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 #fbe673; min-height: 3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사요왕 후 | 허루왕 후 | 마제왕 후 | 지소례왕 후 |
유리 이사금의 장모 | 파사 이사금의 장모 | 지마 이사금의 장모 | 일성 이사금의 장모 | |
일지왕 후 | 아도왕 후 | 세신왕 후 | 구도왕 후 | |
일성 이사금의 외조모? | 파사 이사금의 손자며느리 | 옥모부인 | 술례부인 | |
이칠왕 후 | 내음왕 후 | 파호왕 후 | 습보왕 후 | |
미추 이사금의 장모 | 내해 이사금의 며느리 | 자비 마립간의 장모 | 조생부인 | |
지도로왕 후 | 입종왕 후 | 동륜왕 후 | 복승왕 후 | |
연제부인 | 지소태후 | 만호부인 | 마야부인의 모친 | |
음갈문왕 후 | 진안왕 후 | 만천왕 후 | 문흥왕 후 | |
선덕여왕 | 월명부인 | 국반갈문왕의 장모 | 문정태후 | |
흥무왕 후 | 개성왕 후 | 신영왕 후 | 명덕왕 후 | |
지소부인 | 사소부인 | 무열왕의 딸 | 계오부인 | |
혜충왕 후 | 익성왕 후 | 선강왕 후 | 성덕왕 후 | |
성목태후 | 순성태후 | 선의태후 |
1
헌목태후2
조명부인
|
|
의공왕 후 | 혜성왕 후 | 흥렴왕 후 | 신흥왕 후 | |
광의왕태후 | 부호부인 | 정화태후 | 계아태후 | |
혁거세 거서간의 생모 | ||||
선도성모 | ||||
}}}}}}}}} |
호 | <colbgcolor=white,#2d2f34> 부호부인(鳧好夫人) / 강화부인(康和夫人)(?)[1] | ||
별칭 | 부이(鳧伊) | ||
이름 | 부호(鳧好)? | ||
배우자 | 김위홍 | ||
생몰연도 | ? ~ ? |
1. 개요
신라 말기의 인물. 김위홍의 전처[2]. 경문왕에게는 제수가 되며 헌강왕, 정강왕, 진성여왕에게는 숙모이다. 막내 시조카 진성여왕의 유모이기도 하다. 가계나 성씨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삼국사기에는 등장하지 않고 삼국유사의 <진성여대왕거타지조>에서 딱 1번 나온다. 진성여왕이 즉위한 지 몇 년이 지난 후, 남편 김위홍[3]과 더불어 정치를 문란케 했다고 서술되어 있다.
삼국사기에서는 김위홍만 2번 등장하고 부호부인은 나오지 않지만, 삼국유사에서는 '여왕의 유모 부호부인과 그 남편 위홍잡간'이라고 쓰여 있어 부호부인 쪽이 강조되고 김위홍이 아내 덕에 여왕의 총애를 받는다는 느낌이 강하다.[4]
신라에서 왕후를 가리키는 부인(夫人)의 호를 받은 것으로 보아 남편 김위홍이 사후 혜성대왕으로 추존될 때 세트로 부인에 봉해진 것일 수도 있다[5]. 그런데 추존의 주체가 김위홍의 후처[6]인 진성여왕이라는 것을 생각해보면 뭔가 묘하다... 로얄 미스트리스에서 성별만 반대로 바꿔서 부호부인이 진성여왕의 총애를 얻기 위해 자신의 남편을 바쳤을 가능성도 있지만 이 또한 추정이다. 추존 국왕의 아내가 되었으므로 그녀 또한 왕대비의 지위를 얻어[7] 수렴청정할 권한을 얻게 되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상술한 봉보부인 등 전근대 귀족사회의 유모는 대개 천민인 경우가 많았으므로, 부호부인도 김위홍의 본처가 아닌 첩실일 수도 있다. 삼국유사 왕력편에서는 김위홍이 진성여왕의 남편이라고 서술했다가 기이편에서는 부호부인의 남편이라고 서술하여 기록상 혼돈이 나타나는 것 또한 이에 기인했을 수도 있다. 왕거인의 다라니에 나오는 “3명의 아찬”이 그녀와 김위홍의 자식들이라면, 6두품의 여성일 수도 있다. 그러나 위홍이 부호부인 사별 후 진성여왕과 재혼했다는 설을 따르면 본처이다.
이외에 삼국유사에서 진성여왕의 막내아들이라는 김양정(金良貞)은 연대를 따져봤을 때 부호부인의 소생일 수도 있다. 860년 결혼한 경문왕의 세 번째 자녀인 진성여왕이 888년 김위홍과 다시 사통하여 최소 두 명의 아들을 낳고 그 마지막 아들이 897년까지 장성하기는 꽤 시간적으로 촉박하기 때문이다. 또한 진성여왕의 유모이기도 하므로, 그녀의 자식들[8] 중 진성여왕과 같은 연배의 아들이 있었을 수도 있다.
태조 왕건에서는 위홍의 처라고만 불린 김위홍의 아내가 나오지만 이 사람이 부호부인이라는 언급이 없다. 또한 부호부인인 김위홍과 함께 권세를 휘두른 걸로 사료에 적혀있지만 이쪽은 김위홍의 불륜이나 실정을 비판하는 태도를 꾸준히 보여준지라 사실상 창작인물에 더 가깝다.
[1]
«매계집»에 따르면 위홍의 아내라고 한다. 다만 음운상 그의 어머니인
광화부인과 유사한 점을 보면 오기로 보는 것이 합당할 수 있다. 오기가 아니라면 후술할 이유로 부호부인이 김위홍의 첩실이고 강화부인이 (어떠한 이유로든지) 정실에 해당할 수도 있다.
[2]
후처는
진성여왕이다.
[3]
삼국사기에서는
진성여왕 2년에 사망하지만 여기서는
멀쩡히 살아있다(...).
[4]
참고로 김위홍이
경문왕의 남동생이자
헌강왕,
정강왕,
진성여왕의 숙부라는 사실은
삼국사기,
삼국유사에 나오지 않고 후대의 금석문 발굴로 밝혀졌다.
[5]
물론 왕의 유모를 봉보부인으로 삼았던 조선과 같은 관습으로 봉해진 것일 가능성도 있다.
[6]
삼국사기에서는 둘을 내연 관계로 묘사했다.
[7]
진성여왕의 어머니
문의왕후는 이미 사망한 상태였다.
차비 김씨의 경우 생사를 알 수 없고 출궁되었을 수도 있다.
[8]
김양정인지 기록되지 않은 그의 큰아들인지는 알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