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어족 Mongolic Languages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2px" |
중앙몽골어군 | 몽골어( 할하어 · 차하르어 · 호르친어 · 바린어 · 오르도스어) |
서몽골어군 | 오이라트어( 칼미크어 · 준가르어† · 토로구트어 · 도르베트어) | |
북몽골어군 | 부랴트어(중국 부랴트어 · 몽골 부랴트어 · 러시아 부랴트어) | |
동북몽골어군 | 다우르어 · 거란어† | |
동남몽골어군 | 몽구오르어 · 캉지안어 · 바오안어 · 둥샹어 · 선비어†( 모용선비어† · 단부선비어† · 우문선비어† · 독발어† · 걸복어† · 하란어† · 독고어†) · 토욕혼어† | |
중남몽골어군 | 동유구르어 | |
서남몽골어군 | 모골어 · 중세 아프가니스탄 몽골어† | |
|
}}}}}}}}} |
부랴트어 Буряад хэлэн Buryat language |
||
<colcolor=#ffffff><colbgcolor=#9D797B> 유형 | 교착어 | |
어순 | 주어-목적어-동사 (SOV) | |
서자방향 | 좌횡서( 키릴 문자), 좌종서( 몽골 문자) | |
문자 |
키릴 문자(러시아, 몽골) 몽골 문자(중국) |
|
주요 사용 지역 |
[[러시아| ]][[틀:국기| ]][[틀:국기| ]] └ [[부랴티야 공화국| ]][[틀:국기| ]][[틀:국기| ]] |
|
원어민 | 약 44만 명(2017~2020) | |
계통 |
몽골어족 북몽골어군 부랴트어 |
|
언어 코드 |
<colcolor=#ffffff><colbgcolor=#9D797B> ISO 639-2 | bua |
ISO 639-3 | bua, bxu, bxm, bxr | |
글로톨로그 | buri1258 |
[clearfix]
1. 개요
부랴트어는 러시아의 부랴티야 공화국의 공용어이자 몽골, 중국에 거주하는 부랴트인의 언어이다.2. 특징
몽골어족에 속한 언어로 몽골어와 매우 가까운 언어이다. 특히 몽골어와 비슷한 어휘가 많이 존재하며 러시아어에서 유래된 어휘들도 많이 존재해 있다. 단, 몽골어와는 약간의 차이도 있다. 가령 몽골어에 흔한 파찰음 ц, ч는 부랴트어에서는 마찰음 с, ш로 나타나고, 몽골어에 없는 һ /h/ 발음이 존재한다.몽골어와는 매우 가까워서 방언연속체에 속한다. 그러다보니 몽골어 화자와 부랴트어 화자는 어느 정도 대화가 통하는 편이다.[1]
3. 문자
러시아와 몽골에서는 키릴 문자를 사용하며 몽골어의 키릴 문자와 비슷한 점도 많이 있다. 그리고 중국 쪽에서는 몽골 문자를 사용한다.[2]{{{#!folding 【문자 목록 보기】 |
문자 (대문자/소문자) |
이름 | 발음 | 영어 예시 | ||
А а | а(아) | /a/ | father | |||
Б б | бэ(베) | /b/ | bay | |||
В в | вэ(웨) | /w/ | win | |||
Г г | гэ(게) | /g/ | gold | |||
Д д | дэ(데) | /d/ | day | |||
Е е | е(예) | /je/ | yes | |||
Ё ё | ё(여) | /jɔ/ | 미 yaw | |||
Ж ж | жэ(졔) | /ʒ/ | vision | |||
З з | зе(제) | /z/ | zoo | |||
И и | и(이) | /i/ | need | |||
Й й | богони и(버거니 이) | /j/ | yo-yo | |||
К к | ка(카) | /k/ | coffee | |||
Л л | лэ(레) | /l/ | light | |||
М м | мэ(메) | /m/ | moon | |||
Н н | нэ(네) | /n/ | nest | |||
О о | о(어) | /ɔ/ | on | |||
Ө ө | ө(으) | /ɵ/ | nurse | |||
П п | пэ(페) | /p/ | pair | |||
Р р | рэ(레) | /r/ | 미 atom | |||
С с | сэ(세) | /s/ | sun | |||
Т т | тэ(테) | /tʰ/ | tooth | |||
У у | у(오) | /o/ | story | |||
Ү ү | ү (우) | /u/ | fool | |||
Ф ф | еф(에프) | /f/ | foot | |||
Х х | ха(하) | /x/ | 독일어 Bach | |||
Һ һ | һа(하) | /һ/ | hot | |||
Ц ц | цэ(체) | /ts/ | let's have | |||
Ч ч | чэ(쳬) | /tʃ/ | chan | |||
Ш ш | ша(샤) | /ʃ/ | shake | |||
Щ щ | ща(시챠) | /ʃtʃ/ | fresh cheese | |||
Ъ ъ | хатуу тэмдэг(하토 템득[3]) | / / | ||||
Ы ы | ы(으) | /ʉ/ | good | |||
Ь ь | зөөлэн тэмдэг(즐릉 템득[4]) | /ʲ/ | ||||
Э э | э(에) | /e/ | set | |||
Ю ю | ю(유) | /ju/ | you | |||
Я я | я(야) | /ja/ | yard |
4. 단어
5. 들어보기
이쪽에서도 물론 랩도 하는데, 애초에 부랴트족 래퍼는 많은 편이 아니라 몽골쪽 래퍼들과 콜라보를 상당히 자주 하는 편이다.
미랄자의 곡 "Solongo"
6. 언어별 명칭
<colbgcolor=#9D797B,#9D797B> 언어별 명칭 | |
부랴트어 | Буряад хэлэн |
한국어 | 부랴트어(Buryat語) |
러시아어 | Бурятский язык |
몽골어 | Буриад аялгуу |
영어 | Buryat language |
중국어 | 布里亚特语 |
7. 외부 링크
[1]
마찬가지로 할하 몽골어도 차하르 몽골어와 일부 표현, 어휘를 제외하고는 어느 정도 통하는 편이다.
[2]
비슷한 예로
페르시아어(아랍 문자)와
타지크어(키릴 문자)가 있다.
[3]
경음부호
[4]
연음부호
[5]
몽골어로는 똑같이 нуур라고 쓰나 노르(nʊːr)라고 읽는다.
[6]
몽골어로는 сар(sar, 사르)/ᠰᠠᠷᠠ(sara, 사라)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