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5-15 16:27:42

계아태후

신라의 왕녀
[[틀:신라의 왕녀/태종 무열왕 ~ 경순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fbe673;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21970, #7C2A8D 20%, #7C2A8D 80%, #621970);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신라/왕사#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안승의 처
[[신라/왕사#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사#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사#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후 박씨
[[신라/왕사#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후 김씨
}}}}}}}}}


계아태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 #fbe673; min-height: 3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문흥왕 흥무왕 개성왕 비 신영왕 비
문정태후 지소부인 사소부인 무열왕의 딸 김씨
명덕왕 혜충왕 익성왕 선강왕
계오부인 성목태후 포도부인 귀보부인
성덕왕 의공왕 혜성왕
정교부인 조명부인 광화부인 부호부인
흥렴왕 비 신흥왕
정화태후 계아태후
혁거세 거서간의 생모
선도성모
}}}}}}}}}



신라 신흥왕의 왕비
계아태후 | 桂娥太后
<colbgcolor=#7C2A8D><colcolor=#fbe673>
신라 헌강왕의 왕녀
김계아 | 金桂娥
이름 계아(桂娥)[1]
생몰년도
미상
본관 경주 김씨
부왕 헌강왕
모후 불명[2]
형제자매 형제 - 효공왕
자매 - 의성왕후
부군 신흥왕
자녀 슬하 1남
아들 - 경순왕
시호 계아태후(桂娥太后)
1. 소개2. 생애

[clearfix]

1. 소개


신라의 공주이자 추존 왕후. 제49대 헌강왕의 딸이자 제56대 경순왕의 어머니. 제52대 효공왕의 누이이며 제50대 정강왕과 제51대 진성여왕에게는 조카딸이 된다.

2. 생애

헌강왕의 딸로서 왕위 계승권을 가지고 있었고, 고모 진성여왕의 주선으로 효녀 지은을 도운 화랑 김효종과 혼인하게 된다. 효공왕 사후 그녀의 자매[3] 의성왕후 남편 들들이 차례로 왕위를 잇지만 견훤에 의해 그녀의 아들 경순왕이 왕으로 옹립되면서 그녀 또한 태후로 추존되었다.
[1] 삼국유사 왕력편에서 칭호를 붙이지 않고 단순히 "계아"라고만 호칭한다. [2] 효공왕의 생모인 의명왕태후일 가능성이 있다. [3] 언니인지 여동생인지는 불명이나 신라의 왕위 계승법에 비춰 보았을 때 의성왕후보다 계아태후가 여동생이였을 가능성이 높다. 의성왕후의 남편이 계아태후의 남편보다 우선적으로 왕위에 올랐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