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4 12:23:49

빌헬름 카르만 유한회사

빌헬름 카르만 유한회사
Wilhelm Karmann GmbH
파일:카르만 로고.png
<colbgcolor=#e6e6e6,#333333> 국가
[[독일|]][[틀:국기|]][[틀:국기|]]
정식 명칭 Wilhelm Karmann GmbH
설립 연도 1901년
설립자 빌헬름 카르만
파산 연도 2010년
본사 독일 오스나브뤼크
핵심 인물 욥스트 벨렌시크(Jobst Wellensiek)감독위원회 의장
업종 자동차 배터리 시스템 개발 및 제조 공급 및 부품 위탁, 차량 지붕 모듈 제조

1. 개요2. 역사
2.1. 폭스바겐과 카르만 & 기아2.2. 캠핑카(Motorhome) 제작2.3. 파산
3. 폭스바겐 소유 공장
3.1. 현재 생산 차량3.2. 과거 생산 차종
4. 과거 생산 및 조립 차량
4.1. 자동차 모듈4.2. 완전 생산 차량
5. 특징

[clearfix]

1. 개요

독일 오스나브뤼크에 본사를 둔 독일의 자동차 제조업체 및 계약 제조 업체. 2010년에 파산했으며 1901년 빌헬름 카르만이 설립한 이후 크라이슬러, 포르쉐, 메르세데스-벤츠, 폭스바겐 그룹을 비롯한 다양한 자동차 제조업체들의 부품 설계, 생산, 조립 등 다양한 자동차 관련 업무를 전문으로 담당했다.

2009년 파산 신청을 한 후 2010년에 해체되었으며 컨버터블 지붕 부품 사업부는 베바스토, 마그나 슈타이어, 발멧 오토모티브가 각각 인수했고 오스나브뤼크 조립 공장, 차량 개발, 도구 및 조립 시스템은 폭스바겐으로 이전되었다.

2. 역사

1901년에 빌헬름 카르만이 1874년에 설립된 코치빌더인 클라게스(Klages)를 인수, 사명을 변경하면서 설립되었다. 이후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자동차 산업과 함께 회사의 규모도 커졌으며 카르만은 컨버터블, 쿠페 및 기타 틈새 시장 모델 작업 업체로 유명해졌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카르만은 전쟁으로 파괴된 공장을 재건하면서 폭스바겐의 위탁 제조 및 개발에 주력하게 된다. 1935~36년 초, 페르디난트 포르쉐가 카르만에게 폭스바겐 컨버터블의 프로토타입 개발 가능성을 조사해 달라고 요청했지만 전쟁의 혼란으로 인해 이 아이디어는 추진되지 못했고, 폭스바겐과의 협력도 15년 이후부터나 시작이 된다. 1949년 8월 1일, 빌헬름 카르만은 폭스바겐으로부터 '4인승, 4날개 컨버터블 타입 15'인 폭스바겐 비틀 카브리올레 1,000대를 주문했고 이 차종은 향후 50년 동안 총 2,548,765대가 생산되기에 이른다.

비틀 카브리올레와 카르만 기아 외에도 폭스바겐 골프의 모든 카브리올레 모델과 시로코, 코라도는 카르만에서 제작되었다. 1960년대에 회사의 규모가 더욱 확장되어 브라질의 상 베르나르도 두 캄포 지역과 라인강 지역에 자동차 공장을 추가로 설립하였으며 1965년 이후부터는 BMW와 계약을 맺어 수년 동안 ' BMW 뉴 클래스 쿠페'와 그 후속 모델인 E9 완성차의 차체가 라인 공장에서 생산하였다. 엔진 설치와 최종 조립은 BMW가 뮌헨 공장에서 담당했고 1970년대 후반 ~ 1980년대에 BMW 6시리즈 쿠페의 차체 패널과 포드 에스코트 컨버터블 모델을 완성차 형태로 생산했다. 1990년대 초부터는 포드 에스코트 RS 코스워스, 유럽 시장용 기아 스포티지, 1997년부터 아우디 카브리올레(89형)와 아우디 A4 카브리올레(2002년형), 크라이슬러 크로스파이어(2003년)와 메르세데스-벤츠 CLK 카브리올레(A209, 2003년)를 완성차 형태로 생산했다. 폭스바겐 제타/벤토(1992/93)와 골프 바리안트 A3(1997/99)의 생산도 볼프스부르크 폭스바겐 공장 시설에서 오스나브뤼크의 카르만 공장으로 이전했다.

1985년부터 1989년까지는 머쿠어 XR4Ti를, 2003년부터 2007년까지는 당시 다임러크라이슬러 산하의 크라이슬러 크로스파이어 쿠페와 컨버터블을 생산했다. 크로스파이어 개발의 대부분은 카르만이 독자적으로 맡아 수행했으며, 차량은 오스나브뤼크 시설에서 생산되었다. 또한 3세대 크라이슬러 세브링 포드 머스탱 컨버터블 버전에 대한 최상위 하위 어셈블리를 공급하기도 했다.

카르만은 아메리칸 모터스(AMC)와의 계약에 따라 완성품 조립(CKD) 키트로 차량을 조립했다. 1968년, AMC는 미국 '포니카' 세그먼트의 새로운 경쟁 모델인 재블린을 출시했는데, AMC는 유럽에 제조 능력을 갖춘 자회사가 없었기 때문에 유럽 시장에 유통하기 위해서 미국에서 설계한 재블린을 카르만에게 조립을 맡겨 라인 공장에서 제작했다. 필요한 부품의 약 90%는 미국에서 배로 운송되었고 모두 SST 트림 버전이었으며 재블린 79-K의 '79'는 모델 번호를, 'K'를 나타낸다.

브라질의 상 베르나르도 두 캄포 공장에서도 소량의 차량이 생산되었다. 오스나브뤼크 시설에서는 스파이커 C8 스파이더의 섀시와 차체 패널도 생산했다. 이 외에도 독일 오스나브뤼크, 폴란드 초르조프, 일본 요코하마, 영국 선덜랜드, 멕시코 푸에블라, 미국 플리머스 타운십의 생산 시설에서 메르세데스-벤츠 CLK, 르노 메간 CC, 닛산 마이크라 C+C, 폰티악 G6, 크라이슬러 세브링, 포드 머스탱, 벤틀리 컨티넨탈, BMW 1시리즈, 폭스바겐 뉴 비틀 카브리올레 등 컨버터블용 루프 시스템을 제조했다.

2.1. 폭스바겐과 카르만 & 기아

카르만에서 가장 잘 알려지고 유명한 차량으로는 폭스바겐 카르만 기아 타입 14가 있다. 빌헬름 카르만 주니어는 오스나브뤼크에서 아버지 카르만의 차체 회사를 인수한 지 1년 후인 1953년에 이 아이디어를 구상했고 폭스바겐 비틀 섀시 위에 스포티하고 개방적인 2인승 자동차를 만들고자 했다. 이에 폭스바겐은 유럽에 주둔하고 있던 당시 미군들이 차를 즐겨 타며 미국으로 가져갈 수 있는 스포티한 로드스터에도 관심이 있었다. 같은 시기에 이탈리아 토리노의 카로체리아 기아(Ghia)의 사장인 루이지 세그레(Luigi Segre)도 제네바 오토모빌 살롱에서의 계기로 이 계획에 참여하게 된다. 비틀의 섀시는 오스나브뤼크에서 이탈리아로 배송되었고, 세그레는 직접 디자인한 차체를 섀시에 얹었는데 의아스럽게도 세그레는 파리에서 로드스터가 아닌 쿠페를 선보였다.

얼마 지나지 않아 이 차량의 작품은 오스나브뤼크에 있는 폭스바겐 총괄 이사인 하인리히 노르트호프(Heinrich Nordhoff)에게 전달되었다. 하인리히 이사는 흐르는 듯한 선과 둥근 형태의 쿠페를 마음에 들어했고, 바로 그날 차를 만들기로 동의했다. 생산 첫 해에는 초기에 계획했던 3,000대 대신 총 10,000대의 쿠페가 인도되었다.

폭스바겐 카르만 기아는 30마력, 최고 속도 115km/h에 불과한 성능이라서 스포티한 외관과 어울리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36만 대 이상 판매되며 대성공을 거두었다. 이후 1957년에는 카르만 기아 카브리올레가, 1961년에는 더 커진 차체의 타입 34 카르만 기아 1550이 출시되었는데, 디자인 역시 카로제리아 기아에서 유래한 것이다. 카르만에서 생산한 카르만 기아 쿠페와 컨버터블의 수량은 나중에 골프 카브리올레와 시로코 판매량보다 약간 높았고, 쿠페와 컨버터블을 합쳐서 카르만 기아가 제작한 가장 성공적인 차량으로 기록되었다.

2.2. 캠핑카(Motorhome) 제작

1974년에 폭스바겐 타입 2 '베이 윈도우' 섀시를 기반으로 모터홈을 최초로 출시하였다. 차체는 샌드위치 구조로, 이 모터홈에는 침대 2개, 주방, 샤워실, 폐수 탱크, 후방 차체 지지대, 레저용 배터리, 화장실, 온수기, 가스 난방 장치가 갖추어져 있었다. 옵션으로는 운전석 위의 화물칸 랙이 있었으며 1979년까지 약 1,000대가 생산되었다.

5년 이후 1979년에 폭스바겐 T2/3(T3/바나곤/트랜스포터/T25)가 출시되면서 2인용 침대를 갖춘 반영구 오버헤드 공간을 갖추게 되었다. 카르만 집시라고 불리는 이 캠핑카는 1980년부터 1992년 사이에 741대[1]가 제작되었으며 또한 1986년과 1990년 사이에 113대의 치타 T2/3가 생산되어 총 891대의 폭스바겐 T3 카르만 코치빌트 모터홈이 생산되었다. 생산 차량들 모두 오스나브루크가 아닌 카르만 라인 공장에서 생산되었다.

1978년부터 1996년까지 총 3,103대의 폭스바겐 LT 기반 모델이 생산되었으며 여기에는 LT 'M', LT 'L 1', LT 'L 2', LT 'L 디스턴스 와이드', LT 'L 디스턴스 와이드 골드', LT 'H 디스턴스 와이드', LT 'H 디스턴스 와이드 골드', LT 'S 디스턴스 와이드' 및 최고급 LT '디스턴스 와이드 오토빌라' 모델들이 포함되어있다.

1991년, 폭스바겐 T4를 기반으로 한 카르만 모터홈 디자인이 업데이트 되었다. 집시와 치타 모델명은 집시 I(SWB)와 치타(LWB)의 형태로 유지되었고 1996년에는 콜로라도와 미주리라는 두 가지 새로운 모델들이 출시되었다. 폭스바겐 트랜스포터(T5) 기반 버전은 2003년에 출시되었다.

2.3. 파산

2009년 4월 8일, 자동차 시장 수요의 급격한 감소와 회사의 재정적 채무로 인해 파산 절차를 신청했다. 대형 OEM이 노조와 맺은 고용 보호 계약과 차량 제작의 기술 발전으로 인해 틈새 시장을 노린 특수 차량의 생산은 더 이상 아웃소싱이 아닌 OEM 생산 네트워크 내에서 이루어지게 되었다. 카르만 사의 오랜 파트너였던 폭스바겐은 같은 해 10월 24일에 인수 제안을 했다고 밝혔다.

11월 20일, 폭스바겐이 파산한 카르만의 공장 건물, 기계, 공장 및 토지를 인수했다. 차량 지붕 시스템을 제외한 폭스바겐 오스나브뤼크 공장은 생산 시스템(금속 그룹), 프레스 공장, 차체 공장, 도장 공장, 조립 및 기술 개발 등 카르만의 이전 사업부를 포괄한다.

2010년 11월 4일, 핀란드의 발멧 오토모티브에서 폴란드 오스나브뤼크와 폴란드 자리(Żary) 지역에 위치한 카르만의 차량 지붕 부품 사업부를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카르만의 북미 사업부는 2010년 8월에 베바스토 그룹에 매각되었으며 2010년 2월 25일부로 카르만 일본 생산 공장은 마그나 인터내셔널에 인수되었다. 이후 마그나 슈타이어 닛산 370Z 로드스터의 루프 시스템과 더불어 인피니티 G37 컨버터블의 루프 시스템을 제조했다.

3. 폭스바겐 소유 공장

2010년 이후 폭스바겐 그룹 계열사들 차종들을 생산해오고 있다. 생산 차종 목록들은 다음과 같다.

3.1. 현재 생산 차량

3.2. 과거 생산 차종

4. 과거 생산 및 조립 차량

4.1. 자동차 모듈

4.2. 완전 생산 차량

5. 특징

  • 카르만에서 제작한 대다수 차량들에 회사가 설립된 오스나브뤼크의 작은 수레바퀴 엠블럼 문장이 부착되어 있다.


[1] 1986~1989년 사이에 제작된 30대 이상의 타입 3 싱크로 모델과 1991~1992년 사이에 제작된 7대의 싱크로 16인치 모델은 제외되어 있다. [2] 마지막 모델 연도 페인팅 및 최종 조립. 이후 오스나브뤼크로 이전. [R] 라인 공장 생산 [R] [5] 911, 911T, 911E 쿠페 한정 [6] 쿠페 한정 [W] 흰색 색상 한정 [8] 골프 3세대 업데이트 버전 [W] [R] [R] [R] [R] [R] [15] 포드 시에라 XR4i 머쿠어 브랜드용 미국 시장 버전. [R] [17] 브라질 생산 [W/S] 흰색 색상 & 소프트탑 한정 [W/S] [20] 리트렉터블 하드탑 한정 [21] 유럽 시장 판매용 버전 한정. [R]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5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