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의 기물 | ||||||
궁 | 차 | 포 | 마 | 상 | 졸·병 | 사 |
1. 개요
士. 장기의 기물 중 하나. 시작시 궁성의 양쪽 아래 귀에 놓이는 기물로 행마법은 궁과 동일하다. 마찬가지로 궁성을 나갈 수 없다.역할은 옆에서 궁을 지키는 역할. 모든 장기류 게임의 기원인 차투랑가의 참모에서 유래했다.
마찬가지로 쇼기의 금장, 샹치의 사, 체스의 퀸도 유래가 같고 역할도 동일하다.[1]
2. 가치
상과 동일한 3점이다. 다만, 실질적인 가치는 상보다 더 높은데, 그 이유는 궁이 궁성 밖을 나갈 수 없어 이동의 제약이 크기 때문에 그 옆을 지키는 사의 역할은 공격 기물이지만 그마저도 제한적인 상과는 비교가 되지 않는다.[2] 사가 없으면 그만큼 손쉽게 외통을 당할 수 있다. 상뿐만 아니라 마나 졸·병, 포를 희생하여 사를 잡기도 한다.3. 운용
<nopad> 1 2 3 4 5 6 7 8 9 ##──────가로1────── 1 ##──────가로2────── 2 ##──────가로3────── 3 ##──────가로4────── 4 ##──────가로5────── 5 ##──────가로6────── 6 ##──────가로7────── 7 ##──────가로8────── 8 ##──────가로9────── 9 |
기물을 놓는 자리 상으로는 체스의 퀸의 자리에 놓이긴 하나, 천하무적인 퀸과는 달리 이동법이 1칸에 불과하며 그나마도 궁성 밖으로는 못 나가기 때문에 퀸과는 완전히 다른 기물이다. 다만, 차투랑가처럼 옛날 체스에서는 퀸 위치의 기물이 대각선 한 칸 이동이었고, 이는 샹치의 사 움직임이다.
오직 방어 하나만을 위해서만 존재하는 기물[3]로 축구로 따지자면 골키퍼에 해당한다. 따라서 궁성 밖으로는 못 나간다. 3점으로, 궁과 같은 방법으로 움직인다. 둘 다 살아 있으면 양사, 하나만 살아 있으면 외사, 둘 다 죽었으면 민궁이라고 한다. 물론 막판까지 가면 당연히 양사 > 외사 > 민궁 순서대로 유리하다. 대기물(象, 馬, 包, 車)이 전멸한 최종단계에서 사는 초반의 차와 가치가 같다. 고로 중반쯤에 기회가 되면 포 하나와 사 2개를 많이들 교환한다.[4] 상대의 진형을 붕괴시키거나 궁에 큰 위협을 가할 때 한정으로, 상대가 외사일 때 포로 과감하게 남은 사 하나를 치기도 한다.[5] 언제나 궁의 옆에 있어서 적의 차포나 마, 때로는 상으로부터 궁을 막을 수 있는 유용한 수단이기 때문. 사가 없으면 후반부에 졸&병에 궁이 털리는[6] 상황이 나올 수도 있다. 물론 잘못 운용하면 오히려 궁이 갈 길을 막는 애물단지가 될 수도 있으니 주의하여야 한다.[7]
[1]
체스의 퀸은 2개씩 갖고 시작하는 금장, 사와는 달리 1개밖에 없지만 대신 월등한 성능으로 이를 보완했다. 성능 차이가 너무 심해서 퀸은 성능으로만 본다면 사(士) 보다는 차(車)에 더 가깝다.
[2]
다만 사람에 따라 상을 잘 운용할 자신이 있다면 상으로 사를 떼지 않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으로
임대빈 프로.
[3]
물론 비키거나 포다리를 만들면서 차장이나 포장을 부를 수도 있지만, 이건 사실 차와 포의 공격이다. 사는 궁과 더불어 절대로 적의 궁성으로 갈 수 없기 때문에 공격을 할 수 없다.
[4]
점수 상으로는 1점이 손해이지만 상대가 민궁일 경우에는 굉장히 수가 잘 나기 때문에 사실상 뒤를 본다면 이득이다. 상대도 오히려 포와 양사를 교환하기보다는 그냥 사를 하나 내어주고 포를 잡지 못하더라도 외사로 가는 경우가 종종 있다.
[5]
졸병의 적군 궁성 진입을 앞둔 상황에서는 상대 사 하나를 포로 때려버릴 수 있다. 외사 상태에서는 궁성에 침입한 상대 졸병을 상대하기가 부담스럽고, 민궁이라면 더더욱 부담스럽다. “포로 사 치는 데 묘수 있다”는 격언도 있을 정도.
[6]
조각장기에서 양사라도 있으면 상대 졸&병이 그나마 덜 무섭다. 상대가 오졸이나 오병이라면 말할 필요가 없다.
[7]
특히 가끔 안궁 하고 사박은 다음에 중포 놓다가 상대편 포 하나에 외통 뜨는 경우도 종종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