequalis gloria, coeterna maiestas. Qualis Pater, talis Filius, talis et Spiritus Sanctus. Increatus Pater, increatus Filius, increatus et Spiritus Sanctus. Immensus Pater, immensus Filius, immensus et Spiritus Sanctus. Aeternus Pater, aeternus Filius, aeternus et Spiritus Sanctus. Et tamen non tres aeterni, sed unus aeternus. Sicut non tres increati, nec tres immensi, sed unus increatus, et unus immensus. Similiter omnipotens Pater, omnipotens Filius, omnipotens et Spiritus Sanctus. Et tamen non tres omnipotentes, sed unus omnipotens. Ita Deus Pater, Deus Filius, Deus et Spiritus Sanctus. Et tamen non tres dii, sed unus est Deus. Ita Dominus Pater, Dominus Filius, Dominus et Spiritus Sanctus. Et tamen non tres Domini, sed unus est Dominus. Quia, sicut singillatim unamquamque personam Deum ac Dominum confiteri christiana veritate compellimur: Ita tres Deos aut tres Dominos dicere catholica religione prohibemur. Pater a nullo est factus: nec creatus, nec genitus. Filius a Patre solo est: non factus, nec creatus, sed genitus. Spiritus Sanctus a Patre et Filio: non factus, nec creatus, nec genitus, sed procedens. Unus ergo Pater, non tres Patres: unus Filius, non tres Filii: unus Spiritus Sanctus, non tres Spiritus Sancti. Et in hac Trinitate nihil prius aut posterius, nihil maius aut minus: Sed totae tres personae coaeternae sibi sunt et coaequales. Ita, ut per omnia, sicut iam supra dictum est, et unitas in Trinitate, et Trinitas in unitate veneranda sit. Qui vult ergo salvus esse, ita de Trinitate sentiat.

Sed necessarium est ad aeternam salutem, ut incarnationem quoque Domini nostri Iesu Christi fideliter credat. Est ergo fides recta ut credamus et confiteamur, quia Dominus noster Iesus Christus, Dei Filius, Deus pariter et homo est. Deus est ex substantia Patris ante saecula genitus: et homo est ex substantia matris in saeculo natus. Perfectus Deus, perfectus homo: ex anima rationali et humana carne subsistens. Aequalis Patri secundum divinitatem: minor Patre secundum humanitatem. Qui licet Deus sit et homo, non duo tamen, sed unus est Christus. Unus autem non conversione divinitatis in carnem, sed assumptione humanitatis in Deum. Unus omnino, non confusione substantiae, sed unitate personae. Nam sicut anima rationalis et caro unus est homo: ita Deus et homo unus est Christus. Qui passus est pro salute nostra: descendit ad inferos: tertia die resurrexit a mortuis. Ascendit ad in caelos, sedet ad dexteram Dei Patris omnipotentis. Inde venturus est judicare vivos et mortuos. Ad cujus adventum omnes homines resurgere habent cum corporibus suis; Et reddituri sunt de factis propriis rationem. Et qui bona egerunt, ibunt in vitam aeternam: qui vero mala, in ignem aeternum. Haec est fides catholica, quam nisi quisque fideliter firmiterque crediderit, salvus esse non poterit.
누구든지 구원받기를 원하는 사람은 모든 것에 앞서서 보편 신앙을 가져야하며, 이 신앙을 온전하게 보존하지 않는 사람은 의심 없이 영원히 멸망할 것입니다. 보편 신앙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리는 삼위 안에 한 분 하느님, 일치성 안에 삼위를 흠숭합니다. 위격들 간에 혼합도, 주체의 분리도 없으며, 성부의 한 위격, 성자의 한 위격, 성령의 한 위격이 존재합니다. 그러나 성부, 성자, 성령은 신성에 있어서 한 분이시요, 같은 영광을 받으시며, 위엄에 있어서 같이 영원하십니다. 성부께서 존재하시듯이 그렇게 성자께서도 존재하시고, 성령께서도 그렇게 존재하십니다. 창조되지 않으신 성부, 창조되지 않으신 성자, 창조되지 않으신 성령; 무한하신 성부, 무한하신 성자, 무한하신 성령; 영원하신 성부, 영원하신 성자, 영원하신 성령이십니다. 그러나 세 영원함이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영원함이 있습니다. 성부께서 전능하시듯이, 성자께서도 전능하시고, 성령께서도 전능하십니다. 그렇다고 세 전능이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전능이 있습니다. 성부께서도 하느님이시고, 성자께서도 하느님이시며, 성령께서도 하느님이십니다. 그렇다고 세 하느님이 아니라 한 분 하느님께서 계십니다. 성부께서 주님이시듯이, 성자께서도 주님이시고, 성령께서도 주님이십니다. 그렇다고 세 주님께서 계시는 것이 아니라 한 분의 주님께서 계십니다. 위마다 각각 하느님이시며 주님이심을 고백해야 하나, 세 분의 하느님께서 계신다거나 세 분의 주님께서 계신다고 말하는 것은 보편 신앙에 어긋나는 것입니다. 성부께서는 결코 어느 누구로부터 유래하지 않으십니다. 창조되지도 태어나지도 않으십니다. 성자께서는 오직 성부로부터 만들어지시거나 창조되신 것이 아니라 오직 성부에게서 나셨습니다. 성령께서는 성부와 성자로부터 조성되시거나 창조되시거나 태어나신 것이 아니라 발출되셨습니다. 한 분 성부이시지 세 분의 성부가 아니십니다. 한 분 성자이시지 세 분의 성자가 아니십니다. 한 분 성령이시지 세 분의 성령이 아니십니다. 이 삼위 안에는 처음이나 나중이나, 크거나 작음이 없습니다. 삼위 모두 같은 영원성, 같은 동등성을 지니십니다. 그러므로 이미 언급한 것처럼 세 위에 한 체이시고 한 체에 세 위심을 반드시 믿어 흠숭할 것이며, 누구든지 구원받기를 원하는 사람은 삼위에 대하여 이와 같이 믿어야 합니다.

영원한 구원을 얻으려면 또한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사람이 되심을 충실히 믿어야 할 것입니다. 바른 신앙은 하느님의 아들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하느님이시며 사람이심을 고백하는 것입니다. 하느님이심은 성부의 본체에서 영원으로부터 나심에서요, 사람이심은 모친의 본체에서 세상에 태어나심에서이다. 그는 참 하느님이시요, 영혼과 육신을 갖추신 참 사람이시다. 천주성으로는 성부와 같으시나 인성으로는 성부보다 낮으시다. 하느님이시며 사람이시나 둘이 아니요, 다만 그리스도 한 분이시다. 한 분이심은 천주성이 변하여 육신이 됨으로써가 아니라 오직 인성을 취하여 천주성에 결합하심으로써이며, 참으로 한 분이심은 본체의 혼합으로써가 아니라 위가 하나이심으로써이다. 그 분은 우리의 구원을 위하여 수난을 당하시고 고성소에 내려가시어 사흗날에 죽은 이들 가운데서 부활하시고, 하늘에 올라 전능하신 천주 성부 오른편에 앉으시며, 그리로부터 산 이와 죽은 이를 심판하러 오시리라. 그가 오실 때 모든 사람들은 자기 육신과 함께 부활하여 자기 행위에 대하여 셈 바치리라. 선을 행한 자는 영원한 생명으로 들어가고 악을 행한 자는 영원한 불로 가리라. 이것이 거룩한 보편된 교회의 신앙 교리입니다. 누구라도 이것을 충실히 굳게 믿지 아니하면 구원받지 못할 것이다.
아타나시오 신경(Athanasian Creed)

아타나시오 신경은 삼위일체에 대한 서방 교회의 신경이다. 앞글자를 딴 '퀴쿰케(Quicumque) 신경'이라고도 불리며, 7세기 무렵부터 중세 시기동안 아타나시오가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현대에는 그의 이름을 빌려 후대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정교회에서는 위 신경에서 이탤릭체로 표시된 "성자로부터(et Fillio)" 부분을 뺀 채로 전례서에는 있지만, 가톨릭 교회에서처럼 중요한 신경으로 취급하지 않는다.
5.2.5.1. 생애
알렉산데르의 비서였던 아타나시오는 논쟁의 중심인물이자 니케아 공의회에서 확립된 정통 신학의 수호자이며, 4세기 교회를 이끈 위대한 지도자 또는 교부 중 한 명이다. 아타나시우스의 생애와 저서는 4세기의 신학 논쟁의 발전과 너무나도 긴밀하게 뒤엉켜 있으므로 아타나시우스의 자서전을 말하지 않고는 그 발전의 역사를 설명하기란 불가능하다.

청년 시절 아타나시오는 사막교부들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했다. 그는 수도자들로부터 엄격한 규율을 배우고 지켰는데, 이러한 엄격성 때문에 친구들의 존경을 받았고 일부 적들의 경탄을 자아냈다. 아타나시오는 치밀한 논리 전개나 정치적 술수 때문이 아니라, 수도적 신앙훈련, 민중 가운데 뿌리 박은 기반, 불 같은 성격, 심오하고 흔들리지 않는 확신 때문에 아리우스파에 대항한 인물들 중 가장 두려운 존재가 되었다.

티레의 종교회의 소환부터 시작해서 콘스탄티누스의 유배, 로마로의 도망, 콘스탄티누스의 위협 등 적대자들의 공격으로 그는 인생에서 많은 시련을 겪는다. 물론 자신을 보호하고, 니케아 정통 노선을 지지하던 황제와 서방교회도 있었다. 이처럼 그가 계속해서 추방당하고 되돌아오곤 하는 것은 교리적 그리고 정치적 바람이 어느 쪽으로 불고 있었는지를 가늠하게 하는 풍향계이기도 하다.
5.2.5.2. 그의 신학
아타나시오는 조직적이며 사색적인 사상가라기보다는 독실한 신자이며 성직자였다. 그렇다고 그의 사상이 체계가 없다거나 일관성이 없다는 것은 아니다. 그의 저작과 신학은 조직적 체계를 요구하는 데 근거했다기보다는 순간순간의 필요에 대한 대응으로 발전했다는 뜻이다. 따라서 그의 작품은 사목적이고 호교론적이며, 주석적이고 심지어는 자서전적이기도 하는 특징이 있다.

아타나시오의 신학적 내용은 오리게네스와 아주 가까운 점이 있지만, 아타나시오의 관심사는 사색적이고 학문적인 면보다는 실제적이고 신앙적인 것이었기 때문에 그의 방법론은 고대 알렉산드리아 출신 신학자들이 추종했던 것과 사뭇 달랐다. 그렇다고 이론적 문제들을 한쪽으로 제쳐 놓고 실천적인 주제들만 논의하지는 않았다. 다만, 모든 교리적 주제들이 갖는 신앙적 의미를 끊임없이 추구했다고 볼 수 있다.

아타나시오에게 유일신관과 구원론이란 근본적으로 중요한 2가지 신학 원리가 있었다. 그의 초기 논문인 「이방인에 반대해서」라는 글을 보면 아타나시오 신학의 기둥이 된 유일신관이 무엇인지 자세히 기록되어 있고, 제2부에 해당되는 「강생에 대해서」에서는 그의 신학의 또 다른 기둥인 구원 교리를 설명해 준다.
5.2.5.2.1. 유일신관: 「이방인에 반대해서」
아리우스 논쟁이 시작하기 훨씬 전부터 아타나시오는 하느님의 본성에 관한 사고와 인간들이 어떻게 하느님을 알 수 있는가에 대해서 생각하였다. 초기 논문인 「이방인에 반대해서」에서 하느님을 알 수 있는 수단으로 영혼과 자연을 이야기한다.
인간은 영혼을 통해 하느님을 알 수 있다. 영혼은 불가시적이고 불멸적인 것으로 가시적이며 죽을 수밖에 없는 것들보다도 훨씬 더 우월하다. 참된 하느님은 영혼과 같이 불가시적이고 불멸적인 것임에 틀림없다. 영혼은 하느님의 형상과 모습으로 만들어졌으며 또한 하느님의 형상, 즉 하느님의 말씀을 반사시킬 수 있는 거울의 역할을 할 수 있었다. 영혼은 본래적 속성에 따라서 하느님을 볼 수 있으나 죄로 말미암아 하느님의 환상을 볼 수 없게 되었다. 그렇기에 거울을 흐리게 하는 죄를 닦지 않으면 거기에 비추는 말씀을 볼 수 없다.

이런 아타나시오의 주장은 알렉산드리아 학파에서 유행했던 플라톤적 주제다.
하느님은 창조세계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하느님은 자신이 누구라고 인간들에게 알리시기 위해서 이 세상을 창조하였다. 하느님은 본래적으로 불가시적이고 이해할 수 없으시기 때문에 우리 주위에 우주를 펼치심으로써, 우리로 하여금 하느님을 직접적으로 알지 못하더라도, 최소한 우주를 통해서 알 수 있도록 하셨다. 우주의 질서는 하느님이 계시다는 사실뿐만 아니라 한 분이시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자연에 깃든 질서와 이치는 하느님이 자연을 창조하셨으며 또한 하느님의 이성, 지혜 혹은 말씀을 통해서 다스리고 계심을 말해준다고 하였다. 이 말씀은 스토아 철학에서 말하는 로고스로써, 자연의 질서 자체이며, 자연 속에 내재해 있는 비인격적 원리와는 다른 것이다. 이 세상을 다스리는 하느님의 말씀은 하느님의 살아 있는 로고스이고, 하느님 자신이신 말씀이시다.
5.2.5.2.2. 구원론관: 「강생에 대해서」
아타나시오에 따르면 항상 궁핍 속에 있는 인간의 구원은 창조와 연속성이 있는데, 그 이유는 타락한 인간의 구원이 어떻게 보면 재창조와 동일하기 때문이다. 하느님은 인간을 자신의 형상대로, 즉 자신의 말씀에 따라서 창조하였으며 인간들은 창조를 통해 선물로 불멸성을 받았다. 따라서 자신이 그 형상을 올바르게 투영하면 이 불멸성을 오래 간직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인간은 죄를 짓고 그 형상을 저버렸기에, 그때 이후로 사망의 덫에 걸린 포로가 되었다. 여기서 죄란 창조의 질서 안에 들어와서 인간을 멸망으로 인도하는 붕괴작용이며, 새로운 피조 작업을 통해서만 쫓아 낼 수 있는 어떤 것으로 보았다.

아타나시오는 오로지 하느님 한 분만이 인간을 구원할 수 있다고 보는데, 만일 우리가 필요로 하는 구원이 새로운 창조라면, 창조자 한 분만이 그것을 우리에게 가져다 줄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이런 신학적 원리를 통해서 그가 아리우스의 이론에 반대하는 이유를 들여다보면 크게 두 가지로 이유를 찾을 수 있다. 첫째, 아리우스주의는 다신론에 접근해 있으며 둘째, 구원이 피조 세계를 통해서 온다는 뜻을 내포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아리우스와 논쟁하기 이전부터 아타나시오가 그리스도교 신앙의 기본이라고 생각하며 확고하게 붙들고 있었던 두 기둥과 아리우스주의는 양립할 수 없다는 생각을 가지고 아리우스주의를 비판한 것이다.
5.2.5.3. 삼위일체 이론에 대한 그의 기여
아타나시오의 신격에 관한 이론에서 그는 하느님을 초월적인 존재로 보았으나, 그렇다고 하느님이 피조 세계와 직접적인 관계를 맺을 수 없으시다는 뜻은 아니라고 했다. 비록 하느님은 이 세상과 동떨어지게 위에 계시지만, 창조행위 그 자체 안에서 이미 피조 세계와 직접적인 관계를 가지시며 지금도 피조 세계의 존속을 위해서 끊임없이 접촉을 유지하고 계신 것이다. 하느님이 이 세상과 관계를 가지신다는 개념은 말씀이 하느님과 세상 사이에 중간자로 존재하지 않아도 되는 뜻으로 이어지는 매우 중요한 내용이다. 아타나시우스가 이해하는 하느님과 세계 사이의 관계성에 따르면, 말씀 혹은 아들은 참으로 영원하신 하느님이시면서도 이 피조 세계와 아무런 장애도 받지 않고 관계를 맺으신다고 주장할 수 있다. 이 하느님은 성부, 성자, 성령의 삼위적으로 존재한다.

아타나시오는 삼위일체 교리의 발전에 적극적인 공헌을 했다고 평가 받는다. 왜냐하면 아타나시오가 성자의 신성을 강조한 것이 삼위일체 교리의 가장 큰 적, 아리우스주의를 결정적으로 무너뜨리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기 때문이다. 아타나시오는 아리우스주의와의 논쟁에 의해 성부와 성자의 관계성만 크게 강조하고 성령에 관한 토론은 일단 뒷전으로 미뤄놓았다가, 나중에 성자의 신성은 인정하면서도 성령의 신성을 부인하는 마케도니아 학파가 등장하면서부터 성령에 관한 이론을 발전시켰으며, 성령도 성부와 동일한 본질을 가졌다고 주장하게 되었다.

아타나시오의 삼위일체 신학은 삼위일체의 다양성과 통일성을 동시에 설명할 수 있는 확정된 용어가 없다는 약점이 있다. 362년 알렉산드리아에서 모인 대회에서 아타나시오가 취한 행동을 보면 아타나시우스 자신도 그러한 용어가 절실하게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렇지만 그러한 용어를 끝내 전개시키지 못하고, 그 일을 카파도키아 교부들에게 넘겨주었다.

결론적으로 아타나시오는 알렉산드리아 신학 전통의 가장 큰 약점인 과도한 사변을 벗어나 있기는 해도 전형적인 알렉산드리아 신학자임에는 틀림없다. 알렉산드리아의 사유적 방법 대신에 아타나시오는 그리스도교 신앙의 기본적 원리를 붙잡고서, 그것을 출발점으로 삼아서 다른 모든 이론들을 판단하였다. 이 원리는 앞에서 설명한 유일신관과 구원론이다.

5.2.6. 삼위일체론의 완성: 카파도키아 신학자들

카파도키아는 아나톨리아 동부의 고대 지명으로, 그 지역에 살았던 “대(大) 바실레이오스” 라고 알려진 신학자 카이사레이아의 성 대(大) 바실레이오스와 그의 동생이며 신비적 관상에 관한 저술로 유명한 니사의 성 그레고리오스, 그리고 이들의 친구인 시인이자 웅변가이며 그리스어권의 교회의 전통적 찬가를 작곡한 나지안조스의 성 그레고리오스가 대표적인 카파도키아 신학자들로 알려져 있다.

카파도키아 학파는 성부와 성자, 성자와 성령, 성령과 성부의 관계를 분석함과 동시에 그 관계 속에서의 성령의 본질 확증으로 집중되는 관계 분석의 필연적 작업으로 수사학적인 연구를 하였다.

성자가 성부와 동일본체임이 고백된 니케아 공의회 이후, 성령도 동일본질인가, 아니면 유사본질인가라는 문제가 제기 되었는데 이러한 문제를 제기한 학파가 대표적으로 마케도니아 학파였다. 마케도니아 학파는 성령의 인격성을 인정하지 않고 성령을 에너지나 도덕적 감화력으로 이해하는 ‘성령 유사본질론자’들이었다. 이에 대 바실레이오스는 수사학적 연구를 통하여 삼위의 관계를 밝히고 성령의 위치를 확신하며, 전치사들이 두 위격끼리 각각 관계를 가짐으로써, 동등한 하느님으로서 인간에게 계시하시고, 동등한 영광을 받으심이 밝혀진다고 주장한다.
5.2.6.1. 성부와 성자의 관계
‘성부로부터, 성자를 통하여’를 가지고 바실레이오스는 만물이 성부로부터 창조되었기에 성부는 창조의 원인임을, 성자를 통하여 만물이 창조되기에 성자는 창조의 대행자로 말한다. 또한 마케도니아 학파가 성부에게만 고정시킨 ‘그로부터’라는 어휘가 성자에게도 적용이 되며 ‘그를 통하여’가 성자에만 적용되는 어휘가 아니라 성부, 성령 모두에게 적용된다고 말한다.

바실레이오스는 성서에는 ‘성부로부터, 성자를 통하여’ 라는 표현과는 거꾸로 ‘성부를 통하여, 성자로부터’라는 표현도 있음을 말하며 ‘그를 통하여’도 성부께 적용되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고 말한다.[31] 이는 성서 저자의 저술의 목적은 본성의 다양성이 아니라 혼동되지 않는 성부와 성자의 위격을 보여 주기 위함이라 주장한다. 나아가 바실레이오스는 로마서 11장 36절[32]을 해석하면서 성부의 뜻에 따라 만물이 성자로부터 나오는 것은 그들의 존재의 원인이고 그를 통하여 만물이 유지되고 조성되기에 성부가 최고의 원인이며, 성자가 존재의 원인이라는 해석은 같은 내용의 두 표현일 뿐 결국 성부와 성자는 본질적으로 동일임을 말하고 있다.

또한 ‘통하여’라는 전치사가 종속을 나타내거나 낮은 계급을 표현하는 것이 아님을 주장하며 성서에 나오는 ‘오른편에 앉으셨도다.’ 와 같은 표현은 모두 동등한 의미라고 해석한다.[33]
5.2.6.2. 성자와 성령의 관계
바실레이오스는 계시가 성부로부터 성자를 통하여 성령 안에서 나온다는 것을 인정하지만, 그것을 수단과 장소의 개념으로 이해하지 않는다. 수단과 장소라는 구분 지음으로써 본성 자체를 구분을 짓는 것을 거부하고 위격의 차이를 말한다. 나아가 창조라는 계시 행위 가운데 세 분이 함께 일하시되 그 계시 양태의 차이를 설명한다.

마케도니아 학파는 ‘그 안에서’를 성령에게만 국한된 용어로 생각하여 장소라는 의미로 보는데 반하여 바실레이오스는 성자에게도 사용되고 있음을 주장한다.[34]

나아가 ‘그를 통하여’ 또한 성령께 적용됨을 주장한다.[35]
5.2.6.3. 성령과 성부의 관계
마케도니아 학파는 ‘그로부터’를 성부에게, ‘그 안에서’를 성령에게 고정시켜 삼위를 설명하지만 카파도키아 신학자들은 전부 사용할 수 있다고 말한다. 나지안조스의 그레고리오스는 성부로부터 만물이 생성되기 때문에 그는 제1 원인이시며, 성령 안에서 신자의 성화 및 완전이 가능케 되어 인간이 신과 같이 되기 때문에 그는 창조의 완성자라고 해석한다. 이는 위격의 차이일 뿐 본성 자체의 차이가 아니라는 해석과 동일하다. 그리고 ‘그 안에서’가 성부에게도 사용될 때가 많음을 주장하며 에페소인들에게 보낸 편지 3장 9절[36]을 통하여 성부 안에는 계시가 숨겨져 있고 그것이 성령과 성자를 통하여 나타난다고 말한다. 반대로 성령께도 ‘그로부터’가 사용[37]됨을 주장한다.
5.2.6.4. 분석과 종합
이상에서 살핀 바와 같이 세 표현(-로부터, -통하여, -안에서)이 성부, 성자, 성령 모두에게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하느님이 주체가 되어 인간에게 자기를 계시 하실 때, 하느님의 신성이 드러나고 하느님이 하느님 됨을 보여주며, 성부, 성자, 성령이 모두 계시의 주체요, 같은 본질임이 밝혀진다. 다시 말해 세 분 모두는 동일본체이며 세 분 모두 동일한 창조의 역사에 동참하셨고 동일한 구원의 뜻을 가지고 일하심을 증명하며, 본질과 능력의 다양성이 없고 하나임을 밝히며, 나아가 역사의 주인으로서 만물을 창조하고 다스리신다. 성부가 창조와 역사 섭리의 근원이신 주체자라면, 성자는 창조와 역사 섭리의 대행자시요, 성령은 완성자라는 것이 카파도키아 학파의 결론이다.

지금까지 살펴 본 카파도키아 학파의 삼위일체론과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 정죄를 당한 마케도니아 학파의 역사적 발전과정을 통하여 아래와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성부, 성자, 성령은 동일본체라는 신앙고백의 성립
둘째, 성부, 성자, 성령은 동등위격으로 존재, 어떤 위치로의 종속적인 개념x
셋째, 샘의 근원이 있듯이 근원이 성부
넷째, 성부는 창조주, 성자는 구세주, 성령은 성화주로 기능이 분화
다섯째, 성자는 성부와 성자와 같은 참하느님이면서, 우리들과 같은 참인간 [38]
여섯째, 성령은 우리로 하여금 완덕으로 나아가게 한다
5.2.6.5. 카파도키아 학파에 의해서 형성된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의 신앙고백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니케아 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는 삼위의 동일본질론, 즉 니케아 신앙의 확립을 나타냈다. 니케아 공의회 이후에도 계속 되어온 성부와 성자의 동일본질성은 꾸준히 문제되었지만,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를 통하여 성부와 성자의 동일본질성은 승리를 이룩하게 되었다. 그러나 주목할만한 점은 성령마저도 동일본질성을 소유함을 고백하는 제 3항목 성령론 부분이다.

기존의 니케아 공의회의 동일본질의 뜻은 362년 알렉산드리아 회의에서 아타나시오의 ‘본체는 삼위의 일체성을 나타내는 용어로, 위격은 삼위의 객체성을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해야 한다.’는 주장으로 인해 삼위의 개체성을 나타낼 길이 없게 되었고 사벨리우스적 단일신론적 경향으로 기울어질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는 동일본체를 말할지라도 거기에는 세 위격, 혹은 품격이란 또 하나의 표현을 전제로 나감으로써 유사본질에서 염려하던 사벨리우스적 경향은 완전히 사라지게 된 것이다. 정리하자면 니케아 공의회에서는 삼위의 실재성, 인격성 혹은 개체성을 주장하였고, 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에서는 이를 훨씬 분명하게 설명하여 니케아 신경에서 3항목으로 나뉘어 표현한 삼위의 개체성을 더욱 잘 발전시켜 표현하였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5.2.6.6. 필리오퀘 문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필리오퀘 문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동방교회의 그리스도론 논쟁과 칼케돈 공의회

초기 그리스도교는 이러한 공의회들을 통해 예수가 그리스도(메시아)이고 그리고 그를 통해 우리가 구속을 받게 된다는 것과 그리스도인들이 하나의 교회에 속한다는 확신을 가지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방 교회, 특히 시리아 등지에서는 여전히 단성론이 횡행하였으며 이는 동로마 제국 내에서 종교적 뿐만 아니라 정치적인 문제가 되었다. 이런 결과로 인해 동방에서는 끊임없는 신학적 논쟁이 발생하였다. 특히 니케아 공의회와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를 통해 그리스도인들은 삼위일체 교리에 관한 합의에는 도달했으나 이후 교리의 발전과정에서 삼위일체의 도그마가 생기게 되었다. 이것은 첫째, 예수의 '위격(person)'에 대한 문제이다. 만일 예수가 하느님과 본질을 같이하신다면, 예수는 누구인가. 둘째, 그의 '활동', 우리를 구원하시는 예수는 어떻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인가. 삼위일체 교리로는 이것에 대한 충분한 답이 되지 못했기에 결국 그리스도론의 논쟁이 생기게 되었다. 이 논쟁에 관하여 두 개의 서로 다른 사상의 흐름이 동방 교회 내에 있었다.

7. 현대: 삼위일체 하느님의 선교

근대에는 제믈러에 의해 가속화된 성서비평의 태동으로 삼위일체론을 형이상학의 또는 사변적 영역이라고 여겨 도외시 되기도 하였다. 예외적으로 사변신학(Spekulative Theologie)은 삼위일체론을 매우 중요시 여겼다. 그러다 쇠렌 키르케고르, 마르틴 하이데거와 같은 실존주의 철학 사조의 등장 후 개신교단 내에서는 삼위일체에 대한 갱신의 운동이 일어나기도 했다.[39] 대표적으로 칼 바르트, 융엘, 판넨베르크가 있다. 이전에 칸트의 도덕철학으로 말미암아 신학이 벡샤이더(J. Wegscheider)의 칸트적 합리주의, 슈토르(G. Schr. Storr)의 칸트적 초자연주의, 톨룩(A.G. Tholuck)에 의한 슐라이어마허적 부흥주의 등으로 분파가 나뉘어졌다면 헤겔의 절대정신, 무한자 개념의 철학과 하이데거의 시간과 존재 이론 등은 그리스도교의 교리가 다시금 철학에 의해 유지되고 보증될 수 있다는 개념으로 다가왔고, 그 이후로 개신교 신학에서 삼위일체론이 논의의 중심이 되었다.

개신교 신학자 칼 바르트는 리츨 학파 에른스트 트뢸취로부터 극복하고자 했고 그리스도론적 신론을 제시하기 위해 신학 전반을 삼위일체론에 토대를 두고 전개해나갔다. 여기서 그는 실존주의 철학이 삼위일체론을 단순히 신에 대한 부록이 이니라 신의 현실성(Reality) 전체를 그리스도교적으로 이해하는 데 밀접하게 연관된 것이라고 보게 된 것이다.[40]

즉 이전의 비삼위일체론적 교의학의 길에서 개신교 교의학은 다시 삼위일체론으로 돌아오게 되었고 예수의 가르침과 그의 역사에 나타난 성자와 성부의 결합에 집중하게 된다. 이 학풍을 구개신교 정통주의신개신교 정통주의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신정통주의라고 한다. 이후에는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으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루돌프 불트만[41], 키르케고르부터 영향을 받은 폴 틸리히, 칼 바르트의 편협적인 계시이해를 반대하고 나선 역사신학자라 일컫는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 희망의 신학자로 불리는 위르겐 몰트만이 있다. 또한 이들의 삼위일체론 연구는 생태신학 여성신학, 해방신학, WCC의 패러다임까지 포괄하게 되면서 21세기의 주요한 메이저 신학사조로 발돋움하게 된다. 물론 현대신학이기에 교파에 따라서 이들을 지지할 수도 있고 거부할 수도 있다.

최근에는 빌프리트 외스트와 한스 큉에 의해 비사변적인 니케아 삼위일체론이 개발되었으며, 페미니스트 삼위일체론 또한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 영미권의 분석철학자들은 삼위일체를 다시금 증명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8. 이단적 사상

예수는 그리스 철학자들처럼 존재론에 대해 이야기한 적이 없다. 예수는 자신과 '하느님 아버지'가 특별한 관계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정확히 무슨 관계인지는 전혀 설명하지 않았는데[42], 문제는 이런 논쟁이 그리스 철학 때문에 벌어진 거지 예수 본인하고는 아무 상관이 없다는 점이다. 예수는 그냥 아버지라고만 말했는데, 당연히 예수가 존재론적으로 아버지를 규정하지는 않았다. 복음서 내에서도 예수는 "나와 아버지는 하나다", "아버지는 나보다 크시다", "너희들도 나처럼 하면 아버지의 자녀들이 된다" 하는 식으로 말하고 있으며 자신과 아버지의 관계를 플라톤마냥 치밀하게 설명하지도 않았다.

이는 예수가 학자형이 아니라 예언자형 인물, 즉 엄밀한 주장과 논리에 의거하여 사람을 설득하지 않고 카리스마와 직관력으로 세상에 대해 경고하는 인물상이었기 때문이다. 예언자형 인물은 좋게는 사람들을 바른 길로 인도하는 예언자가 될 수 있지만, 나쁘게는 허황된 말로 사람을 혹세무민하게 될 수도 있다. 그리스도교도 유대교에서 나온 만큼 유일신을 주장하는데, 세례를 나자렛 예수의 이름으로 받는 등 유대교로서 도저히 납득이 안 되는 일을 해 왔다.

당연히 초대 그리스도인들도 존재론적인 문제는 생각도 안 하고 있었는데, 그리스도교가 그리스 세계로 전파되면서 그리스 철학에 익숙한 인간들이 "그럼 예수는 제우스의 아들 아폴론처럼 신의 아들인가?" "예수도 신이면 그리스도교는 유일신교가 아니라 다신교 아닌가?" 하면서 의문을 제기하자 곤란해진 것. 자연히 그리스도교 내부에서 도대체 유일신 사상과 예수가 어떻게 융합될 수 있는가 하는 말이 나오게 되었다. 그래서 몇 가지 이론이 나왔다.
  • 예수를 예언자로 정의한 경우: 예수 사후 극초창기 에비온파의 사상이다. 예수를 긍정적으로 생각한다는 점을 제외한다면 유대교와 사실상 다를 바가 없었기 때문에 다른 어느 파와도 손을 잡지 못하고 맥이 끊겼다. 이슬람이 이렇게 설명하며, 유대교 중 예수에게 긍정적인 입장을 취하는 경우 이렇게 이해하기도 한다. '양자론'이라 불리는 설에서는 예수는 원래 그냥 인간인데 처음으로 성령을 통하여 양자가 된 경우로 주장하기도 한다.
  • 예수를 성부가 다른 모습으로 나타난 것 같은 것으로 생각한 경우 (성부수난설, 양태론)
  • 예수를 신의 특별한 창조물로 생각한 경우: 대체로 아리우스파 영지주의자들이 이렇게 생각했다. 미카엘 대천사가 예수로 나타났다고 생각한 사람들도 2세기 초와 현대 여호와의 증인까지 있었다. 요한의 복음서의 로고스 그리스도론도 얼핏 보면 이런 입장인 듯하지만, 요한의 복음서는 "로고스는 하느님과 함께 있었으며 하느님이다"라는 모순적인 말로 로고스를 설명하고 있다.

이런 이단으로 정죄된 사상에 대해서 조금 더 설명하자면, 여러 종류가 있지만, 간략하게 흔히 착각하는 것 위주로 서술한다.
  • 양태론
    삼위일체론과 가장 많이 헷갈려하는 이론.
    ”성부=성자=성령”을 주장한다. 그냥 한 하느님이 여러 가지 모습으로 나타나는 것이라고 생각을 한다. 흔히 삼위일체를 쉽게 설명하려고 하나의 H2O가 이기도 얼음이기도 수증기이기도 한다고 설명하거나 한 남자가 아내에게는 남편이 되고, 자녀에게는 아버지가 되고, 회사에서는 사장이 된다는 식의 설명을 하는 경우[43]가 있는데, 이 설명들은 삼위일체를 설명하는데 널리 쓰이지만 잘못 이해할 경우 성부=성자=성령으로 오해할 수 있다.[44]
  • 신명론 관련 일부 주장
    양태론의 확장판이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양태론 중에서 하느님의 이름을 섞어 사용하는 경우를 말한다. 양태론 안에 있기에 특별한 명칭을 사용하지 않기도 한다. 이를테면 성부 하느님의 이름을 '예수'라는 이름으로 부르는 것이다. 그러나 예수를 야훼라고 부르는 것은 옳은 것이다. 왜냐하면 '야훼'는 엄밀히 말해서 어떤 특정한 신의 이름(이를테면 제우스나 오딘 같은 이름)이 아니라 존재하는 방식을 표현하는 어휘이기 때문. 이 부분은 베네딕토 16세의 저서인 <나자렛 예수>의 다음 인용문을 참조해보자.
당시에는 많은 신이 있었다. 그래서 모세는 하느님의 이름을 묻는다. 실제로 하느님은 다른 신들과 비교해 특별한 권위를 지닌 분으로 당신의 신분을 밝히신다. 그런 의미에서 하느님의 이름이라는 관념은 일차적으로 다신교를 믿는 세계에서 통용되는 관념이다. 그러니 이런 세계에서는 모세의 하느님도 당신의 이름을 말해 주어야 했다. 그러나 모세를 부르신 하느님은 여느 신이 아니고 진짜 하느님이시다. 본래 참된 의미의 하느님이란 여럿일 수 없다. 하느님은 본질상 한 분 뿐이시다. 그러기에 그분은 신들의 세계에 있는 신들 중 하나로 등장하실 수 없다. 그분의 이름이 다른 신들의 이름 가운데 하나일 수는 없다.
이와 같이 하느님이 주시는 응답은 모세의 물음에 거절하는 답이기도 하고 그 물음에 응하는 답이기도 하다. 그분은 당신 자신에 대해서 "나는 있는 나다."하고 말씀하신다. 그러니까 그분은 단순히 '있는 분'이다. 이스라엘에서는 하느님이 당신의 신원을 몸소 밝혀주신 이름, 곧 '야훼(YHWH)'라는 이름을 소리 내서 부르지 못하도록 금지했다. 그것은 그분의 이 이름을 다른 신들의 이름 가운데 하나로 격하시키는 것이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성경을 새로 번역하면서 이스라엘에게는 언제나 신비에 차 있고 함부로 발음해서는 안 되었던 이 이름을 여느 이름처럼 적어놓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그분의 신비를 일반적인 종교사의 평범한 사례로 끌어내리게 되었는데 이것은 옳지 않다. 하느님께는 그분을 그려 보일 수 있는 어떤 그림도, 그분을 부를 수 있는 어떤 이름도 존재하지 않는다.
교황 베네딕토 16세, <나자렛 예수> 국역본 1권 221~222p에서
  • 역동적 군주신론
    성자가 성부와 동일본질인 것을 부인한다.
    비록 성자가 하느님도 맞고, 인간도 맞다는 것은 정통 삼위일체 교리와 동일하다. 그러나, 예수는 본질적으로 원래 인간이었고 후에 하느님의 양자가 되어 신이 되었다고 바라본다. 그렇기에 성자와 성령이 동일본질이라고 보지 않고, 성자가 성부에 비해서 능력이 조금 부족하다고 바라본다. 이런 점에서 일부 그리스도인들이 잘못 이해하고 있는 삼위일체론과 비슷하다.
  • 형태론적 군주신론
    성부수난설 또는 가현설이라고도 한다. 예수를 하느님의 현현으로 보는 것이다. 즉, 예수라는 개체는 실존하지 않고, 성부가 현현하였다는 보는 것이다. 다만 성부가 실제로 현현했다고 가정하지 않고 다만 '성부도 고통을 안다'는 형태의 주장은 신학계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특히 위르겐 몰트만의 저서 『십자가에 달리신 하느님』(원제: Der gekreuzigte Gott) 이후로 신학계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몰트만은 예수를 하느님의 현현으로 보지 않고 하느님의 불변성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성부의 수난을 논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하였다. 주로 소외계층 등 Minority, SJW 이슈와 관련된 신학분야에서 몰트만의 이론을 반긴다.

8.1. 反삼위일체 교파

개신교의 이단 중 삼위일체론이 그리스도교의 근본 요소, 그리스도교를 정의하는 요소까지는 아니라고 주장하는 곳들이 있다. 이는 가톨릭과의 차별성을 더욱 강조하고 가톨릭의 유산을 탈피하다가 발생한 경우이다.

개중에는 삼위일체를 거부하는 교파도 있다. 보통 이 경우에는 이단은 물론이고 아예 그리스도교로 취급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들은 주로 하느님은 삼위가 아닌 단일한 인격체이며, 예수는 별개의 창조물이고 성령 역시 별개의 인격체가 아닌 하느님의 활동력이라고 주장한다거나 아니면 성부와 성자와 성령이 모두 동일하다고 주장한다. 대표적으로는 초기 그리스도교에 등장했던 아리우스파가 있다. 종교개혁 시기에는 세르베투스나 소치니 등이 삼위일체를 부정하다 단죄받기도 했다.

오늘날 현존하는 대표적인 반삼위일체 교파는 다음과 같다. 이들은 19세기 이후 등장한 교파들이며 그들 스스로는 니케아 공의회 이전 사도들의 교회를 회복한다고 주장하여 '회복주의'(Restorationism)로 분류한다.(단 모든 회복주의 교단이 비삼위일체파인 것은 아니므로 주의.)[45] 연원을 따지면 개신교에서 파생됐으나, 삼위일체 교리를 부정하는 바 개신교와는 별개로 분류하는 경우가 많다.
더 심한 경우는 삼위일체에 자기들의 교주를 재림예수나 그에 준하는 존재로 등극시킨 결과, 자연스럽게 삼위일체론을 위반한 개신교 파생 사이비 종교들도 있다. 해당 교주들은 기존 그리스도교 교리에 편승하여 1~2세대에 걸친 짧은 시간 동안 엄청난 종교적 권위를 가진 뒤 혹세무민을 일삼기 일쑤였다.

9. 인용문

문. 천주 몇이 계시뇨?
답. 천주 다만 하나 계시니라.

문. 하나이신 천주 몇 위(位)를 포함하여 계시뇨?
답. 하나이신 천주 세 위를 포함하여 계시니, 곧 성부(聖父), 성자(聖子), 성신(聖神)이시니라.

문. 세 위 서로 관계가 어떠하시뇨?
답. 세 위 서로 관계가 실로 오묘하니, 성부는 성자를 낳으시고, 성자는 성부께 낳음을 받으시고, 성신은 성부와 성자에게서 발하시느니라.

문. 세 위 서로 높고 낮음과 먼저 계시고 후에 계신 분별이 있느뇨?
답. 높고 낮음도 없고 먼저 계시고 후에 계심도 없어, 도무지 온전히 같으사 한 가지로 다만 한 천주시니라.
1934년, 『천주교 요리문답』(天主敎要理問答) 제2장 「삼위일체」
ㄱ. 한 하느님은 세 위격(person)으로 존재하는데, 이 위격들은 하나의 하느님 본성(nature), 하나의 하느님 본질(essence), 하나의 하느님 실체(substance)이다.

ㄴ. 이 위격들은 서로 구분된다. 성부는 다른 원천을 가지고 있지 않고, 성자는 성부의 실체로부터, 오로지 성부로부터 출생한다. 성령은 서방교회에 의하면 성부와 성자로부터, 동방교회에 의하면 성부로부터만 발출된다.

ㄷ. 하느님 안에는 실제로 구별되는 관계가 있으며, 따라서 하느님의 본질과 관계를 통해서 구성된 하느님 위격들 사이에 실질적 차이가 있다.

ㄹ. 하느님의 '관계적' 위격들은 하느님의 본질과 실제로 구별되지 않아서, 이 본질과 함께 하나의 사위일체(Quaternitas)를 구성하지 않는다. 하느님 안에서는 상반되는 관계가 존속하지 않는 한, 만사가 하나이며, 각 신적 위격은 전적으로 다른 위격들 안에 존재하며, 세 위격들이 각기 하나의 참 하느님이다.

ㅁ. 하느님의 위격들은 존재와 역사(役事)면에서 서로 분리되지 않으며, 외부를 지향해서 오로지 하나의 역사원리(役事原理)일 뿐이다. 세 위격들의 역사의 동일성을 말하는 공리에서 관건이 되는 것은 효능인(效能因, causa efficiens)이며, 이 공리로 말미암아 오로지 로고스(말씀)만이 인간이 되었다는 육화 교리와 '창조되지 않은 은총'(gratia increata) 교리가 부인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인간이 된 위격은 성부나 성령이 아닌 성자 위격이며, 세 위격들은 인간과 각기 고유한 관계를 가지기 때문이다.
가톨릭대사전 <삼위일체> 항목에서 일부 인용
"사랑에서 드러나는 셋은 삼위일체의 자취: … 여기 셋이 있다. 사랑하는 이, 그리고 사랑받는 것, 그리고 사랑." (제8권 10.14.)

"… 우리는 아직 천상적 사물을 두고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며, 성부 하느님·성자·성령에 관해서 이야기하는 것도 아니다. 어울리지 않는 (삼위일체의) 모상模像이기는 하지만, 그래도 모상이기는 한 인간에 관해서 이야기하려는 참이다. … 내가 무엇인가 사랑할 때 거기 셋이 있다. 나, 내가 사랑하는 것, 그리고 사랑 자체." (제9권 2.2.)

"… 하지만 사랑에 이르러서는, 성경에서 사랑이 곧 하느님이라고 하므로, 어느 정도 삼위일체가 밝히 드러났다. 곧, 사랑하는 이, 사랑받는 대상, 그리고 사랑 자체가 드러났다. … 또 하느님에게서 비롯하여 인간에게 유래하는 지혜를 우리가 논하는 마당에서 … 그러니 거기에는 삼위일체가 분명 있으니 곧 지혜와 (지혜의) 자기 인식과 (지혜의) 자기 사랑이 그것이다. 마찬가지로 우리는 인간에게서도 삼위일체를 발견할 수 있으니 다시 말하자면 지성과 (지성이) 자체를 아는 인식과 (지성이) 자체를 사랑하는 사랑이 그것이다." (제15권 6.10.)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 주교의 『삼위일체론』(De Trinitate) 중에서
■ 「신앙의 신조」 제8조는 "성령은 성부로부터 나오시며 성부와 성자와 더불어 같은 흠숭과 같은 영광을 받으시며"라고 고백합니다. 참되시고 오직 한 분이신 하느님을 믿는다면, 성부 성자 성령 서로 다른 이 세 위격의 존재가 어떻게 가능하며, 또 어떻게 이 세 위격이 같은 권능과 존귀와 영광을 가진다는 것입니까?
먼저 우리는 이와 관련하여 하나의 위대한 '신비' 앞에 서 있다는 것을 알아야만 합니다. 그것은 바로 성 삼위일체의 신비입니다. 아무리 지혜로운 성인일지라도 인간의 이성으로 성 삼위일체의 신비를 깨달을 수는 없습니다. 이성의 논리로 본다면 1+1=3이지만, 신학에서는 1=1=1입니다. 다시 말하자면 하느님은 아버지이신 하느님(성부), 하느님의 아들(성자), 성령이시지만 또한 동시에 오직 하나이시고 유일하신 하느님이십니다.
어떻게 이것이 가능한 것일까요? 사람의 생각으로는 이해할 수 없습니다. '이성의 논리 너머에' 있기 때문입니다. '이성의 논리 너머에'라고 말할 때, 그것은 '이성에 반대됨'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사람의 이성을 가지고 이해할 수 없는 것은 사실 너무도 많습니다. 수많은 사람들이 성 삼위일체의 신비를 이성으로 이해해보려 했지만 완벽한 이해와 대답을 얻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오직 믿음만이 성 삼위일체의 신비를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성경은 이 주제에 관해 분명한 증거들을 제시해주고 있기 때문에, 신자들은 이 신비를 큰 어려움 없이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성 삼위일체 하느님의 세 위격이신 성부 성자 성령의 신성에 대해서, 「신앙의 신조」는 어떻게 고백하고 있는지 체계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제1조("한 분이신 하느님 아버지, 전능하시고 하늘과 땅과 유형무형한 만물의 창조주이신 하느님을 믿나이다.")에서는 명백하게 '하느님 아버지'(성부)의 속성이 표현됩니다. 그리고 제2조에서 제7조까지는 '하느님의 아들'(성자)이 동일한 신적 속성을 지니셨음을 표현합니다.
「신앙의 신조」 제2조("그리고 또 오직 한 분이신 주 예수 그리스도를 모든 세대에 앞서 성부로부터 나신 하느님의 외아들이시며 빛으로부터 나신 빛이시요, 참 하느님으로부터 나신 참 하느님으로서 창조되지 않고 나시어, 성부와 일체이시며 만물이 다 이분으로 말미암아 창조되었음을 믿나이다.")에서는 하느님의 아들 또한 참으로 하느님이시며 하느님(성부)와 같은 본질을 지니셨고 아버지 하느님과 함께 세상을 창조하셨음을 고백합니다.
그리고 「신앙의 신조」 제8조("그리고 주님이시며 생명을 주시는 성령을 믿나니, 성령은 성부로부터 나오시며 성부와 성자와 더불어 같은 흠숭과 같은 영광을 받으시며 예언자를 통하여 말씀하셨나이다.")는 성자와 마찬가지로 성령도 "주님"이라고 칭합니다. 또한 성령을 "생명을 주시는 분"이라고 부릅니다. 성자가 "성부로부터 나신(출생하신)" 분이신 반면, 성령은 "성부로부터 나오신(발출하신)" 분이십니다. 성령은 다른 두 위격, 즉 성부 성자와 똑같은 신성을 지니신 분으로서, 그분들과 함께 같은 영광과 같은 흠숭을 받으십니다.
성령은 "성부로부터 나오셨다"는 이 고백은 불씨가 다른 불씨를 지피고 그래서 이 불씨들이 합해져서 하나의 불을 만드는 예를 통해서 이해해 볼 수 있습니다. 구약성경에서 하느님은 예언자를 통해서 말씀하십니다. 「신앙의 신조」 제8조 또한 성령은 "예언자들을 통해서 말씀하셨다"고 고백함으로써 성령 또한 하느님이심을 분명하게 표현합니다.
이렇게 이 세 위격인 성부 성자 성령은 같은 찬양과 경배와 영광을 받으시는 동등한 분이십니다.
이렇게 「신앙의 신조」는 하나이신 하느님은 성부, 성자, 성령 세 위격으로 존재하신다는 사실을 확고하게 고백합니다.

■ 성서는 하느님의 세 위격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습니까?
물론입니다. 성경은 하나이시고 또 세 위격이신 삼위일체 하느님에 대해 수많은 증언을 제시합니다. 성경의 이 증거들이 없다면, 두 번의 세계 공의회에서 하느님의 인도를 받으신 교부들에 의해 공인된 이 「신앙의 신조」를 우리는 받아들일 수 없을 것입니다.
첫 번째로, 삼위일체의 세 위격은 요르단 강에서 예수님이 세례 받으실 때 동시에 나타나셨습니다. 예수님이 요르단 강물에서 나오시자마자, 하느님 아버지는 "이는 내 사랑하는 아들, 내 마음에 드는 아들이다"(마태오 3:17)라고 말씀하시는 그분의 음성을 통해서 나타나셨고, 사람들은 이 음성을 들었습니다. 그때 하느님 아버지의 이 음성은 또한 예수 그리스도가 하느님의 아들이심을 증명해 줍니다. 그리고 곧이어 다음의 사건이 일어났습니다.
예수께서 세례를 받으시고 물에서 올라오시자 홀연히 하늘이 열리고 하느님의 성령이 비둘기 모양으로 당신 위에 내려오시는 것이 보였다. (마태오 3:16)
이렇게 그리스도가 세례를 받으실 때 성령이 나타났고 동시에 그리스도의 신성이 성자에 대한 성부의 증언을 통해 명백하게 확인되었습니다.
'성 삼위일체의 신비'의 나타남은 그리스도의 세례를 경축하는 신현 대축일 찬양송(아뽈리띠끼온)에도 잘 표현되어 있습니다.
주여, 주께서 요르단 강에서 세례 받으실 때에 성 삼위에 대한 경배가 나타나셨으니, 아버지의 소리가 주를 증거하시기를 '사랑하는 아들'이라 하셨고 성령도 비둘기 모양으로 나타나 이 말씀을 확인하셨도다. 하느님으로 나타나셔서 세상을 밝히신 그리스도시여, 주께 영화로다. (신현 대축일 찬양송)
또한 성경을 보면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가 직접 명백하게 성 삼위일체의 세 위격을 기억하게 해주신 사건들을 읽을 수 있습니다. 주님의 부활 후에 예수님은 모든 민족에게 복음을 전파하시기 위해 제자들을 보내시면서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너희는 가서 이 세상 모든 사람들을 내 제자로 삼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그들에게 세례를 베풀어라. (마태오 28:19)
다른 종교에서는 결코 찾아볼 수 없는 이 성 삼위일체 신앙이야말로 그리스도 교회의 기본적인 가르침입니다. 세 위격은 정확하게 같은 본질을 가지고 있고 완벽하게 일치합니다. 세 위격 사이의 다른 점이 있다면 그것은 아버지는 "태어나지 않으신 분"이시고, 아들은 "(아버지로부터) 태어나신 분"이시며 성령은 "(성부로부터) 나오신 분"이시라는 사실입니다. 그 밖에는 모든 점에 있어서 성부 성자 성령 세 위격은 똑같고 동등하며 모든 일을 항상 공동으로 행하십니다.

■ 제 머리로는 이 모든 것을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하느님은 하나이시고 또 세 위격이십니다. 각 위격은 각각 하느님이십니다. 그리고 이 세 위격은 한 하느님이십니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합니까?
이 질문은 수많은 세대를 거치면서 다루어진 중요한 주제입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제1차 세계 공의회가 열렸을 때, 성령의 조명을 받은 성 스피리돈(키프로스 뜨리미쑨도스의 주교)은 그리스도가 하느님이시고 성 삼위일체의 세 위격 중 한 분이심을 믿지 않는 사람들에게, 성 삼위일체의 신비에 관해서 다음과 같은 기적으로 답하셨습니다. 스피리돈 성인이 말합니다.
우리는 하느님의 아들이 아버지와 같은 본질을 가지고 있고 같은 왕좌에 앉아 동등한 경배를 받는다고 믿습니다. 성 삼위일체는 세 얼굴, 세 위격이지만 또한 이해 불가한 하나의 본질입니다. 사람의 지성은 한계가 있어서 이것을 깨달을 수 없습니다. 자, 이 기와를 보십시오. 그러면 여러분도 믿게 될 것입니다. 이것은 한 본질을 가지고 있지만 또한 세 가지 물질이 결합된 것입니다.
그런 다음 성인은 왼손으로는 기와를 들고 오른손으로는 성호를 그으면서 "성부의 이름으로"라고 말했습니다. 그랬더니 기와의 위쪽으로 불이 올라왔습니다.
이어서 "성자의 이름으로" 하고 말했더니 이번에는 기와 아래쪽으로 물이 흘러 내려갔습니다.
마지막으로 "성령의 이름으로"라고 말했더니 그의 손 안에 흙만 남게 되었습니다.
성인은 이러한 기적을 행하심으로써 많은 사람들이 성 삼위일체를 믿을 수 있게 도와주셨습니다.
성 삼위일체의 신비를 받아들일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어떤 사람은 '태양의 비유'를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태양의 본질은 하나입니다. 하지만 태양이 빛과 열을 발산하여 전해주는 것처럼, 성자는 성부로부터 태어나셨고 성령은 성부로부터 나오셨다는 것입니다.
물론 태양을 비롯하여 만물은 다 창조된 것이기 때문에, 그 어떤 것도 '영적인 존재'이신 하느님의 신비를 완벽하게 설명해줄 수는 없습니다.
피시디아의 소티리오스 트람바스 대주교의 『정교회 교리서』 제7장 성 삼위일체의 신비 중에서

10. 기타

10.1. 삼위일체의 상징과 회화

파일:external/www.therealpresence.org/holy_trinity-1.jpg 파일:external/farm3.static.flickr.com/1757785776_81b5cdebed.jpg [49]
파일:external/solzemli.files.wordpress.com/icon_of_the_holy_trinity.jpg 파일:external/fullhomelydivinity.org/becket%20arms.jpg
안드레이 루블료프의 16세기 이콘 목판 템페라. 이 이콘은 '성 삼위 하느님'이라고 부르며, 하느님이 아브라함에게 나타나 아브라함이 세 사람(또는 천사)을 대접한 창세기 18장 일화를 삼위일체의 예표로서 이해하고 그린 것이다. 그림을 보면 성자가 두 손가락을 뻗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신성과 인성을 의미한다. 또, 성자의 눈이 맨 왼쪽의 인물을 향하고 있으므로 맨 왼쪽의 인물이 성부임을 알 수 있다. 가장 오른쪽에 앉아 있는 인물은 성령인데, 바라보는 시선과 가운데의 잔에 주목하자. 먼저, 잔에 담겨 있는 것은 양고기로, 성도의 희생을 의미한다. 또한, 성령은 성부, 성자, 성령이 둘러 앉아있는 테이블을 바라본다. 사실 이 테이블은 제단이며, 순교자를 의미한다고 한다. 즉, 성령은 신자들의 희생으로 말미암아 신자들을 성부, 성자, 성령의 성 삼위일체 가운데에 위치하게 하신다는 것이다. 3마리 까마귀의 도상

삼위일체는 유럽의 화가들에게 매우 독특한 회화적 도전을 선사했는데, 그 중에는 똑같은 생긴 인물을 세 명 그려놓고 성부, 성자, 성령이다 하는 사람도 있었다. 나아가 몸은 하나인데 머리는 3개인 삼위일체를 그린 화가들도 있었다. 당연히 이런 무시무시한 그림들은 당대에도 싫어하는 사람이 많았다. 실제로 신비를 표현하려다 보니깐 신학적으로 엄밀하지 않다는 문제점도 있다.

10.2. 요한의 콤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요한의 콤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서지
  • Klauck, H.-J.: Der erste Johannesbrief, 303-311.

7 [하늘에] 증언하는 세 분이 계시니 [곧 아버지와 말씀과 성령님이시라. 또 이 세 분은 하나이시니라. 땅에 증언하는 셋이 있으니] 8 영과 물과 피라. 또 이 셋이 하나로 일치하느니라.
요한일서 5:7-8 (KJVkr)

요한일서 5:7-8에 해당하는, 요한의 콤마(라틴어: Comma Johanneum; CJ)는 전통적으로 삼위일체론의 증거 본문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18세기에 요한 잘로모 제믈러는 이 구절이 허위임을 입증했다.[50] 여기에서 콤마는 문장, 문장의 일부, 본문 조각을 의미한다. 본문비평 상 CJ는 사본들에서 만장일치로 전달되지 않았으며, 오래된 본문전통은 CJ 없이 8절만을 제공한다. 그리스어로 된 CJ가 존재하지 않았다는 사실은 CJ가 라틴어 본문 필사 과정에서 첨가되었음을 의미한다. CJ의 최초의 확실한 증거는 스페인의 양태론 신학자 프리실리아누스(c. 380 사망)가 작성한 리베르 아폴로게티쿠스(Liber apologeticus)에서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CJ는 그보다 오래되었다.[51]

11. 주요 문헌

11.1. 입문

  • Volker Henning DRECOLL (Hg.): Trinität (독일어), 2011 (Themen der Theologie 2). ISBN: 9783825234324. eISBN: 9783838534329.
  • Wilfried HÄRLE: 10. "Die Dreieinigkeit Gottes (trinitätslehre)", Dogmatik (독일어), Berlin/Boston 62022, 341-366. ISBN: 9783110777734. eISBN (PDF): 9783110777888. eISBN (EPUB): 9783110777956. 영어 번역: 11. "The Triune Essence of God (Doctrine of the Trinity)", Outline of Christian Doctrine: An Evangelical Dogmatics, trans. Nicholas Sagovsky and Ruth Yule, ed. N. Sagovsky, Michigan/Cambridge 2015, 322-344. ISBN: 9780802848420.
  • 로후스 레온하르트, § 7. "신론 II: 삼위일체 하나님",《조직신학 연구방법론》역: 장경노, 서울 22022, 387-420쪽. ISBN: 9788934117650. 원문: Rochus LEONHARDT:Grundinformation Dogmatik (독일어). Ein Lehr- und Arbeitsbuch für das Studium der Theologie, Göttingen 52022. ISBN: 9783825254773.
  • Sabine PEMSEL-MAIER: " Dreifaltigkeit/Trinität" (독일어), In: M. BAUKS, K. KOENEN, S. ALKIER (Hrsg.): Das wissenschaftliche Bibellexikon im Internet (WiBiLex), Stuttgart 2016. http://bibelwissenschaft.de/stichwort/100168/
  • Klaus von STOSCH: Trinität (독일어), Stuttgart 2017 (Grundwissen Theologie). ISBN: 9783825248550. eISBN: 9783838548555.


[1] 한처음에 말씀이 계셨다. 말씀은 하느님과 함께 계셨는데 말씀은 하느님이셨다.(요한 복음서 1장 1절) [2] 말하자면 인격 [3] 하느님의 본질이 아닌 것을 부정하여 남은 것만을 인정하는 형태. 삼위일체론도 아리우스주의나 성부수난설 등의 이단설을 부정해 결론을 내린 형태이다. [4] 서로를 자신 외에 지상에 있는 유일한 정통 교파로 여기는 두 교파인 가톨릭 정교회에선 개신교 자체는 중근세에 갑툭튀한 이단 교파로 규정하지만, 최소한 개신교 내의 전체 분파들이 주류적으로 표방하는 삼위일체 신(神)론에 한정해선 가톨릭과 정교회의 정통 교리를 그대로 수용했단 사실에는 이견이 없는 편이다. 또한 가톨릭이든, 정교회이든,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이든, 네스토리우스파의 후계인 아시리아 동방교회이든간에 초기 교회부터 지금까지 살아남은 종파들은 모두 삼위일체의 기본 개념, 곧 한 하느님 실체의 세 페르소나는 공유한다. 이들의 차이는 그리스도론의 구체적인 해석에서 나왔다. [5] 둘 다 정통 교리에서는 이단적 사상이라고 본다. [6] 즉 예수 그리스도가 초월자가 다른 모습을 취해서 나타나는 화신( 아바타)이라 생각한다면. [7] 지성, 감성, 이성이 있는 것을 의미한다. [8] 서방교회에 따르면 성부와 성자에게서 성령이 발현한다. [9] 이같이 복수형 표현으로 단수형을 높이는 표현은 현대 언어에서도 나타난다. 교황들도 공식 석상에서 자신을 '우리'라고 지칭했다. 또한, 유럽의 여러 언어들에서 T-V구분이라 하여 2인칭에는 지금도 남아있는데, 예를 들어 러시아어에서는 '당신'이라는 경어로써 너(ты)의 복수형인 너희(вы)를 쓴다. 영어가 2인칭 단수와 복수가 같은 것도 2인칭 복수였던 you를 높임말로 쓰다가 예삿말로까지 확장된 것이다. 원래 단수였던 thou는 두에-랭스 성경이나 킹 제임스 성경 같은 옛 문체를 쓰는 영어 성서에서 볼 수 있다. [10] 다만 해당 문서는 동치관계의 전반을 서술하고 있는데 여기에서 사용하는 것은 대상의 동일성 관계이다. [11] 다만 '같다'라는 표현이 중의적이라는 것은 조심해야 한다. 가령 기종이 같은 두 스마트폰이 있을 때 '이 두 스마트폰은 같다'라고 하는 것은 그 두 스마트폰이 같은 종류 혹은 모델이라는 것을 의미하지, 그 두 스마트폰이 하나의 대상이라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같다'라는 말은 마치 " ' 아이유'와 '이지은'은 같은 사람을 가리킨다."라고 할 때 바로 그 '같다'의 의미로 이해해야 한다. 이 경우는 '아이유'라는 말과 '이지은'이라는 말이 가리키는 대상이 같다. [12] 위에도 언급되어 있지만 아우구스티누스의 경우 그의 삼위일체론에서 삼위일체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하느님은 사랑이시다. 그런데 사랑이 있기 위해서는 다음의 세 가지가 필요하다. 사랑하는 사람, 사랑받는 사람, 사랑 그 자체. 이 셋은 서로 다르지만 사랑 안에서 하나로 통합되어 있다." 무슨소리야 [13] 다만 성부만 야훼고 예수를 야훼와 완전히 다른 존재로만 구분짓는 게 틀린 거지 성부를 야훼로 지칭하는 것 자체는 틀렸다고 보기에 어폐가 있다. 야훼를 다르게 지칭하는 표현이 '주(Dominus)' 혹은 '하느님'인데 그리스도인들은 예수가 성부의 아들임을 표현할 때 흔히 '하느님의 외아들'이라고 한다. 여기서 하느님은 편의상 성부를 지칭함이 당연하다.(하느님 앞에 성부를 생략했다고 보면 된다.) 성부 역시 하느님의 한 위격이기 때문에 논리적으로는 성부라는 위격을 하느님이나 주님이라고 지칭하는 건 전혀 문제될 것이 없다. 애초에 야훼는 존재론적 표현이지 호칭을 위해 만들어진 표현이 아니므로 호칭 문제는 그렇게 크게 중요하지도 않다. 각 위격에게 해당되는 호칭을 다른 위격에게 사용한다든가 하지만 않으면 된다. [14] 인용한 국역 성서와 영어 성서는 각각 『성경』(가톨릭, 2005년판)과 『The CTS New Catholic Bible』(영국 가톨릭 성경)이다. I Am과 I am He의 뜻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이 역본들을 인용했다. 또한 영어 성서에서 I Am과 I am He를 대문자로 강조한 것도 그대로 인용했다. [15] 구약 시대에는 삼위일체론이 세상에 알려지지 않았고, 신약에서는 '야훼'라는 표현을 직접 쓰지 않았다. [16] 성경에 대한 이해와 사유의 과정이 필요하다 [17] 레온하르트, 로후스: 조직신학 연구 방법론⁴, 함부르크 2009, 389-391 (역. 장경노, ²서울 2022, CLC). [18] 리터, 고대교회, 193(para. 20-)f. [19] 공동번역과 개역개정에는 각각 '본질'과 '본체'로 의역되었다. [20] 역사적 연구에서는 콘스탄티누스의 신앙심을 진심이라고 본다. 자세한 건 콘스탄티누스 1세 문서 참고. [21] (라틴어)Synodus. 교회회의를 뜻한다. 후술할 니케아 공의회를 비롯한 전세계적 교회회의부터 지역의 다양한 교회회의들까지 모두 포괄하는 용어다. [22] 다만 니케아 공의회에서 이단으로 단죄받은 아리우스파의 교리도 상당기간 영향력을 행사하게 된다. [23] 더 깊이 있게 들어가자면 "이러이러한 제도를 만들자"하면서 세계 공의회 제도가 갑자기 출현한 게 아니라, 특정한 몇몇 시노드들이 (마치 성경의 정경이 합의되듯이) 높은 권위를 지니는 것으로 동의되어 가면서 오늘날의 '세계 공의회' 인식이 출현했다. [24] 레온하르트, 조직신학, 393-394. [25] 리터, 고대교회, 154. [26] 리터, 고대교회, 240-241. [27] 레온하르트, 조직신학, 394. [28] 리터, 고대교회, 153. [29] 레온하르트, 조직신학, 395. [30] 리터, 고대교회, 241f. [31] 아담이 아내 하와와 한자리에 들었더니 아내가 임신하여 카인을 낳고 이렇게 외쳤다. "주님께서 나에게 아들을 주셨구나!"(창세 4:1 공동번역), 그들이 대답하였다. "우리가 꿈을 꾸었는데 아무도 풀어줄 사람이 없소." 요셉은 "꿈을 푸는 것은 하느님만이 하실 수 있는 일 아니겠습니까?" 하고 말하면서 자기에게 이야기 해달라고 청하였다(창세 40:8 공동번역), 하느님은 신실하신 분이십니다. 하느님은 진실하십니다. 그분은 여러분을 부르셔서 당신의 아들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와 친교를 맺게 해주셨습니다(1고린 1:9 공동번역) [32] 모든 것은 그분에게서 나오고 그분으로 말미암고 그분을 위하여 있습니다. 영원토록 영광을 그분께 드립니다. 아멘.(로마 11:36 공동번역) [33] 야훼께서 내 주님께 선언하셨다. "내 오른편에 앉아 있어라. 내가 네 원수들을 네 발판으로 삼을 때까지"(시편 110:1 공동번역)그 아들은 하느님의 영광을 드러내는 찬란한 빛이시요, 신성을 그대로 간직하신 분이시며, 그의 능력의 말씀으로 만물을 보존하시는 분이십니다. 그분은 인간의 죄를 깨끗하게 씻어주셨고 지극히 높은 곳에 계신 전능하신 분의 오른편에 앉아 계십니다.(히브 1:3 공동번역) [34] 그러나 하느님께서는 여러분을 그리스도 예수와 한 몸이 되게 하셨습니다. 그리스도는 하느님께서 주신 우리의 지혜이십니다. 그분 덕택으로 우리는 하느님과 올바른 관계에 놓이게 되었고, 하느님의 거룩한 백성이 되었고, 해방을 받았습니다. 이것은 다 하느님께서 하신 일입니다(1코린 1:30 공동번역), 나 바울로와 실바노와 티모테오는 아버지 하느님과 주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데살로니카 교회 여러분에게 이 편지를 씁니다. 주님의 은총과 평화가 여러분에게 깃들기를 빕니다.(1테살 1:1 공동번역),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당신의 성령을 주셨습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하느님 안에 있고 또 하느님께서 우리 안에 계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1요한 4:13 공동번역). [35] 또 우리 안에 살아 계신 성령의 도움을 받아서 그대가 맡은 훌륭한 보화를 잘 간직하시오.(2티모 1:14 공동번역), 어떤 사람은 성령에게서 지혜의 말씀을 받았고 어떤 사람은 같은 성령에게서 지식의 말씀을 받았으며, 어떤 사람은 같은 성령에게서 믿음을 받았고 어떤 사람은 같은 성령에게서 병 고치는 능력을 선물로 받았습니다. 어떤 사람은 기적을 행하는 능력을, 어떤 사람은 하느님의 말씀을 받아서 전하는 직책을, 어떤 사람은 어느 것이 성령의 활동인지를 가려내는 힘을, 어떤 사람은 여러 가지 이상한 언어를 말하는 능력을, 어떤 사람은 그 이상한 언어를 해석하는 힘을 받았습니다(1코린 12:8-10 공동번역). [36] 또 만물의 창조주이신 하느님께서 과거에 감추고 계시던 심오한 계획을 어떻게 실현하시는지를 모든 사람에게 분명히 알려주게 하셨습니다. (에페 3:9 공동번역). [37] 자기 육체에 심는 사람은 육체에게서 멸망을 거두겠지만 성령에 심는 사람은 성령으로부터 영원한 생명을 거둡니다(갈라 6:8 공동번역), 하느님의 계명을 지키는 사람은 하느님 안에서 살고 하느님께서도 그 사람 안에 계십니다. 하느님께서 우리 안에 계시다는 것은 우리에게 주신 성령을 보아서 알 수 있습니다.(1요한 3:24 공동번역), 요셉이 이런 생각을 하고 있을 무렵에 주의 천사가 꿈에 나타나서 "다윗의 자손 요셉아, 두려워하지 말고 마리아를 아내로 맞아들이어라. 그의 태중에 있는 아기는 성령으로 말미암은 것이다(마태 1:20 공동번역) [38] 50% 신+50% 인간이 아니라, 100% 신인 동시에 100% 인간 [39] 내용의 갱신이 아니라 계시의 주체성에 대한 확신의 갱신이다. [40] 그러나 초기 바르트는 변증법을 차용한 것이지 실존주의 자체를 받아들인 것은 아니었다. 실존주의를 학문적으로 완전히 받아들인 신학자는 루돌프 불트만이다. 다만 칼 바르트를 시발점으로 신정통주의 소속 신학자들은 현대철학과 대화하기 위해 그들의 철학도식들과 이론들을 받아들였기 때문에 후기 바르트 시점에서는 받아들였다고 주장하는 의견들도 옳은 표현이다. [41] 그는 하이데거와 같은 대학의 신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었다. [42] 비단 존재론적 부분 뿐만 아니라, 에 대해서도 비유만 해주었지 구체적으로 법문을 말해주지는 않았다. 다만 이것은 예수의 죽음과 부활이란 조건이 갖추어져야 완성되는 것이니 당연하다 쳐도... 사도 성 바울로의 서신들에서 뭔가 비밀스러운 게 있는 듯한 느낌을 계속 주지만 마지막 서신에서까지 그 내용은 없다. 즉, 신약의 서신들도 구체적인 설명은 안 해준다. 그리고 하필 비밀이란 언급을 하기 때문에 온갖 논쟁이 나는 것은 물론, 온갖 사이비와 이단들이 양산되어왔다. 신약을 읽어보면 분명 레위기에 적힌 그 법을 대신하여 새롭게, 하지만 그 이전의 모든 것이 폐해지지 않는, 법이 주어질 것이라는 것만 알 수 있을 뿐 대관절 그 실체가 무엇인지에 대한 언급은 결국 없다. 이것은 복음서들의 차이와 함께 그리스도교계에 기나긴 난제로 남아있다. 이로 인해 양산된 엄청난 물량의 사이비 이단은 덤. [43] 한 트위터의 목회자가 사쿠라이 모모카의 밈을 이용해 양태론을 설명하기도 했다. 트윗 @ [44] 잘못된 비유인 것은 아니다. 다만 비유는 어디까지나 쉽게 이해하기 위한 장치일 뿐이므로, 엄밀히 이해하고 싶다면 페르소나와 실체 등의 개념과 연결해야 한다. [45] 한국에서 정식 개신교 교단으로 인정되는 그리스도의 교회만 해도 회복주의를 주장했지만 엄연히 삼위일체를 인정했다. [46] 하느님은 오직 한 분이시며, 예수는 하느님의 아들이자 하느님이 최초로 창조한 영적 피조물이라고 주장한다. 똑같지는 않지만 예수를 피조물로 보는 측면에서 아리우스파의 주장과 상당히 유사하다. [47] 양태론적 삼위일체를 주장한다. [48] 삼위일체가 아닌 삼위삼체를 주장한다. 하느님 아버지, 구약의 여호와이신 예수 그리스도, 성신이 모두 하느님이다. 세 하느님 모두 완전히 같은 목적과 의지로 행동하기에 하나의 하느님이라고 주장한다. [49] 세 머리를 한 예수(three-headed Jesus)로 알려져있는데, 통상적인 그리스도교 신학에서는 정통이 아닌 것으로 취급되는 양태론적 단일신론에서 자주 사용하는 상징이다. 이는 세 위격이 분리되지 않고 하나라는 점을 강조한다. [50] 레온하르트, R.: 조직신학, 389. [51] 참조: Riggenbach, E., Das Comma Iohanneum, 1938, 22f.41; Harnack, A. v., Textkritik, 572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