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악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1.75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word-break:keep-all;" |
<colbgcolor=#dbdbe2,#555461><colcolor=#000,#fff> 체명악기 | 아시아의 체명악기 | ||
동아시아 | 목어 · 목탁 · 징 · 꽹과리 · 대금 · 편경 · 편종 · 탐탐 · 자바라 · 방향 · 운라 · 소라 · 특경 · 특종 · 풍경 | |||
동남아시아 | 떠릉 · 공 | |||
유럽/기타 지역의 체명악기 | ||||
유럽 | 글라스 하프 · 심벌즈 · 캐스터네츠 · 실로폰 · 글로켄슈필 · 첼레스타 · 튜블러 벨 · 크로탈레스 · 윈드차임 · 우드블록 · 템플블록 · 루테 · 카우벨 · 클래퍼 · 토이 피아노 · 트라이앵글 · 행 · 핸드팬 · 핸드벨 · 오르골 · 스크라발라이 | |||
아프리카 | 마림바 · 음비라( 칼림바) · 아고고벨 · 시스트럼 · 카시롤라 · 카쉬카 | |||
아메리카 | 글라스 하모니카 · 스틸팬 · 비브라폰 · 워터폰 · 카혼 · 피들스틱 · 클라베스 · 구이로 · 마라카스 · 레인스틱 · 카바사 | |||
지역 공통 | ||||
셰이커 · 주즈하프 | ||||
막명악기 | 아시아의 막명악기 | |||
동아시아 | 장구 · 대고 · 소고 · 영고 · 갈고 · 좌고 · 타이코 · 사물북 · 소리북 · 츠즈미 | |||
중앙아시아 | 도이라 | |||
남아시아 | 타블라 · 바얀 | |||
서아시아 | 다르부카 | |||
유럽/기타 지역의 막명악기 | ||||
유럽 | 베이스드럼 · 스네어드럼 · 탬버린 · 톰톰 · 테너드럼 · 팀파니 | |||
아프리카 | 콩가 · 젬베 · 토킹 드럼 · 봉고 · 벤디르 | |||
아메리카·오세아니아 | 쿠이카 · 랄리 · 티파 | |||
타현악기 | ||||
양금 | 양금 · 덜시머 · 침발롬 | |||
피아노 | 피아노( 그랜드 · 업라이트) · 클라비코드 | |||
이외 | 베림바우 | |||
기명악기 | ||||
오르간( 파이프 오르간 · 풍금 · 아코디언 · 바얀) · 윈드 머신 · 호루라기 · 경적 | ||||
}}}}}}}}} |
[1]
1. 개요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Bongos (영어권에서는 Bongo drum이라고도 부른다.)타악기의 일종.
2. 상세
공명통에 씌운 가죽이 진동해 소리나는 악기라 '멤브라노폰(막명악기)' 으로 분류하고, 일정한 음정이 없으므로 무율 타악기로도 분류된다.기원은 아프리카에서 중앙아메리카나 카리브해 식민지로 팔려나간 흑인 노예들이 지니고 간 것으로 추측되며, 그 덕에 중남미 민속음악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악기로 활용되고 있다. 크기는 제작사나 만드는 지역과 국가에 따라 미묘하게 다르지만 대체로 들고 다닐 수 있을 정도로 작게 만든다.
흔히 크기가 다른 한 쌍의 북을 스탠드에 놓고 치는데, 민속음악 분야에서는 끈을 연결해 목에 둘러메고 걸어다니면서 치거나 무릎 사이에 악기를 끼우고 앉아서 치는 경우도 많다. 일반적으로 작은 쪽을 스페인어로 마초(macho), 큰 쪽을 엠브라(hembra)라고 부른다. 양쪽 모두 북통 밑이 뚫려있고 전문 타악기 제작사에서 나오는 상업용 악기들에는 가죽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조임쇠도 붙어 있다.
연주할 때는 드럼스틱이나 펠트채, 고무채 등으로 치는 경우도 있지만 대체로 맨손으로 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얼핏 보기에는 연주하기 쉬운 악기로 보이지만, 진짜 숙달된 연주자의 경우 손가락 끝이나 마디, 손목 등 별의별 치는 부위를 구분해 굉장히 다양한 음색을 구사한다.[2]
경쾌하고 시원스러운 음색으로 맘보나 룸바, 차차차, 살사 등 카리브해에서 파생된 라틴 댄스 음악들에서 거의 필수적으로 쓰인다. 재즈에서도 디지 길레스피 등이 1940년대 후반부터 악세사리 악기로 도입해 인기를 끌었으며, 록 음악에서도 이국적인 느낌을 주기 위해 드러머 혹은 퍼커셔니스트가 종종 쓴다. 의외로 트로트에서도 많이 쓰이는 악기인데[3], 보통 콩가와 같이 쓴다. 그래서 트로트 전문 악단을 보면 드럼 외에도 퍼커션 파트가 있는 경우가 많고, 봉고와 콩가를 배치해서 쓰는 경우가 많다.
3. 여담
- 많은 사람들이 콩가와 봉고를 혼동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는데, 사람 키의 절반 정도로 길다란 것이 콩가다. 크기뿐만 아니라 음색도 큰 차이를 보인다.
- 물리학자인 리처드 파인만이 이 악기를 수준급으로 다룬 것으로 유명하다.
- 한국에서는 재즈타악연주자인 류복성씨가 80년대에 방송으로 가끔 봉고 연주를 선보이곤 했다.
- 2018년에 Bongo Cat이라는 이름의 밈이 등장했다.
- 오버워치 오리사의 궁극기인 초강력 증폭기가 사실 젬베와 더 비슷하게 생겼지만 봉고라고 불린다.
- 한국의 밴드 혁오의 앨범 사랑으로에서 1번트랙 help 간주 부분에 사용되었다.
- 사랑과 평화의 이철호가 이 악기를 연주하며 노래를 한다.
[1]
대체로 사진 속의 거치대 없이 무릎 사이나 바닥에 놓고 연주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2]
실제로 숙달된 봉고 주자의 손을 보면 근육질에 굳은살이 잔뜩 배겨 있음을 볼 수 있다.
[3]
대표적으로
김광석의
바람이 불어오는 곳