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18 21:41:02

부산 버스 125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파일:태영125뉴비.png
파일:부산버스125.jp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연간 일평균 승차량4.2. 노선4.3. 시간표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25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125 노선도(개편).png
기점 경상남도 김해시 불암동(불암역) 종점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구포시장)
종점
첫차 06:00 기점
첫차 06:55
막차 21:10 막차 22:00
배차간격 40분
운수사명 태영버스 인가대수 3대
노선 불암역 - 선암 - 수안 - 성안 - 장시마을 - 시례마을 - 초정 - 대동면행정복지센터 - 신정다리 - 김해대동중학교 - 대저수문 - 강서고.부산혜원학교 - 강서구청역 - 강서체육공원역 - 대저역 - 평강농협 - 대저역 - 강서체육공원역 - 구포대교 - (→ 북구청 →) - 구포역 - 구포시장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동일 정류장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해야 한다.

2. 개요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50.6km였다.

3. 역사

  • 1978년, 김해군에서 부산직할시 북구로 편입되었을 당시 대동 - 구포삼거리 - 모라 - 주례 - 개금 - 신암 - 부산역 - 충무동 구간으로 개통되어 운행하였다. 하지만 노선 길이가 워낙 긴 데다 대동면 수요 외에는 없었으며 구포역 이남으로는 중복 노선들이 많아 이렇다 할 수요를 확보하지 못했다. 따라서 1994년에 대동면 초정리에서 구포시장까지 운행하는 것으로 노선을 대폭 단축되었다.
  • 노선 단축 이후 준공영제가 시행되기 전까지의 125번은 정규차량 없이 김해지역 3사(금진/한진[1]/화진[2])가 자사의 예비차량을 일정 주기 동안 번갈아가며 운행하는 방식의 공동배차제를 시행해 한 회사에서 1대로만 운행하였다.[3] 그 때의 125번 모습은 정말 충공깽스러움 그 자체였다. 하지만 대동면 자체가 워낙 교통이 불편한 곳이다 보니[4] 대동면 구간을 운행하는 125번에 대한 수요가 아예 없는 편은 아니었다.
  • 2007년 5월 15일 태영버스 단독배차로 정리되었고 이에 따라 1대가 증차되어 2대가 30분 간격으로 운행하게 되었다.
  • 2008년 12월 8일 초정리에서 주중리까지 연장된데 이어 2009년 12월 1일 주중리에서 불암동까지 연장되었다. 다만 배차간격 또한 30분에서 45분까지, 45분에서 60분까지 늘어나게 되었다.
  • 2012년 4월 27일 128번이 폐선됨에 따라 기존 128번에서 운행되던 저상버스 1대가 125번 증차분으로 이동하여 3대로 증차되었으며 배차간격 또한 30분으로 다시 단축되었다.
  • 2019년 2월 2일 김해행 운행 시 구포대교에서 대동면 방면으로 바로 가던 노선이 양방향 강서구청역을 경유하게끔 변경되었다.
  • 2021년 6월 5일 양방향 평강농협을 경유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운행거리가 늘어남에 따라 배차간격이 40분으로 증가되었다.

4. 특징

  • 환승대기시간이 60분으로 적용된다.
  • 시내버스 운송약관에 의거 승객들의 안전을 위하여 차량 내 물품 반입을 규격 50X40X20cm3 미만으로 제한을 정확히 적용하고 있는 노선이니, 불편하더라도 적극 협조바란다. #
  • 사실상 대동면 농어촌버스에 가까운 노선이다. 당연히 대동면 주민들을 제외하면 별다른 승객 수요는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5] 서울 7726번, 서울 774번, 대전 34번, 대구 칠곡3번 등과 비슷한 포지션.[6] 김해시가 부산광역시의 차적을 빌려서 운행하는 농어촌버스라 봐도 된다. 선암다리(불암동)까지 밖에 운행하지 않으며 그나마도 낙동북로로 가지 않고 대동면을 거쳐 머나먼 길을 상당히 돌아간다.[7] 다행히도 환승대기시간이 60분으로 설정되어 있어 환승할인 걱정은 안해도 된다. 단 선암다리에서 불암동까지 가는 노선은 불암역에서 하차가 가능하다. 불암역이 회차지점이기 때문이다. 대동면(구포시장) 방면은 불암역에서 행선지를 알아보고 탑승해야 한다.[8]
  • 2011년에는 노선 이용 승객 대부분이 중장년층.노년층이라는 점을 고려해 전 차량이 저상버스로 대체되었다. 하지만 이 3대는 2020년에 모두 고상버스로 대차되었다.
  • 2014년 10월부터 김해여객 소속 대동면, 상동면 경유 시외버스가 폐선되면서 대동면 일대에서 제일 짧은 배차간격으로 운행 중이며 2015년 이후 대동면 일대의 김해 시내버스들이 125번이 운행하는 대동면 중심지를 위주로 노선을 조정하게 되면서 125번의 수요와 그 중요성이 상당히 늘어나게 되었다.
  • 이 노선의 실질 종점은 불암역이 아닌 선암(2075) 정류장이다. 그래서 BIS를 보면 선암에 2대가 몰려있는 것을 볼 수 있다.
  • 대동면으로 가는 구간이 전형적인 시골 마을이라 도심과는 정반대로 색다른 풍경이다.
  • 모든 운행 종료 후에는 구산동 본사에 주박한다. 주간에 잠시 쉴 때는 김해 97번, 김해 98번 선암 종점에 있는 공터에서 쉬며 불암역에서 종착한 뒤 선암 종점까지 공차회송해서 주차해둔다.
  • 여담으로 첫차시간이 06:00로 늦은 편이다. 운행 구간 상당수가 전형적인 시골마을이라 첫차시간이 빠를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덤으로 막차시간도 21:10으로 타 시내버스들에 비해 빠른 편이다.
  • 여담으로 구도색 후면행선판 표기가 강서구청도 강서구청역도 아닌 강서구청지하철로 되어 있었으나 신도색 후면행선판 표기는 강서구청역으로 되어 있다.
  • 과거 시계외요금이 존재할 때 다른 김해~부산 간 노선들은 선암다리를 기준으로 시계외요금을 부과했으나 이 노선은 노선 특성상 김해-부산 시계인 대저수문을 기준으로 시계외요금을 부과했다.
  • 구포역~평강역 구간은 낙동북로를 그대로 질주하여 가기때문에 김해로 빠르게 가려는 승객들은 와일드카드 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부산교도소 정류장에 하차하여 김해 방면 다른 노선으로 환승하면 대저안동네를 거쳐가는 것보다 훨씬 빠르게 갈 수 있기 때문이다.[9] 1004번 주간노선이 있지만 급행노선이라 요금이 비싸기 때문에 125번이 먼저 오면 거져먹기로 이용하는 구간 수요가 많이 늘어날 것이다. 또한 1004번 주간노선과 마찬가지로 대상지하차도를 양방향 통과하는 단 둘 뿐인 시내버스 노선이다.
  • 2021년 6월 5일, 평강역 경유로 노선이 연장된 이후 대동면 승객들의 불만이 폭주하고 있다. 125번 이용객은 모두 구포에서 승·하차 하고 있는데 평강역을 경유하는 까닭에 소요시간이 몇 배 더 늘어나 불편하다는 의견이 대다수다.[10]
  • 해당 노선의 정류장 중 목욕탕입구라는 정류장이 있다.

4.1. 연간 일평균 승차량

  • 원 출처는 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했다.
  •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
  • 카드 승차량만 집계된다. (현금 승차량 제외)
  • 2020년 통계는 자료제공이 되지않아 누락되었다.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1185.57
2015년 1295.71 △ 110.14
2016년 1192.00 ▽ 103.71
2017년 967.86 ▽ 224.14
2018년 1130.71 △ 162.85
2019년 979.28 ▽ 151.13
2021년 768.00 ▽ 211.28

4.2. 노선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25번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금곡대로
구포시장 ▼
낙동대로
강서체육공원역 ▼ ▲ 구포삼거리
낙동북로
평강농협 ▼ ▲ 평강역
평강로
평강역 ▼ ▲ 평강농협
낙동북로
대저동 ▼ ▲ 강서구청역
공항로
안막3구 ▼ ▲ 대저수문
동남로
대동중학교 ▼ ▲ 안막3구
동남로49번길
대동초등학교 ▼ ▲ 마산마을입구
대동로
마산마을 ▼ ▲ 초정
대동로485번길
시례마을회관 ▼ ▲ 마산마을
대동로417번길
장시마을 ▼ ▲ 시례마을회관
대동로
불암역 ▼ ▲ 선암
김해대로
}}}}}}}}} ||

4.3. 시간표

2021년 06월 05일 기준

5. 연계 철도역

폐선 기준일.

[1] 2007년에 성원여객으로 사명 변경 [2] 2004년에 태영버스에 통합 [3] 이후 555번도 유사한 방식으로 다녔지만 운행은 3사에서 모두 했다. [4] 김해시 시내버스 또한 자주 운행하지 않는다. 예전에는 시외버스에 의존하는 형태였었다. [5] 대동면민들이 사실상 125번의 밥줄을 담당한다고해도 과언이 아니다. 만에하나 외지인이 김해 가는 버스냐고 물어보며 승차하려고 하면 빙빙 둘러가니 다른 노선 이용해라고 승무원이 승객에게 일러준다. [6] 이와 상당히 유사한 노선으로 73번이 있으나 정관신도시 아파트단지를 투어하다시피 돌기 때문에 정관신도시 단거리 승객들이 시간만 맞으면 이용하기도 한다. [7] 애초에 이 노선은 대동면민을 위한 노선이다. 만약 불암역에서 낙동북로로 간다면 다른 부산김해노선하고 다름없어진다. 대동면민들은 김해시내 보다는 부산시내(주로 북구)로 많이 간다. [8] 불암역에서 구포시장으로 갈려면 124, 127, 128-1번을 이용하면 된다. [9] 다만 125번 배차시간이 잘 맞아야 하며 부산교도소 정류장에서 환승대기가 길어지면 별반 차이가 없어진다. [10] 노선을 바꾼이유가 경전철 환승때문이라고 하는데 불암역이 있는데 왜 평강역을 경유하도록 만들었는지가 의문. 더군다나 불암역보다 평강역의 일평균 이용객 수가 더욱 낮다. 대동면민의 수요로 먹고사는 125번이 이러한 결정을 내리는 건 대동면민들을 기만하는거나 다름없다. 그리고 대동면민들은 대동화명대교 화명동을 거쳐 금곡대로를 따라 덕천교차로를 지나 구포시장까지 가는 선형을 원했다. 그럼 얘네들은? 2023년 개편을 통해 이 노선을 폐선하는 대신 김해시에서 913번을 개통을 하게되었는데 개편 이전 노선 선형(강서구청거쳐 바로 구포대교로 올라가는 선형)을 채택하였다. 그리고 동월 부산 버스 1012번 이 개통됨으로 대저수문 정류소에서 건너서 환승하면 대동화명대교를 거쳐 화명동으로 단시간에 도착할 수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